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속사회에서 포스트세속사회로

        정대성(Jeong, Dae-seong) 대한철학회 2011 哲學硏究 Vol.119 No.-

        헤겔이 1802년 〈신앙과 지식〉을 내놓은 때는 서구사회에서 세속화의 과정이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던 시기이다. 그 책 역시 세속화의 관점에서 종교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거의 200년이 지난 2001년 하버마스가 동일한 제목의 소책자를 발간하였는데, 이 책에서는 세속화의 과정에서 온 부작용에 대한 고려가 담겨 있다. 동일한 제목의 책이 가로 놓인 지난 200년간 종교에 대해 다시 논의해야 하는 상황이 등장했다. 그것은 세속화와 더불어 의미상실의 문제가 심각해 졌다는 것이다.이 글은 헤겔의 종교론이 왜 세속화를 지지하는 방식으로 읽혀야 하는지, 그리고 하버마스는 왜 포스트세속사회를 말하는지 탐구하고 있다. 그리고 말미에 한국사회에서 종교문제는 포스트세속을 말하기에는 아직 세속화를 거쳐야 하는 이유에 대해 소략하였다. Die Arbeit zielt darauf, die Positionen von Hegel und Habermas hinsichtlich der Religion ans Licht zu bringen. Hegels Denken richtet auf die Säkularisierung in dem Sinne, dass er die Religion als eine kulturelle Erscheinung und Gott als einen Gegenstand der Erkenntnis (nicht des Glaubens) ansieht. Im Gegensatz dazu laesst sich Habermas’ Philosophie in der Hinsicht der Post-Säkularisierung lesen in dem Sinne, dass er der in dem Vorgang der Säkularisierung unterdrückten Religion eine bestimmte Rolle gibt, um z. B. das Problem des Sinnverlusts zu vermeiden, das mit der Säkularisierung hervorgerufen worden ist.

      • KCI등재

        2부 일반논문 : 철학의 역사에서 언어의 위상변화와 “인문언어학”의 철학적 함의

        정대성 ( Dae Seong Jeong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5

        20세기 초에 진행된 ‘언어적 전회’는 “가장 최근에 발생한 철학의 혁명”으로서 철학의 역사에서 사유의 패러다임적 변혁으로 평가받는다. 20세기 사유의 혁명은 언어가 인문현상의 핵심이고, 심지어 결정적 요소라는 것, 그리고 인문현상은 언어(적으)로 표현된다는 것 등을 현대철학과 인문학의 상식으로 만들었다. 이런 점에서 현대철학은 ‘언어’철학, 현대인문학은 ‘언어’인문학이라 부를 수도 있겠다. 인간의 사유의 이런 혁명적 변화는 오늘날 언어학 자체의 변화도 요구하였다. 자연의 사물들을 지배하는 보편적 법칙을 찾고자 했던 자연과학의 방식처럼 전통의 언어학은 언어의 보편적 법칙을 찾고자 했었다. 하지만 최근의 사유의 혁명은 ‘언어는 사유와 동근원적’이라는 생각, 언어는 대상을 주체에게 전달하는 도구(instrument)가 아니라 인간이 자신을 체현하는 매체(medium)라는 생각, 인문현상과 언어현상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생각 등이 일반화 되면서, 언어학 역시 이런 주장들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모든 인문현상이 언어로 표현된다면 인문현상과 관련한 모든 것들이 언어학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요청을 받게 된다. 간단히 말하자면 이것은 언어학이 법칙추구에 방해가 되는 비언어적 요소들(제스처, 표정, 억양, 이미지 등) 내지 법칙화에 어려움이 있는 언어현상들(서사 등)을 언어학의 영역에서 제외했던 계몽적, 실증주의적 언어학을 비판적으로 넘어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언어학이 인문현상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제 언어학은 ‘인문’언어학(human linguistics)이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인문언어학이 따르는 테제는 다음과 같다.: ‘이성과 언어는 동근원적이다.’ ‘모든 인문현상은 언어적이다.’ ‘세계는 언어구성물이다.’ ‘원시언어는 없다.’ 이 글은 인문언어학으로의 이행의 필연성을 철학의 관점에서 해명하고, 인문언어학이 기반하고 있는 테제들을 서술한다. The ‘linguistic turn’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s evaluated as the “most recent philosophical revoluti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is revolution in contemporary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stresses that language is a central human phenomena and even their decisive element, and that human phenomena are expressed linguistically. In this regard, contemporary philosophy can be considered to be ‘language’ philosophy, and the contemporary humanities to be ‘language-centered’ humanities. This revolution of thought furthermore urges a change of linguistics itself. Traditional linguistics was looking for universal laws of language just as the natural sciences were searching for universal laws that govern nature. But if human phenomena are expressed linguistically, everything related to them has to be the subject of linguistics. This means that linguistics must critically overcome the Enlightenment linguistics which excluded non-verbal elements and language phenomena that hinder findings of laws (ex, gesture, mimic expression, intonation, image and narrative etc.) from the area of linguistics. As much as linguistics takes into account the real human phenomena it must nowadays be a ‘human’ linguistics. In this respect, the basic assumptions of a human linguistics are as follows: ‘language and thought have the same origin’; ‘all human phenomena are linguistic’; ‘the world is a construct of language.’ This article argues for the inevitability of such a transition to human linguistics from the point of view of philosophy and explains its main theses.

