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녀가 지각하는 어머니 양육태도가 학교폭력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정동숙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자녀가 지각하는 어머니 양육태도가 학교폭력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학 전공 정 동 숙 지 도 교 수 소 진 광 가정은 인간이 성장하고 발전하는데 최초로 갖게 되는 환경이다. 그 속에서 개인의 행동양식이나 일상생활을 해나가는데 필요한 능력과 태도는 부모와의 지속적인 상호관계를 통해 형성되어진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인격형성과 정서발달, 적응양식 및 사회화 과정의 뿌리가 되며, 특히 부모와의 잘못된 관계는 청소년의 비행 혹은 범죄문제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자녀가 지각하는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와 학교폭력가해경험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어머니양육태도 변수가 학교폭력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태도의 차이분석으로는 성별, 학년, 어머니학력, 가정소득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에서 학대와 방임은 남자에 비해 여자가 낮으며 학년에 따른 감독의 차이분석에서는 1학년이 2,3학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학력에 따른 감독의 차이분석에서 중졸이하가 낮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정소득수준에 따른 차이분석으로는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합리적 설명과 애정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감독은 다소 높았다. 방임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폭력가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 변수요인인 감독, 합리적 설명,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임, 애정은 학교폭력가해경험 유형 중 언어·심리적 폭력과 사이버매체 폭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학교폭력가해경험유형의 괴롭힘 경험에는 방임태도가 영향을 미치고, 금품갈취경험은 감독, 합리적 설명, 과잉기대, 과잉간섭, 애정태도가, 신체·물리적 폭력경험에는 합리적설명과 방임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에서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문제점과 그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폭력을 줄이는 발전방향과 개선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에서 어머니가 자녀를 감독할 때 지나친 통제와 과잉보호는 지양되어야 한다. 어머니의 적절한 통제와 지도가 청소년 자녀의 성격발달과 이후 사회적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둘째, 자녀의 감정이나 의사를 무시한 채 어머니 자신의 기대수준으로 자녀를 대하는 양육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자녀에 대한 과잉기대가 지나치게 높으면 자녀는 오히려 낮은 자존감을 가질 수 있고 자녀의 자유로운 표현과 생각을 방해할 수도 있다. 셋째, 가정에서 어머니는 자녀에게 무조건적인 애정을 주기보다는 자녀 스스로 무엇을 원하는가를 알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자녀가 교육적으로 어머니의 뜻에 따라 순응했을 때 비로써 어머니의 자녀사랑을 느낄 수 있으며 자녀는 보다 건강한 사회적 태도를 지니게 될 것이다. 넷째, 가정에서 어머니는 자녀를 위한 시간을 가능한 많이 내주고, 자녀가 흥미를 느끼는 일에 항상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수용적인 양육태도를 보여줘야 한다. 방임을 경험한 자녀는 불안정한 정서와 위축된 행동을 가지게 되며, 가정에 대한 불만족감으로 폭력성과 공격성, 적개심을 키워나갈 수 있다. 다섯째,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남·여의 구분과 학년에 차이를 두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방임과 학대가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높게 나타난 것은 학교폭력가해경험이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맥락으로 볼 수 있다. 또한 1학년에 비해 3학년에서 어머니의 감독이 낮아짐으로 보아 이 또한 학년이 올라가도 어머니의 지지와 관심은 항상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한다. 여섯째, 어머니는 가정에서 자녀와의 평등한 관계지향 및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어머니양육태도에 있어 부적절한 훈육이나 양육은 신체적 체벌이상으로 자녀의 문제행동을 유발시키게 된다. 부모의 학대적인 양육태도를 경험한 청소년은 학업실패, 가출, 약물남용, 비행, 학교폭력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곱째, 학교는 학교폭력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점을 진단하고 학교, 교사, 부모가 함께 소통할 수 있는 학교자체의 프로그램개발을 통해 부모와 교사의 정기적인 상담과 교육이 더해진다면 청소년 학교폭력의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끝으로 지역사회의 지원과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으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 국가가 다각적인 측면에서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구축해야하겠다.

