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력 훈련기간 중의 간헐적 저산소 환경 노출이 혈액학적 변인과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정동식 ( Dong Sik Chung ),이종각 ( Jong Gak Lee ),김영수 ( Young Soo Kim ),박동호 ( Dong Ho Park ),성봉주 ( Bong Ju Sung ),윤재량 ( Jae Ryang Yoon ),조남홍 ( Nam Hong Cho ),오인석 ( In Seok Oh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저지대에서 지구력 훈련을 수행하면서 수면시간에만 저산소 환경에 노출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고지대 체류-저지대 훈련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고지 훈련이 산소운반 관련 혈액변인과 심폐지구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 시내 B 고등학교 육상 장거리 선수 20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임의로 실험집단 10명과 비교집단 10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은 4주 동안 3,000m 고도에 해당하는 저산소 텐트에서 하루 8시간씩 휴식 및 수면을 취하고 지구력 훈련은 저강도 장거리달리기와 고강도 인터벌 훈련을 병행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저산소 노출을 제외한 일체의 생활을 실험집단과 동일하게 통제하였다. 처치기간 및 처치종료 2주까지 1주 간격으로 적혈구(RBC), 헤모글로빈(Hb), 헤마토크릿(Hct) 등의 산소운반 관련 혈액변인, 2주 간격으로 최대산소섭취량과 무산소성 역치, 처치 전과 처치종료 2주 후에 5000M 달리기 기록을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① 적혈구, 헤모글로빈 및 헤마토크릿은 실험집단의 경우 처치1주부터 처치3주 사이에 증가경향을 보이다가 처치4주부터 처치종료2주 사이에 처치이전 수준으로 회복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모든 시기에서 비교집단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처치1주∼3주에는 비교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② 최대산소섭취량은 실험집단의 경우 처치2주, 처치4주, 처치종료4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비교집단과 유의한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③ 무산소성 역치는 실험집단의 경우 처치기간 및 처치종료2주까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증가는 보이지 않았으며 비교집단과 유의한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④ 5,000M 달리기 기록은 실험집단의 경우 처치전보다 유의하게(p<.05) 향상되었으나(31초; 3.2% 향상) 비교집단(13초; 1.3%)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4주간의 고지대 체류 및 저지대 훈련이 장거리달리기 선수들에게 산소운반과 관련된 혈액학적 변인에는 유익한 효과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효과는 유·뮤산소 지구력에 유리한 영향을 미쳐 장거리달리기 선수의 지구력을 향상시킬 가능성 있다고 결론 지울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iving high, training low" during a period of regular training on the blood variables related to the oxygen delivery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Ten long distance runners of B high school slept for 8-hour per day for 4-week at a simulated altitude of 3,000m in normobaric hypoxia (HIGH), while 10 team-mates slept at the normoxia (CON). HIGH and CON subjects equally trained as a group throughout the 4-week study. In addition, two weeks after the treatment, blood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variables were measured again for verifying the post-treatment effect on these variables. Blood variables were assayed every week while VO2max and anaerobic threshold were measured at two-week interval for six weeks. In addition, the record for the 5000 meters running was measured before (0-week) and after treatment (6-week), resp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① RBC in HIGH compared to C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both 1-week and 2-week (p<.05, respectively)and tended to decrease pre-study level after 3-week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② Hb in HIGH compared to C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1-week, 2-week, 3-week and 5-week (p<.05, respectively). ③ Hct in HIGH compared to CO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t 1-week, 2-week, and 3-week (p<.05, respectively) and tended to decease pre-study level after 3-week. ④ Both VO2max and anaerobic threshold in HIGH tended to increase above the pre-study level over 6-week of the stud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between groups. ⑤ The record for the 5000 meters running in HIGH was significantly improved (31sec; ↑3.2%, p<.05) after the treat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record between groups. We concluded that exposure of Intermittent Normobaric Hypoxia during the 4-week of endurance training significantly increases in the blood variables related to the oxygen delivery.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is improvement might enhance the endurance performance of long distance runners.

      • KCI등재

        결핵성 수막염 진단을 위한 지표의 타당성 평가

        정동식 ( Dong Sik Jung ),오유정 ( You Jeong Oh ),권기태 ( Ki Tae Kwon ),이지영 ( Ji Young Rhee ),신상엽 ( Sang Yop Shin ),정혜숙 ( Hae Suk Cheong ),이남용 ( Nam Yong Lee ),이혁 ( Hyuck Lee ),정두련 ( Doo Ryeon Chung ),백경란 ( Ky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3

