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

        전혜숙(Jeon, HyeSook),전종설(Chun, JongSerl),정하은(Chung, HaEu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7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5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효과적 기준과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 총 29편이 메타분석에 활용되었고 자료분석은 Comprehensive Meta Analysis(CMA) 3.0을 사용하였다. 랜덤효과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 값이 0.810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구성요소별 하위집단분석 및 조절효과분석 결과로 프로그램의 운영시간 및 운영회기가 길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프로그램 유형은 현실요법, 마음챙김 프로그램, 분노조절 프로그램, 생명존중 프로그램, 통합적 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유의미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천방안 제시를 통해 청소년 자살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to provide clinical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m. A total of 29 dissertation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00 to 2016 were analyz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3.0 software. The results based on the random effect model showed that the mean effect size value of the total programs was high with 0.810. The analysis of effect sizes of subgroups by program components and moderating effects revealed that longer operating hours and the larger number of sessions resulted in larger effect size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s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the reality therapy, the mindfulness program, the anger control program, the life respect program, and the integrated program. Based on the findings, clin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futu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 KCI등재

        인간 및 생명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인류세 시대 미술의 특징

        전혜숙(Jeon, Hye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본 논문은 21세기 교육 및 미술교육의 중요한 철학적 근거 중 하나인 인간 삶의 변화와 그에 따른 자연, 생명, 기술 등의 상호변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인류세를 살아가는 학문후속세대들이 인간과 생명에 대해 철학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 미술 들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비평의 기회를 갖게 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에서는 계몽주의적 휴머니즘의 근대적 주체를 벗어나 ʻ포스트휴먼ʼ으로 이해되고 있는 인간개념의 변화와, 정보 혹은 창발성으로 설명되는 생명에 대한 새로운 이해, ʻ포스트네이처ʼ와 ʻ자본세ʼ 개념을 통한 인간, 자연, 경제, 문화 등이 얽힌 복잡한 양상 등을 살펴본다. 로봇으로 대변되는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다룬 영상미술, 인간과 박테리아의 관계를 다룬 미생물바이오아트, 미술작업의 미학적 입장과 생태윤리 사이의 갈등 등, 인류세 시대의 변화양상에 근거한 몇몇 작품들에 대한 분석은 그것들이 지닌 시대적 함의와 탈경계적, 다학제적 의미를 통해 인류세 미술의 특징을 포착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one of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provide for academic future generation who are living in Anthropocene, with the new concepts of human, life, technology and ecology of the turning point of 21st century. And the other purpose is to make students be able to speculate philosophically about humans and life, and to have a broad understanding and critique of recent arts based on these changes. This paper examines the new concept human in 21 st Century as posthuman, and the new understanding of life explained by information and emergence, and the meaning of PostNature and Capitalocene.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implications of trans-boundary or multidisciplinary meanings of artworks that explore the changing aspects in the Anthropocene, such as video arts dealing with the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relations of robots and human, the execution of microbiome-bioart, and the installation that deals with conflict between aesthetic position and ecological ethics.

      • KCI등재

        에두아르도 카츠(Eduardo Kac)의 ‘새로운 생태’에 관한 연구

        전혜숙(JEON hyesook) 서양미술사학회 2012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37 No.-

