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자기분화가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전가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 및 정서표현 양가성의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1~4학년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분화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264부(남성 107명, 여성 157명)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분화, 정서표현 양가성 및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 이성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둘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정서표현 양가성 및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며, 셋째, 정서표현 양가성 및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자기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분화, 정서표현 양가성과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 이성관계 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자기분화과 이성관계 만족도는 정적 상관, 자기분화와 정서표현 양가성 및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부적 상관, 정서표현 양가성 및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과 이성관계 만족도는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분화가 정서표현 양가성과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자기분화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각 하위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표현 양가성과 각 하위요인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분화는 이성관계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표현 양가성과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표현 양가성 및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이 높을수록 이성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 및 각 하위요인(자기방어적 양가성, 관계관여적 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자기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의 모든 하위요인은 자기분화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기분화 수준에 따라 이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직간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정서표현 양가성에 대한 상담개입이 가능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factor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differentiation of self scal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were distributed to first to fourth year male and female students in university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 and a total of 264 data (107 men and 157 women)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do differentiation of sel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doe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have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ging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pecifically,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differentiation of self had negative influence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 so the higher the differentiation of self, the lower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 Next, differentiation of self had positive influence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o the higher the differentiation of self, the higher th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had negative influence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o the higher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the lower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ach sub-factor(self defensive ambivalence, relational involvement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Meanwhile, all sub-factor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iation of self has the influence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throu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us,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that it is possible to intervene 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counsel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futures were discussed.

      •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준비성 지표개발 연구

        전가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dica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should be prepared for successful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detailed concepts and composi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at home and abroad. A delphi method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were conducted for professional panel group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first selected nine preliminary indicators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view, and organized a panel of 40 professionals consisting of academics, the on-site specialist and parents with children who have ha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the professional panel group to derive the final indicators for the preparation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dicators was verified through the Delphi method process. Third, a stratified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ame panel of professional panelists using the pairwise comparison method proposed by Saaty(1980) to derive the relative importance and the priority of each indicator. The