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전혜인(Hae-In Jeon),정효철(Hyo-Chul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특수교육 현장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은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주어지는 역할인데,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 운영에 어려움을 경험한다는 선행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 경험 및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제안사항 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경력 15년 이상의 특수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은 일대일 심층면담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을 전사본으로 작성 후,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주제 6가지와 하위주제 12가지가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대주제와 하위 주제는 다음과 같다; 교사마다 다른 교육과정 운영, 교육과정 적용의 어려움, 부족한 지원체계, 전문적 자질 문제, 통합학급에서 더 어려운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학학급 교사의 매일의 고민. 논의에서는 특수교육대상학생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적합한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며 제언하였다. In special education, the oper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is a role given to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and there are prior studies that many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by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special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difficulties and suggestions in operating the curriculu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pecial and integrated teachers with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and all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fter all the interviews have been prepared in full-length versions, the analysis has resulted in six major subjects and twelve subtopics; each teacher has different curriculum operations,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curriculum, insufficient support systems,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daily concerns of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In the discussion, the direction of operation of special education courses for students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curriculum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presented and proposed.

      • KCI등재

        부모 동료 상담에 참여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인식 및 경험

        전혜인(Jeon Hae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는 자녀의 장애 유형과 장애 특성을 고려한 부모 간 일대일 지원활동인 ‘부모동료상담’에 참여한 부모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경험이 갖는 의미와 구조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충남지역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특수학교 재학생의 부모 10명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 중 5명은 발달장애인 자녀를 양육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부모들이었으며, 연구 참여자들 중 5명은 장애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후배 부모를 정서적으로 지원하기로 한 부모들로서 이들 연구 참여자들 모두는 부모 동료상담에 참여한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결과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 수집 결과, 선배부모의 경험으로 ‘감사와 행복’, ‘힘들지만 후배 사랑’, ‘보람과 연대’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후배부모의 경험으로 ‘지금껏 경험 못한 위로와 기쁨’, ‘맞춤형 도움’, ‘감사와 부모연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인 부모동료상담을 통해 지원을 받은 부모와 제공한 부모 모두 다양한 형태의 도움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고, 부모동료상담이 다양한 연령의 자녀를 지닌 부모들에게 모두 효과가 있으며, 아버지들 간의 지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지원 인력풀이 조성되어 다양한 연령과 다양한 장애특성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을 하는 것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안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s for parents who participated in ‘parent peer counseling’, a one-on-one support activity between parents, considering their children s disability types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Method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on 10 parents of special schoo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in Chungnam. Fiv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arents who had difficulty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fiv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parents who decided to emotionally support junior parents who experienced difficulties rais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ll of whom participated in parent-to-parent ptogram. Results As a result of collecting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pics of “audit and happiness,” “hard but junior love,” and “reward and solidarity”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s of junior parents, and topics of “comfort and joy,” “customized help,” and “parent solidarity.”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both parents and parents who received support through peer counseling for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ceived various forms of help, and that parental counseling was effective for parents of various ages. Subsequent studies suggest that a pool of support personnel will be created to conduct many studies on customized support according to various ages and various disability characteristics.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

        정유진(Jung, You-Jin),전혜인(Jeon, Hae-I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신이 담당하는 학급에서 성행동 문제를 갖는 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6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수집된 면담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와 10개의 부 주제로 나타났다. 첫째, ‘성문제 행동 마주하기’주제에서 교사들은 성문제 행동을 자연스러운 현상, 고쳐야 하는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둘째, ‘내가 해줄 수 있는 일’주제에서는 성문제 행동을 지켜봐주기, 적극적으로 지도하기의 지도 방식으로 나타냈으며, 셋째, ‘성문제 행동 지도의 장벽’ 주제에서는 지도하기 어려운 아이들, 내가 하는 게 맞는 걸까, 가정의 비협조와 같은 어려움 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바라는 지원’이라는 주제 하에 함께 해요, 환경의 변화, 활용 가능한 실제와 같은 부 주제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을 제시하고, 학교현장에서 발달장애학생의 성문제 행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실제적이고 활용가능한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the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aling with sexual problem behaviors of development disability. For this, we had an in-depth interviews with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taught students with sexual problem behaviors. In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collected data, four themes and ten sub-themes came up as follows. First, in the theme of encountering the sexual problem behaviors, teachers recognize the sexual problems as natural behavior and the problem that needs to be fixed. Second, in the theme of the thing what I can do for that, two sub-themes were turned up such as observe the situation and guide positively. Third, in the theme of an obstacle to the guidance of sexual problem behaviors, three sub-themes were showed such as difficult students to guide, what I am doing is right, the family noncooperation. The last, under the theme of wanted support, there were three sub-themes that are join us, environmental change, applicable practices. According to this result, we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uide such students with substantial and applicable support in school.