        This study is on the possibility and validity of ‘new ecology’ of Eduardo Kac(1962~), an American artist from Brazil. His works from 1990 have been a search to express and manifest complexity, and have focused on communication, relationship, interpretation between different life forms(humans, animals, and hybrids) and robots or bio-telematics. Kac’s work is a search to express and manifest complexity, but his most recent pieces are based on the production of a new ecology where organic and technological systems cross-pollinate. The works as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1994), A-Positive (1997), Darker Than Night (1999), represent the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among plants, animals, humans and machines(robots). 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a collaboration between Kac and Ikuo Nakamura, stands out as a rare artistic use of telerobotic devices to facilitate remote communication between non-humans, a canary in Kentucky and a philodendron plant in New York. This work can be seen as a allegory of the very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the human desire to overcome isolation by bridging the gap between self and other, subject and object. Darker Than Night was a profound attempt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empathy towards crea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us due to their specific sensory and motor system-the physical facts that determine their actions and experiences. In this work Kac addresses the human-machine-animal relationship with a complex interface, enabling humans and bats to become mutually aware of their presence in the cave through the exchange of sonar emmissions. Kac said that transgenic art is a new art form based on the use of genetic engineering techniques to transfer synthetic genes to an organism or to transfer natural genetic material from one species into another, to create unique living beings. Molecular genetics allows the artist to engineer the plants and animal genome and create new life forms. Transgenic artworks like Genesis (1999), GFP Bunny (2000), The Eighth Day (2000-2001), are defined not only by the birth and growth of a new plant or animal but above all by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st, public, and transgenic organism. In this sense, these works suggest the need to nurture a network ecology with humans and non-human creatures. From a social, political, and philosophical point of view, his art shows us a new ecology which harmonize carbon and silicon. In his article “Dialogical Telepresence Art and net Ecology”, he wrote that “As optical fibers thread the soil like worms, and digitally encoded waves cross the air as flocking birds, a new ecology emerges....Our synergy with telerobots, transgenics, nanobots, avatars, biobots, clones, digital biota, hybrids, webots and animats, and other material of immaterial intelligent agents will dictate our ability to endure fast-chang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networked world.” According his statement, his ‘new ecology’ is the world that human, animal, plants, robot, and transgenic creatures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 together. It would be deserved to reconsider as a eco-system with dynamic balance and co-evolutions, and a possibility and validity for solving the ethical problems of bio-arts.

      • KCI등재

        인류세의 관점에서 본 생태 미술의 특징

        전혜숙(Hyesook Jeon) 현대미술사학회 2021 현대미술사연구 Vol.- No.49

        ‘인류세’란 인류가 홀로세를 끝내고 새로운 지질시대를 시작할 만큼 지구에 영향을 주었다는 의미로, 그리스어 어원의 ‘인간’(anthropos, ἄνθρωπος)과‘ 새로운 시대’라는 시간적 의미를 지닌 cene(καινός)을 합친 말이다. ‘인간’이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기후변화 등 지구 시스템 변화의 책임이 확실하게 인간에게 있음을 강조하는 용어지만, 그‘ 인간’이 누구인가를 둘러싼 상이한 견해로부터 자본세, 대농장세, 툴루세 등 다른 명칭들도 나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류세의 담론이 미술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시지각의 변화와 숭고미의 소환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다.‘ 인류세’ 시대의 생태 미술들은 환경 파괴의 원인을 비판하는 것으로부터 사회적 실천, 생태 미학의 발견, 생태-행동주의에 이르기까지 기존의 방식을 유지하되 좀 더 구체적으로 지속가능한 생태의 미래를 위한 방법을 찾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류세의 생태 미술 사례로 플라스틱을 사용해 포스트네이처의 미학을 강조한 타라 도노반, 플라스티신(Plasticene) 프린팅 기법을 사용하는 저스틴 브라이스 과리글리아, 더 이상 자연이 아닌 자연으로서의 포스트네이처를 상상하는 피나욜다스, 그리고 〈산림법〉을 통해 자본세를 고발하고 에콰도르 원주민들의 행동주의적 생태실행을 소개한 우슬라 비에만과 파울로 타바레스, 해결을 위한 제안으로서의 생태미술 프로젝트를 실행한 릴리언 볼, 그리고 참오동나무를 통해‘ 제3의 자연’을 사유하는 이소요의 작업을 통해 인류세의 의미가 이들의 작업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피고 있다. The Anthropocene refers to the fact that mankind has ended the Holocene and started a new geological age. It is a combination of the Greek “human”(anthropos, άνθρωπος ) and the expression meaning ‘new age’ cene (καινός). Using the word ‘anthropos’ emphasizes that humans are clearly responsible for the changes in Earth’s systems including climate. However, different names for the Anthropocene came from different views of ‘anthropos’. In this study, I examine how the discourse of Anthropocene has influenced ecological art. Ecological arts in the era of the Anthropocene maintain their existing methods, from criticizing the causes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to social practice, discovery of ecological aesthetics, and ecological activism, but they seek a more specifically sustainable ecological future. As examples of ecological art representing the Anthropocene, I study Tara Donovan and Justin Bryce Guaglia, who show the aesthetics of post-nature using plastic; Pina Yoldas, who imagines post-natural lives as no longer natural; Usla Viman and Paulo Tavares, who introduced the activist ecological practices of Ecuadorian indigenous peoples; and Lilian Ball, who executed an ecological art project as a suggestion for a solution. I also examine the work of Soyo Lee, who considers ‘third nature’ through the princess or empress tree(Paulownia tomentosa Steudel).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해체된 시선과 경계의 붕괴 -모나 하툼과 피필로티 리스트의 비디오 스크린