first Delphi survey lasted for about a month from July 22 to August 31, 2019, and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5, 2019, and the AHP survey was conducted over a week from Oct. 24, 2019 to Oct. 31, 2019. This research had been processed by IBM SPSS statistics 21.0 package, the basic analysis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AHP method were analyzed by accessing Microsoft Excel and DRESS progra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derived from these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14 indicators were finalized through two Delphi surveys of professionals' agreement: ‘Vocational Counseling', ‘Vocational Evaluation',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Vocational Skills Training', ‘Job Development and Job Placement', ‘Sheltered Employment', ‘Supported Employment', ‘Customized Employment', ‘Follow-up after Employment’, ‘Independence’, ‘Training for Daily Living’, ‘Local Social Skills Training', ‘Sociality Training’, ‘Human Rights Protection and Advocacy’ and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Second, the reliability(Cronbach ’s α), content validity ratio(CVR), and stability(variance coefficient) of the 14 indicators finally obtained were found to reach the criteria. Thir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rived through the pairwise comparison method of AHP, was shown in the order of ‘Follow-up after Employment', ‘Supported Employment', 'Vocational Adjustment Training' and ‘Customized Employment'. This research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can contribute a lot to the futu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and policies, and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various settings which equipp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set the direction of curriculum and training in effective way.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systems and polic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indicat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focusing on-site quality vocational training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should be provided. Third, specialized and individual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policies are needed onl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urth,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in the whole person perspective with regard to the whole life cycle. Fifth,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upport system for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Act of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2014”. Sixth, various employment policies and systems should be prepared at the national level to ensure equal employment opportunities, non-discrimination, and labor righ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pursued by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CRPD)". Finally, the indicators for the prepar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esen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ers and 40 professionals. However the results could not be reflected of the participation and opinions of whom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ue to limited time, as well as the limits to the representative of the panel of professionals.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establish clearer criteria for the study objectives.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성공적인 고용을 위해 준비되어야 할 직업재활서비스의 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발달장애인 직업재활을 위한 구체적 개념과 구성을 규명하였고, 전문가 패널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와 계층화분석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9가지 예비지표를 선정하고 학계와 현장 전문가, 장애인부모로 구성된 40명의 발달장애인 전문가 패널 집단을 구성하였다. 둘째, 전문가 패널 집단에게 총 두 차례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발달장애인의 직업재활 준비를 위한 최종 지표를 도출하였고 델파이 조사 과정을 통해 지표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각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Saaty(1980)가 제시한 쌍대비교 기법을 활용하여 동일한 발달장애인 전문가 패널 집단을 대상으로 계층화분석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는 2019년 7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2차 델파이 조사는 2019년 9월 30일부터 10월 15일까지, 계층화분석 조사는 2019년 10월 24일부터 10월 31일까지 일주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IBM SPSS 21.0을 통해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신뢰도 검사 등의 기초분석을 실시하였고 Microsoft Excel과 DRE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층화분석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차례의 전문가 합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적응훈련’, ‘직업기술훈련’, ‘취업알선’, ‘보호고용’, ‘지원고용’, ‘맞춤형고용’, ‘취업 후 적응지도’, ‘일상생활자립훈련’, ‘지역사회적응훈련’, ‘사회성훈련’, ‘권익옹호·인권교육’, ‘전환교육에의 협력’이라는 14개의 지표를 최종 도출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해 최종 도출된 14개의 지표에 대한 신뢰도(Cronbach’s α), 내용타당도 비율(CVR), 안정도(변이계수)가 모두 기준치에 충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계층화분석 조사의 쌍대비교 기법을 통해 도출된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준비성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는 ‘취업 후 적응지도’가 