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유산의 '기타 효과적인 지역기반 보전수단(OECMs)' 등재기준 적용 연구 - 천연기념물 노거수와 당산제를 중심으로 -

        전다슬,신현실,Jun, Da-Seul,Shin, Hyun-Sil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3

        본 연구는 문화재청의 국가유산 체계상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천연기념물 식물 노거수를 중심으로 OECMs 관련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발굴결정인자를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기관에서 각 보호목적에 따라 지정·관리되는 보호지역들 가운데 이미 육상지역은 포화상태로 2030 생물다양성목표를 이행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보전수단인 OECMs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OECMs은 현재 내 보전의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장기성과를 달성하는 방식으로 통치되고 관리되는 보호지역이 아닌 지리적으로 정의된 지역(CBD, 2018)으로 지정기준의 단어선택이나 적용기준의 범위, 해석의 맥락은 각기 다를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각 나라의 상황에 맞는 OECMs의 관련 법령을 따로 제정하고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지정기준 검토 결과 최종 58개소가 발굴되었고. OECMs지정 기준 중 중요한 요소는 완충구역은 지정구역과는 어느 정도 이격되어 일정의 면적을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상업생산을 통한 경제활동이 일어나지 않고 생물다양성의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잠재자원 중 대구 도동 측백나무숲과 같이 지형적으로 격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지역과 삼척 궁촌리 음나무와 서천 마량리 동백나무숲과 같은 수림지 유형처럼 완충구역의 생물다양성이 확보될 수 있는 완전성이 보장된 경우로 총 23개소로 분석되었다. 천연기념물 식물의 OECMs 적용기준 검토 결과 생물다양성의 충족가치 중에 전통용도로서의 기능이 특화되어 있었으며 생태계 서비스와 문화·영적인 가치를 한국의 독특한 문화인 노거수와 당산제 문화를 통해 계승하고 있었다. 이는 생물다양성 지정기준 측면에서 새로운 생물종의 발굴없이도 인간과 자연의 생태계 네트워크 연결에 중요한 요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Natural Heritage and the OECMs Identification Criteria

        전다슬,장력,이건풍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1 No.-

        This study aim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introduction of OECMs in Republic of Korea as part of efforts to enhance the management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In light of the recent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Heritage system, the study seeks to extract key strategies for tailored OECMs in natural heritage by comparing the provisions of the rAct 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Natural Heritagej with the identification criteria for OECMs. First, the systems for different types of natural heritage are related to various similar laws from other ministries. Due to the associa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vulnerable areas being inadequately protected, with differences in the content and scope of implementation projects concerning the same target, potentially undermining the original intent of protection. Sceond, natural heritage is distinct, featuring characteristics like scenic beauty, academic significance, rarity, distribution, and historical relevance, representing various cultural elements throughout its history. Inherent cultural factors differentiate it from the general landscape and natural environment. However, it fundamentally includes the intrinsic values of biodiversity and ecological aspects, reflecting the unique life processes of entities within the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birth, life, and death. Third, with regard to OECMs, there has been a discussion through a survey of experts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erminolog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future-oriented terms, South Korea has decided to call it ‘Natural Coexistence Areas (tentativ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Clarifying the disparities between protected areas and OECMs for the public is challenging, requiring a predefined direction or categorization to facilitate domestic OECMs establishment. Fourth, ecosystem services and cultural, spiritual, socio-economic values are particularly highlighted in the definition of natural heritage. It is noteworthy that natural heritage, as a unique natural object endowed with cultural value, stands out.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object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described in the rAct 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Natural Heritagej, includes various types such as animals, plants, natural reserves, etc. Natural reserves that designate the entire entity as a target of conservation and spaces recognized for their aesthetic value as nature itself correspond to fundamental areas of biodiversity.