      • KCI등재

        육아휴직 후 복직한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사발달에 관한 연구

        서정은(Seo Jung Eun),전혜인(Jeon Hae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7

        본 연구는 육아휴직 후 복직한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들이 교사발달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통해 성장해 나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년 이상의 보육경력과 최소 6개월의 육아휴직을 경험하고 복직한 D광역시에 근무하고 6인의 교사를 대상으로 9주간 심층 개별 면담, 전화면담으로 6회씩 총 12회 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복직 후 일과 가정의 양립의 과정에서 마주하게 되는 혼란과 어려움, 엄마와 교사로서의 갈등관계, 직장에서는 달라진 직책과 업무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점차 엄마와 교사로서 균형을 유지하면서서 출산과 육아휴직 경험이주는 긍정적 의미를 발견하고 교직에 대한 소중함과 만족감, 나아가 교사로서의 발달적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의미를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복직과정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교사들을 이해하는데 실직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현장에서의 복직교사를 지원하는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질 것이다. In this study, we wanted to find out what kind of experiences daycare teachers who returned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grow through in the process of teacher development. To this e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terviewing six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and six telephone interviews for six teachers who worked in D Metropolitan City after more than five years of childcare experience and at least six months of parental leave. Gradually, while maintaining balance as a mother and a teacher, we were able to discover the positive meaning given by the experience of childbirth and parental leave, and to discover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and to further influence the developmental change as a teacher. This will help teachers who experience difficulties in the reinstatement process, and it will be meaningful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support these reinstatement teachers.

      • KCI등재

        구개결손이 있는 환자에서 연구개거상장치를 제작한 증례

        전혜인,이예찬,김정훈,박규형,차인호,박영범,Jeon, Hae In,Lee, Ye Chan,Kim, Jung Hoon,Park, Kyu Hyung,Cha, In-Ho,Park, Young-Bum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2

        본 증례는 2016년 점액표피양 암종으로 인해 종괴 제거 후 발음이 잘 되지 않는다는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로 의뢰 된 38세 여환으로, 구개 거상장치를 제작하고 연성 이장재를 사용하여 연구개를 거상시켜 발음 및 연하 개선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열중합 레진으로 교체하였다. 이후 환자는 발음 및 연하에 있어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This report is a case of 38-year old female patient who had a chief complaint about having pronounciation disorder after going under mass excision due to mucoepidermoid carcinoma. She was referred to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Yonsei university. Palatal lift prosthesis was fabricated which was then relined with tissue conditioner. Evaluations on phonetics and swallowing were done and improvements were shown. Tissue conditioner was replaced with heat polymerizing resin and the patient was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reatment.