1순위였고, ‘지원고용’, ‘직업적응훈련’, ‘맞춤형고용’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고용활성화와 고용유지를 위해 준비되어야할 직업재활서비스를 분석하고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학계와 현장전문가, 발달장애인 부모 등 다양한 발달장애인 전문가 4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써 앞으로의 직업재활서비스 제도 및 정책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장소에서 발달장애인의 고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과정과 훈련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준비성 지표를 통해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직업재활 및 고용 제도와 정책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둘째, 현장을 중심으로 하는 직업훈련, 직업재활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발달장애인만을 위한 특화된 직업재활서비스, 특히 취업 후 적응지도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전생애주기를 고려하여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다섯째,『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통해 발달장애인의 고용을 위한 직업재활서비스 지원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UN 장애권리협약(CRPD)』에서 추구하고 있는 비장애인과 동등한 고용기회와 차별금지, 그리고 장애인의 노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고용정책과 제도를 국가적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된 발달장애인 직업재활 준비성 지표는 연구자와 전문가 40인의 관점에서 개발된 지표로서, 지표의 도출 이후 시간적 제약 등으로 인해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참여와 의견반영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으며 전문가 패널 집단의 대표성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연구대상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여 발달장애인 당사자나 특정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 남북한 매체에 나타난 통일 이슈 분석 : 의제 영역(Spheres of Media Agendas)과 내용(인지, 정서) 및 구조(시간, 공간)의 다차원적 속성의제 (Multidimensional Attributes)

        전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the repeated advances and regressions in the discussion towards the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over the past 75 years through media perspectives. To this end,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of South Korea, and the Rodong Sinmun of North Korea were analyzed so as to compare the constituted reality of the unification agendas. Elaborating the method to check the homogeneity and relativ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media, the ‘spheres of agendas' and the ‘multidimensional (content and structure) attributes', which expand the scope of the agenda-setting theory, were proposed and utilized. The analysis period is from 2018 (acceleration), when talks for peaceful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as active, to 2019 (slowing), when the North Korea-U.S. agreement broke down but the dialogue continued, and 2020 (constraint) when the relations were strained following events such as the explosion at the inter-Korean joint liaison offi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orth Korean media's agenda for unification was dealt with in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with almost no contact with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 sphere of legitimate controversy’, such as the conflicts among the South Koreans due to the ideological underpinning of different sections of society, was the most common. The unification agendas also increased or decreased in frequency depending on political events. The Hankyoreh treated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as the most important issue only in 2018, during the accelerated period for peaceful unification discussions. But the Chosun Ilbo reports focused on ‘the sphere of legitimate controversy.’ In 2018 alone, the Rodong Sinmun presented a few articles in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but the content stayed mainly in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Both South and North Korea did not deal with ‘the sphere of deviance’, confirming that the media was the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system. Furthermor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sparity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media in terms of the ‘content attributes’. While the South Korean media focused on ‘the requirements for unification’ as ‘substantive attributes’, the North Korean Rodong Sinmun dealt mostly with the ‘North Korea idiosyncrasy’ attribute. The ‘affective attributes’ were at variance. The Chosun Ilbo had a predominantly negative tone on ‘the conditions for unif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Hankyoreh had numerous positive reports on ‘the unification approach and values’. The Rodong Sinmun was positive about the North Korean specificity agenda. In terms of the period, positive reports prevailed in 2018 on ‘the requirements for unification’, but the negative tones had increased from 2019 onwards. In 2020, ‘the unification values’ attribute came up frequently. ‘structure attributes’ made up of time and space inevitably drew a distinction. Whereas North Korea viewed the ‘North Korea idiosyncrasy’ attribute from ‘the past' or ‘the future’, the Chosun Ilbo primarily reported on ‘the requirements for unification’ in ‘South Korea’ from ‘the present’ attribute. The Hankyoreh concentrated on the ‘inter-Korean’ and the ‘international’ attribute in ‘the future’. The frequency of coverage of the structure attributes varied by period as well. In 2018, the agenda for ‘the future’ of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attributes were mainly focused. However, after that, there were many ‘inside South’ or ‘inside North Korea’ attributes. A correlation was also found between the content attributes and the structure attributes. ‘the unification requirements’ attribute emphasized by the Chosun Ilb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esent’, ‘South Korea’ attributes. On the contrary, ‘the unification approach’ attribute, mostly reported by the Hankyore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ture’, ‘international’ attributes. There is a deep chasm with the Rodong Sinmun,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orth Korea idiosyncrasy’ in ‘the past’. The multidimensional attributes were also correlated with the spheres of the agendas. ‘the spheres of inclusive consensu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ture’, ‘inter-Korean’, while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provid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uture’ attribute. In essence, ‘the sphere of exclusive consensus’ and the differentiated ‘multidimensional attributes’ are a reminder of the lack of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in the unification agenda in both the South and North Korean media and the seeds of conflicts within South Korea. While the unification discussions accelerated, slowed, and contracted, the frequency of the agenda also decreased, and the South Korean media returned to internal criticism and conflicts. These findings corroborate the need to expand the agendas of ‘the sphere of inclusive consensus’ through steady dialogue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develop multidimensional attributes that penetrat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ter-Korean and international relations. Fundamentally, this study invokes the role of the media in South and North Korea as a major impetus to present a common understanding without preventing or hindering the perspectives or consciousness regarding the unification agendas. 본 연구는 한반도에 분단 현실이 자리 잡은 이후 75년여간 남한과 북한의 통일 논의가 전진과 퇴행을 거듭한 배경을 탐구하는 데 큰 목적이 있다. 통일에 대한 남북의 이질적 인식이 그 배경일 수 있다고 보고, 남북의 언론 매체에 나타난 통일 현실의 구성 차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과 한반도 평화 논의가 활발하던 2018년부터 북미 합의가 결렬되었지만 대화를 지속한 2019년,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등 관계가 경색한 2020년까지 남한의 조선일보와 한겨레, 북한의 로동신문 사설과 칼럼 등의 의견 보도를 내용분석 했다. 이를 위해 남북한 매체의 동질성과 상대성을 점검하기 위한 ‘의제 영역(spheres of agendas)’과 의제설정 이론의 2차 의제인 속성의제 범위를 확장한 ‘다차원적 속성의제(multidimensional attributes)’를 제안하고 활용했다. 의제 영역은 통일 의제가 남북한의 체제 특성으로 인해 자주 또는 덜 취급되거나 아예 배제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구분한 것이다. 통일 의제가 체제 특성상 남과 북이 모두 동의하는 영역(포괄적 합의)에 속하는지, 어느 한쪽에서만 수긍할 영역(배타적 합의)에 있는지, 아니면 정당한 논쟁적 영역에 포함되는지를 나눴다. 다차원적 속성의제(multidimensional attributes)는 통일 의제의 인지적·정서적 측면을 분석하는 내용적 속성의제와 보도의 시간적·공간적 지향이 어떠한지를 나타내는 구조적 속성의제를 통합한 개념이다. 연구 결과, 남한과 북한 매체가 통일 관련 의제를 다루는 영역부터 차이가 있었다. 남북한 매체는 통일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국가 체제 아래에서 통일 의제는 주로 논쟁이나 배타적 영역에서 보도했다. 남한에서는 이념적 지향에 따른 남남갈등 사안 등 정당한 논쟁의 영역이 가장 많았다. 매체별로 보면 조선일보와 한겨레는 정당한 논쟁의 영역을 대부분 다뤘지만, 조선일보는 한미동맹 강화와 같은 북한이 동의하기 어려운 배타적 합의 영역을, 한겨레는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등 북한 체제의 정당성 문제와 결부되지 않은 포괄적 합의의 영역 의제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보도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북한에서는 논쟁을 전혀 허용하지 않으면서 남한이 동의하기 어려운 배타적 의제를 제시했다. 남한과 북한 모두 일탈의 영역은 다루지 않아 매체가 체제를 유지하는 기제라는 점을 확인했다. 의제 영역은 시기별로도 달랐다. 2018년에는 한겨레가 포괄적 합의의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다뤘지만 해가 갈수록 정당한 논쟁의 영역 비중이 증가했다. 조선일보는 2018년 정당한 논쟁의 영역에서, 다음 해에는 배타적 합의의 영역에서 상대적 비중을 높였다. 북한 로동신문은 비중은 작지만 2018년에만 포괄적 합의의 영역을 제시하고 배타적 합의 영역에 머물렀다. 통일 의제 역시 꾸준하지 않고 정치적 이벤트에 따라 빈도의 증감을 나타냈다. 모든 매체의 통일 보도 빈도도 남북 대화가 경색하면서 줄어들었다. 남북한 매체의 속성의제 빈도를 비교해도 차이가 드러난다. 남한 언론이 통일 요건에 중심축을 두는 반면, 북한 로동신문은 북한의 특수성을 가장 빈번하게 취급했다. 로동신문은 북한 특수성 의제가 대부분이었다. 구체적으로 인지적 속성의제 빈도도 달랐지만, 정서적 논조도 매체별로 엇갈렸다. 조선일보는 북한 비핵화, 국가보안법 폐지나 대북 전단 금지 등과 같은 속성의제를 비판적으로 내보냈지만, 한겨레는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대북 인도적 지원, 남북경협과 사회문화체육 교류, 민족자주통일 등의 속성의제에서 긍정적 논조를 드러냈다. 또한 조선일보가 북한 인권 개선이나 이산가족, 국군포로 문제, 북한의 개혁개방, 한미동맹 강화 등의 속성의제에 대해 긍정적이었다면, 한겨레는 한미동맹 강화나 탈북자에 대해 부정적 논조를 드러냈다. 로동신문은 체제 선전이나 영도자 업적칭송, 민족자주통일, 미군 철수 속성의제에 대해 긍정적 보도를, 남한의 수구세력과 족벌언론의 문제는 부정적으로 다뤘다. 남한 언론에서 보도 빈도가 높았던 북한 비핵화나 남북사회문화교류 등의 의제는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다만 민족자주통일을 긍정하고 남한 수구세력이나 족벌언론, 일본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를 하는 보도가 한겨레와 로동신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로동신문은 그러나 한겨레가 중점적으로 다룬 종전선언이나 평화협정 속성의제를 조선일보처럼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내용적 속성의제 빈도는 보도 시기별로도 변화를 나타냈다. 북한 비핵화와 평화협정 등 통일 요건에 관한 속성의제는 2018년 긍정적 정서가 많았지만 2019년부터 부정적 정서를 담은 보도가 증가했다. 조선일보는 북한 비핵화 등에 대한 비판에 주력했지만, 한겨레는 종전선언 속성의제를 긍정적으로 다루다 한미동맹 강화 등에 대한 부정적 보도 비율이 늘었다. 2020년에는 군사 긴장 해소와 이념적 논쟁 의제가 자주 등장했다. 시간적 속성과 공간적 속성으로 구성되는 구조적 속성의제도 남북한 매체별로 달랐다. 