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을 위한 문학적 애도 방안 연구 - 권여선,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을 중심으로 - 19)

        전지윤 ( Jeon Ji-yu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6

        이 연구는 권여선의 단편소설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을 중심으로 소설 속 인물의 사별 경험에 대한 반응과 망자에 대한 애도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를 사별을 경험한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안내해 치유를 이끌어 낼 것인지에 대해 논해 보았다. 「끝내 가보지 못한 비자나무 숲」은 주인공 명이가 옛 연인 정우와의 사별을 겪은 후 ‘정지된 애도’ 상태에 머물러 있다가 그의 가족들을 만나 ‘기억하기’의 애도 작업을 해 나가기 시작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별을 경험하고 이에 대한 상처를 지닌 청소년이 자신의 고통을 타인에게 드러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청소년들에게 구체적인 작품을 통한 문학적 애도 방안을 안내한다면, 작품 속 인물들의 사별의 고통에 동질감을 느낄 수 있으며, 그들이 애도하는 과정을 대리 경험함으로써 스스로의 사별 경험도 극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e way of guiding and healing adolescences experienced bereavement, focusing on The Forest of Nutmeg Trees I Have Never Visited by Kwon Yeo-sun, by looking at how the characters in the novel react to experience of bereavement and mourn for the dead. The Forest of Nutmeg Trees I Have Never Visited includes that the main character Myeong-i stayed ‘suspended mourning’ and then started mourning using ‘remembering’ after she had lost her past lover Jeong-woo. It is really hard that adolescence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and were hurt reveal their pain to others. If someone informs these adolescences of the way of literary mourning using specific works, they can identify with characters in the works and get over the experience of bereavement for themselves by going through the mourning process.

      • 에니어그램심리역동을 통한 1930년대 시인 이해 -백석, 정지용, 이육사를 중심으로-

        전지윤(Jeon Ji Yun)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8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5 No.1

        에니어그램은 각 개인마다 나타날 수 있는 9가지 기질적 욕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질적 욕구는 개인 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삶의 과정 속에서 다양하게 드러난다. 시를 창작하는 시인들도 각각 다른 기 질적 욕구를 지니며, 이것이 시에도 반영된다. 일제강점기라는 동시대를 살아가면서도 각각 다른 모습의 시로 현실에 대응하고 참여했던 1930년대 시인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가슴 중심의 백석, 머리 중 심의 정지용, 배 중심의 이육사가 대표적이다. 백석은 모더니즘의 감정적 절제를 기조로 하되, 전통과 고 향을 노래하였다. 정지용은 시문학파의 일원으로 세련된 언어 감각과 예술적 기교를 중시하는 면모를 보 였다. 이육사는 지사적 풍모로 치열한 대결정신을 표현하는 저항시를 창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백석, 정 지용, 이육사의 대표작을 기초 자료로 한 에니어그램 유형 분석을 통해 그들의 삶과 시세계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Enneagram represents the nine temperamental desires that each individual has. These desires influence every aspect of one’s life and emerge variously in a course of life. The poets also have different temperamental desires and this is reflected on their poems. This aspect can be found in the lives of the poets in 1930s who participated and took action against the harsh reality of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with their different poems. The representative figures are Baek Seok with heart center, Jeong Ji Yong with head center and Lee Yook Sa with Gut center. Baek Seok sang the tradition and home with the basis of modernism and emotional moderation. Jeong Ji Yong appeared to emphasize the sophistication of sensitive language and artistic skill as a member of Simunhakpa. Lee Yook Sa created the poems of resistance that express intense spirit of confrontation with patriotic aspect.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deeper in these poets’ lives and the world of their works by analyzing their Enneagram types using their representative poems.

      • KCI등재

        환경교육 수업 자료로써의 한국 생태시 제재 모색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아라(Cho, A-Ra),전지윤(Jeon, Ji-Yun) 문학과환경학회 2020 문학과 환경 Vol.19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환경 교과서 내 한국 생태시 활용의 현황을 살펴보고 환경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생태시 작품들을 모색하여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가치 있는 환경교육을 구현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총 4권의 환경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한국 생태시’는 서울교과서에서 개발한 『중학교 환경』에 나태주 시인의 「풀꽃」이라는 작품이 수록되었다. 또한 천재교과서에서 개발한 『고등학교 환경』에는 정현종 시인의 「나무여」, 정호승 시인의 「들녘」, 안도현 시인의 「깃털 하나」가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환경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태시를 모색하기 위해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한 후, 환경교육 자료로써의 한국 생태시 활용의 실제를 ‘대량 생산 대량 소비사회’라는 환경 교과의 단원과 이형기 시인의 「전천후 산성비」라는 작품을 중심으로 교수 · 학습 과정안을 통해 구체화하였다. 이 연구는 범교과적인 성격을 지닌 환경 교과와 도구교과적 성격을 지닌 국어 교과를 통합적으로 연계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환경 교과의 수업 목표를 이루기 위한 생태시 제재를 모색하고 실제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more effective and valuable environment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Korean ecological poetry in environmental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by exploring works of Korean ecological poetry that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esenting utilization plans for them.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 total of four environmental textbooks, ‘Korea Ecological Poetry’ included Na Tae-ju’s works called 「풀꽃」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 developed by the Seoul textbook.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High School Environment』 developed by the Chunjae Textbook contained 「나무여」 by Jeong Hyeon-jong, 「들녘」 by Jeong Ho-seung, and 「깃털 하나」 by Ahn Do-hyun. Next, after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urriculum in order to find ecological poetry that can be used in environmental subjects, the actual use of Korean ecological poetry as a materia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as materialized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focused on the unit of the environmental department called ‘Mass-produced consumer society’and poet Lee Hyung-ki’s 「전천후 산성비」. The study is meaningful, as part of its efforts to integrate environmental and tool-based Korean language courses with cross-curricular characteristics, in that it sought ecological topics to achieve the goals of environmental classes and proposed practical measures to utilize them.