      •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동숙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are the differences among childcare teacher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2. What are the correlations amo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3. What influence does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childcare teachers exercise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childcare teachers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2 to December 8, 2018. 300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and the response rate stood at 100 percent. Among the collected data, 24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the final data except 53 ones that were uncompleted and included outli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version and AMOS 23.0 version.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e checked to obtain the descriptive information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To verify the assumption of normal distribution, skewness and kurtosis were used.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their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se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used when two factors were used as general background variables, and ANOVA was carried out when three or more were used. After ANOVA was conducted, Scheffé test was implemented to make a post-hoc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more detail.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of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and path analysis was used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among the childcare teacher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backgrou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ir marital status, presence or absence of child, type of workplace and what made them have the hardest tim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ir age, marital status, presence or absence of child, career and pay. On the contrary, teacher efficacy varied with their career and certificates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of the childcare teachers,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efficacy as well. Also,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 efficac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of the childcare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very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could be one of major variables to aff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eacher efficacy. Accordingly, the nation and childcare centers should fully be cognizant of the preciousness and value of social support for childcare teachers and try to consider how to offer the right support and assistance for them in an effort to help them to find themselves to receive appropriate social support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restore confidence and demonstrate their teacher efficacy prop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의 차이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1월 12일부터 2018년 12월 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며 100%의 회수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한 설문지 가운데 미응답 문항과 이상치가 발견된 53부를 제외한 총 247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 23.0 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수집한 측정변인의 기술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확인하였으며, 정규분포 가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 배경이 2개로 구분되었을 때는 독립표본 t 검증을 사용하였고, 3개 이상으로 구분되었을 때는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ANOVA 검증 이후에 구체적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사후 검증으로는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인이 종속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결혼여부와 자녀유무, 근무시설 유형, 가장 힘들게 하는 것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은 보육교사의 연령, 결혼여부, 자녀의 유무, 경력, 월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교사효능감은 보육교사의 경력, 소지자격증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도 상호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효능감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 있어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국가와 보육현장은 보육교사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소중함과 가치를 제대로 인식하고, 보육교사에 대한 올바른 지지와 지원방법을 강구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이 사회적 지지에 기반하여 심리적 안녕감과 회복된 자신감을 가지고, 교사효능감을 제대로 발현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과 학교 부적응

        정동숙 가천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and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Jung, Dong-Suk Advised by Professor So, Jin Kwang Dept. of Welfare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impa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upon the school maladjustment. The study surveys 500 middle school students from 10 middle schools(8 for public, 2 for private) selected by using size of the rule of three in Seoul, Republic of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have taken effect on investigating the data analysis and inquiry set in the study and statistical program, SPSS 23.0 and AMOS 20.0 is used for statistics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school maladjustment, gender, whether having private education(including after school) or not, residence with parents, communication time with others(1week), class hour for private education(1week) had meaningful to the results and each factor showed differen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having private education or not and grade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 residence with parents, communication time with family, school hour for private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there was a difference in whether having private education, grade, residence with parents, communication time with family, school hour for private education except gender. Fo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factors of social capital, there was a difference in gender, whether having private education, grade, residence with parents, communication time with others, school hour of privat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school maladjust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 affected to learning activities of school maladjustment are optimism and hop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pport from parents and teacher in social support, norm and network in social capital. Second, the factors that affected to school rules are hope and resilienc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pport from parents and teacher in social support, and trust, norm and network in social capital. This study implies that thos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those factors in the perspectiv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d operating school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accumu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are needed to solve school maladjustment as much as individual's personality educa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ncluding family, school, community,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forged for accumulating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In conclusion,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is not a personal matter but closely related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is a relative response of individual students and changing macro-environment,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that administers interaction between individual conditions of an activity and macro-environment. On that basis, school education should be advanced by considering social support and social capital which are formed in student's individu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ey wor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upport, social capital, school maladjustment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과 학교 부적응 국 문 초 록 복지행정학과 정 동 숙 지 도 교 수 소 진 광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이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층화 추출법 중 크기 비례법을 사용하여 서울소재 중학교 10개교(공립 8개교, 사립 2개교)를 선정하고 총 500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과 설정한 연구문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성검증, 상관분석, 통계 처리는 SPSS 23.0과 AMO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부적응의 차이분석 결과, 성별, 사교육 여부(방과 후 포함), 학년, 부모와의 거주 여부,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과의 소통시간(1주일), 사교육 수업시간(1주일) 등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각 요인 마다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의 차이분석 결과, 사교육 여부 및 학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반면 성별, 부모와의 거주 여부, 가족 간 소통시간, 사교육 수업시간 등은 차이를 보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의 차이분석 결과, 성별을 제외한 사교육 여부, 학년, 부모와의 거주 여부, 가족 간 소통시간, 사교육 수업 시간 등에 차이를 보였다. 