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정’ 개념을 통해 본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의 초기 작품들

        전혜숙(Hye Sook JEON) 서양미술사학회 199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8 No.-

        Robert Morris(1931- ), one of the founders of the Minimalist art movement, has presented various concepts and works since late 1950s. He worked across so many genres of artistic practice(Minimal and Conceptual sculpture, performance art, land art, scatter pieces, felt works, painting, drawing, photography, film, readymades, image/text composites, environment work). In spite of this variety, his works have a common and basic concept, “process”, which emphasizes the temporal process for artist’ s making and spectator’ s experiencing a work.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process”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for his art, and that it offers consistent methods for his works. His “process” makes his art characteristic and different from other artists. For Morris, the “process” means that on the one hand, all procedures of artmaking including form, content, artist’ s intention and purport come up to the surface, on the other hand, viewer’ s experiences are not decided uniformly but opened to the various possibilities. The “process” accompanies the temporality which is not transcendental or ideological but existential and phenomenological. Morris always rejects the notion that art lasts. Furthermore, he attacks the rationalistic notion that art is a form of work that results in a finished product. He thinks that paradox and the fugitive be more attractive than assured style and stable position. In these means, his concept “process” is based on as well as the doubts and indeterminacy in science of his times as the change of philosophy and the world view. Morris could manifest various psychological, philosophical and sociological problems by means of the “process”. In order to express the idea of paradoxical and complex space of the self, on the one hand, he uses a method of closure directly in making objects, and installations which imprison his own or spectator’ s body, on the other hand, makes spectators experience the fragmented and confused language and sound. Psychological frustration and embarrassment are experienced once more in Mirror installations that confuse spectator’ s perception. From the study on “process” of Morris, we can get the result that “process” is a basic element for understanding his works, and testifies his outlook on art and world. Artists in Process Art and Conceptual Art, Earth Art in 1970s, stress the “process” too. But his “process” is an unique method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movement,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dance. It was his inevitable consequence that reflected his individual philosophy and the spirit of his times.

      • KCI등재

        인간 및 생명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인류세 시대 미술의 특징

        전혜숙(Jeon, Hye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본 논문은 21세기 교육 및 미술교육의 중요한 철학적 근거 중 하나인 인간 삶의 변화와 그에 따른 자연, 생명, 기술 등의 상호변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인류세를 살아가는 학문후속세대들이 인간과 생명에 대해 철학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 미술 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비평의 기회를 갖게 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계몽주의적 휴머니즘의 근대적 주체를 벗어나 ʻ포스트휴먼ʼ으로 이해되고 있는 인간개념의 변화와, 정보 혹은 창발성으로 설명되는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ʻ포스트네이처ʼ와 ʻ자본세ʼ 개념을 통한 인간, 자연, 경제, 문화 등이 얽힌 복잡한 양상 등을 살펴본다. 로봇으로 대변되는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다룬 영상미술, 인간과 박테리아의 관계를 다룬 미생물바이오아트, 미술작업의 미학적 입장과 생태윤리 사이의 갈등 등, 인류세 시대의 변화양상에 근거한 몇몇 작품들에 대한 분석은 그것들이 지닌 시대적 함의와 탈경계적, 다학제적 의미를 통해 인류세 미술의 특징을 포착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one of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provide for academic future generation who are living in Anthropocene, with the new concepts of human, life, technology and ecology of the turning point of 21st century. And the other purpose is to make students be able to speculate philosophically about humans and life, and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and critique of recent arts based on these changes. This paper examines the new concept human in 21 st Century as posthuman, and the new understanding of life explained by information and emergence, and the meaning of PostNature and Capitalocene.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implications of trans-boundary or multidisciplinary meanings of artworks that explore the changing aspects in the Anthropocene, such as video arts dealing with the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relations of robots and human, the execution of microbiome-bioart, and the installation that deals with conflict between aesthetic position and ecological ethics.

      • KCI등재
      • KCI등재

        해체된 시선과 경계의 붕괴 -모나 하툼과 피필로티 리스트의 비디오 스크린

        전혜숙 ( Hye Sook Jeo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1980년대 이후 많은 여성미술가들은 미디어의 변화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문화적 맥락에서 사진, 비디오 등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시각과 주체 및 객체의 관계를 역전시키는 전략을 사용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예로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는 모나 하툼의 1980~90년대의 비디오 작업들과 199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는 피필로티 리스트의 비디오 설치 작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미술사 및 시각문화에서 존재해 온 여성 신체의 재현과 욕망으로서의 시선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체되는가를 고찰한다. 하툼의 경우에는 스크린을 오염시키거나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지움으로써 스크린에 투사되는 시선을 무화시키고, 정체성의 혼란을 지닌 자신의 신체 내부 이미지를 관람자들과 만나게 함으로써 자아와 타자의 구분을 붕괴하고자 하였다. 리스트의 경우, 스크린 안의 미술가 자신의 신체는 관람자들의 시각의 대상이 아니라 관람자와 공감각적으로 동화되는 주체이자 객체가된다. 주체는 스크린 위에 포화된 육체로 존재함으로써 객체와의 경계를 허문다. 두 미술가의 작업은 자아 이미지를 이용해 주체와 객체 사이에 있을 법한 시각에 기반한 관계를 무화시키고, 작품과 관람자 사이에 시선을 넘어서는 독특한 상호관계를 생산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Women artists have used strategies of turning around the relationships among vision, subject, and object since 1980s, using new technologies such as photography and video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culture and the change of media. In this essay, I studied on the video installations of Mona Hatoum and Pipilotti Rist who have used images of themselves, and examined the effective subversion of the gaze and representation of desire, which have been in art history and visual culture. In Hatoum’s works, she emphasizes her identity as diaspora through the way of erasing her body and polluting the screen, and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 and object, by throwing viewers together with her inner body image by arthroscopic video camera. In Rist’s works, her body image in the screen is not the very subject of the viewer’s vision but the subject/object that is assimilated with viewers synesthetically and saturated with others. By abolishing the relations of entangled gazes that would be between subject and object, two women artists have produced unique interrelations and new images of women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