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T조선 기술 현황 및 전망

        정민아,이성로,이연우,Jeong, Min-A,Lee, Seong-Ro,Lee, Yeon-U 한국통신학회 2013 정보와 통신 Vol.30 No.10

        2009년 초반 중국은 물량중심으로 조선분야 수주잔량 부분에서 한국을 추월하였으나, 현재 한국은 조선강국으로서의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IT조선 융합기술 개발을 통하여 디지털선박과 해양플랜트 등 고부가가치 선박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선박 제조 과정에서 에너지 및 인력 절감을 통해 고효율화, 안전성 제고 등 신뢰도 향상 또한 추진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 수주되고 있는 LNG선, 호화여객선, 석유시추선 등의 쉐이빙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의 경우 국산화율이 60%가 채 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 선박 관련 IT 기술 확보는 선박 건조 국산화 비율을 높이고 조선산업 수주 경쟁력을 높이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본고에서는 세계 1위를 지키고 있는 조선산업의 질적성장을 위한 IT+조선 기술현황과 전망에 대해 기술한다.

      • KCI등재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 그룹에 대한 접근 제어를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

        정민아,김정자,원용관,배석찬,Jeong, Min-A,Kim, Jung-Ja,Won, Yong-Gwan,Bae, Suk-Ch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7

        최근 병원 및 은행 등의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이 다양해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보안에 대한 중요성도 커졌다. 기존의 접근 제어 정책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모델들이 존재하지만 이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유형의 접근제어를 원하는 사용자의 보안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베이스를 접근하는 각 사용자별로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 그룹에 대한 접근 제어론 제공하며, 임의의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의 변화를 유연하게 수용하는 데이터베이스 보안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 그룹을 테이블, 속성, 레코드 키에 의해 정의하였고, 사용자의 접근 권한은 보안 등급, 역할과 보안 정책들에 의해 정의하였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두 단계로 수행된다. 제 1단계는 수정된 강제적 접근 제어(Mandatory Access Control: MAC)정책과 역할 기반 접근 제어(Role-Based Access Control: RBAC)정책에 의해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 및 데이터의 보안 등급과 역할에 의해 접근이 제어되며, 모든 형태의 접근 모드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 2단계에서는 수정된 임의적 접근 제어(Discretionary Access Control: RBAC)정책에 의해 수행되며, 1단계 수행결과가 다양한 크기의 데이터 항목에 대한 read 모드 접근제어 정책에 따라 필터링되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그룹은 보안 등급에 의한 그룹, 역할에 의한 그룹, 사용자 부분집합으로 이루어진 특정 사용자 그룹으로 정의하였고 Block(s, d, r) 정책을 정의하여 특정 사용자 5가 특정 데이터 그룹 d에 'read' 모드, r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사용자별 데이터에 대한 접근 제어가 복잡하게 요구되는 특정 유전체 연구 센터의 정보에 대한 보안 관리를 위해 사용하였다.안성, 동진벼는 안성, 서산 및 화순, 삼강벼는 안성, 서산, 화순 및 계화도 그리고 용문벼는 안성과 충주였다. 유지보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역되어 MC-3에서 수행된다.위해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컴퓨터 지원 교육훈력 시스템(CATS ; Computer Assister Training System)을 개발 중이며 일부 개발부분을 소개하였다.하며, 제 2선적제도의 발달과 해운경영의 국제성에 맞추어 근해해역에서 활동하는 우리나라의 선박에대해서 부분적으로 선박의 국적을 점차 개방시켜 나가는 정책을 검토해야 할 단계라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지난 30여년간 외항해운부문에 중점을 두어온 우리나라의 해운정책은 이제 근해해운정책의 개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전환점에 있다고 할 수있다.의 목적과 지식)보다 미학적 경험에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비슷한 미학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것 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적인 국적과 사회적 인 직업의 차이, 목적의 차이, 또한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상관없이 아름다 운 경관(High-beauty landscape)을 주거지나 나들이 장소로서 선호했으며, 아름답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화의 차이, 직업의 차 이, 목적의 차이,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 Due to various requirements for the user access control to large databases in the hospitals and the banks, database security has been emphasized. There are many security models for database systems using wide variety of policy-based access control methods. However, they are not functionally enough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the complicated and various types of access contr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database security system that can individually control user access to data groups of various sites and is suitable for the situation where the user's access privilege to arbitrary data is changed frequently. Data group(s) in different sixes d is defined by the table name(s), attribute(s) and/or record key(s), and the access privilege is defined by security levels, roles and polices. The proposed system operates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is composed of a modified MAC (Mandatory Access Control) model and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A user can access any data that has lower or equal security levels, and that is accessible by the roles to which the user is assigned. All types of access mode are controlled in this phase. In the second phase, a modified DAC(Discretionary Access Control) model is applied to re-control the 'read' mode by filtering out the non-accessible data from the result obtained at the first phase. For this purpose, we also defined the user group s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security levels, roles or any partition of users. The policies represented in the form of Block(s, d, r) were also defined and used to control access to any data or data group(s) that is not permitted in 'read ' mode. With this proposed security system, more complicated 'read' access to various data sizes for individual users can be flexibly controlled, while other access mode can be controlled as usual. An implementation example for a database system that manages specimen and clinical information is presented.