        목적: 결핵성 수막염은 중추신경계 감염 중 가장 흔한 질환 중의 하나이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되지 않을 경우 20~50%의 사망률과 높은 신경학적 합병증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간단한 임상양상과 검사실 소견만으로 결핵성 수막염을 조기 진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Thwaites 등이 제안한 진단지표를 국내에서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3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10년 동안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 수막염을 시사하는 임상소견을 가지고 내원한 환자 중 뇌척수액에서 결핵균이 나오거나 결핵균 중합효소연쇄반응 양성이 나온 결핵성 수막염 환자와 뇌척수액에 세균이 나오거나 혈액배양에서 세균이 동정되었으나 수막염 외에는 다른 감염 병소가 없는 급성 세균성 수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지표의 타당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총 77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이 중 47명이 결핵성 수막염, 30명이 급성 세균성 수막염이었다. 결핵성 수막염 47예 중 이 진단지표(Thwaites등이 제안한 최적 결정치 4이하)를 통해 47명 모두(100%)가 진단이 가능했고, 세균성 수막염 30예 중 27예(90%)가 진단이 가능했다. 본 연구에서는 Area under ROC curve는 0.993 (95% CI, 0.979-1.0)으로 진단적 정확도가 높게 나왔으며 최적 결정치는 지표의 총합이 3이하인 경우 민감도와 특이도의 합이 최대로 나왔다. 그에 따른 민감도 100%, 특이도 93.3%, 양성예측도 95.9%, 음성예측도 100%이었다. 결론: 임상양상과 검사실 소견으로 결핵성 수막염과 급성 세균성 수막염을 감별진단 하는 Thwaites의 진단지표는 국내에서도 진단적 타당도가 높아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최적 결정치는 지표의 총합이 3이하인 경우가 진단적 타당도가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Background/Aims: Tuberculous meningitis is a common, occasionally fatal infectious disease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We evaluated the diagnostic validity of weighted diagnostic index scores (WDIS), which have been suggested to aid in the diagnosis of adult patients with tuberculous meningitis, on the basis of simple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Methods: The microbiological and clinical data of adult patients with either tuberculous or bacterial meningiti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Diagnostic validity and WDIS cut-off values were evaluated by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Results: A total of 77 cases were included: 47 with tuberculous meningitis and 30 with bacterial meningitis.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meningiti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of WDIS suggested by Thwaites (cut-off value of ≤4) were 100, 90, 94 and 100%, respectively. Based on ROC curve analysis (area under ROC curve=0.993), a cut-off value of ≤3 was most appropriate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meningiti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WDIS with a cut-off value of ≤3 were 100 and 93.3%, respectively. Conclusion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WDIS are highly predictable and acceptable for the early diagnosis of tuberculous meningitis in Korea, based on our analysis of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A cut-off value of ≤3 showed the best diagnostic validity. (Korean J Med 75:316-321, 2008)

      • KCI등재

        온열, 원적외선, 카이로프랙틱 복합 처치가 갑상선, 스트레스 및 동화 호르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동호 ( Dong Ho Park ),고병구 ( Byoung Goo Ko ),윤성원 ( Sung Won Youn ),이명천 ( Myung Chun Lee ),이종각 ( Jong Gak Lee ),정동식 ( Dong Sik Chung ),김순기 ( Soon Ki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카이로프랙틱, 마사지와 원적외선 요법 등을 병용한 장비의 단시간(일회성)의 적용이 갑상선, 스트레스 및 동화 호르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장비이용에 대한 유용성을 검토하는데 있었다. CGM-M의 단시간 의 처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4명의 피험자들은 무작위로 CGM-M 처치집단(n=12)과 비교집단(n=12)으로 할당되어 안정시, 40분간의 처치직후 그리고 휴식30분후에 각각의 변인들이 관찰되었다.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이용하여 CGM-M 처치의 효과를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Thyroxine(T4)이 비교집단에서 처치직후에 유의하게 감소(p<.05)한 반면, 처치집단에서는 감소되지 않았다. ② 성장호르몬(HGH)은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처치집단에서 처치 직후에 유의하게 증가(p<.05)한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③ 테스토스테론은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처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휴식 30분후에 안정시(p<.05)와 처치직후(p<.05)보다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 처치직후(p<.05)를 안정시와 비교할 때 비교집단에서만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④ T3, epinephrine, norepinephrine, 코 티졸 및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⑤ 체온은 비교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처치집단에서는 처치직후에 유의한 체온증가(0.37℃, p<.01)가 관찰되었으며, 상호작용효과에서도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원적외선 조사와 카이로프랙틱 및 마사지 처치를 병용한 CGM-M 의료기의 이용이 스트레스 호르몬인 성장호르몬의 방출을 증가시키고, T4와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일일 변동으로 인한 분비의 감소를 줄일 수 있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이 기자재를 이용할 경우 지질대사 및 신진대사율의 증가를 통해 체중감소뿐만 아니라 지질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CGM-M 처치를 통해 증가된 성장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이 단백질 합성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그 작용이 피험자의 영양상태뿐만 아니라 성장호르몬을 증가시킨 자극조건(운동자극 또는 환경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CGM-M 처치에 따른 성장호르몬과 테스토스테론의 변화와 그러한 변화가 근 질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rt-term`s Ceragem-Master (CGM-M) treatment including far infrared, chiropractic and sports massage on changes of stress and anabolic hormones as well as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individual`s equipment use. To compare concentrations of T3, T4, epinephrine (Epi), norepinephrine (NE), cortisol (C), growth hormone (HGH), testosterone (T) and IGF-I over time (baseline; B, immediately post-treatment; IPT, after 30m-rest; 30m) for verifying the short-term effect of stress and anabolic hormones, 24 volunte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reatment group (TG; CGM-M treatment, n=12) and control group (CG; n=12).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TG & CG), time conditions (B, IPT & 30m) and interactions (2 groups× 3 time conditions) for short-term treatment effects, a mixed factorial design was conducted,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ed: 1. T4 concentration of CG was significantly reduced(p<.05) at the IPT time point compared to the B time poin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the interaction effect. 2. HGF concentration of TG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5) at the IPT time point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the interaction effec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the concentrations of epi, NE, C and IGF-I over time points. 4. T concentration of CG was significantly reduced (p<.05) at the IPT time point compared to the B time point but not in the TG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the interaction effect. Based on the results, the release of HGH, T4 and testosterone might be stimulated by using CGM-M treatment of short-term. Consequently, we assumed that using CGM-M may increase in the activity of fat metabolism as well as help to increase metabolic rate. However, the function and effect of HGH and T on the muscle mass should be confirmed by long-term`s CGM treatment.

