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이분숫자청취검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장현숙 ( Hyunsook Jang ),전아름 ( Areum Jeon ),유현이 ( Jessica Hyunny Yoo ),김유경 ( Yukyoung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5 No.4

        본 연구는 한국어 digit의 음절 및 음소적 유사성을 고려하여 한국어 이분숫자청취검사를 개발하고 표준화하여 국내의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연령별 규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분숫자청취검사에서 음성적 유사성에 따른 오류를 배제하기 위해 1-10까지의 조합으로 1 digit pair 90개와 2 digit pair 180개에 대한 음원을 제작하여 20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오류 유형과 오류율을 분석하였다. 가장 오류율이 높은 2를 제외한 나머지 digit으로 최종 1-3 digit 검사 목록을 개발하였으며 각 목록은 20개의 숫자쌍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이분숫자청취검사의 연령별 규준을 마련하기 위해 만 7세부터 만 12세까지의 아동 272명과 대학교에 재학 중인 20대의 성인 95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검사를 진행하였는데, 1과 2 digit 검사는 모든 연령 그룹을 대상으로, 3 digit 검사는 성인 그룹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1-3 digit 검사의 연령별 평균점수와 표준편차를 산출한 결과, 모든 연령이 1 digit 검사에서 우측 귀 95.3-99.5%, 좌측 귀 89.2-98.7%를, 2 digit 검사에서는 우측 귀 66.9-92.3%, 좌측 귀 59.8-89.9%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답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digit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답률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1 digit의 경우는 9세부터, 2 digit 의 경우는 12세가 되어야 성인수준의 수행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연령에서 우측귀우세 현상을 보였으나 1 digit과 2 digit 검사 모두 7, 8세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성인을 대상으로 2-3 digit 조건에서 측정한 결과, 0.857- 0.930의 높은 신뢰도계수를 보였으며,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표준 언어음청각검사의 단음절어표를 사용한 어음인지검사와 2 digit 이분숫자청취검사 결과와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1 digit 검사는 어린 아동에게도 너무 쉬운 검사이고, 3 digit 검사는 성인에게도 수행력이 낮게 나타나 중추청각처리 평가를 위해서는 2 digit 검사가 적절하나, 한국어 이분숫자청취검사의 연령별 규준을 중추청각처리장애 진단 시 -2 표준편자로 절단(cut off) 기준을 사용할 때, 7-8세의 경우에는 낮은 점수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Dichotic digit test is a high validity clinical tes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hemispheric and interhemispheric lesions and is widely used for screening and diagnosing central auditory processing disorders (CAP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Korean dichotic digit test and provide normative values for children and adults. Prior to the development of the test, errors were analyzed in 90 pairs of 1-digit and 180 pairs of 2-digit to rule out phonemic similarities of Korean numbers 1 through 10 in the manner of dichotic listening by testing 20 young adults with normal hearing. The final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1-3 digit lists with 20 items for each list, excluding the number 2 in which showed the most number of errors. To prepare for the age norms, the developed dichotic digit test was performed on 272 subjects from the age of 7-12 years old and 95 college students in 20s. 1 and 2 digit tests were applied to all age groups while 3 digit test examined only for the adult group. The results for 7 to 20 years showed that the performance significantly increased as age increased, and decreased as the number of digits increased. The response showed as 95.3-99.5% in right ear, 89.2-98.7% in left ear for 1 digit test and 66.9-92.3% in right ear, and 59.8-89.9% in left ear for 2 digit test. There were significant REAs for the age of 8-9 years in the 2 digit pair conditions and performance approached the adult level for the age of 12 years. The dichotic digit test showed significantly high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which in validi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peech recognition test. The normative values of Korean dichotic digit test with 1-3 digits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indicate that 2 digit test is the most appropriate for CAPD diagnosis.

      • KCI등재

        간호학생의 밀착형 실무진입 임상실습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상태불안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장현숙(Jang, Hyunsook),이정순(Lee, Jeongsoon) 기본간호학회 2016 기본간호학회지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intensive clinical training programfor nursing practice on the clinical competence, state anxiety,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who were beginning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Methods: This practice has been processed as a ‘Pre-Po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177 students in a college of nursing.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9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8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linical competence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lso significant. State anxi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scores for stress during pract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reveal that the program, ‘Close clinical practice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practice entry, contributes to improving students’ overall ability and performance, and reduces anxiety of nursing students as they start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in helping nursing students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어 부모용 아동 청각구화 수행 평가(PEACH) 척도의 인공와우 착용 아동 대상 적용 연구

        장현숙 ( Jang Hyunsook ),이윤선 ( Lee Yoonsun ),이현주 ( Lee Hyunju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2 No.4

