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산 권재규의 心性一體論과 向華背夷論

        전성건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This paper examines Kwon Jae-gyu's academic method and reality perception, focusing on the theory of heart-nature unity and the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The theory of heart-nature unity can be said to be the core that is inherited from Ki Jeong-jin and Jeong Jae-gyu, and the theory of the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shows his world view. And his profound theory and world view are again related to his spirit of the times. Kwon Jae-gyu, a traditional Korean Confucian scholar who had to live in the imperialist era, did not aim for a life subordinat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e lived an outdated life. However, his life should not be viewed like that. This is because the subject is a name that can be called when one can decide one's life. The life of a Korean Confucian who had to protect humanity, including morality and ethics, thus resonates with us. The academic object of Kwon Jae-gyu was the spirit of heaven, nature, and unific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a filial disciple as a practical ethics, and a foreground of humanity as a moral theory. In the context of neo-confucianism, his theory of heart-na182 ture unity can be said to be a juristic. The world order is being reorganized to prioritize temperament, but from his point of view, it was the way to destroy humanity. Many people of the time maintained that it was reasonable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velopmental historical view, but he thought that if he proudly kept and maintained the era from the standpoint of the so-called circular historical view, he would someday restore human order. That can be said to be the reason why he raised his disciples while lecturing until his death. 본 논문은 송산 권재규의 학문방법과 현실인식을 심성일체론과 향화배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심성일체론은 노사 기정진에서 다시 노백헌 정재규를 거쳐 송산으로 계승되는 심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고, 향화배이론은 중화를 지향하고 이적을 배척한다는 위정척사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심설과 세계관은 다시 그의 시대정신과 관계된다. 제국주의시대를 살아야 했던 한국의 전통유학자인 송산은 시대의 변화에 종속되는 삶을 지향점으로 삼지 않았다. 그러므로 시대에 뒤쳐진 삶을 살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송산의 삶을 그렇게만 보아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주체란 자신의 삶을 자신이 결정할 수 있을 때 불릴 수 있는 명칭이기 때문이다. 도덕과 윤리를 포함하는 인륜을 지켜야만 했던 한국유학자의 삶은 그래서 우리에게 울림을 준다. 송산의 학문적 대상은 천리와 본성 그리고 그것을 통괄하는 마음이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니라, 실천윤리로서의 효제자라고 할 수 있고, 도덕이론으로서의 인의예지라고 할 수 있다. 리기론의 맥락에서 볼 때, 그의 심성론은 주리론적 심설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질서는 기질을 우선시하는 데에로 재편되고 있었지만, 이것은 송산의 입장에서 볼 때, 인륜을 파괴하는 길이었다. 당대의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세계질서에 편승하는 것이, 발전적 역사관의 입장에서 볼 때 타당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었지만, 송산은 이른바 순환적 역사관의 입장에서 당당하게 그 시대를 지키고 유지한다면, 언젠가는 다시 인륜질서를 회복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것이 그가 죽음에 이를 때까지 강학하면서 제자들을 길러낸 이유라고도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심학의 전통에서 일신의 주재는 일심의 역할이고, 일심의 주재는 경의 역할이었다. 송산도 이를 따라 경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았고, 그래서 깨어있는 지식인으로서의 삶을 살 수가 있었다. 신문물이 들어와도 자신의 지조를 지키며 살아가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러한 고난과 역경 속에서도 자신의 학문을 살아간 선유의 판단과 실천을 무시하지 않고, 그 고민의 지점을 살펴보는 것도 유의미한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레귀돈의 기학과 정약용의 상제학

