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해시 본산공단 주변지역의 환경대기 중 주요 악취물질의 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정성욱 ( Seong Wook Jeong ),변기영 ( Ki Yeong Byeon ),박흥재 ( Heung Jai Park ) 한국환경과학회 201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1 No.1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offensive major odorous compound from the Bon-San industrial complex in Gimhae were determined by analytical methods of Gas Chromatograph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UV/VIS Spectrophotometer. The kind of major odorous compounds examined acetaldehyde, sulfur compounds, ammonia and styrene. The concentration of all odorous compounds at 3 sampling points of industrial complex were lower than those of regulation standard levels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The mean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was 0.0235 ppm at sampling point 2, it was higher than other sampling point. Complex odors was lower than regulation standard levels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Korea.

      • KCI등재

        알음알이의 분석적 연구

        정성욱(Jeong, Seong-Wook)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4 No.-

        중국의 초기선은 달마의 벽관(壁觀)으로부터 비롯되어 전등을 이어왔다. 그러나 벽관(壁觀)이 중국적 토양에 정착되는 과정에서 알음알이가 부가되어 참선에 많은 장애가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먼저 알음알이가 벽관(壁觀)이 될 수 없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고 분석하여, 알음알이를 벽관(壁觀)의 상대적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그 알음알이의 시원을 도신의 일물(一物)에서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알음알이는 벽관(壁觀)에서 고성제(苦聖諦)가 분리되면서 발생하였다고 추정된다. 왜냐하면 자신의 고통이 아닌 문제를 연구할 때 그 문제는 추상화되고 자신과 관계없는 알음알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도신의 알음알이를 이어받아 홍인은 진심(眞心)이라고 불렀고 혜능은 견성(見性)이라고 하였다. 그 방식은 선지식이 먼저 알음알이를 주어서 생각할 수 있는 기연을 만들고 다음에는 알음알이를 부정하는 과정을 겪도록 하였다. 이에 수행자는 선지식이 주는 알음알이에 혹했다가 다시 알음알이를 부정하는 과정으로 공부하지만 늘 혼란을 느끼게 된 것이다. 또 이러한 알음알이의 영향으로 선가에서는 바르게 아는 것보다 체험주의가 확산되었고 개인적 수행주의가 만연하여 왔다. 본고는 이러한 면의 원인이 알음알이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알음알이에 대하여 자세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벽관(壁觀)을 바르게 성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입장에서 작성되었다. The Early Stage of Zen[初期禪] was derived from Dharma(達磨)’s Byeokgwan(壁觀) and have been followed the light[傳燈]. But the Knowing[知解] was added to Byeokgwan(壁觀) in the process of its establishment in Chinese land, and then it became an obstacle to the study of Zen. Accordingly, in this thesis, I analyzed the fact that the Knowing[知解] is the reason that someone cannot become Byeokgwan(壁觀). And I could find the origin of the Knowing[知解] at the One-thing[一物] of Dosin(道信). It was presumed that such Knowing occurred at the time when Goseongje(苦聖諦) was separated from Byeokgwan (壁觀). Hence the master gave his disciple the Knowing first to make him think and he made his disciple undergo the process to deny the Knowing next time. They inherited Dosin(道信)’s Knowing, which Hongin(弘忍) named Jinsim(眞心) and Hyeneung(慧能) Gyenseong(見性). Therefore, the disciple always felt confusion because he was attracted to the Knowing that the master had given him and he studied the course of abandoning it in another moment. And under the influence of the Knowing, empiricism rather than a correct understanding of Zen spread, and it has been pervasive in individual practicism[修行主義]. This paper has the viewpoint that the cause of such a problem was derived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Knowing, and a detailed study of the Knowing will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accomplishment of Byeokgwan(壁觀).

