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프레이리의 교사론 연구

        전일균 ( Il Kyoun Cheon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6 No.-

        본 연구에서는 프레이리가 생각하는 교사는 어떤 존재이며 역사와 사회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어떤 역할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 하였는가 등을 밝힘으로써 그가 지향하는 교사상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레이리의 원저작들을 중심으로 그의 교사론에 대하여 탐구해 보았는데, 그 결과로 프레이리가 지향하는 교사상은 주체적 문화생산자, 비판적 인간 형성자, 해방과 사회변혁의 선구자, 사랑과 희망의 전달자라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프레이리의 교사론에 관한 이러한 연구는 교사란 어떤 존재이며 역사와 사회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 지, 그리고 입시와 성적 지상주의에 병들어 있는 우리의 교육 현장 속에서 어떻게 하는 것이 교사로서의 바른 길을 가는 것인지 등에 대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argues for Paulo Freire(1921-1997)`s theory about teacher. This study begins by exploring the origins of Freire`s Works, for the achieve the aims of this paper. Specially, I wish to find out Freire`s thought about teacher in this paper. The study begins by researching the philosophical origins and assumptions underlying the concepts of Freirean thought, notably the critique of banking education, and revolutionary character of the concepts of dialogue. For Freire, the aim of the pedagogy of the oppressed is to emancipate people from social and economic repression. Critical education in Freire is connected to the ideas of social justice and democracy. So, critical education is intellectual work that aims to make the world more just. So, the problems of teacher are very important facts in Freire`s thought. Role of the teacher as facilitator, and the liberating nature of the literacy method in which participants` awareness of the `world`. Afterwards I will distinguish the importance of inserting Freire`s thinking in the knowledge needed to the teacher action and establish with the competence notion. Teacher with critical pedagogy is form of education which emerge from critical compassion: a transcendence of emotional and the intellectual: the heart and mind learn to see and know in new ways. After researching Freire`s thinking about teacher, I got following conclusion conclusively. Freire thinking that teacher is a cultural worker and critical thinking maker, emancipator and social reformer, and messenger of the hope and the love. Freire thinks that critical educator`s task in fighting against social injustice is more import work in the human history and for the new world.

      • KCI등재
      • KCI등재

        프레이리의 좋은 교사론에 관한 연구

        전일균 ( Il Kyoun Cheon ) 한국교육사학회 2012 한국교육사학 Vol.34 No.1

        This study on Paulo Freire(1921-1997)`s theory about ``good teacher`` and the qualities and abilities as a ``Good Teacher``. This study use the original works of Freire for the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Specially, I wish to find out Freire`s thought about good teacher` qualities and abilities. The study begins by researching the philosophical origins and assumptions underlying the concepts of Freirean thought. Freire thought that education must be made the critical attitude as a human being established his independence and it must overcomed fatalism. And he did not the teacher with from the occupational person who delivered a knowledge, but he emphasized the image of teachers to initiate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gainst the human being and a culture and a history. With like this reason Freire defined based on the political sensitivity, for students who love and care, humility and tolerance, and critical thinking is a ``Good Teacher`` qualities and he thought good teacher should be had a ability about teaching skill, a feeling share with students and authority, having abandoned the ability of the authority as teachers. Freire dreamed a ``Good Teacher`` in our educational` reality and that many aspire to be a good teacher. 본 연구는 프레이리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란 어떤 교사이며, 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프레이리의 원저작들을 중심으로 해서 이루어진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프레이리는 정의에 기초한 정치적 감성, 학생에 대한 사랑과 관심, 겸손과 관용 그리고 비판적 사고가 좋은 교사가 지녀야 할 자질이며, 잘 가르칠 수 있는 능력, 피교육자와의 감정 교감 능력, 권위를 버리고도 교사로서의 권위를 갖는 능력 등이 좋은 교사가 지녀야 능력이라는 사실을 밝히게 되었다. 프레이리가 꿈꾸었던 ``좋은 교사``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을 통하여, 우리의 교육 현실과 좋은 교사가 되기를 열망하는 많은 교육자들에게 또 하나의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전문직으로서의 교사의 지위에 관한 연구: 교사의 지위에 관한 UNESCO/ILO의 "권고문"을 중심으로