      • KCI등재

        번역과 표상 - 그리스어 psyche와 pneuma의 번역을 중심으로

        정대성(Jeong, Dae Seong)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7 No.-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Western thought, it would be impossible from the beginning to reveal the original representation itself. In many cases, the transitions in our society do not reveal the representations of the original language at all. Hence, this research examines this issue of translation and representation based on the translation of ‘psyche’ and ‘pneuma.’ The Greek ‘psyche’, which translates into the soul, and the ‘pneuma’, which translates into the spirit(/Geist) are example for this problem. In our language, these words are overwhelmingly religious and mysterious, whereas in the West they are used in secular ways too. In Europe, soul is no longer understood as mystic or religious entity, but as psychological subject. The translation of pneuma is more problematic. In religion, it is translated into ‘yong’, and in academia into ‘jeongsin’. However, our representation of these two words are completely different. This paper examines the problem of transl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se words in the Bible. 본 논문은 영혼으로 번역되는 그리스어 프시케(psyche)와 정신(/영)으로 번역되는 프뉴마(pneuma) 개념의 번역에서 오는 표상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우리 언어에서는 영혼과 정신(/영)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많은 경우 중세 유럽이 그러했듯이 종교적으로 채색되어 있다. 세속화의 과정을 거친 유럽에서 영혼은 더 이상 어떤 실체로 이해되기보다는 심리적 주체로 간주된다. 프뉴마의 번역은 더욱 문제가 있다. 종교에서는 이를 영으로 번역하고, 학계에서는 정신으로 번역한다. 이 두 번역어의 표상은 우리에게 상이하게 다가온다. 어쨌거나 이 개념들은 서양에서 엄밀하게 구분되어 있고, 그것도 세속화된 방식으로 사용된다. 이미 세속화된 유럽에서 이 개념들은 세속사회와 종교영역 양쪽에서 함께 사용된다. 종교의 영역에서 영으로, 세속영역에서 정신으로 번역하는 우리와 구별되며, 이것은 동일한 개념을 전혀 다르게 표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사회에서 종교와 세속사회의 대화가 더 힘든 이유 중 하나가 된다.

      • KCI등재

        권리와 자격의 공동체에서 욕구와 연대의 공동체로 : 하버마스 실천이론의 근원적 기획과 그 한계에 대한 연구

        정대성(Jeong Dae-Seong)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59 No.1

        The practical philosophy of Habermas can be interpreted as putting the community of rights and entitlements which leads the post-capitalist society on the community of needs and solidarity. The reason why he stresses the latter community lies in the point that plurality or pluralism must be considered as a concrete form of the project for the modern emancipation. While the reason of the enlightenment that bases on the trans-historical and transcendental universality comes down on the nature, need or inclination, the communicative or discursive reason takes a positive view about the matter, for the satisfaction of needs(nature) is a great moment for the well being or the happy life. The well being or the happy life can be read as perfection of the utopian project, whereas the just life aims at the community of rights. The reason why Habermas brings nature or need into the realm of the rationality lies in the fact that they are formed in the culture which is in historical-social concreteness. Now then, this study will show in which points Habermas' idea of the community of needs and solidarity is fallen in an universalism bias. 하버마스의 철학적 작업은 후기자본주의사회를 주도하는 권리와 자격의 공동체의 일면성을 비판하고 욕구와 연대의 공동체를 그에 보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때 그가 욕구와 연대의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오늘날 일반적 현상으로 다가오는 다원성을 정당화하기 위함이다. 그는 '자율적 개별자들의 공동체'라는 근대해방의 기획의 완성을 오늘날 일반적 가치로 자리한 '다원성', 혹은 '다원주의'의 실현으로 해석한다. 근대 계몽의 이성은 초역사적, 선험적 보편성을 추구하는 가운데 인간의 본성, 혹은 자연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드러내는 데 반해,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적 이성, 혹은 논의적 이성은 자연, 특히 욕구에 대한 합리적 해석의 가능성을 제기한다. 욕구의 만족은 행복한 삶의 중요한 계기가 되는데, 행복한 삶, 혹은 좋은 삶은, 정의로운 삶이 권리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데 반해, 유토피아적 기획의 완성으로 읽힐 수 있다. 하버마스가 자연을 합리성의 영역으로 가져오는 이유는 자연의 하나인 욕구는 역사적-사회적 구체성을 옷 입고 있는 문화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다양성의 핵심이 다문화의 인정에 있다면 그것은 각각의 문화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욕구의 인정, 타자의 욕구의 인정을 핵심으로 한다. 물론 하버마스가 상정하는 타자는 다분히 미드가 말하는 '일반화된 타자'여서 구체적 욕구를 가진 구체적 타자와 거리가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즉 그의 욕구와 연대의 공동체는 그가 비판의 출발로 삼았던 보편주의에 편향되어 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 KCI등재