넷째, 사회적 자본 변인의 차이분석 결과, 성별, 사교육 여부, 학년, 부모와의 거주여부, 함께 생활하는 사람들과의 소통 시간, 사교육 수업 시간 등에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 부적응과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부적응의 학습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긍정심리자본에서는 낙관주의와 희망이 도출되었으며, 사회적 지지에서는 부모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가 나타났고, 사회적 자본에서는 규범과 네트워크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부적응의 학교규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긍정심리자본의 희망과 회복탄력성이, 사회적 지지에서는 부모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가, 사회적 자본에서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청소년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중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하여 학교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식에 관한 다양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즉,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학생 개인적인 인성교육 못지않게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의 축적이 필요하고, 이러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자본 축적을 위해서는 가정, 학교, 지역사회, 중앙정부 등 통합적인 관리시스템 구축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문제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학생 개인과 주변 환경변화와의 상대적 반응인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그리고 학생 개인의 활동여건과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관리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학교교육도 이러한 학생 개인의 긍정심리자본과 주변과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형성되는 사회적 지지 및 사회적 자본을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 사회적 자본, 학교 부적응

      •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 종사자 요인을 중심으로

        정동숙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정해체의 증가로 인해 가정의 아동양육기능이 점차 약화되는 반면에 아동보육에 대한 사회적 욕구와 국가의 책임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자선적이며 빈민구제의 목적으로 시작되었던 아동보육서비스는 점차 모든 아동의 기본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아동복지, 여성의 사회참여와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여성복지, 가정의 아동양육 기능을 향상시키는 가정복지와 지역사회의 복지를 추구하는 복합적인 사회복지서비스로 발전되어왔다. 따라서 보육의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보육양육과 관련된 전문적인 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함은 물론 이들의 가정과 지역사회의 복지증진을 위한 포괄적인 보육서비스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포괄적 보육서비스란 새로운 개념의 보육서비스가 아니라 본래에 가지고 있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범위와 내용을 확대하는 적극적인 보육서비스의 실천개념으로 아동의 욕구뿐 아니라 부모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가정의 기능을 향상시켜 주어 가정이 안정되고 가족해체를 예방하며 지역사회의 욕구까지도 해결하는 사회복지 서비스가 포함된 보육프로그램 또는 보육서비스라고 정의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포괄적 보육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인식정도에 따른 실천정도를 분석하여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보육시설 종사자를 모집단으로 하여 저소득층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단순무작위 추출한 교사 30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서 검증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포괄적 보육서비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의 보육은 부모의 욕구와 사회적인 인식정도에 따라 보육의 본래 목적이 변질되어 교육이 강조된 형태로 변화하게 되었는데 보육의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해서 적극적인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며,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들은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교육을 보다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질적으로 높은 포괄적 보육서비스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 등의 전문 인력의 고용이 필요하다. 셋째, 정부는 보육시설의 양적인 부분보다 질적인 면에 우선순위를 둔 보육정책을 개발해야 하며.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넷째, 질적으로 우수한 포괄적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사들의 근무환경, 처우개선, 사회적 인지도 등이 보장 되어야 한다. 다섯째,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 행정기관을 비롯한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의 연계망을 구축하는 등 인프라 확충을 통한 다양하고 풍부한 보육관련 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In our modern society, as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crease with more families disintegrated, the childcare functions of the family weaken gradually, while social needs and nation's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increase gradually. Thus, the nursery services which started for philanthropic or poverty relief purposes have been progressively evolving into such complex social welfare services as children's welfare warranting their basic rights, women's welfare supporting their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family welfare enhancing their child-rearing functions and community welfare services. Hence, in order to achieve the social goals of daycare servic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fessional childcare programs as well as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to enhance family and community welfare.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are not of a new concept but of a practical concept expanding the scope and contents of the conventional nursery services to meet not only children's but also their parents' needs and thereby, improve the functions of families and prevent their disintegration and fulfill the needs from the community. In a nutshell,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may be defined as childcare programs or nursery services encompassing all these roles and functions comprehens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nursery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their nursery service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ir perception on their practices to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activation of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nursery teachers' factors involving the nursery services among various factors conducive to activation of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and thereupon, randomly sampled 300 nursery teachers from the nurseries operated in the low-income area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put forward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activation of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First, today, the essence of the daycare services seems to have changed into education-centered services due to parents' changed needs and changed social value system. So, it is essential to publicize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to help achieve the original goals of daycare services. In this contex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training the nursery teachers are obliged to educate their students on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Second, in order to provide for quality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it is necessary for the nurseries to employ such professional manpower as social workers. Third,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put higher priority on quality of the nursery facilities rather than on their quantities, while supporting them more positively. Fourth, in order to provide for quality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it is deemed essential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ery teachers, treat them better and enhance their social reputation. Fifth,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distribute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 programs, construct a cooperative network among nurseries, administration and relevant community organizations and thereby, expand the infrastructure for the comprehensive daycare services and providing for rich information about daycare services.