      • KCI등재

        다중 추상화 수준의 데이터를 위한 결정 트리 분류기

        정민아,이도헌,Jeong, Min-A,Lee, Do-H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0 No.1

        대규모 데이터 마이닝 환경에서는 이질적인 데이터베이스 혹은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분석 대상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수집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추상화 수준(abstraction level)으로 표현되기 마련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서로 다른 추상화 수준으로 표현된 데이터에 적용할 때, 분류상 모순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이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데이터 간에 존재하는 일반화/세분화 관련성을 결정 트리의 구축 단계는 물론, 클래스 할당 단계에도 반영하여 데이터간의 의미적 연관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실제 데이터에 기반을 둔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분류 오류율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음을 보인다. Since the data is collected from disparate sources in many actual data mining environments, it is common to have data values in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This paper shows that such multiple abstraction levels of data can cause undesirable effects in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After explaining that equalizing abstraction levels by force cannot provide satisfactory solutions of this problem, it presents a method to utilize the data as it is. The proposed method accommodates the generalization/specialization relationship between data values in both of the construction and the class assignment phase of decision tree classifica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reduces classification error rates significantly when multiple abstraction levels of data are involved.

      • KCI등재

        불안사회의 거울, 2017년 한국영화의 경향-<1987>, <남한산성>, <밤의 해변에서 혼자>, <아이 캔 스피크>, <옥자>-

        정민아 ( Jeong Min Ah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8 현대영화연구 Vol.14 No.2

