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문경(Moon-Kyeong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4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용서수준과 결혼만족의 관계에서 긍정적 의사소통이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혼남녀의 용서가 긍정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총 300명의 기혼남녀들에게 Rye 용서수준 척도, 긍정적 의사소통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기혼남녀의 용서수준과 긍정적 의사소통, 긍정적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 용서수준과 결혼만족도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혼남녀의 용서는 긍정적 의사소통을 완전매개로 결혼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남녀의 용서수준이 높아지면 긍정적 의사소통이 증가하고, 이를 매개로 결혼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0 married men and women surveyed using the Rye forgiveness level, positive communication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orgive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positive communication, positive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forgiv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Second, forgive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through fully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mmunication. This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forgiveness of married men and women, the higher the positive communication and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고학력 만학여성의 노년기 자아통합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정업(Kim Jeong Up),정문경(Jeong Moon 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학력 만학여성의 자아통합 과정을 통해 노인들의 정서적 · 심리적 문제를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는 학문적 기반마련에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년기 ‘자아통합’이 어떠한 경험과 과정을 통해 성취되고, ‘자아통합’의 모습은 어떠하며, ‘자아통합의 요인’은 어떤 것인가를 현상학적 관점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17. 7월부터 9월까지 4명의 참여자로부터 인터뷰와 전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고, Giorgi의 8단계 분석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통적으로 경험한 현상은 ‘자아통합’을 이루는 전 단계에서 어떤 형태든 ‘일상에서의 아픔’이 있었고, 아픔에서 벗어나기 위해 ‘탈출구로서 만학’을 선택한 것이었다. ‘자아통합’을 이루는 과정은 통찰과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되었다. ‘자아통합을 이룬 모습’은 자신 및 타인에 대한 통찰과 이해로 인해 심리적 안정과 삶에 대한 만족감을 갖는 것이었다. 그리고 자아통합을 이루는 과정과 자아통합이 된 상태에서 나타난 ‘하위 구성요소’들이 ‘자아통합’의 ‘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자아통합’에 대해 직접적인 연구를 하였다는데 있고, 고령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노인의 ‘정서복지’를 위한 학문적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노인교육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기반마련을 시도하였다는데 있다. In this study, I aim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base of academic solutions that can help the elderly overcome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ego integrity of the highly educated women who acquire late learning is accomplished. To attain the objective, I examined what experiences and processes they go through to accomplish ‘ego integrity’; what ‘ego integrity is like; and what are the factors of ego integrity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 collected data through the interviews with and calls to 4 participants from July to September of 2017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Giorgi 8 step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henomenon they commonly experienced throughout 8 steps was ‘pain in daily life and they chose ‘late learning as an escape from it . The process of ‘ego integrity’ started from insight and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Accomplished ego integrity’ results i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insight into and understanding of own ego and others. The subfactors that manifest in the ongoing process to and at the completed state of ego integrity are the factors for ‘ego integrit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a direct study on ‘ego integrity and proposed an academic data that can be the base for the research in ‘emotional welfare in Korea that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In addition, it tried to pave the ground on which senior education can find its direction.

      • KCI등재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은정(Kim Eun-Jeong),정문경(Jeong Moon-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를 위한 자료는 수도권에 재학 중인 374명의 대학생으로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사용한 검사는 거부 민감성 척도, 사회적 위축척도, 사회적 상호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초통계를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 민감성은 사회적 위축,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사회적 위축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부 민감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축과 사회불안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 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인 부분 매개모형과 경쟁모형인 완전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비교한 결과 완전 매개모형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는 대학생의 거부 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이 완전 매개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거부 민감성이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unrest, and their effects on social withdrawal. Method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completed by 374 university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the Seoul area. The investigation used a rejection sensitivity scale, a social withdrawal scale, and a social mutual anxiety scale. Basic statistics were used to discov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and the correlation of important variables was investiga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jection sensitivity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to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unrest, while social withdrawal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to social unrest. This meant that a higher rejection sensitivity resulted in higher social withdrawal and higher social unrest. Second, in order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unrest has on social withdrawal, the research model of a partially mediated model and the competition model of a fully mediated model were establish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resulting in the confirmation of the fully mediated model as being more appropriate. Conclusions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unrest in university students shows social withdrawal as a fully mediated effect.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confirmed that university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influences social unrest by way of social withdrawal.