        전일균 ( Il Kyoun Cheon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4

        교사의 지위와 관련된 대표적 국제간 협약이 UNESCO와 ILO의 ``교사의 지위에 관한 권고문``(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1966)이다. ``권고문``은 전문직으로서의 교사가 지녀야 할 지위와 이에 따른 권리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본 글에서는 ``권고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문직으로서의 교직에 대한 협약 내용 중, 교사의 교육자유권, 신분 보장 과 단체활동권, 사회·경제적 지위 등에 대하여 검토해 보고, 이를 국내의 상황과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나라에서의 교육자유권 및 신분보장과 단체활동권은 각종 공무원으로서의 신분에 따른 법률적 제약, 교육에 대한 정치·사회적 과도한 간섭 등으로 인하여 ``권고문``에서 제안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사회·경제적 지위 또한 국제 기준보다 미흡함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UNESCO와 ILO의 ``권고문``을 기준으로 이러한 현상의 원인과 대안을 탐구해 봄으로써 우리나라 교사의 지위 향상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Status`` means that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in relation to another or others, especially in regard to social or professional standing. The most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agreements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is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Status of Teachers" (UNESCO/ILO, 1966). ``Recommendation`` means that the Special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the Status of Teachers, recalling that the right to education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Especially ``Recommendation`` was covered in detail about the teacher`s right as professional and its status as a teacher. In this article study on the teachers` educational freedom, teachers` security of tenure and teachers` organizations as a profession and social-economic status of teachers, in ``Recommendation``. This study were compared domestic situations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 this issues. As a result, educational freedom and tenure rights and organizational activities in this country were able to finded that the status of teachers does not keep the ``Recommendation`` and thereby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also not enough than international standards because a variety of legal and political factors. Recognizing the essential role of teachers in educational advance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i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an and our society. In this view this study provide a lot of implications for our educational situations.

      • KCI등재

        루돌프 슈타이너의 윤회론 연구

        전일균 ( Cheon Il-kyou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3

        고대 인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윤회(輪廻, reincarnation)론은 인간의 탄생과 삶, 죽음에 대한 입체 적 세계관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학적 관점에서 슈타이너의 윤회론의 배경과 개념을 살펴보고 이것 이 가지고 있는 교육학적 의미를 도출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고대 인도 및 불교에서 강조되고 있는 동양의 윤회사상과 서구 유럽사회에서의 윤회론에 대하여 탐구해 보았으며, 이를 통하여 슈타이너의 윤회사상의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삶과 죽음 그리고 윤회의 과정 속에 나타나는 슈타이너의 윤회적 인간관에 대하여 탐구해 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슈타이너 교육학에서 윤회적 인간관이 갖는 교육철학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인간을 육체적 존재가 아니라, 영혼과 정신이 함께 하는 존재이며, 시간의 흐름 속에서 인간을 이해하고자 했던 슈타이너의 윤회적 세계관은 물질 중심의 세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 해 주고 있다. The theory of reincarnation(輪廻; samsāra), which is said to have originated in ancient India, presupposes a three-dimensional world view of human birth, life, and death. This study was started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Steiner's reincarnation theory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and to derive its pedagogical meaning. Rudolf Steiner (1861-1925) is a leading thinker who started exploring the ‘supersensible world’ beyond the material world based on Anthroposophy. To this end, firstly I explored the Oriental reincarnation theory, which is emphasized in ancient India and Buddhism, and the theory of reincarnation in European society. and I explored Steiner's human-being as reincarnation being. Lastly, in Steiner's pedagogy, the educational meaning of reincarnation of humanity was explored. Steiner's reincarnation theory, which seeks to understand human beings in the flow of time, not as a physical being, but a soul and a spirit, provides implications for solving various educational problems in the material-centered world. And Steiner's reincarnation theory has the educational meaning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human beings as a temporary being.