      • KCI등재

        규칙적인 운동참여와 형태가 신장 성장, 신체구성 및 2차 성징에 미치는 영향

        박동호 ( Dong Ho Park ),고병구 ( Byoung Goo Ko ),김영수 ( Young Soo Kim ),성봉주 ( Bong Ju Sung ),윤성원 ( Sung Won Youn ),이종각 ( Jong Gak Lee ),정동식 ( Dong Sik Chung ),김창선 ( Chang Su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3

        레크리에이션 수준의 신체활동이 사춘기 학생들의 신장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810명을 대상으로 집단의 특성에 적합한 76명의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집단의 구성은 점핑운동을 주 운동으로 하는 농구운동집단 22명(≥3/주당, ≥30min/회), 유산소성 운동집단 28명(≥3/주당, ≥30min/회), 비운동집단 26명의 3개 집단으로 비운동집단은 운동 자체를 싫어하여 체육수업조차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자들로 구성된 반면 운동집단은 3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하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측정변인으로는 인체계측 측정을 포함한 영양상태, 성적성숙 단계(교환과 체모)와 골연령 등이 측정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예측신장과 목표신장이 산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사춘기 동안의 자발적인 운동 참여는 일일 에너지 섭취량을 증가(p<.01)시키고, 3대 영양소 중 특히 탄수화물의 섭취를 증가(p<.01)시킴으로써, 활동 소비량의 증가로 높아진 에너지 필요성을 보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집단간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농구운동집단에서 유산소성 운동집단과 비운동 집단에 비해 예측신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청소년기의 규칙적인 점핑형태의 운동이 신장성장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반면 유산소성 운동그룹에서 다른 그룹들에 비해 낮은 체지방율과 수축기 혈압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산소성 운동은 길이 성자 이외에 의학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을 바탕으로 한 점핑 형태의 운동이 청소년들의 신장 성장뿐만 아니라 향후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체지방의 과다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성인기에 건강한 삶을 향유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on linear growth in adolescent boys, the association of predicted adult height, pubertal stage and bone age, and physical activity was evaluated in 76 adolescent boys out of 2,810, aged l5yr. 76 boys were automatically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characteristics: basketball group (group A, n= 22: ≥30 min/session, ≥3 times/week), aerobic group (group B, n=28: ≥30 min/session, ≥3 times/week), and inactivity group (group C, n= 26). The group C doesn`t like exercise and even doesn`t want to participate into physical exercise in school. The study included assessment of testes and pubic hair development, estimation of body fat, skeletal maturation and dietary intake, height, and weight. As the results of the study, regular exercise groups, group A & B (A: 31.63 kcal/kg and B: 31.87 kcal/kg) take more daily energy intake than group C (26.13 kcal/kg, p<.01, p<.01, respectively) while group B (17.03%) has lower % body fat than group A (20.01%) and C (20.39%).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current height, target height (TH), predicted adult height(PAH), bone age, especially group A has higher tendency of PAH than group B and C. From this point of view, regular recreational basketball exercise may favorably influence on linear growth. However, group B has lower %BF and systolic blood pressure than group A and C. This indicated that aerobic exercise favorably influences on promotion of health at a medical point of view. Therefore, jumping exercise based on aerobic exercise may help not only to prevent obesity from increasing but also to promote our health.

