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ICT 활용 교육 2 : IT관련 NIE활동이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전윤희 ( Yun Hee Jeon ),송정범 ( Jeong Beom Song ),이태욱 ( Tae Wuk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9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3 No.1

        오늘날 컴퓨터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교육과정은 급변하는 정보 시대를 대신하고 있지 못하며, 정보 소양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실습수업을 제외한 나머지 학습 내용들은 나열식으로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컴퓨터의 다양한 활용 분야와 발전하는 기술들을 보다 현실적으로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신문활용교육(NIE)을 제시하였다. 정보기술(IT)과 관련된 신문기사를 수업에 활용함으로서 학습자들의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여 친밀감 정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 수준을 통해 이해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저탄소 녹색성장 인식과 친환경 의생활 태도

        전윤희 ( Yun Hee Jeon ),구인숙 ( In Sook Koo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3 패션 비즈니스 Vol.17 No.1

        The attitude of Eco-friendly clothing is based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Low-carbon green growth awareness. It can be developed through our education. I studied and analyzed the survey which targeted on high school students whether the recognition of low-carbon green growth can be effected to the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or not, and school education effect. The research shows the green growth recognition affects significantly 10 the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Also the study proves the education of green growth awareness and the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informs the realizations of environmental and green growth concepts. The education of clothing habits affects our eco-friendly clothing attitude. Therefore this education is necessary for school curriculum and it must be expanded in any areas both in ``environment and green growth`` course and ``home economics`` courses in secondary education. The education of Eco-friendly clothing habit should be keep researched specifically and develop further and further.

      • KCI등재후보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비교 고찰

        전윤희(Yun Hee Jeon)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1996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1 No.-

        연구 (research)는 모든 과학의 전문화를 위해 근본이 되는 기초 도구로 여겨져 왔다. Gortn연구의 과정을 통하여 지식의 과학적 본체가 밝혀지며 이론의 발전 및 기틀이 마련되고 또한 기존의 이론이 시험, 검증되어 이론과 실제간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Bums & Grove는 연구란 ‘과거의 지식을 검증하고 새로운 지식을 개발해 내는 근면하고 체계적인 조사’라고 정의되어 졌다. 이와 관련지어, 실제 세계의 문제와 복잡성을 해결하는 방법이며 인간경험의 구성 원리인 패러다임 (paradigm)은 연구의 방법을 제시하는 기틀이 될 수 있다. Thomas Kuhn은 패러다임 (paradigm)을 ‘학문의 수수께끼를 해결하고 인간의 경험을 비추어 보며 현실을 구체화하는 특수한 방법’ 이라고 정의했다. 지난 수십 년에 걸쳐 과학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일대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은 학문의 실증론적 (positivistic) 관점에서 후기실증론적 (post-positivistic) 관점으로의 변천을 의미하며 이로써 모든 분야의 과학적 연구에 중요한 변화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과학적 학문으로서의 간호학은 그 역사적 입장에서 볼 때 시작단계에 불과하다고 할 수 있으며 과거 다른 학문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증론에 바탕을 둔 양적 연구에 치중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간호학자들은 각 학문의 패러다임 (paradigm)으로부터 드러나는 다양한 연구방법의 사용을 통해 이러한 신홍의 연구전통에 폭넓은 기초를 확립하는데 공헌해야 함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의 취지는 연구방법과 관련된 두 개의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개념들을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논하여 간호 과학에 있어서 현상학적 접근법의 적절성을 제기하기 위함이다. 본문은 1) 패러다임 충돌, 2) 현상학의 역사적 발전 개요를 포함한 현상학의 비평,그리고 3) 간호 과학적 관점에서의 인간의 존재에 대한 현상학적 견해로 각각 나누어 설명되며,결론적으로, 성숙된 학문으로서 간호 과학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의 적절한 조화를 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중증화상 보장성 강화 정책이 본인부담금에 미친 영향