        2017년은 극장을 찾은 관객 수가 최대치를 기록하고, 극장을 넘어 영화유통 플랫폼이 다변화됨을 실감한 한 해였다. 또한 2017년은 2016년처럼 사회적 문제에 초점을 둔 영화가 호응을 얻었다는 점에서 이전과 연장선상에 있지만, 이전에 비해 제작규모나 스타 마케팅에 대한 의존도가 줄어든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마음의 빚’을 건드린 영화가 스타나 규모보다 더 큰 티켓 파워를 발휘했다는 점이 특이점으로 나타났다. 본고는 2017년 우수한 한국 극영화 다섯 편, <1987>, <남한산성>, <밤의 해변에서 혼자>, <아이 캔 스피크>, <옥자> 등을 분석적으로 살펴본다. 2017년에 한국사회는 묵직한 사건을 겪으며 우리는 사회제도뿐만 아니라 대중적 멘탈리티의 변동된 흐름을 체험하였다. 이에 주류를 겨냥하는 대중영화는 당대 대중의 공포와 욕망을 포착하여 예술적인 언어로 구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영화는 대중으로부터 승인받는 결과를 통해 자생성을 갖추게 된다. IMF를 겪은 1997년 이후 한국사회는 본격적인 신자유주의의 길을 걸으면서 생존주의가 절대적인 가치로 여겨졌다.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던 생존주의를 극복하는 대중의 나름의 해결방식이 대중문화를 통해 나타나고 있고, 이는 2017년 한국영화들에서도 발견되는 공통된 현상이다. 2017년의 역동적인 사회가 투영되는 역동적인 한국영화의 모습이 흥미진진하다. 현실의 드라마틱함이 영화를 능가하는 익숙지 않은 현실 속에서 한국영화는 사회적 이슈를 담아내는 작업과 함께 이를 미학적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2017 was the year in which the number of audiences who visited the theater peaked, and the movie distribution platform was also diversified beyond the theater. In addition, 2017 is similar to that of 2016, but it is noticeable that the reliance on production scale or star marketing has been somewhat reduc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although the film focused on social issues was well received.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peculiarity in that the movie that touched "the debt of the heart" exerted a greater ticket power than the star or the scale. In this article, five excellent Korean cinema―< 1987: When the Day Comes >, < The Fortress >, < On the Beach at Night Alone >, < i Can Speak >, and < Okja >―in 2017 was examined. In 2017, Korean society underwent severe events, and Koreans experienced a fluctuating trend of public mentality as well as social regime. The popular film aimed at the mainstream captures the fears and desires of the contemporary masses and constructs them in cinematic language. Surrounding the road of neo-liberalism since 1997, survivalism has been regarded as an absolute value in Korean society. The popular way of overcoming the long-standing survivalism is emerging through popular culture, and this common phenomenon has been found in 2017 Korean cinema. It is exciting to see a dynamic Korean cinema projected by 2017’s dynamic society. In the unfamiliar reality that dramatic reality surpasses the film, Korean cinema has been steadily working on bringing social issues together and sublimating them into aesthetics.