        자유주의와 공화주의를 넘어서

        정대성(Dae Seong Jeong) 철학연구회 2015 哲學硏究 Vol.0 No.108

        The political philosophy of Hegel receives a new interest because neoliberalism has revealed its limits. His political philosophy must to be investigated in relation with the important political legacy of modern liberalism and republicanism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Hegel’s philosophical system. Hegel emphasized the autonomy of the economic and the political life by distinguishing the civil society and the state. And he presented a prototype of a social state by asserting the superiority of the political to the economic liberty. He conceptualized, in fact, the idea of a social state by integrating liberalism and republicanism Hegel’s reason to regard the economic and the political sphere as the embodiment of the ‘objective spirit’ lies in the fact that all those communities are based upon the principle of liberty. Hegel asserts that the essence of spirit is liberty whereas the essence of nature is gravity. But because the objective spirit is only ‘aware of himself’ indirectly, i.e. through his embodiments in the ethical communities, he is inferior to the ‘absolute spirit’ who knows himself directly and therefore expresses his liberty perfectly. Therefore art, religion and philosophy which are regarded as the three areas of the absolute spirit represent a higher state of liberty of man than the ethical communities. The participation of mankind in the absolute spirit, that is, in the activities of art, religion and science/philosophy shows that man is a spiritual or free being. Thus Hegel’s conception of a social state is aiming at obtaining the spiritual liberty which man can reach only through economic and political liberty. In this regard, the state is considered as a condition and a tool for the spiritual liberty of its members. Therefore, the concept of Hegel’s state is not to be understood nationalistically or even just as a prehistory of Marxism. His political philosophy which emerged in a time when liberalism clearly revealed its limitations shows how the state should look like in our time where neoliberalism reveals its limitations.

      • KCI등재

        ‘서사’의 철학적 의미와 독일철학에서의 연구경향

        정대성 ( Jeong¸ Dae-seo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2

        1960년대 이후 ‘서사’는 계몽과 과학주의를 비판하기 위한 인문-사회과학의 핵심개념으로 부상하였다. 이 글은 서사의 어떠한 측면이 학문에서의 “서사적 전회”라고 할 만큼의 의미를 갖는지를 탐색하고, 이 운동이 합리주의적 전통이 강한 독일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비판적으로 보고한다. 계몽의 기계론적 세계관은 세계에 대한 많은 이해를 가져왔지만, 동시에 인간에 대한, 적어도 인문현상을 설명하는 데는 일종의 왜곡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서사적 전회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장이다. 인간의 역사와 문화가 있는 모든 곳에 서사가 있었고, 또 있다고 한다면, 인문현상의 핵심에 서사가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계몽은 서사, 혹은 이야기를 대상에 대한 객관적 서술로 보지 않으며, 따라서 대상에 대한 과학적 진술로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인문현상을 설명한다고 하면서 인문현상의 핵심을 배제하는 아이러니를 범한다. 그런데 서사적 전회에서도 서사를 바라보는 두 개의 큰 시선이 있다. 하나는 해체론적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해석학적 관점이다. 프랑스를 중심으로 하는 해체론적 관점은 ‘실재 자체가 하나의 이야기’라고 함으로써 현실과 가상, 실재와 허구 사이의 구분을 없애버린다. 이에 반해 해석학적 관점은 허구적 이야기와 현실적 이야기의 구분을 강력하게 주장하는데, 이는 특정한 이야기는 이 이야기가 대상으로 하는 현실을 지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단순한 유희로 끝나지 않고 현실적으로 풀려야 하는 문제들이 인간 세계에는 상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랑스의 서사학자 리쾨르는 이해석학적 전통의 가장 중요한 인물이다. 독일의 서사 운동은 리쾨르에 빚지고 있는데, 그것은 독일의 오랜 합리주의적 전통에 따른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Since the 1960s,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has emerged as a key term in the humanities when it comes to a critical demarcation from scientism and enlightenment. First, this article explores which aspects of this new concept are so outstanding that some philosophers are speaking of ‘a narrative turn’ in the history of thinking. Secondly it critically discusses how this movement unfolds in Germany where the rationalist tradition is very strong. The protagonists of ‘the narrative turn’ argue that the Enlightenment has, on the one hand, facilitated our understanding of the world, but that it has, on the other hand, lead to a distortio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realm. If there were and are narratives prevalent in every history and culture of human beings, then the concept of ‘narratives’ must be put in the center of the humanities. However, according to the Enlightenment tradition, ‘narratives’ or ‘stories’ cannot be a sufficient instrument in the description of any object because of their unscientific nature. Therefore Enlightenment might lead to the paradox situation that it explains the human phenomena while eliminating their core. There are two ways to welcome the narrative turn; one is a deconstructive perspective and the other is a hermeneutic point of view. The former eliminates the distinction of reality and fiction by insisting that ‘the reality is as such a story’. The latter, however, argues strongly the distinction between fictitious and real stories. It claims that some stories indicate realities in the human world that point to problems that must be solved. Paul Ricoeur, a French narrativi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gures in the tradition of hermeneutics. The movement of the narratology in Germany which follows his approach (that does not belong to the deconstructive type) integrates the long rationalist tradition of German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