      • KCI등재
      • KCI등재

        탈진 운동 후 세로토닌 운반체 유전자다형성에 따른 혈중 FFA, f-Trp, BCAAs 및 f-Trp/BCAAs의 반응

        박동호 ( Dong Ho Park ),김창선 ( Chang Sun Kim ),정동식 ( Dong Sik Chung ),이종각 ( Jong Kak Lee ),이명천 ( Myung Chun Lee ),윤재량 ( Jae Ryang Yoon ),김영수 ( Young Soo Kim ),성봉주 ( Bong Ju S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5-HTT 유전자다형성과 운동성 중추피로와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었다. 피험자 선정을 위해 대학교에 재학중인 교양(111명) 및 체육관련 학과 남학생(162명) 273명을 대상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5-HTT 유전자형(SS형, LS형, LL형)을 검사하였다. 이들 중 본 연구 목적에 맞는 40명의 피험자들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형에 따라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SS형 집단 16명, LS형 집단 15명, LL형 집단 9명), 장시간의 운동(1차 VT 강도, 2차 VO2max 강도, 3차 VT 강도 = 평균 58분의 운동소요시간)을 처치하여 피로를 유발시킨 후 5-HTT 유전자형에 따른 혈중 FFA, f-Trp, BCAAs, 및 f-Trp/BCAAs의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FFA의 경우, SS형은 안정시와 비교하여 운동종료 30분후에(p<.01) 그리고 운동직후와 운동종료 30분후를 비교할 때 유의하게 증가(p<.05)하였고, 24시간후에는 운동종료 30분후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LS형은 안정시에 비하여 운동종료 30분후(p<.05)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LL형은 안정시에 비하여 운동종료 30분후 유의한 증가를(p<.05) 그리고 24시간후가 운동종료 30분후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f-Trp는 시기간 세 집단 모두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LS형에서만 운동직후와 비교할 때 24시간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BCAAs에서는 LL형을 제외한 SS형과 LS형에서 운동종료 30분후를 안정시 및 운동직후와 각각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p<.01). f-Trp와 BCAAs(f-Trp/BCAAs)의 비율에서는 세 집단 모두에서 시기에 따른 경향은 비슷하였으나, 단지 LS형에서만 24시간후를 운동종료 30분후와 비교할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24시간후의 혈장 f-Trp/BCAAs 비율 감소는 BCAAs의 증가와 f-Trp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 타입과 대립형질의 빈도 분포(n=273)에서는 SS형 62.7%(n=171), LS형 30.0%(n=82), LL형 7.3%(n=20), 그리고 S 대립형질 77.7%(n=424), L 대립형질 22.3%(n=122)로 나타났다. 즉, LL형이 SS형 및 LS형에 비해 매우 낮은 분포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비록 통계적으로 유전자형에 따른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f-Trp의농도 및 f-Trp/BCAAs의 비율 모두 LL형이 SS형과 LS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안정시 및 장시간의 고강도 운동시 5-HT의 합성과 방출의 증가, 즉 5-HT의 신경전달이 LL형에서 높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전자형에 따른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어 이러한 결과의 일반성을 단정하기 어렵지만, 전체 채혈 시기에 걸쳐 SS형과 LS형에서 LL형보다 낮은 경향을 보인다는 것은 특히 장시간의 고강도 훈련을 반복적으로 지속하는 선수들은 5-HTT SS형과 LS형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5-HTTLPR gene polymorphism and exercise-induced central fatigue. Polymorphisms in the 5-HTTLPR were determined in genormic DNA obtained from 273 college aged mem. Forty out of 273 college aged mem were participated into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genetypes (SS= 16, LS= 15, and LL= 9). All participants performed exhausted exercise, consisting of running them on a treadmill (with a 6° slope) for 3min at 5km/hour, 30min at ventilatory threshold intensity and, after 3min rest, sprints of 1min at 100%VO2max with 2min of walking between each sprint until re-exhasted, to lead fatigue. For the t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pre-exercise (baseline), immediately post-exercise (IPE), 30m post-exercis (30m PE), and 24hours post-exercise (24h). Serum and plasma samples were analyzed for free-trpytophan (f-Trp), branched-chain amino acids (BCAAs), free fatty acids (FFAs), and f-Trp/BCAAs. Regardless of genotypes, the significant increases in 30m PE FFAs compared to baseline (p< .01 or p< .05) occurred while the decreases in 24h FFAs concentration compared to 30m PE occurred. The significant decrease in f-Trp (p< .05) at the 24h occurred only in LS genotype while the decrease in 24h BCAAs compared to both baseline (p< .01) and 30m PE BCAAs (p< .01) except LL genotype was observed, respectively. In assessing the f-Trp/BCAAs, the decrease in 24h f-Trp/BCAAs compared to 30m f-Trp/BCAAs occurred only in LS genotype (p < .05)although a similar decrease-tendency was observed in SS genotype. The significant reduction in f-Trp/BCAAs (p < .05) at the 24h was due to the increase in BCAAs and the decrease in f-Trp. In 273 subjects as general population, L allele frequencies were lower (77.66%) than S allele frequencies (22.34%) and the genotype frequencies were SS, 62.7%; LS, 30.0%; and LL, 7.3%. The genotypic frequencies in each group conformed to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X2 = 2.559, d.f. = 2, p = .278). Consequently, although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as determined in changes of f-Trp and f-Trp/BCAAs ratio, the LS and SS genotypes showed a trend for lower levels or ratio of these variables, as compared with the LL genotype. This may imply that especially long distance runners with the LS and SS genotypes may have relative hypofunction of the 5-HT system due to the lower 5-HT level in the extracellular space, compared to the athletes with the LL genotype. This means that 5-HTTLPR genotype may be associated with endurance performance and elite endurance athletes with S allele might gain advantage over athletes with L allele.