      • KCI등재

        `국정 역사교과서 사태`에 관한 교육학적 탐색

        전일균 ( Cheon Il-kyou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7 교육철학연구 Vol.39 No.3

        교육부가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행정 예고한 2015년 10월 이후, 국정 역사교과서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을 중심으로 많은 논란을 갖게 된다. 이러한 논란의 핵심은 역사적 사실에 대한 정치적 왜곡에 있었다. 따라서 역사학계와 정치권을 중심으로 많은 논쟁과 교육계의 혼란을 야기 시키게 된다. 그러나 국정 역사교과서에 대한 이러한 논란은 정권 교체와 함께 2017년 5월 31일 교육부의 정치적 결단에 의하여 공식 폐지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정 역사교과서 사태의 본질은 단지 역사왜곡의 문제가 아니라 국정교과서를 축으로 하는 교과서 제도의 문제라는 시각에서 이것의 문제점을 교육학적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교사의 교육자유권이라는 측면에서 국정교과서 제도가 합당한가를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학생 및 학부모의 교육선택권 등으로 대표되는 국민교육권의 측면에서 국정교과서로 대표되는 국가교육권의 문제에 대하여 탐색해 보았다. 이어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라는 헌법적 가치에서 볼 때, 교과서 제작과 국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국정 역사교과서는 교육부의 폐지 명령으로 일단락 되었다. 그러나 본 건과 같은 사태는 교과서 제도에 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없다면, 언제고 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혼란을 막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정교과서 제도에 대한 교육학적 검토와 바람직한 교과서 제도의 미래를 추정해보고자 한다. Since October 2015,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pre-announced the administration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history textbooks`, the issue of the history textbooks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produced a lot of controversial opinions and those were focused on the problem of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s. The key to this controversy was the political distortion of historical facts. However, the problem can and should be viewed from a more foundational perspective, which is whether or not the state power should characterize the contents of textbooks. It is a question of whether the state power can unilaterally decide on the contents of education without the consent of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 teachers. Therefore, it causes many disputes and confusions of the educational system centered on the history academy and political circles. However, this controversy over the history textbooks of the state has been abandoned by the dec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May 31st.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earch for the problems of the national textbook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The study argues that the essence of `the government designated history textbooks` is not just a matter of history distortion but the problem of the national textbook system itself. For this purpose, the author first examines whether the system of state textbooks is appropriate in terms of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n explores the issue of national education rights represented by state textbook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rights of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n,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itutional value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the author searche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 production and state power. Through the study, the author tries to search for the future of the desirable textbook system.

      • KCI등재

        슈타이너의 교사론에 나타난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

        전일균(Cheon, Il-Kyo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heory of the sprit world in Steiner's(Rudolf Steiner: 1861-1925) theory about teacher. This study begins by researching about the means of spirit world relation to physical world, soul world and education, and how to know the teacher have a higher sense and spiritual science. Steiner thought that human beings are primarily of spiritual nature, and only secondarily of bodily nature. Steiner said that man is a citizen of three world, body, soul, spirit World. And through his body he perceives all about the physical world; through his soul he constructs for him-self his own world; through his spirit a world reveals itself to him that is exalted above both the others. He explains how bodily nature, soul nature and spirit nature complement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human beings. Like this, he emphasized harmony with the physical world, the soul world, the spirit world in education. So, Steiner's theory of education is not really a science in the strict sense of the physical word, but a philosophy of soul and spirit world applied to education. For as the teacher have to know what is the spiritual world and higher sense are very essential parts in education. Steiner believed that in the materialistic age a new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spiritual world was a vital necessity for the future education of human beings. And Steiner thought that the teacher will be a pioneer of the higher sense and guide for the spiritual science. Steiner's theory of teacher is inspired by a belief in the power of the spiritual world in education and many suggestions our educational situation now. 본 연구는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가 추구하는 교사상 속에 이것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슈타이너 교육에서의 육체와 정신, 영혼과 정신, 교육과 정신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초감각 세계에 대한 개척자로서의 교사, 정신과학에 대한 안내자로서의 교사상에 대하여 탐구함으로써 슈타이너가 강조하였던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를 도출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현대교육에서 강조하는 물질 위주의 교육과 감각 중심의 주지주의 교육이 지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고 전인적 인간을 지향하는 교육에 대한 교육적 단초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물질위주의 현대 교육이 상실해 가고 있는 정신세계의 교육적 의미를 찾게 될 것이다. 아울러 물질적이고 형식적인 교사상에서 탈피하여 감각 저편의 세계까지도 인지하고, 정신과학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교사상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슈타이너 “테오소피(Theosophi)”에 관한 교육학적 해석