      • KCI등재

        중장년기 기혼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침묵을 매개로 친밀감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김정태(Kim, Jung-Tae),정문경(Jeong, Moon-Kyeong)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기 기혼여성의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침묵, 친밀감 두려움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의 중장년기 기혼여성 265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침묵 척도, 친밀감두려움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자기침묵, 친밀감 두려움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친밀감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침묵이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married women"s internalized shame, self-silencing, and fear of intim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silenc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married women"s internalized shame and fear of intimacy. To verify the model,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265 middle-aged married women’s us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the self-silencing scale, and the intimacy fear scale. For data analysis,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as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self-silencing, and fear of intima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intimacy fear, self-silencing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정서문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이명옥(Myoung-Ok Lee),정문경(Moon-Kyeong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삶의 만족에서 정서문제와 교우관계가 어떠한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여 중학생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의 초 4 패널 제 5차 (2014)년도 자료인 중학교 2학년 207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정서문제, 교우관계,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모형을 구성하고 2017년 12월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변수 간의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정서문제, 교우관계, 삶의 만족도 간의 부분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정서문제는 교우관계와 부적 상관, 교우관계는 삶의 만족도와 정적상관, 정서문제는 삶의 만족과 부적 상관이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적으로 문제가 있으면 교우관계가 저하되고, 교우관계가 향상될 때 삶의 만족이 높아지며 정서적인 문제는 삶의 만족을 저하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정서문제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우관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서문제가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교우관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is executed to make an intervention plan for satisfying middle school students lives by identifying how an emotional problems and friendship affect in their lives. Based on a data of 2070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fifth KCYPS(2014) on fourth grader panel data, we constructed and analyzed a structural model of emotional problems, friendship and life satisfaction in December 2017. It keeps statistically path-coefficients between all variables following the research and also it proves partial parameter model among emotional problems, friendship and life satisfaction. Synthetically, first, emotional problem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riendship. Friendship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Emotional problem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It means that if something wrong happens mentally, friendship is declined. If friendship is improved, friendship is also improved and emotional problems worsens life satisfaction. Second, emotional problems affect directly to life satisfaction and also friendship as a partial parameter. This means that emotional problems affect life satisfaction directly and even friendship can indirectly affect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makes a suggestion for limitations and point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계획된 우연기술에 미치는 영향: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오영금(Oh, Young-Geum),정문경(Jeong, Moon-Kyeong)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계획된 우연기술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취업 기혼여성 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계획된 우연기술은 모두 유의미한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계획된 우연기술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각각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계획된 우연기술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연속적인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 기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동을 유발시키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면서 계획된 우연기술을 높였다. 이는 미취업 기혼여성의 진로발달을 위한 진로교육 및 상담에 적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if any,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unemployed married women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379 unemployed married women, and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 relationship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respectivel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lanned happenstance skill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has been shown to have a continuous mediating effec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unemployed married women induc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mproved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while enhancing planned happenstance ski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be applied to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unemployed married women.