      • KCI등재

        승마시뮬레이터의 보행형태에 따른 청,장년의 심박수, 산소섭취량, 분당 환기량, MET, 칼로리소비량의 변화

        성봉주 ( Bong Ju Sung ),정동식 ( Dong Sik Chung ),김병현 ( Byung Hyun Kim ),백진호 ( Jin Ho Back ),고병구 ( Byoung Goo Ko ),이은정 ( Eun Jeong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4 체육과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가미한 승마시뮬레이터의 운동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대 남ㆍ여 각 10명, 40대 남ㆍ여 각 10명, 총 40명을 대상으로 분당 심박수, 분당 산소섭취량, 분당 환기량, 분당 칼로리소비량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11단계(평보, 속보, 구보 습보, 박차평보, 박차속보, 박차구보 박차습보, 점프구보, 점프습보, 게임)의 과정을 5분씩 기승해서 얻은 호흡가스분석 자료(산소섭취량, 환기량, MET, 칼로리소비량)를 토대로 평균값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일반보행 형태별 결과 : 승마시뮬레이터의 일반보행형태별 결과에서 분당 심박수는 약 101.00∼150.00회/분, 단위체중당 산소섭취량은 약 11.03∼21.27ml/kg/min, 분당 환기량은 약 18.96∼42.94ml/min, MET는 약 3.40∼6.00, 칼로리소비량은 약 3.52∼6.70kcal/min에 해당되었고 보행속도와 강도 변화에 따라 증가 양상을 보였다. ② 박차를 겸비한 보행 형태별 결과 : 박차를 겸비한 승마시뮬레이터의 보행형태별 결과에서 분당 심박수는 약 112.27∼156.40회/분, 단위체중당 산소섭취량은 약 13.65∼21.69ml/kg/min, 분당 환기량은 약 26.59∼46.37ml/min, MET는 약 3.80∼6.30, 분당 칼로리소비량은 4.78∼7.32kcal/min으로 나타났다. 일반보행보다는 박차를 겸비한 운동이 높은 운동효과를 나타내었고, 동 연령대에서 남성들이 여성 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40대가 2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③ 점프구보, 점프습보와 게임시 결과 : 승마시뮬레이터의 점프 구보, 점프습보, 게임 시의 결과에서 분당 심박수는 약 129.90∼156.00회/분, 단위체중당 산소섭취량은 약 19.57∼25.81ml/kg/min, 분당환기량은 약 38.43∼66.12ml/min, MET는 약 5.60∼7.50, 분당칼로리소비량은 5.82∼9.00kcal/min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승마시뮬레이터의 운동생리적 변화는 성별, 보행형태와 박차를 겸비하는냐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므로 준비운동부터 본 운동까지의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트레드밀 운동과는 달리 가상현실을 통 해 실제 승마와 같은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희적인 요소, 승마라는 고급스포츠의 이미지와 운동적인 이미지 결합 등이 승 마시뮬레이터 운동의 장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official approval research in horseback-riding simulator with imaginary actuality as a exercise equipment.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40 men and women (10 twenty`s men, 10 twenty`s women, 10 fourty`s men and 10 fourty`s women). They participated in horseback-riding simulator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11 level(the walk, the trot, the canter, the gallop, the kick-walk, the kick-trot, the kick-canter, the kick-gallop, the jump-canter, the jump-gallop) for five minutes riding wearing gasmasks in Korea Sports Science Institute exercise physiology laboratory. The exercise physiology variables were HR, VO2, VE, MET and Calory expendi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① The effect of general walking type on horseback-riding simulator : In this result, the heart rate were about 101∼ 150beats/min, the VO2 were about 11.03∼21.27 ml/kg/min, the ventilation were about 18.96∼ 42.94ml/min, the MET were about 3.4∼6.0 and the calory expenditure were about 3.52∼ 6.70kcal/min. ② The effect of kick- walking type on horseback-riding simulator : In this result, the heart rate were about 112∼156beats/min, the VO2 were about 13.6∼21.69 ml/kg/min, the ventilation were about 26.59∼46.37 ml/min, the MET were about 3.8∼6.3 and the calory expenditure were about 4.78∼7.32kcal/min. ③ The effect of jump-canter, jump-gallop and game type on horseback- riding simulator : In this result, the heart rate were about 129∼156beats/min, the VO2 were about 19.57∼25.81 ml/kg/min, the ventilation were about 38.43∼66.12 ml/min, the MET were about 5. 6∼7.5 and the calory expenditure were about 5.82∼8.96 kcal/min. In conclusion, the exercise physiological changes were founded in horseback-riding simulator depending on various walking types and the effect of simulator riding had similar effect in real horse riding.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Various horseback riding program should be fully developed.