북한은 영도자의 과거 통일 관련 업적을 선전하거나 미래 민족자주통일 등에 관한 영도자의 비전을 실현해 나가자는 북한 내부 다짐을 강조한 반면, 조선일보는 현재 시점의 북한 비핵화나 한미동맹, 탈북자 문제 해결 등을 위한 남한 정부의 대응을 촉구하는 보도가 많았다. 한겨레는 로동신문보다는 덜하지만, 과거 일본 관계의 오류, 미래의 남북관계와 국제관계 등의 구조적 속성을 상대적으로 자주 활용했다. 보도 시기별로 구조적 속성의제 보도량도 달라졌다. 2018년에는 미래의 남북관계, 국제관계를 다루는 속성의제가 주를 이뤘지만, 2019년과 2020년에는 현재 남한과 북한 내부가 많았다. 내용적 속성의제와 구조적 속성의제의 상관관계도 남북한 매체별 특징을 나타냈다. 조선일보가 강조하는 북한 비핵화와 같은 통일요건의 문제는 현재, 남한 내부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한겨레가 자주 보도하는 종전선언이나 남북경협과 같은 통일 접근법은 미래의 국제관계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북한 영도자의 과거 통일 관련 업적 선전을 많이 보도한 로동신문과도 차별되는 점이다. 다차원적 속성의제는 의제 영역과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포괄적 합의 영역은 미래의 남북관계와 정의 상관관계를, 배타적 합의 영역은 미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궁극적으로 남북한 매체가 통일을 이벤트 중심적으로 다루고 포괄적 합의의 영역 의제를 턱없이 부족하게 취급한다는 점을 알 수 있게 한다. 조선일보와 한겨레 모두 정당한 논쟁의 영역에서 통일 속성의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데, 조선일보는 통일 요건과 같은 현재 남한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한겨레는 통일 접근법이나 가치관 같은 미래 남북한 관계에서 중요한 의제를 강조했다. 로동신문은 과거와 현재 북한 내부에서 배타적으로 의제를 다루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매체 보도가 서로 다른 이념 체계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재확인시키는 지점이다. 또한 남한 내에서도 조선일보와 한겨레가 서로 다른 시공간 의제를 강조하는 데에서 남남갈등의 씨앗을 찾을 수 있다. 남북한 매체가 통일 의제와 관련해 새로운 시각이나 의식을 막거나 방해하지 않고, 최소한의 공통적 이해를 종합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시킨다. 이 연구는 남북 매체가 구성하는 통일 현실을 정교한 방법론을 통해 실증적으로 비교하고, 속성의제의 차이와 관계를 드러내면서 건강한 이해의 발판을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북한 매체의 내용을 일차 문헌을 통해 연구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북한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북한 매체를 자세히 들여다볼 기회가 없다는 점에서 매체 의제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된다. 북한 매체에 드러나는 이념과 정치제도의 역할, 방향성을 살펴보면서 남북한이 상대를 선택적으로 전달하거나 왜곡하지 않는지를 돌아보고, 대립적이고 갈등적인 대북 인식을 점검할 이유를 마련했다. 나아가 매체 중심 통일 논의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데 단초를 제공했다. 남한과 북한의 통일 의제가 정치학이나 국제관계에서만 분절적으로 이뤄지기보다는 체제와 정치기구, 미디어의 동학을 촘촘하게 분석하고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연구는 통일의 과정에서 매체가 새로운 시각이나 의식을 가로막지 않도록 매체의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통일을 둘러싼 매체의 역할이 남북한 공동의 의미 정향을 향해 나아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 키토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생분해성 나노섬유의 제조 및 생의학적 응용

        전가영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Fabrication of chitosan-based biodegradable nanofiber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Ga Young Jun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The best biomaterials for wound dressing should be biocompatible and promote the growth of dermis and epidermis layers. In this study, we have successfully fabricated composite nanofibrous membranes by electrospinning composed of chitosan, PCL and insulin, which are known for their beneficial effects on wound healing. Fabricated nanofibers were characterized by the measurements of microstructure, EA, ESCA, AFM, tensile test, water contact angle, biodegradability, in vitro drug release profile, cell culture and in vivo animal study. Human fibroblasts' behavior on these chitosan/PCL nanofibrous matrices has been investigated. Fibroblasts were well attached on both surfaces. By the way, cells were more spread on chitosan/PCL, chitosan/PCL/insulin nanofibers than that on control PCL nanofibers. Chitosan/PCL nanofibers exhibited better viability of cells than that of control PCL nanofibers determined by MTT assay. From in vivo animal test, chitosan/PCL/insulin nanofibers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gauze, PCL, chitosan/PCL nanofibers in promoting wound healing, although the difference to the latt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the results, chitosan/PCL, chitosan/PCL/insulin electrospun nanofibrous scaffold holds great promise as wound dressing and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 포가티의 통합교육과정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음악 감상 수업지도안 : 무소르그스키의 <전람회의 그림>을 중심으로

        전가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we are living in a constantly overflowing information and diverse culture, fast and changing society. These societies ask people what criteria they need to accept and sort out. These changes in the times have an impact on educational settings, and the need for learning methods that fosters critical thinking and solution skills in the abundant inform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cope with social changes emerges. is doing. In this connection, this paper confirms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that fosters integrated thinking ability by coordinating several subjects, rather than the method of uniformly transmitting knowledge. I want to create a music lesson that applies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of. The teaching plan of this paper created an integrated teaching learning method with the shared theme of music and art subjects of junior high school. The integrated teaching of the two subjects was aimed at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two