        전혜숙 ( Hye Sook Jeon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6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17 No.-

        1980년대 이후 많은 여성미술가들은 미디어의 변화와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문화적 맥락에서 사진, 비디오 등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시각과 주체 및 객체의 관계를 역전시키는 전략을 사용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예로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는 모나 하툼의 1980~90년대의 비디오 작업들과 1990년대 이후 최근에 이르는 피필로티 리스트의 비디오 설치 작품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미술사 및 시각문화에서 존재해 온 여성 신체의 재현과 욕망으로서의 시선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해체되는가를 고찰한다. 하툼의 경우에는 스크린을 오염시키거나 자신의 신체 이미지를 지움으로써 스크린에 투사되는 시선을 무화시키고, 정체성의 혼란을 지닌 자신의 신체 내부 이미지를 관람자들과 만나게 함으로써 자아와 타자의 구분을 붕괴하고자 하였다. 리스트의 경우, 스크린 안의 미술가 자신의 신체는 관람자들의 시각의 대상이 아니라 관람자와 공감각적으로 동화되는 주체이자 객체가된다. 주체는 스크린 위에 포화된 육체로 존재함으로써 객체와의 경계를 허문다. 두 미술가의 작업은 자아 이미지를 이용해 주체와 객체 사이에 있을 법한 시각에 기반한 관계를 무화시키고, 작품과 관람자 사이에 시선을 넘어서는 독특한 상호관계를 생산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Women artists have used strategies of turning around the relationships among vision, subject, and object since 1980s, using new technologies such as photography and video in the context of postmodernism culture and the change of media. In this essay, I studied on the video installations of Mona Hatoum and Pipilotti Rist who have used images of themselves, and examined the effective subversion of the gaze and representation of desire, which have been in art history and visual culture. In Hatoum’s works, she emphasizes her identity as diaspora through the way of erasing her body and polluting the screen, and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 and object, by throwing viewers together with her inner body image by arthroscopic video camera. In Rist’s works, her body image in the screen is not the very subject of the viewer’s vision but the subject/object that is assimilated with viewers synesthetically and saturated with others. By abolishing the relations of entangled gazes that would be between subject and object, two women artists have produced unique interrelations and new images of women themselves.

      • KCI등재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 방안: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전혜숙 ( Jeon Hyesook ),전종설 ( Chun Jongserl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청소년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관련 전문기관 종사자 총 9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현장 전문가들의 지식 및 임상 경험에 근거하여 청소년 대상 스마트폰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사용하여 스마트폰 중독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진 방안에 대한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7개의 주제가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1) 자기인식 및 변화동기 강화; 2) 대안활동 경험과 이를 통한 성취감 및 자아존중감 증진; 3) 대상의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 구조 제공; 4) 프로그램 진행자 역량강화; 5) 부모와 친구의 지지 강화; 6) 학교와 협력적 동반자 관계 형성; 7) 연계 서비스 제공. 도출된 각 주제를 토대로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과 동기면담 기법 활용, 체육, 음악, 미술 등을 활용한 대안활동 제공, 청소년 특성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 및 인지행동이론 적용, 프로그램 진행자를 위한 실무교육과 훈련 제공, 부모와 친구의 협력 유도를 위한 교육 및 참여활동, 학교와 파트너쉽 구축을 통한 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 병원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 서비스 제공 등과 같은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여 실천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ays of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treatment programs for adolescents based on field experts` knowledge and clinical experience.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nine field experts in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the treatment of adolescents` Interne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he following seven themes were derived: 1) improving self-awareness and motivation for change, 2) providing alternatives to smartphone use and enhancing subjects`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esteem, 3) providing a program framework suitable for subjects and their characteristics, 4)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clinicians, 5) empowering program operators and encouraging support from parents and peers, 6) establishing collaborative partnerships with schools, and 7) providing affiliated serv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pecific methods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treatment programs for adolescents were suggested: providing alternative activities such as physical activities, music, art, etc.; applying program composition and cognitive behavioral theo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providing practical training and education to program operators; implementing educational and engagement activities to encourage parents` and friends` cooperation;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ith the cooperation of schools; and provision of linked services with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