        전일균 ( Il Kyoun Cheon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3

        1904년에 출간된 “테오소피(Theosophie, Theosophy)는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 1861-1925)의 가장 대표적인 저서이다. 슈타이너는 “테오소피”를 통하여 인간의 본질과 인간을 구성하는 세 가지 구성체 그리고 초감각 세계로의 길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테오소피”는 인지학의 바이블이라고 할 수 있으며, 모든 슈타이너 연구의 출발은 “테오소피”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는 슈타이너 연구의 핵심 저서라 할 수 있는 “테오소피”를 깊이 있게 살펴봄으로써 슈타이너 사상의 원류를 찾아보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테오소피”가 저술되기까지 슈타이너 사상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테오소피”에 기술되어 있는 육체와 영혼, 정신의 의미 속에서 그가 생각하는 인간은 어떤 모습인가를 탐구해 보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슈타이너가 제시한 육체와 영혼, 정신세계를 어떻게 교육학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the Rudolf Steiner`s great works, “Theosophy” and it`s educational means. Rudolf Steiner was born in 1861, and died in 1925, after an extraordinary life of prodigious research in many fields. His study was based on “Theosophy”. He wrights “Theosophy” in 1904. “Theosophy” was an introduction to the supersensible knowledge of the world and the destination of mam. This works were especially investigated human-being composed body, soul, spirit, and how this three side in human was effected to his education and his living life. In this book, Steiner said that every human-being through his body he perceives all about the physical world; through his soul he constructs for him-self his own world; through his spirit a world reveals itself to him that is exalted above both the others. And so he explains how bodily nature, soul nature and spirit nature complement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human beings. In “Theosophy”, Steiner said that whoever looks for paths that lead beyond this world of the sense will soon learn to understand that human life only gains in worth and significance through insight into another world. Steiner has indicated those necessary capacities which “slumber within every human being” has shown how they can be awakened. In this means, “Theosophy” has many suggestions. The study about “Theosophy” is inspired by a belief in the power of the spiritual world in human-being`s real life and many educational suggestions our life in physical world.

      • KCI등재

        ‘세월호사건’으로 본 교사상에 대한 성찰

        권순영(Kwon, Soon Young),전일균(Cheon, Il-Kyoun)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이 글은 2014년 일어난 세월호사건을 계기로 교사가 맡아야 할 역할 및 책임과 관련지어 오늘날 우리사회에 필요한 교사상을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은 경제와 과학의 급격한 발달과 이를 규제할 사회적 장치가 부족한 위험사회이며, 개인의 책임을 개인 자유와 선택으로 극대화하여 해석하는 신자유주의가 팽배해 있다. 이러한 현대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대형참사는 학생과 교사의 희생을 양산해오고 있다. 이에 신자유주의 위험사회에서 교사와 학생들을 지킬 수 있는 교사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과거 우리는 사랑의 실천자와 윤리적인 교사, 전문능력이 탁월한 교사, 행정관료로의 교사에만 매여 교사를 바라보고 사랑, 지식전달, 업무에서의 성실자와 순응자로의 역할 즉 ‘가만히 있는 교사’를 요구해 왔다. 그러나 근대화의 자기모순과 소통부재에서 오는 위험사회의 극복은 주체적인 비판력과 대화를 통한 집단지성의 발현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있어 주체성과 비판의식을 공유하고 스스로 실천할 수 있는 ’비판적 실천자’로의 주체적인 교사상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The case of Sewol ferry in 2014 forces us to reconsider about role and obligation which is regarded as essential to teachers. Accordingly this article focuses on studying today s desirable teacher model. Being rapidly developed by science and economics, pervaded with neoliberalism, individual suffering has been regarded as result of individual choice. In addition, lacking of social systems which control these indiscriminate developments, today can be defined as ‘risk society(Risikogesellschaft)’. Unfortunately, in this risk society, the weak, especially students have become victimized by social or natural catastrophes. Consequently, it is in need of contemplation on desirable teacher model which can protect and take care of them. We ve had stereotypes that teachers should be full of affection to student, professional at lecture, diligent as administrative officer. In other words, we have forced teachers to be obedient and passive men who ‘stay still and don t do anything unexpected’ as long as higher order is not given. However, risk society which self contradiction and absence of communication cause can only be overcome by autonomous criticism and collective intelligence. Therefore, we need to seek the autonomous teacher model as a ‘critical doer’ who can think and do by one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