      • KCI등재

        일반논문 : 해방기 조선영화 <해연(일명 갈매기)>과 멜로드라마적 정치성

        정민아 ( Min Ah Je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3 No.-

        일제강점기 조선영화의 부흥을 이끌었고 전쟁 후 한국영화 재건의 기틀을 다진 이규환 감독의 1948년 영화 <해연>이 2015년 7월에 발굴되어 대중에 공개되었다. <해연>은 부산에 위치한 예술영화사 1호 작품인 순 문예영화다. 1947년 말경 촬영을 시작하여 1년간 제작 기간을 거쳐, 1948년 10월경에 완성되었다. 영화는 중앙극장에서 개봉한 후 2주가량영화가 상영되었지만, 부산 부민관에서 상영 중 정부 당국에 압수되었다. <해연>이 정부에 의해 압수된 이유로는 영화인들의 월북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군정과 우익세력은 남한 내의 좌익 예술인들을 탄압했고, 1948년 남한 단독으로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하는 등 정국의 여파가 영화인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영화인들이 조선영화의 전망을 그리는 글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것은 ‘민족문화를 담은 계몽영화’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해방 이후 영화인들에게 ‘조선’ 영화의 방향타를 세우고 재건하는 것이 당장의 과제였고, 정부 수립 등 달라진 정치 환경에서 서정적인 민족적 계몽영화를 제작하는 것이 조선영화의 사명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해연>은 이와 같은 요구가 형성되었던 담론 상황에서 만들어진 영화다. <해연>에서 ‘민족문화’는 향토적인 생활을 사실주의적으로 그려내는 데에서 구체화되며, ‘계몽성’은 멜로드라마의 틀 안에서 도덕적 가치의 승리를 보여주는 서사 전개 방식으로서 드러난다. 영화제작 토대가 척박했던 해방기 조선영화에서 멜로드라마는 주류적 양식이 되었다. 해방기 멜로드라마는 특수한 사회정치적 하위텍스트 안에서 매개되었는데, 그 어느 때보다도 사회적 현실과 관련하여 내용 및 기능을 획득하는 실천적인 형식이었다. 영화서사는 해방기 담론 공간에서 식민지인으로서의 관념을 지우고 새로운 국가를 세팅하는 과제를 부여받는 청년의 역할에 대한 계몽적 메시지로 시작하여 줄곧 이 문제를 다룬다. 영화는 주체적인 여성 캐릭터를 통해 국가에 도움이 되는 여성을 길러내기 위한 계몽적 성격을 강화한다. 남성 캐릭터들에 비해 훨씬 강한 줏대와 생활력을 가진 여성 캐릭터들로 인해 남성들은 식민지 치하에서 훼손된 여성에 대한 책임감을 덜어버린다. 영화를 통해 구현되는 여성의 국민화는 남성성을 기준으로 한 이류 국민으로서의 여성을 공고히 하는 것이다. <해연>의 젠더 재현은 해방기 국민국가의 젠더 전략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로써 민족문화를 담은 계몽영화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한다. A Sea Gull(1948) directed by Lee Gyu-hwan, who led the revival of the Joseon film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postwar Korean film, was rediscovered and open to public in July 2015. A Sea Gull, a literary film, was the first work of art by the Art Film Corporation based in Busan. Its filming began at the end of 1947 and lasted about a year to its completion in October 1948. It premiered at Jungang Theater and was screened for about two weeks until the government authority confiscated the film at Busan’s Bumingwan Theater. The reason why the government authority confiscated the film is conjectured that the film had to do with the filmdom’s massive defect to North Korea.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e right wing oppressed South Korea’s leftist artists and the political situ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s separate government in 1948 worked against the filmdom. The common goal found in writings on the outlook of the Joseon film was that it had to be ‘an enlightenment film that embodies national culture.’ For the filmdom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the immediate task was to set the direction for and the rebuilding of the ‘Joseon Film,’ and they all agreed on that their mission was to make lyrical and nationalistic enlightenment films within the altered political environ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A Sea Gull was born of such a discursive situation. In A Sea Gull, the ‘national culture’ is embodied in realistic representation of rural life and the ‘enlightenment’ is realized in its narrative development that ends with the triumph of moral values in melodramatic framework. In the infertile moviemaking soil of post-liberation Joseon film the melodrama became a dominant genre. The post-liberation melodrama was mediated within specific politico-social subtexts and it was a practical form that could achieve its content and function in relation with its social context. The film’s narrative begins with an enlightenment message for the youth who are supposed to take up the role of shaking off the colonized consciousness and setting up a new nation. The film’s autonomous female character embodies the filmmaker’s enlightenment intention to raise women who can be helpful to nation building. The female characters, much more resolute and competent than male, shook off the images of violated sisters under colonial oppression. A Sea Gull embodies melodramatic duality of conformity and subversion and carries out its supposed role of an enlightenment film incorporating national culture.