      • 매니지먼트사의 이미지가 소속 연예인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동숙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s between entertainment companies' images and their entertainers' ones, assuming that the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has been spotlighted latel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of images among entertainment company, its CEO and its entertainers, and thereby, analyzed the effects of entertainment companies' images on their entertainers images, and thereupon, explored the ways to effectively manage and improve the images of entertainment companies and their entertainers. To this end, the researcher sampled major domestic entertainment companies and their entertainers: SM Entertainment, JYP Entertainment and YG Entertainment, and its CEOs Lee Soo-man, Park Jin-young and Yang Hyun Seok as well as their entertainers BOA, Tong Vfang Xien Qi, Rain, god, Seven and Wheesung.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preliminary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earcher designed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rom April 11 through May 7, 2005 by sampling 2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dult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Seoul: 180 teenagers and 100 adults aged 20 or older. The question item ratios were adjusted in reference to 'Composition of Music Record Consumers by Age Group' published by Music Industry Association of Korea in April, 2004.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10.0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9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mages of entertainment companies, their CEOs and their entertainers differed significantly. Second, the better the image of entertainment company CEO was, the image of the entertainment company was higher. Third, the better the image of entertainment company and it CEO was, its entertainers' images were higher. Fourth, the better the images of entertainment company, its CEO and its entertainers were, consumers' purchasing intention and loyalty were higher.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correlations of image between entertainment companies and their CEOs. So far, the management industry, emerging as core of entertainment industry, has grown centered around entertainment stars, concentrating their efforts to manage individual stars' imag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not only stars' images but also entertainment companies' and their CEOs' images should be managed simultaneously. In terms of entertainment business, officials of entertainment companies are obliged to manage their companies' and CEOs' image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ir star entertainers. Lastly, this study was deemed a starting point for academic researches into the factors affecting not only stars but also their entertainment companies' and their CEOs' images for development of the entertainment management industry.

