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국어과 성취기준 상세화 과정과 ‘세목’ 구성 방안

        전제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7 No.-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국어과 성취기준 상세화 과정과 역상세화를 탐구하고,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자의 관점에서 ‘세목’1) 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국어과 성취기준에 대한 기존 논의에 교육과정 개발자, 교과서개발자, 수업 실천자의 관점이 혼재되어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의수준과 위상 공간에 근거해 통합적인 접근과 원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통합적 접근원리로 양가성의 원리, 순차성의 원리, 동시성의 원리를 들었다. 끝으로, 쓰기 영역의 성취기준을 예로 상세화와 역상세화 과정을 보였다. 또한 세안 구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detailing’ and ‘re-detailing’ of Korean languag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to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semok’ The results of the paer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perspectives of curriculum developers, textbook developers, and instructional practitioners were mixed in existing discussions 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standards. Next, it was suggested that an integrated approach and principles are needed based on the level and phase space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inally, ‘detailing’ and re-detailing processes were shown as an example of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전제응,이주섭,고상훈,고아라,신애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나의 창작 이야기를 이용한 그림자 북 만들기’ 활동을 실시 한 후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이야기’를 창작하고, 그 이야기를 이용해 ‘그림자 북’ 을 만드는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8주 동안 52명의 예 비교사들에게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초등 예 비교사들에게 융합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Likert 척 도 문항과 서술형 문항으로 조사하였다. Likert 척도 문항을 분석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은 이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점수를 나타냈 으며,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필요성, 재참여 의지 역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 장 점 및 개선점을 묻는 서술형 문항에 대해 키워드를 중 심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 내용, 융합 교육, 수업 역량, 사고력, 심리, 경험에 대한 정서 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은 서로 다른 전공의 교수들이 협력하여 운영하는 융합 프로그램을 체험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융합교육의 의미, 중요성,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고, 관련 교과의 내용도 쉽게 이 해할 수 있으며, 교수 역량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대면 수업 상황으로 인한 여러 가지 개선점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convergence program after conducting 'Making shadow book using my creative story' activity. The program consis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creat their own stories and using them to make a shadow book. The program was conducted on 52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eight week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y were examined for their perception of the convergence program with the Likert scale questions and essay question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Likert scale questions showed that they scored very high on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necessity and willingness to re-participate were also high.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keywords of essay questions about how the program operates, and its advantages and improvements made it possible to categorize them into instructional content, convergence education, teaching competency, thinking ability, psychology, and emotional experience. Through this study, we could see that by experiencing the convergence program ran by cooperative professors of different major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naturally recognized the meaning,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understood the contents of related subjects easily, and improved teaching competency. But, they also mentioned various improvements due to the situa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쓰기 맥락의 본질과 쓰기 맥락 지도의 실제

        전제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7 No.-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essence and practice of writing context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of this paper is follows. First, Writing context means that writer is provided the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with the meaning construction process and making text. Also it is menas that the factors have been impacted that information. Second, the contextualized process of writing passes four stages. First is a awareness stage, second is a construction stage, third is a application stage,last is a monitoring stage. Third, this paper is to present that the method how to instruct writing context with writing textbook in elementary school. 6차 이후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실제’를 강조하지 않은 적이 없다.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실제’를 강조해 왔다. 내용 체계표에 ‘실제’ 범주를 넣으면서 강조하였고,‘실제’ 범주로 본질, 원리, 태도 범주를 아우르면서 강조하였고, ‘실제’ 범주를 물구나무 세우면서 강조하였다. 이 때마다 이전 교육과정은 ‘실제’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비판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해 왔다.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도 ‘실제’의 ‘실제화’를 위하여 ‘맥락’에 방점을 두었다고 하겠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맥락의 개념과 필자의 쓰기 맥락화 과정을 살펴보고, 쓰기맥락 지도의 실제를 알아보았다. 쓰기 맥락은 ‘필자의 의미 구성과 텍스트 구성 행위에 관여하는 정보, 또는 정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그 체계’이고, 쓰기 맥락화과정은 인식, 구성, 적용, 조정 과정을 거쳐 이루어짐을 보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쓰기 교과서에서 한 차시를 선정하여 쓰기 맥락 지도의 실제 과정을 보였다.