subjects and making various aesthetic experienc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two art subjects. For that purpose, we considered the concept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and grasped the effect of integration of music-art and music subjects and art subjects, which are two art areas to be integrated. Then, we selected the series type and shared type of Fogarty's integrated curriculum model, which are relatively easy to access and can be applied more concretely, and applied them in the lesson map of this paper. In addition, the teaching plan of this was created by using Mussorgsky's "Picture of the Exhibition" as music piece. Mussorgsky "Picture of the Exhibition" is a headline music composed from Hartmann's works of art, and has the advantage that Hartmann's images can be used as visual materials in music classes, making it ideal for music / art sharing classes. It can be an effective song. By utilizing some of the activities that hav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Mussorgsky's "Pictures in the Exhibition", we were able to guide the students' interests, and rather than the teacher's unilateral knowledge transfer, participatory lessons Made possible. In this paper, this paper considers Mussorgsky's "Pictures in the Exhibition", and rearranges the sections of the music and art subjects centered on Djegok to create a teaching plan to grasp a common theme. Through this paper, researchers confirmed that integrated education is a lesson plan that achieves whole person based on diversity and creativity. And it wa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lesson for a rich aesthetic experience in the art field. Researchers hope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al instruction will be useful for music educators who study various music classes. In addition, I hope that not only integration into the fields of music and art but also integrated education in some subjects will be studied, and it will be useful for the creative and integrat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modern society needs. 오늘날 우리는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정보와 다양한 문화, 빠르고 새롭게 변화되는 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이러한 사회는 사람들로 하여금 어떤 기준을 가지고 정보를 받아들이고, 선별해야하는 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변화는 교육 현장에도 영향을 주어, 학생들에게 사회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넘쳐나는 정보 속에 비판적 사고와 해결능력을 길러주는 학습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획일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닌, 여러 교과를 연계하여 통합적 사고능력을 길러주는 ‘통합적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포가티의 통합교육과정 모형을 적용한 음악 감상 수업을 작성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지도안은 중학교 음악교과와 미술교과의 공유된 주제를 가지고 통합적 교수·학습 방안을 작성하였다. 두 교과의 통합수업은 두 교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두 예술교과 통합을 통해서 다양한 미적경험을 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통합교육의 개념과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고찰하고, 통합하고자하는 두 예술영역인 음악-미술의 연계성과 음악교과와 미술교과의 통합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학자 포가티의 통합교육과정 모형 중 계열형과 공유형을 선택하여 본 논문의 수업지도안에 적용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지도안은 무소르그스키 (Modest Mussorgsky 1839-1881) ⟪전람회의 그림⟫을 제재곡으로 하여 작성하였다. 무소르그스키⟪전람회의 그림⟫은 하르트만의 미술작품을 소재로 작곡된 표제음악이며, 음악 감상 수업에 하르트만의 그림을 시각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음악·미술 공유형 수업에 효과적인 곡이라 할 수 있다. 무소르그스키⟪전람회의 그림⟫의 표제음악적 특성을 가지고 여러 가지 활동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 수 있고, 교사의 일방적 지식전달이 아닌 참여형 수업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무소르그스키⟪전람회의 그림⟫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제재곡을 중심으로 음악교과와 미술교과의 단원을 재배열하고 공통적 주제를 잡아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연구자는 본 논문을 통하여 통합교육이 다양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전인적 성장을 이루게 하는 수업방안임을 확인하였고, 예술영역의 풍부한 미적경험을 위한 효과적인 수업임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는 본 논문의 통합교육 지도안이 다양한 음악 감상 수업을 연구하는 음악교육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고, 음악·미술영역 통합뿐만 아니라, 여러 교과들의 통합교육이 연구되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적 인재 양성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음(音)과 색(色)의 공감각(共感覺)적 표현

        전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인간의 존재 확인 행위이며, 이 세계와의 관계를 해석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예술 작품을 통해 작가의 세계관을 읽을 수가 있다. 본인의 감성과 사고의 기반이 되는 대상은 음악이다. 음악에서는 다른 성격을 가진 음 하나하나가 모여서 화음을 만들고, 멜로디를 만들며, 힘있는 감동을 주는 하나의 곡으로 탄생한다. 본인은 하나하나가 같음 속에서 다름을 인정 받고, 동등한 가치 속에서 다른 역할을 하며, 어울려 하나의 생명체를 이루는 모습 속에서 강한 힘을 느낀다. 본 연구는 그러한 음악적 사고를 시각적으로 공간화 한 작품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이곳에서 관람자들은 눈과 귀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다. 청각적인 음악을 보이는 것으로 표현하는 기본은 음악의 재료인 음을 미술의 재료인 색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Ⅱ장에서 첫째로 색과 음의 개념과 속성을 과학적으로 고찰하였다. 파동이 색과 음악의 공통된 물리적 특성임을 바탕으로 12음의 파장을 삼원색으로 만들 수 있는 색상들의 주파수와 대응시키는 물리,수학적 변환을 연구하였다. 둘째로 한 감각을 통해 다른 감각을 떠올릴 수 있는 공감각(共感覺)에 대해 고찰하고, 구체적으로 음을 듣고 그 음과 같은 감정을 일으키는 색을 알아보았다. 