      • KCI등재

        부정적 정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 연구

        최순미(Soon-Mi Choi),정문경(Moon-Kyeong Je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5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긍정적인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와 반대되는 부정적인 심리 · 정서인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시기로 생애주기에 있어서 신체적 · 심리적 변화가 많은 시기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직접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개인적 차원과 사회환경적 차원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청소년의 내적 감정을 보호할 수 있는 고통 감내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고등학생 362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22.0과 AMOS 22.0 을 사용하여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해 각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안녕감과 높은 부적 상관이 있음을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과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 모두에서 우울보다 불안이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 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스에 노출된 청소년을 돕고, 주관적 안녕감의 증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As the interest in the positive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throughout the world,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suffering from negative sentiments, such as depression, anxiety, or stress, is increasing, as well. Especially, the adolescence period is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nd accompanies 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the body and mind alik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egative sentiment of the juveniles, caused by the stress they experience in their social and personal domains and the distress tolerance that can protect the inner feelings of them at the same time, to understand how they are related to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juvenile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employed the data from 362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which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s suites SPSS 22.0 and AMOS 22.0.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adolescent population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for each variable with regard to the distress toleranc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Especially,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ly significant. Second, the depression and anxiety of the juveniles turned out to influence the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f them in a negative manner. In both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influence of anxiety was higher than that of depress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distress tolerance turned out to have a mediating effect. Such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data for suggesting the strategies to promote the perceiv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elp the juveniles who are under stress.

      • KCI등재

        중년 기혼 여성의 향유신념이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이재복(Lee, Jea-Bok),정문경(Jeong, Moon-Kyeong)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기혼 여성의 향유신념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긍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40세 이상 60세 이하의 기혼 여성 44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24.0과 Mplus 7.0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향유신념과 긍정적 정서조절, 긍정적 정서조절과 삶의 의미, 그리고 향유신념과 삶의 의미는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향유신념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긍정적 정서조절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분 매개모형과 완전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비교한 결과 부분 매개모형이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유신념이 삶의 의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긍정적 정서조절을 통해 중년 기혼 여성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더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년 기혼 여성의 삶의 의미를 증진하기 위해 향유신념과 긍정적 정서조절을 고려한 효과적인 상담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al control in relation to the savoring beliefs of middle-aged married women and the meaning of lif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45 married women between 40 and 60 years of age across South Korea, and all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and verified by using SPSS 24.0 and Mplus 7.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shown that savoring beliefs had a significant bearing on positive emotional control and the meaning of life. Second, the partial mediated model and the complete mediated model were compar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ositive emotiona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voring beliefs and the meaning of life. This study confirmed that savoring beliefs affect the meaning of middle-aged married women s lives by means of positive emotional control.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data for effective counseling through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avoring belief and positive emotional control in order to enhance the meaning of life of middle-aged married women.

      • KCI등재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양은륜(Yang, Eun-Ryun),정문경(Jeong, Moon-Kyeong) 한국교육치료학회 2024 교육치료연구 Vol.16 No.1

        The study delves into the experiences of mothers with adolescents engaging in non-suicidal self-injury (NSSI) behaviors.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mothers. The analysis identified seven components and 20 sub-components forming an intrinsic structure, including: “Feeling crisis due to unexpected rebellious behavior of the adaptable child”, “Experiencing mental shock and confusion upon witnessing the child’s self-injury”, “Encountering frustration and despair leading to a decline in quality of life”, “Reflecting on oneself deeply because of the child”, “Discerning the child’s presence amidst pain”, “Enduring anxiety to connect emotionally with the child”, and “Reassuming the role of a supportive mother for the child’s accommodative life”, These components formed overarching themes, emphasizing the profound impact of maternal involvement on adolescents with NSSI tendencies. The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mothers’ experiences in addressing adolescent NSSI, offering insights into their crucial role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경험에 관한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하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본질적 구조를 구성하는 7개의 구성요소와 20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7개의 구성요소는 ‘순응적인 자녀의 예측 못한 반항 행동에 위기감을 느낌’, ‘자해하는 자녀를 보고 정신적 충격과 혼란에 빠짐’, ‘좌절감과 절망감에 삶의 질이 저하됨’, ‘자녀로 인해서 과거로 돌아가 찬찬히 자신을 살펴봄’, ‘아픔 속에 비로소 자녀의 모습이 보이기 시작함’, ‘불안을 견디고 감정을 추슬러 자녀와 소통하기 위해 먼저 다가감’, ‘자녀의 적응적인 삶을 위해 다시 고된 엄마의 자리에 서 있음’이다. 이를 바탕으로 상위 주제를 도출하여 범주화하고 통합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비자살적 자해 청소년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어머니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청소년 비자살적 자해의 주요 요인인 어머니의 개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