      • KCI등재

        운동부하 방법에 따른 수영선수들의 LT 및 OBLA에서의 심박수 반응 분석

        류경화 ( Kyoung Hwa Ryu ),박동호 ( Dong Ho Park ),윤성원 ( Sung Won Youn ),정동식 ( Dong Sik Ch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3 체육과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수영과 트레드밀에서 각각 최대 점증부하 테스트를 실시하여 두 가지 각기 다른 형태의 테스트에서 얻은 LT와 OBLA(2.0mM/L, 4.0mM/L) 지점에서의 심박수 범위를 산출, 비교함으로서 트레드밀에서 얻은 LT 혹은 OBLA를 실제 수영 훈련의 운동강도 설정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7명의 고등학교 수영 선수를 대상으로 점증적 운동부하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영에서는 200m 구간의 최고 속도에서 얻은 기록에 35초를 더한 기록을 1단계로 설정한 후, 다음 단계부터는 5초씩 줄여가며 속도를 증가하여 총 7단계를 마쳤고, 트레드밀에서는 경사도를 0˚로 고정한 상태에서 초기속도는 150m/min으로 각 단계마다 20m/min의 속도를 증가시켜 총 7단계를 실시하였다. LT와 OBLA에 상응하는 심박수와 운동부하 방법간의 속도의 범위차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LT점에서의 심박수는 수영과 트레드밀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수영=123.29bpm, 트레드밀=137.00bpm), 2.0mM/L에서의 심박수도 수영과 트레드밀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수영=118.86bpm, 트레드밀=130.00bpm), 4.0mM/L에서의 심박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수영=145.10bpm, 트레드밀=151.43bpm, 3.62%차이), 심박수의 반응이 두 개의 각기 다른 형태의 테스트(트레드밀 vs 수영 테스트)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점증부하 테스트 방법이 다르더라도 수영선수들의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트레드밀에서 얻은 특정 혈중 젖산농도(4.0mM/L)를 운동강도 기준으로 설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심박수를 산출하여 적용함으로써 수영선수에게 수중에서의 트레이닝뿐만 아니라 지상에서의 트레이닝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dentify whether the lactate threshold(LT) or onset of blood lactate accumulation (OBLA: 2.0mM/L and 4.0mM/L of lactate concentrations) obtained from the graded exercise test(GXT) of treadmill as the use of a training intensity for swimming or not. Seven swimming players in "S" high school were recruited and conducted GXT both on the treadmill and in the swimming pool: 1) swimming test (SW): the stage I of swimming protocol was determined by adding 35 seconds(s) to a record obtained from 200 meter` top velocity. The velocity of swimming continuously was increased by subtracting 5 s from each subsequent stage until 7 stages. 2) treadmill test (TM): treadmill protocol was a continuous, graded, horizontal run test. Each stage was 2min in duration, with an initial velocity of 150mㆍmin-l which increased 20mㆍmin-l for each subsequent stage. The grade of the treadmill remained unaltered during the test.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heart rates per min at the intensities of LT and OBLA obtained from both GXT of treadmill and swimming pool.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between exercise modalities(SW vs. TM) for heart rates per minute values at LT (SW: 123.29bpm vs. TM: 137.00bpm, p<.05), 2.omM(SW: 118.86bpm vs. TM: 130.00bpm, p<.05) and maximal exercise(SW: 183.l0bpm vs. TM: 195.70bpm, p<.001), respectivel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xercise modalities(SW vs. TM) for heart rates per minute values at 4.0mM/L(SW: 145.lbpm vs. TM: I 51.43bpm, 3.62% difference). It was concluded that exercise modality may do not affect the heart rate per min at 4.0mM/L and that a similar heart rate response exists between the two modalities. Therefore, the heart rate value at 4.0mM/L obtained from the TM could be applied to a criterion of swimming players` exercise intensity for improving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우리나라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 환자의 톡소포자충 감염