      • KCI등재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특성 비교 연구

        신현실,전다슬 한국전통조경학회 202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0 No.2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in China and Vietnam, which have developed in the relationship of mutual geo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in history,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the definition of cultural heritage in China and Vietnam has similar meanings in both countries. In the case of cultural heritage classification, both countries introduced the legal conc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rough UNESCO, and have similarities in ter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while China has separate laws for manag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Vietnam integrally manages the two types of cultural heritages under a single law. Vietnam has a slower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cultural heritage than China, but it shows high integration in terms of system. Third, cultural heritage in both China and Vietnam are graded, which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heritage. The designation method has a similarity in which the two countries have a vertical structure and pass through steps. By restoring the value of heritage and complementing integrity through such a step-by-step review, balanced development across the country is being sought through tourism to enjoy heritage and create economic effec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organization has a central government management agency in both countries, but in China,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is higher than that of Vietnam. In addition, unlike Vietnam, wher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e managed by an integrated institution, China had a separate institution in charg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Fifth, China is establishing a conservation management policy focusing on sustainability that harmonizes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heritage. Vietnam is making efforts to integrate the contents and spirit of the agreement into laws, programs, and projects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especially intangible heritage and economic and social as a whole. However, it is still dependent on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ixth, China and Vietnam are now paying attention to intangible heritage recently introduced, breaking away from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policy centered on tangible heritage. In addition, they aim to unite the people through cultural heritage and achieve the nation's unified policy goals. The two countries need to use intangible heritage as an efficient means of preserving local communities or regions. A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network should be established for each subject that can integrate the components of intangible heritage into one uni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enjoyment of the peop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a research stage comparing the cultural heritage system and preservation management status in China and Vietnam, and the characteristic comparison of cultural heritage policies by type remains a future research task. 본 연구는 역사상 상호 지정학적․문화적 영향관계 속에서 발전해 온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특성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정의는 양국이 유사한 의미를 지닌다. 문화유산 분류의 경우 양국 모두 무형문화유산의 법적 개념을 유네스코를 통해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되면서, 무형문화유산 진흥정책 측면에서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둘째, 중국은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을 관리하는 법이 각각 따로 존재하는 반면, 베트남은 두 유형의 문화유산을 단일 법령에 의해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베트남은 중국에 비해 문화유산 개념의 도입은 늦은 면이 있지만, 체계적인 측면에서는 높은 통합성을 보이고 있다. 셋째, 중국과 베트남의 유산은 모두 등급화가 나타나며, 이는 유산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지정방식은 양국이 수직적 구조를 가지고 단계를 높여가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 검토를 통한 유산의 가치 복원 및 완전성의 보완으로 관광을 통한 유산 향유, 경제적 효과 창출을 통한 전국의 균형적 발전을 꾀하고 있다. 넷째, 문화유산 관리기구는 양국 모두 중앙정부의 관리기관이 존재하지만, 중국의 경우 베트남에 비해 지방정부의 권한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유형문화유산과 무형문화유산을 통합적인 기관에서 관리하는 베트남과 달리 중국은 무형문화유산을 관장하는 기관이 별도로 존재하였다. 다섯째, 중국은 유산의 보호와 활용을 조화롭게 한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어 보존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베트남은 협약의 내용과 정신을 문화유산, 특히 무형문화유산과 경제․사회 전반에 관련된 법률, 프로그램, 프로젝트에 통합하고 이를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선진국의 원조와 국제기구의 영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섯째, 중국과 베트남은 유형문화유산 중심의 문화유산 보호정책에서 벗어나 현재는 근래 도입한 무형문화유산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문화유산을 통해 국민을 결집시키고 국가의 통일된 정책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양국은 무형문화유산을 지역 공동체나 지역을 보존하는 효율적 보존 수단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무형문화유산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단위로 통합할 수 있는 각 주체별 문화유산 보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민들의 향유 기반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중국과 베트남의 문화유산 체제와 보존관리 현황에 주목해 비교한 연구의 단계로 한계를 지니며 유형별 문화유산 정책의 특성비교는 차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 KCI등재