      • 傳來童話를 통해 나타난 童心의 造形化

        정동숙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20C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그들 스스로가 만들어낸 문명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정보의 홍수속에서 허우적거리고 급변하는 사회에서 도태되지 않기 위해 그들의 에너지를 소모해 버려 현대인들은 지쳐 있다. 쉬고 싶은 현대인들에게는 정신적 여유가 없어 개인주의의 성향이 짙어 지고 군중속에서 고독을 느끼며 스스로를 소외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위기상황에서도 그들이 결코 좌절하지 않고 다시 재충전하여 하루하루를 연명해 나가는것은 유년시절의 추억, 동심, 고향에 대한 향수가 내면에 깊숙히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동심은 전래동화를 통해 가장 잘 나타나 있으므로 전래동화를 통해 나타나는 동심을 조형화하는 것을 주제로 다루었다. 이에 전래동화책에서 보여지는 동화 일러스트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것을 참고로 하여 주제로 삼았고 전래동화속의 직접적인 소재로 주제를 표현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래동화에서 느껴지는 공통된 이미지를 가지고 3차원의 입체물로 조형화하였다. 전래동화에서 느껴지는 이미지는 민속적이고 토속적이며 전통적인 것인데 작품에서 이러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 가식적인 것을 배제하고 오히려 못생기고 익살스러움을 의도했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불규척적인 자유곡선을 유도하기 위해 속파내기 작업과 흙가래쌓기 작업(코일링)으로 손맛을 살리는 방향으로 제작했다. 이러한 기법으로 토속적이고 친근감을 나타내기에 매끄러운 형태보다는 유리하며, 손맛의 텁텁함으로 동심의 순수함에 가까워질 수 있게 유도하였다. 우리의 생활공간이 3차원의 세계이므로 전래동화에서의 이미지가 실제의 입체물로 제작되면 글이나 그림과 같은 2차원의 평면에서와는 달리 시각적으로 좀 더 친근하게 접근될 수 있다고 본다. Human beings living in the 20th century have been obsessed with many stresses in the civilization made by themselves. In order to keep up with the urgent situations as they could and to struggle to survive in the flood of informations, they overconsumed their energies, so that they are too tired. I think there is an apparent reason why the sentence 'modern men want to rest' became famous. Though modern men want to rest, any latitude of minds is given to them. As the result, there appeared individual inclination, solitude among people, and separation, from others. Nevertheless, they can reactivate to live day by day, never succumbing to the critical situation, because their memories, children's minds, and nostalgias for the early days are deeply immanent in their inner minds. As the children's mind is expressed through the traditional fairy tales most well, I chose the formation of childish mind as a subject matter. Hence, I searched and analyzed fairy tale book's illustration to refer these fairy tale books to choose a subject matter. In these courses I formed the common images felt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as three-dimensional structure as well as expressing the subject matter directly. The images felt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convey ethnic, local, and traditional customs. In order to express these images, I meant to express bad-looking jocularity, putting aside ostentation. In order to make irregular and free cycles, I engaged in producing an general atmosphere of handworking by digging out inner parts and coiling. Because our life space is a three-dimensional world, if we produce images felt in the traditional fairy tales as a real three-dimensional thing, we can approach more friendly and visually to it, apart from two-dimensional plane such as books or pictures.

      • W.A.Mozart의 Exsultate, jubilate K.165의 분석 고찰

        정동숙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nalyzed centering on the form, composition, melody, harmony and rhythm of the music as well as the music of Mozart and Classical times, the definition of Motet and features of the times, and the analysis of lyrics of Motet <Exsultate, jubilate K.165>. Generally, Motet is defined as vocal music style of church music made up of polypony used for the ritual of other orders except for mass with the golden age during the Middle age and Renaissance age. Motet <Exsultate, jubilate K.165> is solo motet with an orchestral accompaniment, not 4-part-chorus, made up of 2 arias with the modified sonata, 1 recitativo, and rondo-style of end alleluiah. Recitativo entirely plays the role of transition. This music has 3 movement system with solo concertos of Baroque times, so without recitativo, it can be said that it is featured as concertos for vocal music. Also, it has church style of organization of musical instruments or music structure as well as religious Latin lyrics, but there are also splendid vocal music movements and melismas & graces used, showing that church music has the secularization of opera during 18th century. Harmony is featured by the music of Classical times such as mainly using tonic 3 chords, I, IV, V and with different musical expression