        전성건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7 다산학 Vol.- No.30

        This paper considers Le Quy-don’s Gihak and Jeong Yak-yong’s Sangjehak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in the comparison. They share studies and history of the 18th century which have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which is so-called bibliography of confucianism and western learning which divides natural science and catholicism. Their academic and idea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ogether. Le Quy-don’s way of studying is inferential measurement(推驗) based on the science of xiangshu xue(象數學) and we call his studying gihak(氣學) which intergrates human affairs with astronomical and geographic phenomena, while Jeong Yak-yong’s is historical investigation(考證) based on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考證學) and we call his studying Sangjehak(上帝學) which systematizes confucianism knowledge.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m is to interpretate the great ultimate(太極) and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which is the core notions of neo-confucianism. Le Quy-don considers the great ultimate as one perfect gi(混元一氣) which is matrix of the heaven and the earth and all things, and he understands the study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學) as the study of wide knowledge(博物學), while Jeong Yak-yong downgrades the status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nd substitute the great ultimate as the Sangje which is seriously affected notion by the catholicism. To sum up, both of them positively accept the western natural science, because it carries practicality and preciseness on itself. But they differently approach on the catholicism. Le Quy-don regards the Lord of heaven(天主) as one perfect gi and this attitude affirms the Lord of heaven except no respect of parents, while Jeong Yak-yong converts catholicism into the studying Sangjehak which is so-called accomplishing the Confucianism(補儒論). 본 논문은 18세기를 공유하는 베트남의 레귀돈과 조선의 정약용의 학문과 사상을 비교철학적 관점에서의 다룬 것이다. 고려시대 이전부터 베트남과 조선의 교유는 사신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레귀돈은 홍계희와의 만남을 통해 조선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의 만남은 양국의 문화와 학술은 물론 정치적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만남으로 평가된다. 중화문화권에서의 번국으로서의 위상이 바로 그 이유이다. 그 가운데 본 논문에서 주목하는 것은 베트남과 조선의 학술사적 맥락에서 레귀돈과 정약용의 학문과 사상을 비교하는 데에 있다. 레귀돈과 정약용은 모두 18세기 중국학술계의 동향 속에서 성장하고 발전한 인물이다. 그 시대는 이른바 고증학의 시대이자 서학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던 때이다. 그들은 당대 중국의 시대정신과 학문경향을 공유하는 한편, 사유방식에서는 상당한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레귀돈은 상수학을 기반으로 한 기철학의 입장에서 천문, 지리, 인사 등을 추산과 측량의 방식을 적용하여 통합적으로 파악하려고 하였다. 반면 정약용은 훈고학, 성리학, 고증학의 장점을 흡수하여 육경사서를 재해석하고, 그를 근거로 마련된 개혁안들을 중심으로 조선왕조의 국가체계를 일신시키려고 하였다. 이때 사용된 학문 방법이 바로 성경현전 사이의 사례비교를 통한 고증의 방식이다. 이러한 학문 방법에 따라 그들의 태극과 격물에 대한 이해방식에도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이해방식은 천주학에 대한 대응에서도 나타난다. 레귀돈은 태극을 혼원일기로 파악하고, 정약용은 상제로 태극을 대체하였다. 레귀돈은 격물궁리론을 세계를 이해하는 박물학으로서 전환시키고, 정약용은 사물의 시종과 본말을 이해하는 수준에서 격물에 의미를 부여하며 격물의 위상을 격하시킨다. 그들은 모두 서양의 자연과학지식의 정밀성과 실용성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하였으나, 천주학에 대한 이해 방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레귀돈은 천주의 기원을 자신의 이론으로 정당화하는 한편, 인륜을 경시하는 생활태도에 대해서는 긍정하지 않는다. 반면, 정약용은 천주학을 상제학으로 전환시키는데, 이는 천주학에 상당한 영향을 받은 것이다.