      • KCI등재

        발치 및 비발치 치료 전후 악궁 폭경의 변화

        전지윤,김수정,강승구,박영국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1

        일반적으로 네 개의 소구치 발치를 동반한 교정치료는 비발치 치료에 비하여 치열궁 폭경을 더 좁게 만들어, 미소 시 구각 부위에 어두운 구강 내 공간, 소위 buccal corridor를 형성함으로써 비심미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견해가 있다. 한편 발치 치료는 오히려 하악의 견치간 폭경을 증가시키며,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악궁 폭경의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한다. 이 연구는 발치 치료와 비발치 치료 시 악궁 폭경의 변화를 관찰하여 실제적으로 발치 치료가 미소 시 협측 분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치료받은 환자 중 전악에 고정식 장치를 사용하여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를 받은 30명과 비발치로 치료한 30명의 치료 전후 연구 모형을 비교 분석한 결과 악궁 폭경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네 개의 제1소구치 발치 치료 시 비발치 치료와 비교하여 상악의 견치간 폭경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의 견치간 폭경은 유의하게 더 많이 증가하였다. 구치간 폭경 변화는 상악과 하악 치열궁 모두에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발치군에서 구치간 폭경이 감소한 반면에 비발치군에서는 구치간 폭경이 증가하였다. 미소 시 노출되는 악궁 폭경은 비발치군보다 발치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치열궁 폭경의 축소가 발치 치료 시 당연히 예상되는 결과가 아님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reatment on smile esthetics by measuring dental arch width changes. Methods: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study models of 30 first premolar extraction cases and 30 nonextraction cases were randomly selected to determine whether extraction treatment results in narrow dental arches, and a consequent unaesthetic smile. Arch widths were measured from the cusp tips of the canines and the first molars. Posterior arch widths were also measured at a constant arch depth derived by averaging randomly chosen nonextraction models. Results: The intercanine width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traction sample, whereas the intermolar widths decreased significantly. The arch width at a standardized arch depth was significantly wider in the extraction subjects. Conclusion: These results elucidate that constriction in arch width is not a materialized consequence of extraction treatment. It leads to postulate that an esthetically compromising effect from narrow dental arches on smile is hardly anticipated with extraction treatment.

      • KCI등재

        브라켓과 탄선 간의 마찰 전후 표면 변화 분석 :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예비연구

        이태희,박기호,전지윤,김수정,박헌국,박영국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3

        브라켓과 호선 간에 발생하는 마찰은 치아 이동의 효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마찰력에 기여하는 요소 중 특히 브라켓과 호선의 표면조도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브라켓과 탄선을 실험적으로 마찰시킨 후, 원자현미경 (atomic force microscope, AFM)을 사용하여 브라켓 슬롯과 교정용 탄선의 표면 조도 변화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비교 평가하여 브라켓과 호선 간의 마찰이 각각의 표면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스테인리스 스틸 브라켓과 세라믹 브라켓에 각각 스테인리스 스틸 탄선과 TMA 탄선을 실험적으로 활주마찰시킨 후 각각을 원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브라켓보다는 교정용 탄선에서 활주마찰 후에 더 많은 표면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활주마찰 후에 스테인리스 스틸 브라켓은 표면 조도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세라믹 브라켓은 표면 조도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교정용 탄선은 모두 활주마찰 후에 표면 조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표면 변화는 스테인리스 스틸 브라켓보다 세라믹 브라켓과의 활주마찰 후에 더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실험으로 원자현미경은 브라켓 슬롯과 탄선의 표면 조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데에 유용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The surface roughness of orthodontic materials is an essent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ooth move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face roughness change of the brackets and wires after experimental sliding quantitatively. Methods: Before and after experimental sliding tests, the surface roughness of stainless steel brackets, ceramic brackets, stainless steel wires, and beta-titanium (TMA) wir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Results: After sliding tests, changes in the surface of the wire were greater than changes in the bracket slot surfac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tainless steel bracket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liding test, whereas the roughness of ceramic brackets was decreased. Both the surface roughness of stainless steel and TMA wires were increased after sliding test. More changes were observed on the ceramic bracket than the stainless steel bracket. Conclusions: AFM is a valuable research tool when analyzing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brackets and wires quantit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