        김관옥(Kim, Kwan-ok),전윤희(Jeon, Yun-Hee),신영전(Shin, Young-jeon)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59

        이 연구는 중증화상의 보장성 강화 정책 시행 전ㆍ후에 나타난 중증화상 환자의 본인부담금 변화를 파악하여, 2010년에 시행된 중증화상 보장성 강화 정책의 효과를 살펴보고, 소득수준별 정책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한국의료패널 4차 년도(2010년 1월-6월)와 5차 년도(2010년 7월-12월) 자료를 이용하여, 이중차이분석(Difference-in- Differences)과 삼중차이분석(Difference-in-Difference-in-Differences)을 시행하였다. 다중이중차이분석 결과, 입원과 외래에서의 ‘총지출비용(본인부담금+처방약값+교통비+간병비)’,‘TOTAL(입원+외래)본인부담금’, ‘외래본인부담금’은 감소하였으나 유의하게 감소하지 않았고(p> 0.05), 다중 삼중차이분석 결과, 소득수준별 정책 효과의 영향 차이도 일부 나타났으나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05).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이 중증화상의 고액 의료비로 인한 가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보장성 확대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 in out-of-pocket payment of major burn patient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major burn coverage reinforcement policy with a view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severe burn coverage reinforcement policy that was implemented in 2010 while evaluating the difference of policy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s. The 4th year data(between January to June, 2010) and 5th year data (between July to December, 2010) of Korea health Care Panel Study were utilized to implement the DID and DDD analysis. As a result of the formal analysis, ‘total medical expense (out-of-pocket payment + prescription drug price + transportation cost + nursing care cost)’, ‘TOTAL (inpatient + outpatient) out-of-pocket payment’, and ‘outpatient out-of-pocket payment’ decreased, but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p>0.05). As a result of the DDD, the gap among policy effect according to income levels was also found in some parts but not significant(p>0.05). The health insurance coverage expansion policy should be more active in expanding its coverage to ease the financial burden on households to pay for the expensive medical cost for severe burn cases.

      • A STUDY OF FAMILY CARING : CARERS' EXPERIENCES USING RESPITE CARE SERVICES 임시 위탁 간호 제도 이용에 대한 가족 간호자들의 경험

        Jeon, Yun-Hee 광주보건대학 1996 論文集 Vol.21 No.-

        본 논문은 치매 혹은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환자를 간호하는 가족들 개개인의 관점으로 본 그 들의 체험을 기초로 한 연구이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실시되었다.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가정과 지역사회 중심의 간호는 국민들의 고조된 관심을 받아 왔으며 이것은 1960년대 말과 1970년대의 탈수용화 운동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많은 가족들이 노인 환자들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으며, 지역사회 중심의 간호 제도는 이러한 환자들의 간호에 대한 가족들의 책임을 증가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성정신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일상생활을 해 나가는데 많은 제약을 받으며 그들의 삶을 유지하기 위해 도움을 필요로 한다. 특히 혼란에 빠져있는 정신장애를 겪고있는 노인들은 더욱 더 많은 관심과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점에서, 임시위탁간호제 (respite care service) 는 가족 간호인들의 장기간호 역할로 오는 체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그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 궁극적으로는 더욱 더 향상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아 왔다. 원래 임시위탁간호 제도는 가족 간호자들의 힘든 간호 업무역할로 인한 고초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주로 정신박약아와 정신지체를 갖고 있는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을 중심으로 발달되었다. 그러나, 만성 정신질환자의 가족 간호자들의 욕구는 무엇이며 특히 임시 위탁 간호제가 이들 가족 간호자들에게 실제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약했다고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이러한 임시 위탁간호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근에야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가족들에게 도입되어 이 분야의 연구의 필요성을 명백히 해 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가족 간호자 개개인이 임시 위탁간호제도를 이용할 때 얻어지는 간호 체험을 묘사하여 그 이해를 높이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간호 자들의 실제체험을 추출해 내기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을 도입했으며 탐색적 묘사법으로 기술되어 졌다. 치매 또는 정신분열증을 앓고 있는 가족을 돌보는 4명의 가족 간호자들이 참여했으며 그들은 각각 2회에 걸쳐 인터뷰되었다. 인터뷰를 통해 녹음된 자료는 글로써 그대로 옮겨졌으며 참여자들의 경험을 묘사하는 주제들을 반영하기 위해 현상학에 기초를 둔 Giorgi 방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간호와 임시위탁간호제의 이용과 관련된 참여자 들의 체험은 5개의 주제로 추출되었으며 그것들은 "사랑하는 가족을 위한 간호" (caring for a loved one), "적응과 대처해 나감" (coping and managing), "지지를 구함"(looking for support), "병원 수용의 불가피함" (inevitability of institutionalization), 그리고 "구조와 같은 휴식" (life saving break)으로 묘사되었다. 이 주제들은 만성질환이 가족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한 조사에 중점을 둔 기존 연구들의 결과에 한 단계 더 나아간 차원의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만성 정신질환자들 및 그 가족 간호자들을 위한 임시 위탁간호제도를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과 관련지어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Taking each day as it comes & looking at the world through the other's window : a phenomenological study

