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UN Enforcement of Chapter 7 and the UN Security Council

        전광호 ( Kwang Ho Chun )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9 No.1

        The Security Council has been criticized for failing to suppress acts of aggression. Some argue that this is due to the lack of the permanent UN force in Chapter 7 of the UN Charter. How have these Articles, designed to give the Council authority and power fallen into abeyance? The paper examines whether, or not, the enforcement Articles of Chapter 7 of the UN Charter and the Security Council, are fit for their current role. Through secondary sources the paper examines: The UN and it`s Charter; Chapter 7 of the Charter; The Military Staff Committee, and; The Security Council.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Security Council`s role falls short of that originally anticipated; Original enforcement plans were for standby arrangements only; UN members now choose to ignore their standby force commitments, under Article 43, and the Uniting for Peace resolution; The Security Council is perceived as being dominated by the US; The Council requires reform to make it more representative of UN membership and more accountable; The Charter is a treaty and it is technically illegal for UN members and the Security Council to exercise their powers outside the Charter; If global civil society now demands that the Security Council conducts Preventive diplomacy, Peace-building, Peace-making, Peace-keeping and Peace-enforcement, then the UN Charter requires amendment.

      • KCI등재

        영문 ;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종식 가능성 연구: 로버트 하조의 논의 분석

        전광호 ( Kwang Ho Chun ) 국제지역학회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2

        본 논문은 로버트 하조의 1993년 논문을 바탕으로 중동지역에서의 평화와 갈등의 과정을 분석 하였다. 중동지역에서는 이스라엘과 연관된 수많은 무력적 충돌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로버트 하조의 분석처럼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그리고 이스라엘 간의 관계는 중동 문제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그가 지적한 이 두가지 문제는 우리가 그간 간과해왔던, 혹은 전체적으로 중동문제를 일괄적으로 다루어왔던 결과이다. 아랍 이스라엘 분쟁은 역사상 가장 다루기 힘든 분쟁 중 하나이다. 이에 관련하여 로버트 하조의 분석은 여러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먼저 1993년 로버트 하조는 ``이 분쟁은 끝나지 않는 투쟁이다.`` 라고 결론 내렸다. 본 논문에서는 진전, 혹은 개입 기간 부족이라는 관점에서, 그리고 현 시대의 전략적 환경에 대항하는 방식으로서 그의 분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실증적 문헌연구를 통해 하조의 평가가 유효하다는 것을 증빙해 보려고 한다. 1993년부터 미국, 이스라엘, 그리고 시리아가 희망적인 합의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잠재적인 시각이 다양한 논의들과 결합되어 진행된 가운데, 난민들에 대한 귀환의 권리, 국경문제, 그리고 예루살렘에 대한 논쟁은 가까운 미래에는 제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The paper will investigate the chances of progress in the peace process in Middle East. Robert Hazo`s 1993 article mainly argued the Palestinians and Syrian problems. He saw that these two problems are one of the key issue that current Middle East problem which involves Israel. The key tenants of his argument will be dissected to assess whether this view holds true in the light of developments in the Middle East in the intervening years. The Arab-Israeli struggle remains one of the most intractable in history. In 1993 Robert Hazo concluded that ``the conflict is a terminal struggle``. This paper investigates his analysis in light of progress or lack of in the intervening period and against the contemporary strategic environment. It uses information presented in academic, government, newspaper and world wide web articles to conclude that Hazo`s assessment remains valid. While the various talks since 1993 combined with the potential benefits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Syria could gain from a settlement proffer hope, the issue of ``right of return, borders and Jerusalem are unlikely to be bridged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비세속주의, 지구촌, 그리고 현대의 분쟁

        전광호 ( Chun Kwang Ho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소 2016 분쟁해결연구 Vol.14 No.3

        본 논문은 현대 사회의 `비세속주의` 개념과 이러한 비세속주의가 인종 - 종교 분쟁에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분석하려한다. 비세속주의는 사회에서 종교가 사라지리라고 보는 세속주의 이론과 반대의 개념으로 해석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서유럽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에서는 계속되고 있다는 점을 증명하려 한다. 학계에서 검증된 사례분석과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종교 자체는 분쟁의 직접적인 유발 요인은 아니지만 분쟁을 악화시키거나 심화 시키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울러 향후의 전망과 함께 종교 간의 깊은 교감과 이해, 특히 서방의 정책결정자들의 이러한 태도가 전쟁에 미치는 종교의 영향을 최소화 할 것이라는 점을 논증하려 한다. The paper analyses the concept of Desecularisation occurring in the world and its likely impact on ethno-religious conflict. Desecularisation is defined as the reversal of secularist theory that forecasts the demise of religion as a factor in the affairs of nations. The paper illustrates this reversal is ongoing in most regions of the world except Western Europe. It brings together case studies and statistical analysis conducted in academia and explores the role of religion in various conflicts. Analysis conducted suggests that religion itself is not the primary reason for many conflicts but it does exacerbate and deepen those in which it is a factor. Trends for future impact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 that only through greater inclusion and understanding of all faiths, particularly by Western policy makers, will a rise in inter-faith collisions be avoided.