이는 색이 지니는 색상과 명도와 채도에 따라, 그리고 음악에서 표현하는 음계와 옥타브와 음색에 따른 성격과 심리효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뉴턴이 그의 저서『광학』에서 빛이 7가지의 다른 색을 가지고 있다고 발표한 이후로 많은 예술가들이 청각과 시각 사이의 연관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18세기부터 발명된 색채오르간에 대해 알아보고, 음악 속에서 색채를 추구했던 드뷔시와 올리비에 메시앙의 미학과 작품세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그림과 음악을 동등하게 추구하였던 클레의 다성음악(Polyphonie)을 시각화 한 작품을 토대로 음악적 상상력의 표현방법을 알아보았다. 현대 예술가로서 소리, 시각 기호, 공간 등의 관계를 넘어서서 실험적인 작업을 했던 존 케이지(John Cage)의 시각적 작품을 연구함으로 그의 음악적 사고와 시각예술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본인은 작품 전개에서 음과 색에 관한 이론들을 바탕으로 색으로 음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라이트를 이용해 색을 극대화한 그림 앞에 서서 음을 느끼고, 실제로 센서를 부착해 그림에 입력된 음을 듣고 색을 떠올리는 활동이 순간적으로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작품은 감상자들의 참여에 의해 완성된다. 여러 감상자가 한 공간에 있음으로 우연적인 소리가 연발하고, 그 소리들은 모여 멜로디를, 멜로디는 모여 하나의 곡을 만들게 된다. 동시에 눈은 화면의 구성과 바느질을 통해 리듬을 느끼며, 화성학 이론에 기초해 화음의 조합을 색의 조합으로 변환함으로써 음악적 감성을 배색으로 표현하였다. 공간 속에서 시각과 청각뿐 아니라 작품에 참여하는 감상자들 사이에서도 하모니를 느끼도록 작품 배치에서 악보 위 음들의 공간성을 차용하였다. 결국 색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공간이 만들어진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하여 색에서 느끼던 막연한 음악성에 관해 확실한 이론을 정립할 수 있었다. 또한 음악적 원리와 형식을 작업에 차용하는 것은 표현과 감상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준다. 결론적으로 본인의 연구는 음과 색의 공감각적 표현을 통하여 시각 영역과 청각영역이 공존하며, 음악적 사고를 체험하는 공간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공간을 통하여 본인이 이 세계를 이해하고 느끼는 시각을 여러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Art is a behavior of confirming men's existence as well as a work of interpreting men's relationship with this world. Therefore, we can read author's view of the world through his or her works. The object which forms the basis for researcher's emotion and thoughts is music. In music, several note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combined to form a harmony, a melody and ultimately a piece moving our heart strongly. The researcher feels a strong power for the notes which sound same but different, playing different roles in the same value to form a life. Thus, the researcher has produced a work by making the musical thoughts visual and spatial, so that the audience may feel and experience it with their eyes and ears. The fundamental way to express the audible music as visible is to transform the sounds or materials of music into the colors or materials of art.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concepts and attributes of colors and sounds are reviewed from a scientific viewpoint. Since the waves is the common physical attribute of color and music, the 12-note waves were transformed into the color frequencies forming the primary colors in a physical and mathematical way. Second, the synesthesia which evokes another sense through a sense was reviewed, and thereupon, sounds were appreciated to identify the colors which evokes the same emotion as the sounds. Such an approach was believed to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colors depending on their brightness and saturation levels as well as the attributes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the sounds depending on scales, octaves and sound colors. Lastly, since Newton published in his book "Optics" that light has 7 different colors, many artists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bility and visibility. In this study, the color organs invented in the 18th century was reviewed, and thereupon, aesthetics and world of works implied by Debussy and Olivier Messiaen who pursued colors in their musical world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polyphonie of Claire who pursued painting and music equally was reviewed by focusing on his visualized works to examine his imaginative expression of music. Moreover, the researcher studies the visual works of John Cage who experimented his works beyond sound, visual signs and spac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musical thoughts and visual art. In producing the work,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press the sounds as colors based on the theories about sounds and colors. Light was used to stand before a painting to feel a sound, and a sensor was attached to the painting to hear the sound put into it and invoke the colors. Such an invocation was simultaneous and instant. And the work was complete with the audience participating in this process. Several audience in a space generate accidental sounds which would form a melody, and melodies thus formed would form a piece. At the same time, eyes feel a rhythm by means of the canvas composed and needlework, and based on the theories about harmonics, harmonic combinations would be transformed into color combinations to express the musical emotion as color schemes. In a space, not only visual and audible senses but also the audience feel an harmony because a spatiality of the notes above the scale was made use of in arrangement of the work. After all, a space was created where a musical piece could be performed with color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establish a firm theory about music which had been only vaguely felt from colors. In addition, if a work could borrow some musical principles and forms, the resultant expressions and appreciation would be new experi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possible through a synesthetic expression of sounds and colors to make visual and audible areas co-exist and thereby, experience a musical thought in a space. Such a space may enable the researcher to understand this world better and share her visual sense with various people.