        Jeon, Yun Hee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1995 Health & Nursing Vol.7 No.-

        본 논문은 만성 정신질환을 않고 있는 환자를 간호하는 가족들의 체험에 관한 실제연구를 발표했으며, 그 가족 간호 자들의 간호 제공에 관한 개개 인적 이야기 진술에 기초되었다. 1960 연대 말과 1970년대의 정신질환자들에 대한 탈 수용화 운동이 촉진된 이래 지역사회 중심의 간호가 강조되어져 왔으며, 그 결과 이러한 환자들의 간호에 대한 가족들의 책임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임시간호제(respite care service)는 간호인들의 장기 간호 역할로 오는 체력 소모를 감소시키고 그 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는데 중요 한 역할을 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성 정신질환 자의 가족 간호 자들과 임시간호제에 대한 그들의 인식에 관련된 연구는 미약했다. 그러므로, 묘사적 해석적 연구 방법을 도입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가족 간호 자 개개인의 간호 체험을 가족이라는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와 지역 사회 보조 서비스들과의 좀 더 광범위한 체계상황에서 상세하게 그려 내기 위함이다. 당연시되어지고 간과되어지기 쉬운 가족 간호 행위의 경험들을 연간의 일상적 상황 내에서 조사하기 위해, 연구 방법으로서는 Van Manen 의 해석적 현상학적 접근법을 이용하였으며, 이것은 연구자가 참여자들의 경험들을 밀도 있게 이해하고 만성 정신질환이라는 상황 내에서 가족 간호 제공의 현상을 기술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정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가족을 간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념하여 간호해야 함과 관련 지어 그 가족간호 자들에게 있어서 간호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발견하기 위해, 본 연구는 특히 부모들과 딸로 구성된 14명의 가족 간호자들의 관점에 비추어 그들의 간호 제공 경험과 임시 간호제에 관한 견해에 중점을 두었다. 두차례에 걸친 개별적 심층 면담을 통해 14명의 참여자들은 각각, 그들에게 있어서 만성 정신질환을 않고 있는 사람을위해 간호하는 가족으로서의 삶과 그 간호 행위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질문 되어겼다. 기술된 면담 자료들은 그들의 체험의 의미를 주제별로 기술하고 해석함으로써 분석되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두 가지의 본질적 주제가 추출되었으며 그것들은 각각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체험된 시간-"시간과 가족 간호(temporality and family caring) :하루하루를 대처해 나감(taking each day as it comes)" -과 체험된 관계 - "관계와 가족 간호(relationality and family caring) ; 타인의 창을 통해 세상을 바라봄(looking at the world through the other's window) "-에 비추어 간호 제공의 경험을 묘사하고 있다. "하루하루를 대처해 나감"은 간호 제공자들이 정신질환 가족의 발병 초기부터 돌보아야 하는 일에 연루됨으로부터 경험하는 현상학적 의미의 시간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것은 어둠 속에서 허우적 거림(floundering in the dark), 하루 하루를 대처해 나감(taking each day as it comes), 경험에 의한 터득(learning by experience), 지속된 슬픔(on-going grieving) 그러고 휴식을 통한 자기 보존(self preserving through time out) 으로 특징 되어진다. 다른 한편, "타인의 창을 통해 세상을 바라봄"은 연구 참여자들이 그들만의 특별한 방법으로 이 세상을 살아가는 경험을 어떻게 인지하고 해석하는지를 보여 주었으며 그것은 바로 그들이 돌보는 사람의 눈을 통해서 였음을 나타내었다. 이 주제에서는 갈등의 아픔(being torn), 타인의 눈을 통합(through the eyes of the other), 두려움 속의 삶(living in fear of), 은폐 당함(being swept under the carpet), 도움을 얻기 위한 싸움(battling to get help) 그리고 차이를 느낌(feeling the difference)으로 설명되어졌다. 본 연구의 가장 주된 공헌은 전문 간호사들과 더불어 다른 모든 건강 전문 요원들에게 복잡하고 지속적인 노력을 요구하는 가족 간호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가족 간호 자들의 체험과 욕구들을 그 나름대로 설명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또한 가족 간호 자들의 욕구로서는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이해, 지지와 임시 간호제의 효과적 실시라는 것을 확인시켰으며, 이러한 것은 간호 수행면에서 뿐 만아니라 사회 정책면에서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의 기틀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field study that examined family members' experiences of caring for a relativ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primarily based on the family caregivers' personal accounts of their caring practices. Since the deinstitutionalization movement of the late 1960s and the 1970s gained momentum there has been increasing emphasis on community based