according to the lyrics, the meaning of lyrics is well shown through melody or tone of the accompaniment part. In particular, this music has religious Latin lyrics with the importance on the first syllable, to make lyrics and melody well harmonized. Besides, this music is church music, but has splendid accompaniment part and well harmonized instrumental element and German & Italy musical element, showing the musical features of Mozart. In particular, another feature is the maintenance of early character of motet with the natural use of harmonic element and contrapuntal element, to develop Mozarts own style. Accordingly, this music is said to be worthy as turning point into modern Motet, considering it has distinct structure. I intend to help the development of substantial techniques and skills of plays to players of this music through this analysis. 본 논문은 모차르트와 고전시대의 음악, 모테트의 정의와 시대별 특징, 그리고 모테트 <Exsultate, jubilate K.165>의 가사 해석은 물론 곡의 형식과 조성, 선율과 화성, 리듬 등의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모테트라고 하면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를 전성기로 하는 미사를 제외한 다른 순서의 전례에 사용된 다성부로 꾸며진 성악적 교회음악으로 정의할 수 있다. 모테트 <Exsultate, jubilate K.165>는 4성부 합창곡이 아닌 관현악 반주가 딸린 독창 모테트로서, 변형된 소나타 형식의 아리아 두 개와 레치타티보 한 개, 그리고 론도형식의 종결 알렐루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적으로는 경과적인 역할에 지나지 않는 레치타티보를 무시하면 바로크 시대의 독주 콘체르토 양식의 3악장 체계를 채택하고 있어서 성악을 위한 콘체르토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교적인 라틴어 가사에 악기편성이나 음악구조도 전형적인 교회음악 형식이지만 화려한 성악적 움직임이 돋보이고 멜리스마와 장식음을 많이 사용하여서 18세기 당시 오페라의 세속화 경향이 교회음악에도 나타났음을 보여주는 오페라적인 취향을 가진 모테트이다. 화성에서는 주로 I, IV, V의 주요3화음을 사용하는 등 고전시대의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가사의 내용에 따라 음악적 표현을 달리하여 가사가 지니는 의미를 선율이나 반주부의 음형 등을 통하여 잘 표현해 주고 있다. 특히 라틴어로 된 종교적 가사를 사용한 이 곡은 첫음절의 액센트를 중요하게 여기는 라틴어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사와 선율이 잘 조화를 이루도록 표현하였다. 이외에 이 곡은 교회음악이면서도 반주부가 화려하고, 기악적 요소와 당시의 독일과 이탈리아의 음악적 요소가 잘 조화되어 있다는 점에서 모차르트의 음악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화성적인 요소와 대위법적인 요소를 자연스럽게 사용하여 초기 모테트의 성격을 잘 유지하면서도 모차르트만의 스타일로 발전시킨 것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이 곡은 뚜렷한 구조를 가지는 모테트라는 점에서 근대 모테트로의 전환점을 이룬 작품으로 그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본 논자는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이 곡을 연주하려는 연주자에게 보다 실질적인 연주표현의 기술 및 기교의 개발을 위하여 작품의 분석 고찰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카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천우학(千羽鶴)』고찰 : 대조적 구조를 중심으로

        정동숙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川端康成(1899~1972)の『千羽鶴』は、第8回日本芸術院賞を受賞した作品であり、1949年から1951年まで約2年半にかけて段階的に発表された。敗戦後、日本美の伝統を受け継ぎ、中世的幽玄美を追い求めた小説として、『雪国』(1935~1947)、『古都』(1962)とともにノーベル文学賞の主要対象になった作品である。 『千羽鶴』には、登場人物間の対照の様相以外にも過去と現在が交差し、現実世界と非現実世界が同時に描かれている。だけでなく、二代にかけた汚辱の人間関係とその消滅、茶器のような芸術品の持つ永遠な生命力に対する人間の有限性など、実に多様な対照的構造が存在すると言える。 本論の第1章では、主要人物間の対照様相を分析して見たが、作品の中には父子関係の男性に対して、彼らと直․間接的に縁を結んでいる四人の女性が存在することで「男性と女性」という対照的関係が成立されていた。四人の女性の中でも女性性を失ったあげく男性化されてしまった人物の存在を通じて、もう一度「男性と女性」という対照関係が成り立つことが分かった。また、四人の女性は純潔と官能、救援と呪詛に大別されるイメージを持っていて、女性たちの間にも対照関係が見られる。 第2章では、伝統的な美意識と現実の対照様相に重点を置いて考察したところ、まず「わび」の精神が充満すべき茶室という伝統的空間が『千羽鶴』の中の現実では堕落した人間関係が芽ぐむ空間に転落し、混濁の様相を作り出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また、作品の根底でかすかに染み出る伝統的幽玄の趣とは対照的に、現実は混濁の様相そのものを見せ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 第3章では、悠久な歴史を持った芸術品の永遠性に対する人間という存在の有限性、汚濁でごっちゃになった人間の生と罪の意識が芸術品の持ったエネルギーと生命力に浄化される様相などが現われ、芸術と人間の間にも対照的構造が成立されることが分かった。特に、茶器はこれを所有した人間の分身であり、同時に象徴物としての芸術品が人間の汚濁を浄化し出す様相を見せることで、対照構造成立の中心に存在すると言える。 川端はこのような対照的構造を配置することで、まず人倫に背いた人間と、汚辱を追いながら逸脱した生を生きて行く人生に警鐘を鳴らしたように見える。究極的に生の本質を探求し、正道を追い求めようとする意志を披露したのである。 第二、作家は人間という存在が結局人間によって救援されることを作品の中で示唆し、人間に対する愛情のこもった視線を見せていると言える。汚辱の那落に落ちた度し難い人間と言っても、彼らを浄化して救援する要素は作品の中でいくつ見つけることができる。その中でも汚辱の那落に落ちた菊治がゆき子と文子という二人の女性により救援される様相がきちんと描かれているし、作品の結末を通じて救援の可能性を残しておくことで、その幅はもっと拡がっているとも言えるだろう。その過程でちか子のような、呪いを垂れる人物を配置することで救援の様相はもっと著しく見えた。 第三、川端は『千羽鶴』を通じて源流から脱して堕落した現実の茶道を批判することで、千利久当時の「和敬清寂」を基本にした「わび」の精神を取り戻し、茶道本然の姿に回帰するように訴えているのだ。それに現実の感覚的で官能的な美しさではなく、存在の内面で微かに染み出る幽玄美と悠久な芸術の生命力を見つけさせようとした点も、彼が『千羽鶴』を通じて志向したことだと言える。 今後、川端の他の代表作に現われた対象構造とその様相に対しても研究しようとする。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을 매개효과로