      • KCI등재

        신정인보론 : 실심과 실사의 종합

        전성건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0 다산학 Vol.- No.36

        This paper aims to re-light the philosophy and ideas of Jeong In-bo, who can be evaluated as a first-generation Tasan learning researcher, from the standpoint of Practical Mind’s Practical Learning. The Study of the Practical Mind’s Practical Learning has been in the classification of early modern,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oncept of early modern, however, is linked to Japan’s understanding of its history, which Korean scholars are borrowing. Therefore, the legitimacy of the early modern’s concept should be discussed and defined in the history community in the future. Nevertheless, the conceptual use of the early modern is still being used in Korea. In particular, the early modern became a concept equivalent to the late Joseon Dynasty amid the association with Practical Mind’s Practical Learning. Practical Mind’s Practical Learning has been used in early modern,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ach. If so, one could raise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cept is the same. Therefore, early modern,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rack the content of Practical Mind’s Practical Learning becomes primary. The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perspective of the current scholars in Jeong In-bo. This is because it is not Jeong In-bo’s own philosophy and ideology itself, but rather Jeong In-bo, which lies in the eyes of today. This is defined in this paper as Jeong In-bo theory. And in order to adjust this perspective again, we will be able to reconstruct Practical Mind’s Practical Learning presented by Jeong In-bo so that we can see what the new practical aspects of our future needs to look like. Jeong In-bo is a successor of Jeong Je-du, who is also recognized as a Kanghwa scholar. He spoke of his practical mind as an innate wisdom, and called it a practical fact that effect. For the party, the truth is that it succeeded Yang-ming learning, and that fact-finding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due diligence, which is the short-term realist who led to the Ryu Hyung-won, Lee Ik and Jeong Yak-yong. In addition, there are also beyond seas events such as mind-spirit, Republic, early modern and so on. What is needed to form a new Jeong In-bo theory are the following. First, it should be possible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and practical Learning and to express the present view of the post modern. Second, we must redefine what the practical mind is today. Third, Practical Mind’s Practical Learning should not be ideological. It should be something soft and not hard. 본 논문은 제1세대 다산학 연구자로 평가할 수 있는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의 철학과 사상을 실심實心과 실사實事의 종합으로서의 실학이라는 입장에서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그간 실심실학의 연구는 조선 후기인 근세,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인 근대의 구분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근세라는 개념은 일본의 역사 이해와 연결된 것이고, 이를 한국의 학자들이 차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근세 개념의 정당성은 앞으로 역사학계에서 논의되고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세 개념의 사용은 한국에서 지금까지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실심실학과의 관련성 속에서 근세는 조선 후기에 해당하는 개념이 되었다. 그리고 조선 후기, 대한제국기, 그리고 일제강점기 한국의 학자들은 실심과 실학이라는 용어를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그렇다면 그 개념의 내용은 동일한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후기,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에 보이는 실심, 실사, 실학 등의 개념 내용을 추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현재의 학자들이 바라보고 있는 위당 정인보의 시각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는 위당 자신의 철학과 사상 그 자체라기보다는 오늘날의 시선 속에 놓여 있는 위당 정인보이기 때문이다. 이를 이 논문에서는 정인보론이라고 규정하였다. 그리고 다시 이러한 시각을 조정하기 위해서 정인보가 제시하는 실심실학을 실심과 실사의 종합으로서의 실학으로 규정함으로써 앞으로의 우리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실학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위당 정인보는 일명 강화학파로 인정되는 하곡 정제두의 후예이다. 그는 양지로서의 실심을 이야기하고, 그러한 실심이 실사에서 실행되는 것을 실학이라고 하였다. 위당에게 실심은 양명학을 계승한 것이고, 그 실심은 실사에서 실행되어야 하는데, 그 실사를 계승한 이들은 바로 반계 류형원, 성호 이익, 다산 정약용으로 이어지는 근기실학자들이다. 그리고 거기에 다시 심혼心魂, 민국民國, 근세近世 등의 외래 사상의 영향도 있는 것이다. 새로운 정인보론을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다음의 것들이다. 첫째, 근대와 실학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탈근대의 현재적 관점을 표현해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오늘날의 실심이 무엇인지를 다시금 재정의해야 한다. 셋째, 실심실학은 이데올로기화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말랑말랑한 그 무엇이 되어야 하며 딱딱해져서는 안 된다.