      • KCI등재

        2016년 하반기 정국, 다큐멘터리 영화와 민주주의 -<자백>, <무현, 두 도시 이야기>를 중심으로-

        정민아 ( Jeong Min Ah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2

        예술은 언제나 우리 사회의 공통감각을 기록해왔다. 그렇다면 동시대 한국다큐멘터리 영화는 사회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을까? 민주주의가 훼손되고, 2016년 4월 총선 이후 더욱더 민주주의에 목말라 하던 시민들은 불통으로 일관해온 박근혜 정부에 피로감을 느끼고 있었다. 방송장악은 더 노골화되어 공중파, 종편, 케이블까지 방송에 대한 기대감을 접은 시민들은 팟캐스트 등의 SNS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대안 언론에 관심을 돌렸고, 또한 공정방송의 빈자리를 다큐멘터리 영화가 채워 주리라고 기대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2016년 영화계의 화두는 `시대성`이 중심이 되었다. <동주>, <밀정>, <덕혜옹주>, <귀향>처럼 일제강점기에 일본제국주의에 항거한 독립군과 일본군 `위안부`를 다루는 영화가 성공하였다. 또한 2015년부터 이어진 사회비판적 영화 경향을 계승한 <부산행>, <터널>, <마스터>, <판도라>, <아수라>, <내부자들>과 같은 주류영화들이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두 가지 다른 성격의 다큐멘터리가 크게 성공했다. 방송국 PD 출신에서 다큐멘터리 영화에 도전한 최승호 감독의 <자백>과, 극영화 경력에서 다큐멘터리로 선회한 전인환 감독의 <무현, 두 도시 이야기>이다. <자백>은 정치 추리 다큐멘터리이고, <무현, 두 도시 이야기>는 현장 기록성이 강한 인물 다큐멘터리이다. 제작 유형은 다르지만 이 두 작품을 관통하는 키워드가 있다. 그것은 `시대성`과 `비판성`이다. 이는 2016년 하반기 탄핵 정국을 예고하는 징후적인 작품인 동시에, 촛불 정국에 더욱 주목받은,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들이다. 본고는 두 작품이 2016년 탄핵 정국에서 가지는 의미를 `민주주의와 다큐멘터리 영화`의 관계에 주목하여 분석한다. Art has always recorded the common sense of our society. So how does contemporary Korean documentary film react to the society? The democracy was damaged and the citizen who was thirsty for democracy after the general election in April felt tiredness by Park Geunhye. Broadcast control became more and more explicit. Citizens collapsed the expectation of broadcasting from public channels to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s and cables channels. They were interested in SNS such as podcasts and other media based on the internet, and were expecting to fill in the space of the fair broadcasts with documentary films. As a result, the theme of the film industry in 2016 was `contemporaneity`. Like Dongju, The Age of Shadows, The Last Princess and Spirit`s Homecoming, the movies dealt with the independence army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wartime sexual slavery by Japan have shown great success in mainstream film market. In addition, blockbuster films such as Train to Busan, Tunnel, Master, Pandora, Asura: The City of Madness, and Insiders, which inherited the social criticism tendencies that followed since 2015, attracted attention. Also, two documentaries of different characteristic have been successful in 2016. They are Confession of director Choi Seung-ho who challenged documentary film from broadcasting station PD, and Moohyun, a Story of Two Cities of director Jeong, In-hwan. Confession is an political chasing documentary, and Moohyun, a Story of Two Cities is a human documentary on the field.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production, but there are keywords that go through these two documentaries. They are `contemporaneity` and `political criticism.` These docs are symptomatic works that predict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in the second half of 2016. Also, they are works that attracted more attention to the candlelight vigil and the representative works of the era. I analyze the meaning of the two docs in the presidential impeachment in 2016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documentary film`.

      • KCI등재후보

        The Existential Ego in the Space of the Others

        Jeong Min-Ah(정민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1 씨네포럼 Vol.0 No.12