        정동숙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nd then look into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Study subjects were 31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This study used following 4 study tools: (1) in order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demographic features, a survey of 9 questions was conducted; (2) in order to look into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this study used the job stress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Clark (1980), modified by D′Arenzo, Morraco & Krajeski (1981), supplemented by Shin, Hye Yeong (2004)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utilized by Baek, Yeong Sook (2014); (3)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this study used the ego-resilience measurement tool, developed and validated by Klohen (1996) based on 29 items of CPI (C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which are related to ego-resilience, adapted by Park, Hyeon Jin (1996), and utilized by Bae Mirinae (2014), by modifying them; and (4)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developed by Jo, Seong Yeon et al. (2011) and utilized by Choe, Seon Gyeong (2011).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the SPSS 23.0 program and following analytic techniques were used: (1) in order to examine respondent's demographic features,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2)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measurement too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3)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of every scale, inter-item consistency coefficient (Cronbach's alpha) was calculated; (4) in order to confirm whether every variable satisfies normal distribution hypothesis, the values of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5)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6)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sub-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n job satisfa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7) in order to verify whether ego-resili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verification procedure of mediating effect of Barron & Kenny (1986) and in order to re-verify the mediating effect, Sobel Test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all the sub-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ego-resilience and turnover inten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e 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role. Study findings seem to be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eem to suggest the fact that job stress could decrease job satisfaction, but ego-resilience could increase job satisfaction.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establishment of diverse support systems to increase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including some ego-resilience programs, thus decreasing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stress, increasing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their positive performance of job, and increas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재직 중인 보육교사 314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네 가지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9문항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Clark (1980)가 개발하고 D′Arenzo, Morraco 와 Krajeski(1981)가 수정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신혜영(2004)이 보육교사에 맞게 제작하고 백영숙(2014)이 활용한 직무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Klohen (1996)이 캘리포니아 인성검사(alifornia Personality Inventory; CPI)에서 자아탄력성과 관계있는 29개 문항을 구성하고 타당화하여 개발한 도구를 박현진(1996)이 번안하였고, 배미리내(2014)가 활용한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조성연 외(2011)의 한국형 보육 교사직무 만족척도(Korean Childcare Teacher's )를 최선경(2011)이 활용한 직무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은 SPSS 23.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절차는 첫째, 설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각 척도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 ) 계수를 산출하였다. 넷째, 각 측정변인이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값을 산출하였다. 넷째, 각 측정변인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Bar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재검증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이직의도는 각 하위요인 전체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아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를 감소시키더라도 자아탄력성이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도모하는 다양한 자아탄력성 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지원체계가 구축되어 보육교사들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보육교사들의 긍정적인 직무수행을 통한 직무만족이 높아져서 보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