        이상현 ( Sang Hyun Lee ),이선희 ( Sun Hee Lee ),차동혁 ( Dong Hyuk Cha ),이수진 ( Su Jin Lee ),곽임수 ( Ihm Soo Kwak ),정주섭 ( Joo Seop Chung ),조군제 ( Goon Jae Cho ),이혁 ( Hyuck Lee ),정동식 ( Dong Sik Jung ),문치숙 ( Chi Soo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6

        목적: 톡소포자충 뇌염은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환자에서 발생하는 중추신경계 기회감염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 톡소포자충 뇌염은 HIV 감염 환자에서 발생하는 다른 기회감염증들에 비해 매우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HIV 감염 환자의 톡소포자충 감염의 특성과 현 상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0년부터 2008년까지 고신대병원, 동아대병원, 부산대병원, 인제대병원의 4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HIV 감염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톡소포자충 뇌염 발생률과 임상적 특성, 톡소포자충 항체 유병률, 혈청전환율 및 톡소포자충 감염의 위험인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총 683명의 HIV 감염 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남자가 598명(87.6%)이었고, 환자들의 정중 나이는 41세(16~76세)였다. 환자들의 CD4 양성 림프구 수의 중앙값은 221/μL이었으며 49%가 처음 내원 시 에이즈로 진행한 상태였다. 총 683명 중 톡소포자충 뇌염으로 내원한 환자는 6명(0.9%)이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톡소포자충 뇌염의 발생률은 100인년당 0.34명(95% 신뢰구간: 0.17~0.72명)이었다. 6명 모두 남자였으며 톡소포자충 뇌염 진단 당시 정중 나이는 42세(32~48세)였다. 6명 중 4명(50%)은 톡소포자충 뇌염 때문에 처음 병원을 방문하였으며, 이 중 3명은 이때 HIV 감염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되었다. 톡소포자충 뇌염 진단시점의 CD4 양성 림프구 수의 중앙값은 44/μL (2~99/μL)로 모두 100μL 미만이었다. 총 683명 중 414명(61%)에서 톡소포자충 항체 검사가 시행되었고, 이 중 35명(8.5%)에서 양성이었다. 처음 시행한 톡소포자충 IgG 항체 검사에서 음성이었던 376명중 95명(25.3%)에서 추적검사가 시행되었다. 총 추적기간은 207.7년이었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2.2년(1~6.2년)이었다. 추적기간이 1~2년인 경우가 53명(56%)으로 가장 많았으며, 65%에서 추적기간 동안 폐포자충 예방을 위해서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을 투여한 적이 있었으며, 투여기간은 1년 미만이 38명(61%)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투여 기간은 전체추적기간의 32%였다. 추적검사가 시행되었던 95명 중 단지 2명(2.1%)에서만 혈청전환이 있었으며, 추적기간 동안의 혈청전환율은 100인년당 0.96명(95% 신뢰구간: 0.47~3.29명)이었다. 톡소포자충 항체 검사가 시행되었던 414명 중 판정 불가였던 3명을 제외한 411명에 대하여 톡소포자충 감염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결혼을 한 경우, 이성접촉에 의한 감염, 해외 거주력이 있는 경우가 유의한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나(p<0.05), 다변량 분석에서는 해외 거주력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우리나라 HIV 감염 환자의 톡소포자충 혈청 유병률은 약 8.5%였으며, 톡소포자충 뇌염의 발생률도 100인년당 0.34명으로 전체 환자의 0.9%에서만 발병하여 혈청 유병률뿐만 아니라 발생률 모두가 다른 국가에 비해서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해외 거주력이 있는 경우에는 톡소포자충 감염의 위험성이 4배 정도 높았다. 또한 톡소포자충에 감염되지 않았던 환자를 약 2년간 추적하는 동안 약 2%에서 새로운 감염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Aims: Toxoplasmic encephalitis (TE)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focal brain lesions, which complicate the course of 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 There is wide geographic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toxoplasma infec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haracterize toxoplasma infection i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infected patients in South Korea. Methods: We retrospectively examin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E in 683 HIV-infected patients who were enrolled between 1990 and 2008 at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Busan, Korea. We also assessed the seroprevalence of IgG antibodies to Toxoplasma gondii, risk factors for toxoplasma seropositivity, and seroconversion rates during the course of HIV infection. Results: Among 683 HIV-infected patients, six (0.9%)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TE. The incidence of TE was 0.34 per 100 person-years (py)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 414 patients who had undergone serological examinations for Toxoplasma gondii, 35 (8.5%) patients were seropositive.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oxoplasma seropositivity included increased age, heterosexual transmission, marriage, and a history of overseas residence (p<0.05). Of these factors, a history of overseas residenc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in a multivariate analysis (p<0.05). A total of 95 patients who were seronegative on their initial screen showed serial toxoplasma IgG antibodies (mean duration of follow-up, 2.1 years). Among these patients, only two (2.1%) acquired IgG antibodies to Toxoplasma gondii during the follow-up period. Conclusions: The seroprevalence of anti-toxoplasma IgG antibodies in HIV-infected patients in Korea was 8.5%. A history of overseas residence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toxoplasma seropositivity. The incidence of TE was 0.34/100 py, which is lower than that reported in other countries. Toxoplasma seroconversion was also uncommon (2.1%). (Korean J Med 76:713-721, 2009)