      • 신문사 모바일 기사 특성 비교 연구 : 뉴욕타임스와 가디언, 조선일보

        전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모바일 기기를 통한 뉴스 구독이 증가하면서 기사의 형식과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변화의 보편성과 차별성을 좀 더 정밀하게 살피기 위해 나라별 비교 연구 방식을 취했다. 미국의 뉴욕타임스와 영국의 가디언, 한국의 조선일보 등 신문사 3곳의 1면 기사와 모바일 뉴스 애플리케이션의 프론트페이지를 비교하고 제목과 본문의 길이, 뉴스 주제와 뉴스 가치, 기사 양식과 구조 등을 조사했다. 연구 결과는 크게 인쇄 신문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사의 특성 차이, 그리고 각 신문사 모바일 기사의 특징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먼저 전체적으로 모바일 기사의 형식과 내용은 연쇄적으로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이 검증됐다. 인쇄 신문 1면과 모바일 프론트 페이지의 톱 기사는 일치도가 50%를 밑돌았다. 가디언과 조선일보의 기사 제목 길이는 모바일에서 더 긴 것으로 계산됐다. 모바일 화면은 신문 지면처럼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기사의 현출성을 제목에 집중한 결과이다. 뉴욕타임스는 모바일 프론트페이지에서 제목 아래에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방법으로 독자의 관심을 유도했다. 인쇄 신문 본문의 길이와 모바일 기사 본문 길이의 차이는 조선일보에서만 검증됐다. 평균 800자 정도인 지면 기사보다 모바일 기사가 500자 정도 더 긴 것으로 계산됐다. 기사 주제 빈도를 보면 인쇄 신문에서는 정치와 국방, 국제, 사회 분야가 가장 많았지만, 모바일 프론트페이지에서는 문화 예술과 스포츠 분야도 보도 횟수가 증가했다. 뉴스 가치 역시 시의성, 근접성보다는 영향성, 저명성, 인간적 흥미 등으로 중심축이 옮겨졌다. 주류 기사 형식도 인쇄 신문에서는 스트레이트 비율이 세 신문사 모두 가장 높았지만, 모바일 기사에서는 뉴욕타임스와 가디언 모두 해설성 기사나 혼합형, 의견 기사 등이 더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사 구조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뉴욕타임스와 가디언 인쇄 신문에서는 역피라미드형 기사 비율이 70~80%였지만, 모바일에서는 그 비중이 50% 아래로 낮아지고 스트레이트와 내러티브의 혼합형 기사 구조의 비율이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조선일보는 모바일 프론트페이지에서도 역삼각형과 변형된 역삼각형 구조가 전체의 90%를 웃돌았다. 다음으로 각 신문사의 모바일 기사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하이퍼텍스트와 멀티미디어, 상호작용성 구현 방식은 비교 신문사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가디언은 하이퍼텍스트를 기사 1건에 평균 7개 이상 사용했다. 스포츠와 국제, 정치국방, 문화예술 분야에서 평균 이상 활용했다. 뉴욕타임스는 평균 4.6개였다. 국제, 문화, 정치 국방 분야 순으로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했다. 반면 조선일보 하이퍼텍스트 활용도는 0.06개로 전체 분석 대상 가운데 기사 3건에서만 발견됐다. 뉴스 가치 측면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인간적 흥미나 갈등성 등의 분야에서, 뉴스 형식에서는 해설과 의견, 혼합 등에서 가장 많이 썼다. 하이퍼텍스트 연결 사이트에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가디언은 내부 기사 링크가 74%였고, 뉴욕타임스가 46%였다. 외부 일반 사이트는 뉴욕타임스가 32%, 가디언이 18% 연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퍼텍스트를 이용해 자사 기사 활용도를 높이거나 취재 내용의 신뢰도와 투명성을 높였다. 멀티미디어 요소 빈도 분석에서는 뉴욕타임스와 가디언 모두 기사 1건당 평균 2개 이상의 사진이나 영상, 효과성 그래픽 등 다양한 요소로 기사의 역동성을 높인 것으로 연구됐다. 모바일 뉴스 애플리케이션의 상호작용성은 가디언이 가장 두드러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사 공유나 게시판 기능 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독자가 찍은 사진이나 직접 쓴 글을 기사 형태로 싣거나 가디언 기자가 편집해 제공하는 등 독자와의 공개적인 소통 창구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프론트페이지의 간결성 구현도 세 언론사가 다른 것으로 연구됐다. 개별 기사와 관련 기사를 단락화해 제공하는 경우를 조사한 결과, 뉴욕타임스가 기사 1건당 평균 0.06건의 연결 기사를 제공했고, 가디언은 평균 2.29건, 조선일보가 0.96건으로 나타났다. 기사 1건으로 하나의 이슈 전체를 조망하기보다 관점과 형식 등의 차이에 근거해 기사를 나눴다. 모바일 기사의 요약 방식을 보면, 뉴욕타임스는 요약 부호를 활용해 기사의 핵심을 정리했고, 가디언은 기사 제목 앞에 주제어를 제시했다. 조선일보에서는 두 가지 모두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의 저널리즘 모델을 확장한 뉴욕타임스와 가디언, 조선일보의 모바일 저널리즘 모델을 제안했다. 뉴욕타임스는 독립성과 객관주의를 근거로 하는 사실과 해설의 통합적 기사, 가디언은 당파성과 자유주의를 내세운 사실과 의견의 연결형 기사, 조선일보는 사실 중심의 분절형 기사로 구분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news focusing on the change of format, theme and values of the legacy print media. Adopting a comparative perspective, this thesis analyzed three leading legacy newspapers, the New York Times, the Guardian and the Chosun Ilbo and their respective mobile news applications. A total of 723 front-page stories from the print and the mobile news applications were content-analyzed. Overall, results empirically validated that the form and content of mobile news were undergoing strings of changes. First, the rate of agreement between top stories of newspapers and the mobile front-page stood below 50%. Also the central axis of news value moved to impacts and conflicts, particularly in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alm, from the timeliness value of the legacy media. Furthermore, story types and formats shifted to either explanatory, opinion or mixed mode from the dominant print version of inverted pyramid stories with straight facts. Mobile strategies of the three newspapers utilizing hypertext, multimedia, interactivity were clearly distinguishable. While the New York Times frequently used multimedia tools such as photos, videos and effective graphics, the Guardian was more active in utilizing hyperlinks and relevant articles. In contrast, the Chosun Ilbo held fast to the traditional news customs with least attempts for interactive services.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proposed a mobile journalism model built on previou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