        필름누아르는 194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번성했다. 많은 영화사가들은 필름누아르가 1941년 〈말타의 매〉로부터 시작하여 1958년 〈악의 손길〉로 그 수명을 다했다고 본다. 하지만 1958년까지의 시기를 고전적 누아르 시기라고 한다면, 1974년에 선보인 로만 폴란스키의 〈차이나타운〉은 실질적으로 누와르의 부활을 알리는 영화이다. 이 영화는 필름느와르 스릴러, 네오 르와르 등으로 불리는데, 이는 이 영화가 필름느와르의 많은 유산들을 계승하면서도 변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전운동과 소수자 운동이 활발하게 진행되던 시기에 만들어진 이 영화는 새로운 누아르의 시대를 열었으며 사회적으로 다양한 차원의 해석이 가능한 텍스트로서 기능한다. 이 영화는 장르적 틀과 작가적 긴장 관계, 1970년대 미국 청년 관객의 욕망을 고려하고자 했던 일군의 제작자 집단의 노력으로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본고는 이 작품을 장르적 틀에서 분석하기 위해 릭 앨트맨의 장르적 접근법을 적용한다. 앨트먼의 의미론/구문론적 장르 분석 방법론은 영화이론과 영화사를 거시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장르영화의 다이내믹한 가치를 다시 살펴본다. 미장센, 캐릭터, 플롯 면에서 이 영화가 장르 변형을 어떻게 구가했으며, 또한 영화 작가와의 긴장관계, 동시대 사회성이라는 요소들과 어떤 식으로 교합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In the present analysis of popular culture, Film Noir extremely attracts analysts. Film Noir flourished from the 1940s to the 1950s, and then rapidly declined. As many film historians agree, it began with The Malese Falcon(John Huston, 1941) and ended with Touch of Evil(Orson Welles, 1958). But if the period of Classic Noir ended in 1958, the real revival of Noir was launched by Chinatown(Roman Polanski) in 1974. Chinatown is called film noir thriller, neo noir, gangster, or criminal mystery. The reason for its various names is due that it is a magnificent descendent from film noir. Despite its inheritance, Chinatown has clear distinctions from classic noir as a permutation. Apocalypse message in film noir and Polanski’s perspective as a stranger are mixed in Chinatown, which becomes a treasure chest containing varicolored interpretations. Texts about film noir were dominated by common words such as the influence of German expressionism, a play of shadow and light, abnormal camera angles, flash back and voice-over, social depression after World War Ⅱ and the instability of male identities. On the other side, in the case of the interpretation of Chinatown, there is a possibility of reading against grain. This film opened the period of new noir and functions as a text that permits pluralistic interpretations as well. As a result, the social implication of permutation genre film in the era of anti-war and minorities' movements commences with Chinatown. To analyze this film, first of all, this article will follow the problem of genre. The question of genre helps accepting the value of a film in the tradition of cinema or contemporary culture. Genre is the dynamic system that allows minimum changes in the structure of repetition. The term of minimum changes includes invention, auteur, tension and deviation. Chinatown belongs not only to Polanski but also to a group’s effort including Hollywood that had to consider audience’s desire in 1970s America. In particular, this article applies Rick Altman’s genre approach to Chinatown. Genre’s dynamic power can be proved through his methodology including theory and history. In supplement, the topic of auteur will be accepted for this analysis in that the place where genre stepped into authority and sincerity of cinema was through the very auteur. After that, genre criticism and auteur theories cooperate enthusiastically.