      • KCI등재

        蒙山 看話의 비판적 연구

        정성욱(Jeong, Seong-wook)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한국불교 간화선은 고려시대 이후로 몽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러한 몽산의 간화는 대혜의 간화와 비교해 볼 때 많은 사상적 변화가 보인다. 그 이유로 인하여 오늘날 한국불교 간화선은 그 정신을 살리지 못하고 간화선 수행자는 방향을 잃고 있으며 오직 신비적 그늘 속에서 안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불교 간화선이 활발발함을 잃은 이유를 몽산의 간화에서 찾고 몽산의 일대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몽산의 간화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대혜의 간화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첫째, 대혜의 간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발견하는 화두’라고 부를 수 있다. 이것은 우리 생활의 곳곳에서 누구나 찾을 수 있고 확인할 수 있는 마음의 존재적 형상을 묘사한 것으로 일체에 두루한 모습을 갖고 있다. 그래서 존재적 화두라고 명명하였다. 둘째, 몽산의 간화의 특징은 ‘만드는 화두’라고 칭하였다. 이것은 한 개인의 노력에 의하여 많은 번뇌망상을 극복하고 고행과 공력으로써 한 생각을 만들어 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수행적 화두’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적 화두는 한 경계를 깨달을 때 까지 무한한 노력이 필요하여 성공할 확률이 거의 없으므로 오늘날 간화선이 수행자로부터 외면 받게 되었고 중생제도는 요원한 일이 되어버린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 한국불교 간화선 침체의 원인이 몽산의 간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몽산의 생애, 좌선과 화두에 대한 몽산의 개념, 몽산의 수행과정, 그리고 인가에서 그 예를 찾아서 분석하고자 한다. The Gwan-Hwa-Seon(看話禪) of Korean Buddhism has been influenced directly by Meng-shan(蒙山). But Gwan-Hwa(看話) of Meng-shan(蒙山) can be seen as having many ideological changes compared to the Gwan-Hwa(看話) of Dae-hye(大慧). Due to this, the reality of Gwan-Hwa-Seon(看話禪) of modern Korean Buddhism cannot uphold its true spirit and practitioners of the Gwan-Hwa-Seon(看話禪) have lost direction and are content on being within the shade of mystery. Therefore this study will research the reasons that Gwan-Hwa-Seon(看話禪) of Korean Buddhism has lost its vigor in the Gwan-Hwa(看話) of Meng-shan(蒙山) and through an analysis of Meng-shan’s(蒙山) biography analyze the problem. By the method of comparison with Gwan-Hwa(看話) of Dae-hye(大慧), I will tr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Meng-shan(蒙山)’s Gwan-Hwa(看話). First, if you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Dae-hye’s Gwan-Hwa, it can be called ‘Discovering Hwa-Du(話頭)’. This is the description of the existential appearances of the mind that can be found and confirmed in various aspects of our lives, which has the appearance of all things. That is why it is called ‘Existential Hwa-Du(存在的 話頭)’. Second, another characteristic of Meng-shan’s Gwan-Hwa(看話) is ‘Creating Hwa-Du.’ This can be called ‘Disciplinal Hwa-Du’ whereby you overcome the many delusions of worldly desires through a personal effort and build a thought through self-mortification and labor. However, there is little chance in succeeding with ‘Disciplinal Hwa-Du’ because it requires infinite effort to achieve enlightenment. Thus, today the Gwan-Hwa-Seon(看話禪) is ignored by the practitioners of Korean Buddhism and has become a cause of indifference with regard to saving mankin. Therefore in this thesis, I think that the cause for stagnation in Gwan-Hwa-Seon(看話禪) Korean Buddhism today originated from Meng-shan’s Gwan-Hwa(看話), I will analyze examples to be found in Meng-shan’s(蒙山) biography, Meng-shan’s concept about Sitting in Seon Meditation(坐禪) and Hwa-Du, Meng-shan’s disciplinal course, and method of Permission(認可).

      • KCI등재

        『신심명』의 화법에 대한 분석적 연구

        정성욱(Jeong Seong-wook)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4 No.-

        『신심명』은 승찬이 달마의 벽관을 공부하고 최초로 쓴 선서이다. 그래서 중론의 반야를 그대로 잇고 있으면서도 중국식 선을 최초로 보여준 문헌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신심명』에 대하여 30여종의 주석이 있지만 분석적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성철의 법문이나 김태완이 『신심명』을 찬탄하고 설명한 책이 있지만 비판하거나 분석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신심명』은 벽암록에 인용되고 있는 것처럼 중국선종의 사상적 기반을 되고 있으므로 선종을 공부하자면 『신심명』의 분석은 필수적일 것이다. 그래서 『신심명』을 분석해 보면 뜻밖에도 『신심명』의 화법은 여러 가지 면에 있어서 반야사상과 달마의 벽관에 대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입장에서 본고는 『신심명』의 논조와 화법을 분석하여 승찬의 선지의 표현에서 반야사상과 벽관에 대비되는 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SinSimMyeng(信心銘) is the first zen-book[禪書] which Sungchan(僧璨; ?~606) wrote after he studied Byekkwan (壁觀). Then it is inherited the Banya (般若) of JungRon (中論) and recognized the book which has shown the Chinese Zen first. However there are thirty kinds of annotated book about SinSimMyeng but there is little analytical study on the topic. Even though there was the delivery of Sungchul(性徹) or the book which Kimtaewan (金泰玩) was admiring and explaining, there were not either criticisims or analytic point in the books. For SinSimMyeng has been the ideological basis of Chinese Zen as being quoted by ByekAmRok(碧巖錄). Of anyone wants to learn the Order of Chinese Zen it is essential for him to study SinSimMyeng. But I found several problems in this research. That was, analyzing SinSimMyeng shows the unexpected fact that the speech style in that book shows a confrontational face against the Idea of Banya and Dharma (達磨)’s Byekkwan (壁觀) in some aspect. Given this opinion, this paper will analyze the tone and style of the speech in SinSimMyeng and point out the fact that it created the alteration of the Idea of Banya and Dharma’s Byekkwan in expression of Sungchan (僧璨)’s Sungy[禪旨].