      • KCI등재

        순암 안정복의 『가례』연구와 그 방향

        전성건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39

        This paper is written to look at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the study on the family Rituals by An Chong-Pok who was as intellectual in the 18th century. The practicality of Joseon confucianism can be found through rituals among various learning.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book is The Family Rituals which is considered to have been written by Zhu-xi. However, The Family Rituals is different from his another ritual book, Yílǐjīngzhuàntōngjiě. Therefore, each is referred to as the middle-aged and late-year-old theory. As well as Lee hwang, Lee Ik and An Chong-Pok were also aware of The Family Rituals under these magnetic field. However, Lee Ik thought of The Family Rituals as an example of noble family, and wrote the book which is called SeongHoYeShik, because he thought that he needed a new form of the family rituals book for those who were in his situation. SeongHoYeShik is a considerably simplified version of The Family Rituals in size and procedure. Therefore, after Lee Ik's death, his family and disciples became aware of some problems.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unorthodox family rituals through ancient rituals and a popular custom, and simplifying SeongHoYeShik were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the ancient and The Family Rituals. An Chong-Pok wrote a few of writings related with The Family Rituals but nothing exists here. Therefore, the clues to his research can be found only through his various letters, The record of funeral rites, The record of Remembrance and so on. He inherits the spirit of frugality, and follows it in many specific ceremonies. And what can be confirmed through his comments is that his study was for the sake of the ceremony. 본 논문은 순암 안정복의 『가례』연구의 방향과 목적을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조선 유학의 실천성은 다양한 유학 분야 가운데 하나인 예학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저술이 바로 주희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평가되는 『가례』이다. 그런데 『가례』는 주희의 또 다른 예학 저술인 『의례경전통해』와 그 결을 달리한다. 그러므로 각각이 중년미정설, 만년정설로 지칭되는 것이다. 퇴계는 물론, 성호와 순암 또한 이러한 자장 아래에서 『가례』를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성호는 『가례』를 사대부 가문의 예식으로 생각하고, 자신과 같은 처지인 匹庶들이 행례할 수 있는 가례서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성호예식』을 저술하였다. 『성호예식』은 『가례』에 비해 규모와 절차 등이 상당히 간소화된 것이다. 그러므로 성호 사후 그의 가문과 문인은 몇 가지 문제의식을 지니게 되었다. 미정론인 『가례』를 고례와 속례를 통해 수정하고 보완하는 것 및 지나치게 간소화된 『성호예식』을 절검의 측면에서는 계승하되, 고례와 『가례』의 정신에 따라 바로잡는 것이었다. 순암은 『가례주해』와 『가례익』 등을 저술했지만 현존하는 것은 없고, 자신과 가문에서 행례하기 위해 작성한 『송종록』과 『추록』 등만이 현존하고 있다. 때문에 그의 『가례』연구에 대한 단서는 이것들을 중심으로 찾되 각종 서신 및 『순암부부고』 등을 참고할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그는 『성호예식』의 정신인 절검을 계승하고 있고, 구체적인 의절에 있어서도 상당수 성호의 그것을 따르고 있다. 그리고 그의 언급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그의 『가례』연구가 행례를 위한 것이었다는 점이다.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맹자학과 혈기론