      • KCI등재후보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전혜인(Jeon Hae i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1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9세-12세에 해당하는 지적 장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설계를 사용하여 5명의 실험집단에게는 총 12주에 걸쳐 24차시에 해당하는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5명의 통제집단에게는 본 연구의 중재인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은 동화구연듣기, 토의하기, 동화내용과 관련한 미술활동하기, 동화내용과 관련한 연극 활동하기, 몸으로 표현하기 등의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이 제공된 실험집단의 사회성 기술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동화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성 향상을 위해 동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fairy tales-based social skills program on enhancing the social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students(9-12 years old) in Dajeon. The fairy tales-based social skills program was provided to 5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for twelve weeks while no program was delivered to the other 5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fairy tales-based social skills program might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iscuss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at the end of this study.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Hae-In Jeon(전혜인),Pyung-Gang Jung(정평강),Hye-Kyung Lee(이혜경)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정서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결혼이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48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은 어머니의 연령과 가구소득과 유의미한 관련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자녀들의 전반적 행동특성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이 높은 수준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녀가 연령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결혼만족도 역시 자녀의 내면화된 문제와 외현화된 문제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amo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he factors includ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rried immigrant women. Surveys were distributed to 200 married immigrant women and, 148 surveys were return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ge of their mothers and household income. Second, acculturative stress in married immigrant wome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overal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 Third, children whose mothers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acculturative stress and were of older age showed internalizing problems. The level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also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ub-categorie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aside from acculturative stres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develop preventative program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a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정효철(Jeong Hyo-Chul),전혜인(Jeon Hae-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과정을 수정하는 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분석 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충청남도 공립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10명과 2학기 이상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도한 통합교사 10명, 특수교사 경력 10년 이상의 초등학교 교장 2명을 선정하며 8주간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먼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특수교사와 통합교사는 의욕적으로 협력했고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의 인식 역시 매우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이전 교사의 교육과정 수정을 그대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며 효과적인 통합교육 교육과정은 실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인식을 보여줬다. 다음으로 정부에서 제공하는 통합교육 교육과정 수정 프로그램은 통합교육 현장에 적절하게 활용되지 않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끝으로 학생 수의 감소에도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내용 교과의 교육과정 운영은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결론 그러므로 지금까지 집중했던 교사 간 협력적 관계 개선, 교육과정 운영 및 수정 연수 등의 연구에서 벗어나 현장 중심적인 교수적 수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며, 더불어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특수교육대상학생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을 제안한다. 후속 연구로는 내용 교과가 통합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이유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instructional modification on the teaching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s practiced in the integrated education field based on examination of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education class teachers working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Methods To this end, 10 special teachers working at Chungcheongnam-do public elementary school, 10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coached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for more than two semesters, and two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speci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I did a qualitative research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m for eight weeks. Result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special and integrated education teachers attempted strong motivation and official cooperation for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y almost copied the curriculum of predecessors. It also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will not be effective in the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Next,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is not properly utilized in the integrated education field. So they strongly argued that a separate program was needed to solve this. Finally, even with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instructional modific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content subjec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not done efficiently. Conclusions Therefore, we should stop the research of improving teacher cooperation and formal instructional modification that we have focused on so far. And I suggest that instructional modification study should be conducted closely with the special education class. I also propose to introduce a machine learning program to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study why subjects other than Korean and math are not operated efficiently i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을 위한 내용 체계 개발 - ICF 모델을 중심으로 -

        전혜인(Jeon, Hae In),손지영(Son, Jiyoung),심은정(Shim, Eunj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 Vol.19 No.3

        연구목적: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에서는 장애아동과 부모가 이들을 둘러싼 사회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다각적 지원을 제공해야 하며, 장애아동이 삶을 즐길 수 있도록 부모의 인식 및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CF 모델에 기반하여 사회적, 환경적인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 내용 체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ICF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부모교육 내용 체계 초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부모교육 전문가, 발달장애아동 교사 및 치료사, 발달장애아동 부모 총 11명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ICF 모델을 틀로 하여 가족의 변화와 환경의 변화에 초점을 두어 장애아동이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부모교육 내용 체계를 5가지 영역과 32개의 내용 요소들로 개발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발달장애아동 부모교육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Parent education in cas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aimed to provide multifaceted support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families, and the society surrounding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parent perception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so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enjoy their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tent structure for parent education in cas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models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 med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Method: Based on the ICF model and previous studies, draft content for parent education was developed. A Delphi survey was also conducted by involving 11 related experts and parents. Results: Using the ICF model as a framework,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parent education, which enabl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meaningful activities by focusing on changes within the family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was developed encompassing 5 areas and 32 content elements.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parent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