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지털 컨버전스 기기를 위한 지역 버퍼 캐쉬 파일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근재,조문행,이철훈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8

        Due to the growth of embedded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and storage devices, digital convergence devises is ever growing. Digital convergence devices are equipments into which various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playing movies and wave files and electronic dictionarys are integrated. Example are portable multimedia players(PMPs), personal digital assistants(PDAs), and smart phones. Therefore, these devices need an efficient file system which manages and controls various types of files. In designing such file systems, the size constraint for small embedded systems as well as performance and compatibil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partial buffer cache technique. Contrary to the traditional buffer cache, the partial buffer cache is used for only the FAT meta data and write-only data.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e could enhance the write performance more than 30% when the file size is larger than about 100 KBytes. 오늘날 내장형 장치의 보급 증가와 반도체 및 저장장치 기술의 발달로 인해 디지털 컨버전스 기기들이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컨버전스 기기는 PMP, PDA, 스마트폰 등과 같이 하나의 디지털 기기에 통신, 동영상과 음악 재생, 전자 수첩, 전자 사전 등의 기능이 집적된 장치를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에는 여러 기능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효율적인 파일 시스템의 설계가 필요하다. 파일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는 소형화된 내장형 장치에 맞는 사이즈, 성능, 호환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 버퍼 캐쉬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버퍼 캐쉬에 비해, 부분 버퍼 캐쉬는 FAT 데이터와 쓰기 전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일 크기가 100KByte가 넘는 경우, 부분 버퍼 캐쉬를 사용함으로써 쓰기 성능을 30% 이상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의 재귀동사와 타동성/탈타동성과의 상관관계 연구

        정근재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1

        This paper reviewed the study of reflexive verbs in the Serbian/Croatian language. In this paper, the author analyzed reflexive verbs from a syntactic aspect rather than looking at them from a semantic and morphological aspect. Therefore, the view of traditional grammar and transformational grammar on reflexive verbs was also adopted as an important framework for analysis. First, the author looked at the origin and various names of ‘se’. ‘se’ was called a reflexive pronoun or particle, and it was observed that some scholars (Babic, Stevanovic) use both terms. However, the fact that ‘se’ originated from a pronoun was a common view of scholars. In this paper, based on the existing reflexive verb classification, a total of 9 groups are classified. To analyze the transitivity and detransitivity of verbs, the rules of reflexivity and transformation mentioned in the standard theory were applied. In particular, referring to Sells(1987), ‘se’ was explained through example sentences that the explanation of traditional grammar, is not always correct, and such a claim loses legitimacy when viewed syntactically.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reflexivity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sentence. In the syntactical process of reflexivity, it was found that the reflexive pronoun ‘sebe’ can be replaced with any other noun phrase that perfoms the function of the direct object in the non-reflexive syntax. In the lexical process of reflexivity, ‘se’ must be correlated with a verb, and is not pronoun clitic which denotes an object, but is only lexical marker that denotes occurrence of reflexivity, i.e. detransization. 세르비아어는 재귀구문이 발달한 언어 중의 하나이다. 슬라브어계에 속하는 모든 언어들은 독일어 등과 같이 재귀적 언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데, 러시아어에서는 재귀 접미사 –sja, 폴란드어는 się, 체코어는 se로 재귀동사가 구현되며,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에서는 체코어와 마찬가지 형태인 se로 재귀 의미가 표현된다. 하지만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의 se는 러시아어의 -sja와는 달리 동사 원형에 첨부되는 형태가 아닌 독립적인 소사(小辭) 형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형태의 문법적 성격을 규정함에 있어 여러 학자들의 학설이 나뉘어져 있다. 많은 수의 세르비아/크로아티아의 학자들은 se를 재귀대명사로 규정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많은 학자들 또한 se를 소사라고 규정하기도 한다. 일부 소수의 학자들은 se를 형태소나 재귀 표지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se의 명칭을 두고 여러 의견으로 나뉘는 이유는 재귀동사를 의미적 측면에서 바라보는지 아니면 통사적 측면에서 바라보는지가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재귀 접어 se의 기원과 다양한 명칭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기존의 세르비아/크로아티아 전통 문법에서 재귀동사를 어떻게 분류하고 설명하는지를 살펴본 후 저자 나름의 분류 방법을 제시할 것이며 셋째,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 동사의 타동성과 자동성, 그 과정에서의 탈타동성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더불어 타동성과 자동성을 고찰함에 있어 주어와 목적어의 관계를 분석하고, 타동사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타동성을 상실하고 자동사화 하는지, 의미적 측면에서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구유고슬라비아 지역의 언어 정책과 민족주의 - 크로아티아를 중심으로 -

        정근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3 슬라브연구 Vol.39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ook at Croatia's language policy and nationalism in a diachronic and syntactic way. First, we look at why Croatian Illyrians in the 19th century agreed to the Vienna Octopus Agreement, which gave up kajkavski and adopted stokavski as an octopus, as well as what Croatian language was considered by Starcevic, a representative Croatian nationalist at the time. Due to the establishment of Banovina Hrvatska and NDH, Croatian nationalists began to emphasize the specificity and individuality of Croatian, speaking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Croatian and Serbian. They adopted etymological spermatogies instead of phonological spermatogies, and established HDUJ after institutions in fascist Italy and Nazi Germany. HDUJ was the central organization for language propaganda. When Croatia officially became an independent country in 1991, linguistic nationalism and linguistic purism raged in Croatia, and nationalist politicians used language as a tool to promote nationalism, and nationalist linguists used linguistic nationalism as a way to expand their influence and pursue private interests. 크로아티아는 1990년대 초 구유고슬라비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쟁취하면서 민족주의가 절정에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언어 정책과 민족주의가 상호 상승 작용을 불러 일으켰다. 본 논문에서는크로아티아의 1990년대 민족주의적 언어 정책을 이해하고 그 뿌리를 알기 위해 역사적으로 크로아티아인들이 어떻게 언어에 접근했는지, 어떠한 언어 정책을 가졌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 논문은 크로아티아에서 일리리아 운동이 실패한 후 크로아티아 민족주의자들이 세르비아어와의 언어 통합에 대해 어떻게 생각했는가를 살펴보고, 유고슬라비아 왕국 하에서 광범위한 자치를획득한 ‘바노비나 흐르바스카’ 시절과 ‘크로아티아 독립국’ 시절의 언어 정책을 살펴 보면서 1967년의 ‘선언’과 1990년대 민족주의적 언어 정책을 이해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