        전성건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2 No.-

        This paper summarizes Mengzi-Yaoyi. which is a kind of commentary on Mengzi written by Dasan Jeong Yakyoung and searches for the meaning of his theory of mind and body which is related to his new anthropology. Generally speaking, Mengzi deals with the rule of right and human nature. By adding them, Dasan makes a suggestion for seven articles in his Self Written Epitaph which was made to celebrate the sixtieth anniversary of his birth. Dasan presents two main topics, which are the nine square field system and the nature fo taste in Mengzi-Yaoyi. The nine square field system, which can be seen in the Gyeonge-Yupyo, is a sort of an ideal land system for a fixed livelihood for the people and the nature of taste is a kind of human nature. There are two natures of taste which are physiological which aims at appetite, carnal pleasures, and complacency and spiritual which aims at righteousness. This paper takes note of the theory of blood and energy which was influenced by the theory of Seongho and Catholicism. Especially, Catholicism and western natural sciences played an important effect on his mind-body theory. As with Descartes, he claims mind-body dualism. The human’ physiological heart is very important as a corporate body. But we have no idea of the method of their combination. In short, Dasan’s blood-energy theory is very serious for under standing new mind-body dualism. 본 논문은 다산 정약용의 맹자학을 『맹자요의』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일종의 신체론인 다산의 혈기론을 통해 그가 제시하는 새로운 인간형을 살펴보려고 한 것이다. 통상 『맹자』를 이해할 때는 義利之辨과 浩然之氣를 그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산 또한 예외는 아니다. 그가 회갑을 기념하면서 작성한 「자찬묘지명」 『맹자요의』 항목에는 여기에 7가지 항목을 추가하여 총 9가지로 자신의 창견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산의 맹자학의 주요 논점은 다시 두 가지로 정리될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왕도정치와 성기호설과 관련한 것이다. 다산은 왕도정치의 핵심을 전장제도에 두고 있는데, 그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정전제이다. 그리고 다산은 새로운 인간형을 제시하기 위해 인간의 본성을 기호로 재해석하고 있다. 다시 기호에는 형구의 기호와 영지의 기호가 존재한다. 형구의 기호는 식색과 안일을 좋아하는 육체의 특징을 제시한 것이고, 영지의 기호는 도의를 좋아하는 마음의 특징을 제시한 것이다. 그런데, 다산의 성기호설은 心身論의 차원으로 확장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는 그가 마음과 몸을 주자학에서처럼 氣나 理氣의 合으로 이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산이 볼 때, 마음은 理氣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이며, 육체는 氣라고 할 수 있으나 이 역시 주자학에서 말하는 氣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다. 즉 다산이 볼 때, 마음과 육체는 질적으로 서로 다른 것이며, 이를 그는 無形과 有形으로 구분한다. 이는 마음과 육체를 形質의 유무를 통해 구분하고자 한 것이다. 다만 마음과 육체가 결합되어 있는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이 둘은 설명할 수 없지만[妙] 결합되어 있다[合]고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를 다산은 神形妙合이라고 말한다. 다산의 고증에 의하면 마음에 대한 專稱은 없었다. 다만 마음과 육체가 결합되는 곳이 心臟이라고 판단하였기에, 이를 借名하여 心이라고 명명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그의 마음에 대한 이론은 심장을 중심으로 육체와 관련성을 맺는다. 그리고 심장은 血液을 온 몸에 공급하여 인간의 生養動覺의 근원이 된다. 이러한 다산의 마음과 육체에 대한 해설은 성호학파의 身心論을 계승한 것이면서, 서양의학과 천주학의 영혼론 등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선덕(先德)과 조훈(祖訓)의 기억 : 안동 김문의 가사(家史) 계승을 중심으로

        전성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民族文化硏究 Vol.56 No.-

        본 논문은 조선의 지식사회로서의 모습을 다각도로 살펴보려는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재생산 체계에 관한 연구-17~18세기를 중심으로』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특히 안동 김문이 가문의 역사를 어떻게 정리하고 있고, 그 정리가 갖고 있는 특징이 무엇이며, 어떻게 "계승"되어 가문의 지식과 지식인 생산에 관여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조선후기 안동 김문의 家史의 전형으로 생각되는 「安東金氏家史」를 주요 대상으로 삼고, 그 이전과 이후의 맥락을 살펴보는 데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는 방식을 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에 유의미한 자료로서 「안동김씨가사」에 앞서 작성된 「安東金氏先狀」과 「안동김씨가사」의 구현으로 평가 받는 『安東金氏文獻錄』을 주요 참고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안동 김문의 家史 계승은 다음의 몇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詩歌를 통해 선조의 덕행과 유훈을 전달하는 방식을 마련하였다. 둘째, 가문의 인물과 그들의 행적을 기록한 家記를 기록하였다. 셋째, 집안에서 전수되고 있었던 文籍 등 소장하고 있던 자료들을 참고하여 先狀을 집성하였다. 넷째, 집안에서 세대마다 정리하고 있었던 家乘, 그리고 國史와 野史 등에서 보이는 안동 김문의 역사적 사실들을 정리한 史乘 등을 기반으로 家史를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안동 김문의 인물, 업적, 역사 등을 총 망라한 문헌록을 완성하였다. 이상의 안동 김문의 역사가 발전적으로 계승되었던 과정을 통해 몇 가지 특징적인 사항을 알 수가 있었다. 첫째, 안동 김문은 詩歌라는 문학 장르를 통해 가문의 인물과 역사를 전승하는 방식을 고수하였다. 이러한 전달방식은 隱居를 가문의 전통으로 삼았던 것과 관련된다. 둘째, 직계뿐만 아니라 방계까지도 가문의 일원으로 포괄하는 가문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셋째, 학파적으로 관련된 師友와 정파적으로 관련된 同志들을 포함한 다양한 인맥까지도 함께 거론하여 가문의 영향력을 극대화시키고자 하였다. This paper is on having a distinct memory of ancestral virtue and family motto with Andong Kim's Family as its center as a part of the project called A Study on the Reproduction System of Knowledge and Intellectuals in Choseon Dynasty. Andong Kim"s family was and is a representative family in Choseon dynasty. Its succession to family history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s ancestral virtue and family motto was delivered to the descendant through traditional poem and song. Second, its family documents which contained family members and their whereabouts. Third, it gathered together into a systematic whole referred to the family literature and documents. Forth, it established family history based on the family documents, national history, and unofficial history. Lastly, it completed family history so-called Andong Kim's Family Literature. Andong Kim's family history has a few peculiaritie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holds fast to traditional poem and song methods which is related to the living in seclusion. Second, it contains not only lineal but also collateral relatives. At the conclusion, It shows family's power by expanding diverse personal connections which contains both academic teacher-students and political like-minded person.