        일본 근대 시기 일본풍 정원의 확립과정과 정체성 구현

        안준영,전다슬 한국전통조경학회 202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41 No.3

        본 연구는 근대 시기 일본풍 정원의 확립과정을 인물과 작품의 공간구성과 공간구성요소, 재료 등을 통해 살펴보고 우리 정원의 정체성 구현을 위한 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성이 수용하고 있는 인자를 한일 근대 시기 정원문화에 대입한 결과, 장소성, 현재성, 주체성에 있어 모두 차이를 보인다. 이는 근대 시기 한국에는 문화적인 단절이 있었던 반면, 일본은 비교적 온전한 문화 계승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근대 시기 이전의 일본의 정원문화는 문화적인 단절 없이 일본 전역의 각기 각층에 보급되고 지속해서 발전해왔다. 근대 시기 메이지 정부는 문명개화 정책을 추진해 유럽과 미국의 선진문명 도입을 주도하여 서양식 건축법이 유행하게 되었다. 급속한 서양문화의 도입은 전통적인 일본문화가 잊히는 결과를 초래했다. 영국의 건축가 조시 콘더(Josiah Condor)는 일본인 건축가를 지도(1879)하고 정원의 화실, 일본정원의 전통적 디자인 등을 설계에 도입하였다. 메이지부터 다이쇼 시대에 교토지역에서 활동했던 오가와 지헤에(小川 治兵衛)의 정원양식은 일본의 전통문화를 지키고자 했던 정·재계 유력자들에게 받아들여졌고 각종 법령의 마련 등으로 보호 제도도 갖춰졌다. 셋째, 일본 근대정원의 정원가, 일본적인 구성요소, 재료, 요소와 일본풍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 有朋), 오가와 지헤에(小川 治兵衛), 시게모리 미레에(重森 三玲) 등이 일본풍을 정원에 계승한 대표적 정원가이며, 공간구성의 특징으로 대지천(大池泉) 정원조성과 자연주의적 차경 수법의 도입, 물의 흐름을 도입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일본풍 정원 구성요소의 특징은 잔디 활용, 곡선의 원로, 자연스러운 향토적 식재수종으로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사례 대상지의 일본풍 인자를 분석한 결과, 공간구성의 개별 요소별로 특히 유수(흐름)의 활용이 47.06%의 비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지천과 자연주의적 차경도 확인되었다. 잔디의 식재와 곡선 원로의 도입은 각각 65.88%, 78.82% 비율로 나타났다. 수종 변화는 28.24%로 잔디의 식재나 곡선 원로의 적용보다는 비교적 적은 건수가 확인되었다. 다섯째, 우리는 근대 시기의 정원들을 확대 발굴하여 정원의 조성자나 소유주, 공간의 구성, 공간의 구성요소, 재료 등을 세부적으로 기록하고 우리나라 정원의 정체성을 찾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일본의 근대 시기 일본풍의 확립 과정을 인물과 사례 정원을 통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보다 다수의 사례와 구체적인 기법의 분류 등 세부적인 연구를 진행하지 못한 것을 연구의 한계로 두고 차후 과제로 삼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Japanese-style garden in the modern period through the perspectives of garden designers, spatial composition, spatial components, and materials used in their works, and to use it as data for embodying the identity of Korean garden. The results are as follows:First, by incorpora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Koreanness into the modern garden culture, there are differences in location, presence, and subjectivity when compared to Japan. This reflects Japan's relatively seamless cultural continuity compared to Korea's cultural disconnection during the modern period. Second, prior to the modern period, Japan's garden culture spread and continued to develop throughout the country without significant interruptions. However,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Meiji government promoted the policy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Bunmei-kaika, 文明開化)' and introduced advanced European and American civilizations, leading to the popularity of Western-style architectural techniques. Unfortunately, the rapid introduction of Western culture caused th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to be overshadowed. In 1879, British architect Josiah Condor guided Japanese architects and introduced atelier and traditional designs of Japanese gardens into the design. The garden style of Ogawa Jihei VII, a garden designer in Kyoto during the Meiji and Taisho periods, was accepted by influential political and business leaders who sought to preserve Japan's traditional culture. And a protection system of garde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eparation of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Third, a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Japanese modern gardens, the examination of garden designers, Japanese components, materials, elements, and the Japanese-style showed that Yamagata Aritomo, Ogawa Jihei VII, and Mirei Shigemori were representative garden designers who preserved the Japanese-style in their gardens. They introduced features such as the creation of a Daejicheon(大池泉) garden, which involves a large pond on a spacious land, as well as the naturalistic borrowed scenery method and water flow. Key components of Japanese-style gardens include the use of turf, winding garden paths, and the variation of plant species. Fourth, an analysis of the Japanese-style elements in the target sites revealed that the use of flowing water had the highest occurrence at 47.06% amo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spatial composition. Daejicheon and naturalistic borrowed scenery were also shown. The use of turf and winding paths were at 65.88% and 78.82%, respectively. The alteration of tree species was relatively less common at 28.24% compared to the application of turf or winding paths. Fifth, it is essential to discover more gardens from the modern period and meticulously document the creators or owners of the gardens, the spatial composition, spatial components, and materials used. This information will be invaluable in uncovering the identity of our own garden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Japanese-style during Japan's modern period, utilizing examples of garden designers and gardens. Whi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absence of in-depth research and more case studies or specific techniques, it sets the stage for future exploration.

      • KCI등재

        CD5+/CD21-Chronic Lymphocytic Leukemia in a Cat

        최소린,배현아,전다슬,김지후,신선우,조아롬,정동인,유도현 한국임상수의학회 2020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37 No.6

        Feline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CLL) is a rare disease. Its diagnosis is not simple because of the absence of clinical signs and the presence of mature lymphocytosis. An 11-year-old female spayed Russian Blue cat was referred to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for lethargy, diarrhea, weight loss, and inappetence. Marked lymphocytic leukocytosis and a significantly increased number of small-to-intermediate-sized lymphocytes in the peripheral blood were found on hematological examination. The results of the feline leukemia virus and immunodeficiency virus test were negative. Further, mild splenomegaly was detected. Bone marrow aspirate analysis revealed mature lymphocytosis and a clonally rearranged T cell receptor gene with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for antigen receptor rearrangement assay. Flow cytometric immunophenotyping showed a homogeneous population of CD5+/CD21 T-cells in the peripheral blood and bone marrow.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examinations, CLL was diagnosed. Treatment was not initiated at the time of diagnosis because the clinical signs were mild and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is report describes the clinical findings and use of advanced diagnostic tools such as molecular clonality analysis and immunophenotyping for the diagnosis of feline C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