      • KCI등재

        해방 공간, 멜로드라마 영화의 수사학 - <해연>(1948) 이후 제작된 현존 멜로드라마를 중심으로

        정민아 ( Jeong Min-ah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0 아시아영화연구 Vol.13 No.1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조선영화계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친일로 선회하였고, 불시에 찾아온 해방, 그리고 정부 수립이라는 민족적 중차대한 대의 아래, 조선영화계는 그간의 오욕을 벗고 새로운 독립국가에 걸맞은 위상을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식민지라는 치욕스러운 역사를 청산하고 신생 독립국가로서 출발선에 선 해방기 조선에서 영화계 또한 지난 36년을 극복하고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는 열의로 영화인들은 들떴다. 이 시기에 통제의 굴레에 있던 조선영화계는 민족영화문화 수립이라는 목표를 위해 매진해야 한다는 담론이 확산되었다. 그렇게 하여 결실을 본 영화가 최인규의 해방 삼부작 <자유만세>(1946), <죄 없는 죄인>(1948), <독립전야>(1948)이다. 좌우익 진영을 막론하고 민족영화 수립이 해방을 맞이한 조선영화의 궁극적인 목표로 상정되는 정황은 여러 문헌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민족영화’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해방기 한국영화를 바라볼 때 몇 가지 난점이 생겨난다. 이를 극복기 위해 <해연>이 개봉된 1948년 11월을 즈음하여 좌익 영화인들이 대거 월북하고 남한 영화계가 우익 중심으로 재편되는 상황에서 이후 영화가 어떠한 제작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보다 폭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고는 <해연> 이후 제작되었으며 현재 필름으로 남아있는 세 편의 해방기 영화 <마음의 고향>(1949), <푸른 언덕>(1949, 불완전판), <청춘행로>(1949) 등의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분석하고, 멜로드라마가 당대의 사회적 기원과 현재를 어떤 방식으로 반영하고 표현하는지 읽어보고자 하였다. 남한 단독정부 수립 이후 만들어진 멜로드라마에는 의도적으로 정치적 의미를 배제하고 있지만 영화는 당대 정부가 표방하는 내셔널리즘 프로젝트와 접속하고, 새로운 내셔널 정체성과 사회의 다양한 위협들을 포섭하기 위해 작동한다. 조선 지식인들은 독립된 ‘신생 독립국가’의 ‘국민’으로 위치이동 하고자 시급히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구성해야만 했다. 남한 정부 수립과 좌익 영화인들의 월북으로 인해 큰 변화를 겪은 남한 영화계 환경에서 1948년 <해연> 이후 만들어진 멜로드라마를 보면 영화담론장의 미묘한 변화가 어떤 것인지, 그리고 국가이데올로기와 젠더 정체성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읽을 수 있다. Since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Joseon film industry has turned to pro-Japanese, except for some, and under the great cause of the sudden libe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t strives to shed its stigma and create a status worthy of a new independent nation. In the Liberation Day of Joseon which ended its disgraceful history of colonialism and stood at the starting line as a newly independent nation, the film also excited moviegoers with the enthusiasm to overcome the past 36 years and start anew. The Joseon film industry, which had been in the control of the government, was urged to strive for the goal of establishing a national film culture. Choi In-gyu’s Hurrah! For Freedom(1946), An Innocent Criminals(1948), and The Night before Independence Day(1948) are called the “Liberation Trilogy.” The fact that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films is the ultimate goal of Joseon films,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camps, is shown in various document. The fact that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films is the ultimate goal of Joseon films, regardless of the left and right camps, is shown in various document. While the melodramas made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n government intentionally exclude political meaning, the films to connect with the nationalism project advocated by the government of the time, and to capture new national identity and various threats from society. Joseon intellectuals urgently had to reshape their identity to move to the “people” of “new-born independent nation.” In a South Korean film industry environment that has undergone major change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the cross-border visits of left-wing filmmakers, one can read about the subtle changes in the film discourse space and how the national ideology and gender identity are projected.

      • KCI등재

        상하이 여배우 롼링위의 신여성-되기 -영화 <신여성>과 <신녀>의 여성성을 중심으로-

        정민아 ( Min Ah Jeo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1 현대영화연구 Vol.7 No.1

        There were two phenomena which vitalized Chinese film in 1930s, one of which was the advent of ``talkie film`` and the other was the rise of leftist film. The rise of leftist film have caused a fundamental change in Chinese film. Before then, commercial genre films like historical films, martial arts films and ghost film had dominated the film scene. In 1930s, however, voices were raised that criticized the film producers interested only in those unreal subjects, and film-makers turned their eyes to meet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demands from the audience. In 1932, the establishment of Manchuguo, the puppet state by the imperial Japan, propelled the Chines film circle to open a new era of Renaissance. The patriotic and anti-Japanese sentiments united Chinese people, and movie-goers wanted to see in films nationalist, patriotic and anti-Japanese spirit. The first golden age of Chinese film began in 1932 and ended in 1937. In 1930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Chinese film, due to the activiti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Chinese film makers`` who were fully armed with leftist ideology, films got into a close tie with politics. The films in this period were forming the tradition of realist film based on anti-colonial and anti-imperial ideologies. Ruan Lingyu(阮玲玉, 1910-1935) was the representative actress of the first golden age in Chinese film history. Ruan, often dubbed as ``Oriental Greta Garbo,`` starred in more than 30 silent films, and participated in Chinese leftist films and left many significant films such as Three Modern Women(1932) before her premature death. In this paper, I tried to focus on The Goddess(神女, 1934) and New Woman (新女性, 1934) which were representing works both in Ruan``s filmography and of the golden age of Chinese films. Although both of them belong to relatively early period, they have reflected the Zeitgeist of leftist film movement and have presented a noteworthy feminist agenda. My analysis of the those films will show how the film representation of so-called new woman and the sign of star actress Luan Lingyu are articulated.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1930년대 한중일 영화의 신여성 비교 연구 -<군용열차>(한국), <교차로>(중국),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일본)를 중심으로