      • KCI등재

        The Psychological Use of Air Power: British Doctrine and the Contemporary Strategic Environment

        Kwang Ho Chun(전광호)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8 OUGHTOPIA Vol.33 No.2

        본 논문은 공군력의 한 요소로서 심리적 효과는 오랫동안 논의되어온 주제였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공군 교리발전에 있어 공군의 심리적 효과는 간과되고 있었다는 점을 먼저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 주제를 논할 것이다. 억제, 전쟁과 다른 형태의 분쟁 속에서의 공군력의 심리적 효과, 그리고 상호 시너지를 얻기 위한 공군력의 물리력과 심리적 효과의 조합 등이다. 근래 들어 비교적 균형적인 긴장관계가 공군작전에 있어 제한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전략환경 하에서는 공군력의 심리적 효과가 물리적 파괴력에 앞서 더 중요시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공군력의 위력과 비대칭전력으로서의 공군력, 심리전, 그리고 전략적 통제불능상태 등을 분석함으로써 영국의 공군 교리가 보다 세밀해질 필요가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특히 영국 뿐 아니라 모든 국가의 공군력이 그러하겠지만 공군력의 심리적 효과에 대해서는 보다 넓은 차원의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입증하고자 한다. 즉, 비단 화력의 증강 뿐만 아니라 공군력이 가진 심리적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물론 영국 공군의 교리가 한국에는 다소 생소하다 하더라도, 세계 최초의 공군인 영국 공군의 경험은 현대적 공군의 전략사상과 교리훈련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will show that air power consistently has been used to produce psychological effect throughout its history, but the psychological use of air power is underrated in current British air power doctrine. The paper will cover three key areas in order to show where current British air power doctrine could be updated: coercion, the psychological use of air power in operations other than war, and the combinat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air strategies in order to achieve synergy. The ability of air power to produce psychological effect has long been proven yet it remains of limited focus in British air power thinking. In the current strategic environment where collateral and proportionality concerns constrain kinetic air operations, air power’s psychological effect can be even more important than its physical effects. This paper analyses coercion, the asymmetric advantages of air power, PSYOPS, and strategic paralysis, in order to show areas in which British air power doctrine could be updated. The paper argues that the psychological use of air power needs a greater profile in future British air power doctrine. Although, UK air doctrine is not yet familiar to a Korean audience, the lessons of the Royal Air Force have the potential to enrich existing thinking and elucidate the needs of contemporary air force.

      • KCI등재

        낙살리즘의 기원과 인도 정부의 대응

        전광호 ( Kwang Ho Chu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7 유라시아연구 Vol.14 No.1

        오늘날 정치사회적인 토지 소유권을 둘러 싼 폭동에 이어 낙살리즘은 인도 내부의 심각한 대내적 안보 위협으로 오랫동안 지속되어 왔다. 인도 총리 만모한 싱 박사는 낙살리즘을 인도가 맞닥뜨렸던 가장 심각한 대내적 위협이라고 언급했다. 인도 내무부의 2011-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낙살리즘은 인도 국토의 40%, 인구의 35%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본 논문은 두 가지의 주요한 논점을 다루려 한다. 첫째로 심각한 문제점으로 치부되는 낙살리즘은 기실 실제적 문제점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하나의 전조 현상이다. 둘째로 낙살리즘 지도자들의 목표, 노선, 그리고 방법 등은 현재의 이슈들과 그 결과물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 기인한다는 것이다. Today, from a rebellion for land rights to a socio-political movement, posing a serious threat to country`s internal security, Naxalism has indeed, come a long way. The Prime Minister of India, Dr Manmohan Singh, referred to Naxalism as a problem which is the single biggest internal security challenge ever faced by the country. As per a report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ome Affairs(MHA) in 2011-2012, Naxalism has swept through nearly 40% of the geographical area and 35 % of the population. This paper attempts to bring forward two key arguments. First, Naxalism which is considered by many to be a grave problem is indeed not a problem in itself but a symptom. Secondly, the selection of ends, ways and means by the Naxal leaders has all through-out been inappropriate resulting in the protraction of the issue to the point where it rests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