      • KCI등재

        종목별 운동 특성과 ACE 유전자 다형의 관계

        김영수 ( Young Soo Kim ),고병구 ( Byoung Goo Ko ),박동호 ( Dong Ho Park ),윤성원 ( Sung Won Youn ),이명천 ( Myung Chun Lee ),정동식 ( Dong Sik Ch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운동적성 및 종목 선택에 필요한 기초자료 구축 및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엘리트 선수를 대상으로 종목별 운동 특성과 ACE 유전자 다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가대표 및 대학 남자선수로서 7개 종목 60명의 우수선수 중 지구력 종목(중·장거리) 22명, 순발력 종목(단거리, 투척, 체조, 역도) 20명, 혼합종목(필드하키, 유도) 18명이었으며, ACE유전자와 운동유형별 엘리트 선수들의 유전자 다형 분포 및 체력 변인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최대심박수는 II형이 189.9±10.13회/분, ID형이 189.7±8.98회/분 그리고 DD형이 189.2±8.89회/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지속시간은 DD형이 19.4±3.55분, ID형이 18.4±4.45분 그리고 II형이 17.5±3.62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AT는 DD형이 72.2±4.56%VO2max, II형이 71.8±5.17%VO2max, 그리고 ID형이 69.5±5.34%VO2max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구력 유형의 선수 22명 중 ID 형이 54.5%(12명), II형이 27.3%(6명) 그리고 DD형이 18.2%(4명)이었다. 순발력 유형의 선수 20명 중 II형과 ID형이 각각 45.5%(9명)였으며, DD형은 10.0%(3명)이었다. 한편, 지구력과 순발력이 혼합된 혼합 유형의 선수 18명 중 ID형이 50.0%(9명), II형이 33.3%(6명) 그리고 DD형이 16.7%(3명)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 세 운동유형 모두 ID형, II형, DD형의 순서로 분포비율을 나타냈으나, 운동 유형에 따른 ACE 유전자 분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X2=1.667, p>.797). 이상의 결과에 따라 고강도의 훈련을 받은 엘리트 선수들의 경우 운동유형과 ACE 유전자 다형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type and ACE gene polymorphism in order to find whether ACE gene polymorphism can be used to choose sports type according to athletic aptitude. The subjects for ACE gene polymorphism were 60 Korea national and collegiate athletic players selected from 22 endurance event players (middle and long distance running), 20 agility event players (short distance running, throwing, gymnastics, weight lifting) and 18 middle range event players (field hockey, judo). Graded exercise test and ACE gene polymorphism type test were conducted with these subjects. The maximum heart rates of type II, ID and DD were 189.9±10.13, 189.7±8.98 and 189.2±8.89, respectively. The respective exercise durations of type DD, ID and II were 19.4±3.55, 18.4±4.45 and 17.5±3.62 minutes. The ATs of type DD, II and ID were 72.2±4.56%VO2max, 71.8±5.17%VO2max and 69.5±5.34%VO2max, respectively. The endurance abilities of type ID, II, and DD were 54.5% (12 persons), 27.3% (6 persons) and 18.2% (4 persons), in order. The respective power abilities of type II, ID and DD were 45.5% (9 persons), 45.5% (9 persons), and 10.0% (3 persons). On the other hand, The combined abilities of endurance and power of type ID, II, and DD were 50.0% (9 persons), 33.3% (6 persons), and 16.7% (3 person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ratios of all types of ID, II, and DD were in order of ID, II, and DD. But, the differences of ACE gene polymorphism with respect to exercise typ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X2=1.667, p>.797). By these results, exercise type and ACE gene polymorphism of elite athletes was not statistically rel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