      • KCI등재

        『家禮疾書』와 『星湖禮式』의 역사성

        전성건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7 No.-

        This paper aims to look at the direction of Shorthand of Family Rituals and Rituals of Sung-ho Family, and look at what the problem consciousness he presented was. Lee Ik was a private student of Toegye, and he wanted to develop and expand the philosophy and ideas of Toegye as a member of the Toegye school through exchanges with men in the Gyeongsang provinces. Ritual learning was no exception. While Lee Ik succeeds ritual learning of Toegye, he will create a new example by criticizing the theories of Kim, Jang-saeng and other scholars.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are Shorthand of Family Rituals and Rituals of Sung-ho Family. In particular, Rituals of Sung-ho Family creates a bookcase that differs from family rituals that serves as the basis for the rituals held by the high official and thus seeks to expand the practice. This was based on his social status, and he made an ordin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his identity by stipulating the rituals of the high official, and the rituals of those in his or her status as well as those in people. His research on Family Rituals of the time mainly focuses on finding and supplementing the so-called ‘the decided opinion’ that Zhu Xi wrote in middle age. And it takes into account all aspects of exegesis, studying historical evidence and rituals. However, Lee Ik tried to expand the practice of ritual practice by creating family rituals for common people that could be performed except the high official. It can be said that he did not only assemble the great and the small clan and made the sect into a ritualistic practice of the ordinary people of the country districts. 본 논문은 성호 이익의 『가례질서』와 『성호예식』의 방향성을 살펴보고, 그가 제시한 서인가례가 갖고 있는 문제의식이 무엇이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성호는 퇴계를 사숙하였고 근기 퇴계학파의 종장으로서 제자들을 양성하는 한편, 영남 남인과의 교류를 통해 퇴계학파의 일원으로서 퇴계의 철학과 사상을 진전시키고 확장하고자 하였다. 예학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 성호는 퇴계의 예학을 계승하는 한편, 사계 김장생 등의 노론 예학자들의 학설을 비판하면서 새로운 예설을 창출하게 된다. 그 가운데 가장 핵심적인 것이 바로 『가례질서』와 『성호예식』이다. 특히 『성호예식』은 사대부 가문에서 행하는 예식의 토대가 되는 『가례』와는 그 성격을 달리하는 서인가례를 창출하여 가례시행의 확장을 도모한다. 이는 자신의 신분에 따른 것으로 『가례』를 근간으로 작성된 예식을 사대부의 예식으로 규정하고, 자신은 물론 서인의 신분에 있는 사람들의 예식을 별도로 규정하여 신분질서에 맞는 가례 서물을 작성한 것이다. 당대의 『가례』연구는 주희가 중년에 작성했다고 전해지는 『가례』를 이른바 만년정설을 찾아 보완하여 시행하고자 하는 것이 주류를 이룬다. 그리고 그것은 훈고와 고증 그리고 행례의 측면을 두루 감안한 것이다. 그러나 성호는 서인가례를 창출하여 사대부 이외의 필서들까지 행례할 수 있는 가례 서물을 작성하여 의례실천의 확장을 꾀하였다. 그가 대종과 소종의 일족들을 의례로 규합하고 종계를 만든 것 등은 그 가문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향촌 사회의 일반 백성들의 의례적 실천에 영향을 끼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