      • KCI등재
      • KCI등재

        고봉의 『선요』에 대한 비판적 연구

        정성욱(Jeong, Seong-wook)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7 No.-

        한국 불교 간화선은 대혜에서 전해온다고 보기보다는 조선 후기이후로 『선요』를 강원의 교재로 채택함에 따라 고봉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왔다. 그러나 『선요』에 나타난 고봉의 간화는 대혜의 간화와 비교해 볼 때 많은 차이점이 있다. 대혜의 간화가 의정에 주안점을 두고 의심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익숙해지면 간화수행이 힘을 더는 것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득력처가 된다고 한다. 그러나 고봉은 의정에 대해서는 결과적 확신을 가지고 처음에는 그냥 밀어붙이고 죽기 살기로 노력하다가 보면 득력처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고 한다. 그래서 무자화두를 들려고 애쓰다 보면 일상생활 속에서 별다른 용력을 쓰지 말고 의심이 발현하면서 공부가 된다고 하는 대혜에 비하여 고양이 그림을 죽기 살기로 그리다 보면 붓 끝에서 산 고양이가 돌출한다고 하는 고봉의 화두는 전혀 다른 논리와 수행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금의 한국불교의 많은 수행자들은 고봉의 간화를 간화선이라고 배우겠지만 본고는 고봉의 간화를 대혜의 간화와 비교분석함으로써 몽산의 간화와 유사한 ‘만드는 화두’의 일종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행적 화두는 한 경계를 깨달을 때 까지 무한한 노력이 필요하여 성공할 확률이 거의 없으므로 오늘날 간화선이 수행자로부터 외면받게 되었고 중생제도는 요원한 일이 되어버린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 한국불교 간화선 침체의 원인이 고봉의 간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고봉의 화두에 대한 개념과 화두 드는 방식, 의정을 유지하는 과정, 득력처에 대한 견해, 깨달음에 대한 입장, 그리고 대분심을 대혜의 『서장』과 비교하면서 분석하고자 한다. By adopting Chanyao(Seon yo) 禪要 (Essentials of Seon) as the textbook for seminar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Ganhwa Seon(Kanhua chan) 看話禪 was directly influenced by Gao-Feng 高峯, rather than following Daehye's(Dahui's) 大慧 lineage of Ganhwa(Kanhua) 看話. Gao-Feng's 高華 concept of Ganhwa(Kanhua) 看話 (questioning a koan) as expressed in the Chanyao(Seon yo) 禪要 is different from that of Daehye's(Dahui's) 大慧 on many points. Daehye(Dahui) focuses on the feeling of doubt 疑情, stating that feelings of doubt would naturally arise and that once accustomed to this feeling, one will notice the burden of Ganhwa(Kanhua) practice lessen in the mind. The easing of this burden would become the source of power 得力處 for further practice. In contrast, Gao-Feng said that one should have the conviction that enlightenment will eventually occur about the feeling of doubt, and that one should practice as if to the death at first, eventually discovering the source of power along the way. In other words, Daehye(Dahui) says that as long as one makes an effort to practice the Hua-t'ou(hwadu) 話頭 (similar to Jp. koan) in everyday life, the feeling of doubt will emerge without any extra effort and aid one's practice. This is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logic and discipline of Gao-Feng, who says that only after trying to draw a cat in a do-or-die effort will a live cat spring out from the canvas. And yet many disciples of Korean Buddhism has held GaoFeng's method of practice as the standard of Ganhwa Seon(Kanhua Chan) practice, and dismiss Daehye's(Dahui's) method as a kind of hwadu-in-the-making, like Mengshan's 蒙山. However, there is little chance in succeeding with Gao-Feng's 'Disciplinal Hua-t'ou'(Hwadu') because it requires infinite effort to achieve enlightenment. Thus, today Kanhua Chan(Ganhwa Seon) 看話禪 has become ignored by the practitioners of Korean Buddhism while making the task of saving mankind a remote possibility. Therefore, I argue that the cause of Ganhwa Seon's(Kanhua Chan's) stagnation in Korean Buddhism today originated from Gao-Feng's 高峯 Chanyao(Seon yo) 禪要. I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nyao(Seon yo) 禪要 with Daehye's(Dahui's) 大慧 Letters 書狀, focusing on their concept of the Hua-t'ou(hwadu) 話頭, methods of practice,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feeling of doubt 疑情, obtaining a source of power 得力處, and their positions on Enlighten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