      • KCI등재

        범교과 쓰기 평가에 관한 시론

        전제응,이주섭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methods of the WAC evaluation which isbased on the WAC structure and the trends of writing evaluation.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thisresearch purpose, I explored the trends of writing evaluation. Then, I would like to show the directionof WAC assessment. From this perspective, I proposed the method to evaluate the writing activities of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by analyzing them. Results: The ideal appearance of the intendedwriting in other subjects and the realistic picture actually embodied in the textbook were different. Take the science textbook as an example. The curriculum intended for learners to 'explain writingthat conveys their learning to others'. However, the learning activities implemented in sciencetextbooks were often written in one sentence. There were three main directions for the WACevaluation. First, it is to present the WAC evaluation assignment in detail. Second, the evaluation ofthe writing process and the evaluation of the writing result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ird,different approaches are mad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learner's level. In this study, twoapproaches were proposed to evaluate the WAC. One is to evaluate 'how to write as evaluationactivities' and the other is to evaluate 'how to write as learning activities.' Conclusion: In this study,the direction of WAC evaluation and the corresponding methods were proposed. It is necessary tocontinue to conduct joint research with other researchers who majored in other subject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범교과 쓰기 구조와 쓰기 평가 경향성 탐구에 터하여 범교과 쓰기 평가의 방향과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범교과 쓰기는 국어교과 쓰기와 타 교과 쓰기가 상호 교섭적인 상호작용을통해 시너지 효과를 내는, 차이생성 관점의 ‘통합교과 쓰기’이다. 이 개념에 터하여 범교과 쓰기의 구조, 범교과 쓰기의 이상과 현실을 먼저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평가의 경향성을 탐구하여 ‘범교과 쓰기 평가의 방향’ 세 가지를 설정하고, 이러한 시각에서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쓰기 활동을분석하여 범교과 쓰기 평가 방안을 시론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요약하면, 타 교과에서 의도하는 글쓰기의 이상적인 모습과 실제로 교과서에 구현된 현실적인 모습은 다름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 과학과의 경우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설명적인 글쓰기’를 의도하였으나 교과서에구현된 모습은 한 문장 쓰기 정도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범교과 쓰기 평가의 방향을 ‘범교과쓰기 평가 과제 상세화하기’, ‘쓰기 과정 평가와 쓰기 결과 평가를 동시에 고려하기’, ‘학습자의 수준에따라 다양한 접근 방식 다양화하기’로 설정하고, 평가 방안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하나는 ‘평가 활동으로서의 범교과 쓰기’ 평가 방안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 활동으로서의 범교과 쓰기’ 평가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타 교과에서 의도하는 글쓰기의 이상과 실제로 교과서 활동으로 구현된 현실 사이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판명하게 확인하고, 범교과 쓰기 평가의 방향과 방안을 시론 차원에서 제안하였다는점에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범교과 쓰기 평가의 방향과 방안을 시론 차원에서 제안하였다는 한계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타 교과의 전공자와 공동 연구를 통해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방향으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쓰기에 대한 관점과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 분석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전제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연구 Vol.- No.17

        이 글에서는 초등학교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사회과 탐구 5-1』과 『사회과 탐구 5-2』이다. 이를 위해 쓰기에 대한 관점과 쓰기 과정을 고찰하고쓰기 교과서에서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에 나타난 주요 특징은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은 주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는 방식이 많았다. 특히 두 대상을 비교할 때 표, 생각 그물, 간단한 문장 등으로 정리하는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역사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에 상호 작용 활동이 일부 나타났다. 자신과 견해가 같거나 다른 점을 찾는활동, 완성된 자료를 돌려 읽는 활동, 찬성과 반대 입장 중 하나를 골라 의견을 쓰는 활동 등이 있었다. 셋째,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에는 추론 과정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추론적 이해활동보다는 주로 사실적 이해 활동이 강조되고 있었다. 추론 과정이 생략되면 비판적 이해나 창조적 이해로까지 나아가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역사 학습에서의 쓰기 활동 시각으로 국어과에서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여 고찰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더 나아가 융합적 관점에서 역사 학습에서의 글쓰기와 쓰기 학습에서의 글쓰기 토대를 새롭게 마련하는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in history learn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writing.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Social studies exploring textbook 5-1』and 『Social studies exploring textbook 5-2』.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 many writing activities that to summarize after reading a text in history learning. Above all, when comparing with two things, a table and a mind map were used. Second, it included in history textbook that one student interacted with the other student. Third, it is difficult to find activities in history writing that student write to read between the lines to infer the hidden meanings. It is necessary to study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learning.

      • KCI등재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서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 2007,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전제응,채동현,고아라,신애경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9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형태와 글쓰기 구성 요소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2007, 2009,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와 실험관찰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과학 글쓰기과제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2007 개정에서 2015 개정으로 교육과정을 거치면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된 교과용 도서가 줄어들고, 과제가 명시되지 않은 형태로 변화하였다. 그리고 2009 개정 5∼6학년군 과학 글쓰기과제가 글과 그림으로 제시되어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나타났다. 과학 글쓰기 과제를 글쓰기 구성 요소분석틀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과 학년군별로 차이가 있었으나 일부 하위 요소에치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2007 개정 5∼6학년군에서 가장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반영된 과학 글쓰기가 제시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using the presented form and the writing components analysis framework. For this study,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2007,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and work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ed form of science writing tasks, the number of books for science writing tasks was reduced and the tasks were changed to unclear form as the curriculum was revised from the 2007 to 2015. And the science writing tasks in the 2009 revised 5th∼6th grades group were presented as writing and drawing, and they appeared as the most desirable form. As a result of analyzing science writing tasks using the writing components analysis framework,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urricula and the grades groups, but they tended to be focused on some sub-factors. However, the science writing tasks reflecting the most diverse sub-factors were presented in the 2007 revised 5th∼6th grades group.

      • KCI등재후보

        읽기동기의 본질과 읽기동기 모형

        전제응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ature of reading motivation through wild approach method and to make the model of reading motivation. This study is du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motivation in reading. Initially, I study on the definition, the fun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motivation. I supposed that the reading motivation has two major attributions. One is a universality, and the other is a peculiarity. Then, I survey various instruments of reading motivation to design the dimension of reading motivation. So I proposed that the dimension of reading motivation is composed of reading efficacy as a reader,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social motivation. Also, 11 factors of that is proposed, too. Second, I designed the model of student's reading motivation. This is to full of suggestions in reading lesson. 이 연구의 목적은 읽기동기의 본질을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 읽기동기 모형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읽기 교육에서 읽기의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 요인 또한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먼저, 읽기동기의 개념, 성격, 기능을 살펴보았다. 읽기동기는 읽기의 특수성과 동기의 보편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기존의 읽기동기 검사의 영역을 탐색하여 읽기동기 구성 범주를 설정하였다. 읽기동구 구성 범주는 독자의 효능 범주, 내적 동기 범주, 외적 동기 범주, 사회적 동기 범주 등이다. 그리고 그 하위 요인 11개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읽기동기 범주와 구성 요인을 토대로 학생 독자의 읽기동기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다양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