        정민아 ( Min Ah Je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2

        식민지 상황에서 과거와의 급격한 단절은 근대를 향한 열망을 증폭시켰고, ‘새로움’은 지상과제가 되어 사회 전면에 부각되었다. 식민권력은 피식민자의 대대적인 저항 이후 지배의 효과적인 수단으로 문화적 계몽을 앞세우는 한편, 피식민지식인들 또한 당시의 비참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근대문화의 수용을 요구했다. 이는 식민성과 모더니티에 대한 양가감정과 양가적 체험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양상은 1930년대 대중문화의 확산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드러났다. 이때‘여성’이라는 기호가 하나의 중요한 상징 기호로 등장한다. 새로움의 시대에 부각된‘새로운 여성’을 의미하는‘신여성’담론은 192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모더니티의 유입과 함께 일어났다. 유럽을 중심으로 전파된 신여성 담론은 곧 동아시아 인접국가인한국, 중국, 일본으로 유입되었고, 한중일 국가에서 비슷한 발전 단계를 거치며 수용되었다. 각 나라에서 신여성은 중등, 고등교육을 받은 세대들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가치와 태도를 추구하는 존재로 등장하였다. 1930년대는 한국, 중국, 일본은 모두 비슷한 영화적 발전단계를 거쳐 갔다. 1930년대 초기 서양문물인 영화를 모방함으로서 자국 무성영화의 토착화를 꾀하고, 1930년대 중반기에는 발성영화로의 전환을 맞이하며 일대 변화를 보인다. 또한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 일명 경향 영화가 활발하게 제작되고, 한중일 문화예술인들의 교류가 눈에 띈다. 그러다가 1937년 이후 중일전쟁 발발을 계기로 동북아 국가들은 전시체제에 돌입하고, 영화는 강력한 국가의 통제에 들어가는 변화를 공유한다. 본고는 1937년 중일전쟁 시기 전시체제로 재편되었던 한국, 중국, 일본의 영화에서 재현된 신여성 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세 나라의 신여성 재현의 차이를 통해 이 시기 각 나라의 모더니티 개념, 국가, 젠더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1937년에서 1938년에 걸쳐 제작된 한국영화 <군용열차>(1938), 중국영화 <교차로(十字街頭)>(1937), 일본영화 <숙녀는 무엇을 잊었는가(淑女は何を忘れたか)>(1937)에서 나타난 여성 이미지 재현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회와 영화의 길항관계를 파악하고, 당대 사회의 열망의 투사 대상인 신여성의 재현 양상의 변화를 통해 대중의 집단적 감정 구조를 탐구한다. The discourse on ‘New Woman’ arose globally with the influx of modernity in 1920s. In case of Korea, the coming of modernity happened under the colonial rule. Drastic severance from the past amplified the longing for modernity and the pursuit of ‘newness’ emerged as the supreme task in Korean society at large. After experiencing the wholesale resistant movement, the colonial authority put up a banner of cultural enlightenment while the colonized intellectuals demanded adoption of modern culture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miserable reality at the time. It resulted in ambivalent experience and feelings regarding colonialism and modernity, which became common phenomena in the course of the spread of popular culture in 1930s. The film indust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have experienced similar process of development in 1930s. In the beginning of 1930s each country tried to nativize the silent film by emulating the western culture, and in the middle of 1930s the films of each country experienced a drastic 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talking film. The 1930s also witnessed active production of the socialist-realist films or the tendency films and the cultural exchange among the artists of the three countries. With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Northeast Asia was put on a war footing and the films of the time were tightly regulated by th state authority. In this research I have analyzed and compared how the ‘New Woman’ was represented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films from 1937 to 1938: Korean film Military Train(1938), Chinese film Crossroads(1937), and Japanese film What Did the Lady Forget?(1937). The New Woman represented in the films is meaningful as the articulation of modernity, nation, gender and spectatorship of each country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