car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ich has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family responsibilities in caring for disabled family members. In this regard, respite care service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caregiver burn-out and maintaining caregivers'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Despite this, there has been a paucity of research on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chronic mental illness and their perceptions of respite car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interpretive study was to depict the lived world of caring within the individual family context and within the more extensive system of health care and community support services. The design of the study was guided by the work of Van Manen(1990) and utilize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inquiry to explore taken-for-granted experiences of caring in the context of the persons' everyday lives, which helped the researcher acquir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se experiences and describe the phenomenon of family caregiving in the context of chronic mental illness. To uncover the meaning of caregiving to these family members with regard to their ongoing committment to caring for their mentally ill relative, the study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caregiving from the perspective of fourteen family caregivers, in particular mothers, fathers and a daughter, and their views on respite care. Through two occasions of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cribe what it is like to be a family caregiver of a person with chronic mental illness. Transcribed interviews were analysed by thematically describing and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the lived experience. Two principal themes were extracted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 of caregiving in the light of phenomenological notions of lived time-temporality and funiiy caring: taking each day as it comes, and lived other -relationality and family caring : looking at the world through the other's window. Taking each day as it comes connoted lived time that the caregivers experienced from the beginning of their involvement in caring for their mentally ill relative, characterized by floundering in the dark, taking each day as it comes, learning by experience, ongoing grieving, and self-preserving through time out.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world through the other's window showed how the study participants perceived and interpreted their experience of being in the world in a particular way, and that was through the eyes of the one they cared for. This was explicated through sub themes of being torn, through the eyes of the other, living in fear of, being swept under the carpet, battling to get help and feeling the difference.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present study is its explication of the family caregivers' experiences and needs in a way which can increase nurse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appreciation of the complex, ongoing, and demanding nature of family caregiving. The study identified the caregivers' needs for understanding, support and respite, and these provided directions for nursing practice, social policy, and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