        [목적] 부모용 아동 청각구화 수행 평가(Parent’s Evaluation of Aural/Oral Performance of Children, PEACH)는 청각장애 아동의 일상생활에서의 보장구 착용에 따른 청각구화 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설문지 검사도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로 번역된 PEACH를 인공와우 착용 아동에게 적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하고, 이식 연령과 듣기 연령에 따른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청각구화 수행력의 발달 특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선천성 또는 언어습득 전 고심도 청각장애를 진단받은 만 0~7세의 인공와우 이식 아동 40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PEACH를 0~4점의 5점 척도로 답하도록 하였다. 한국어 버전 PEACH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식 연령(2세 이전, 2세 이후)과 듣기 연령(0~1세, 2~3세, 4~5세) 그룹에 따라 조용한 상황, 소음 상황, 총 점수를 산정하여 그룹 간, 문항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이식 연령에 따라 듣기 연령에 따른 PEACH 점수와의 상관성을 통해 발달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한국어 버전 PEACH에 대한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s α값이 조용한 상황 0.889, 소음 상황 0.825, 전체 0.928로 높은 문항 내적일치도와 유의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다. 이식 연령 그룹 간 유의한 점수 차이가 없었으나 2세 이전 그룹에서 조용한 상황 점수가 소음 상황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듣기 연령 0~1세가 다른 연령 그룹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2~3세와 4~5세 그룹은 조용한 상황이 소음 상황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2세 이전 그룹에서는 듣기 연령이 증가할수록 PEACH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2세 이후 그룹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한국어 버전 PEACH는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일상생활 청각구화 수행력을 평가하기에 신뢰도가 높은 설문지로 임상적 적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청각구화 수행력은 이식 연령이 2세 이전인 경우 지속적인 발달을 보이며 듣기 연령이 5~6세 정도에서 만점에 가까운 PEACH 점수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PEACH가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초기 청각구화 수행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용한 임상적 도구라고 판단된다. [Purpose] The Parent’s Evaluation of Aural/Oral Performance of Children (PEACH) rating scale is a questionnaire test tool developed to evaluate auditory aural/oral performance of hearing-impaired children with hearing devices in everyday situations.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EACH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CI) and to investigate the auditory performance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I by the implanted age and the hearing age. [Method] Parents of 40 children with CI aged 0 to 7 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hearing loss before language acquisition were asked to answer PEACH on a 5-point scale ranging from 0 to 4.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PEACH, inter-item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measured. The PEACH scores (Quiet, Noise, Overall) were obtained for two implanted age groups (implantation before 24 months old [IB], and implantation after 24 months [IA]) and three hearing age groups (0-1, 2-3, and 4-5 years old). The PEACH score differences were compared between items and group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cores according to implanted age and hearing age was examined. [Results] Cronbach’s alpba values of the Korean version of PEACH were 0.889 in Quiet, 0.825 in Noise, and 0.928 in Overall, indicating high inter-item consistency and significant results in test-retest reliabilit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between the implanted age groups was shown, yet the Quie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ise scores in the IB group. Hearing ages 2-3 and 4-5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0-1 an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Quiet than in Noise. The PEACH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IB group as hearing age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IA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Korean version of PEACH is a highly reliable questionnaire, confirming its appropriateness in clinical use. Furthermore, CI users with implantation before 24 months of age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nearly reaching a full score in PEACH at the hearing age of 5-6. Therefore, PEACH could be applied as a useful test tool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arly-age auditory performance of children with CI.

      • KCI등재

        방향성 단어를 이용한 청각 및 시각 스트룹 효과

        손호식 ( Hosik Son ),장현숙 ( Hyunsook J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4

        본 연구는 양측 방향성 단어의 시각 자극과 청각 자극을 사용한 청각 및 시각 스트룹 검사를 개발하여 성인과 아동을 대상으로 제시단어의 의미 또는 방향에 따라 반응할 때의 스트룹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향성 단어는 한국어(오른쪽/왼쪽), 한자어(우/좌), 영어(right/left) 세가지 어휘를 사용하여 어휘간 수행력의 차이도 비교하였다. 정상 청력과 시력을 가진 성인20명과 초등학교 저학년생 18명을 대상으로 컴퓨터 E-Prime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한 스트 룹 검사를 실시하였다. 청각 스트룹 검사는 피검자가 착용한 헤드폰의 오른쪽이나 왼쪽에서 녹음된 방향단어가 제시되고, 시각 스트룹 검사는 양측 방향단어가 화면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등장하며 제시되었으며 피검자는 단어의 의미 또는 제시 방향에 따라 키보드의 숫자키‘1’ 또는 ‘0’을 되도록 빠르고 정확하게 누르도록 요구되었다. 각 피검자의 정반응률과 반응속도가 측정되어 통계분석 되었다. 첫째, 청각 스트룹 검사 결과, 방향반응에서 단어 의 미의 불일치로 인한 정확도 감소를 보였지만 시각 스트룹 검사는 의미의 불일치에 의한 영향을 없는 대신 방향반응이 의미반응보다 훨씬 빠른 반응을 보였다. 둘째, 성인과 아동 피검자사이에 유의미한 수행력 차이를 보여, 성인이 선택적 집중과 불필요 정보에 대한 변별이 아동보다 더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방향성 어휘간에는 수행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국내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들(오른쪽/왼쪽, 우/좌, right/left)이 일상생활에서큰 차이 없이 사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소리자극을 이용한 스트룹 검사가부재한 국내에 사용될 수 있는 청각 스트룹 검사를 개발하였고 성인과 아동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향반응과 의미반응에 대한 스트룹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임상적 적용이 가능한 검사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roop tests have been used widely to examine how people process conflicting information.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uditory and visual Stroop tests with Korean, Sino-Korean and English words, and to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aning and laterality of words; age, ear, and language effects were also investigated. The words “left” and “right” spoken by a male speaker or printed on a computer screen were presented on the left or right ear or side of the screen. In an auditory alone, visual alone, and auditory-visual condition, the word meaning was congruent or incongruent with the presentation side. On each trial, subjects reported the word meaning or presentation side as quickly and accurately as possible,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being response time and accuracy. Twenty adults and 18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auditory Stroop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accuracy or time between the meaning and side information; incongruent meaning information interfered with side reports. Effects were significant for age but not for ear or language. In the visual Stroop test, subjects responded faster and more accurately when reporting side, instead of meaning, but were not affected by congruency of side and meaning;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The visual Stroop test also showed significant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like the auditory Stroop test; that is, the adults respond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the children. In conclusion, the subjects performed faster and more accurately in response to the presentation side than to the meaning of the words. Moreover, visual information had more influence on the processing of audio-visual information than the reverse. The adults’ performance was much faster than the children’s, implying that children need more time to ignore irrelevant information. 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ongruent and incongruent information conditions, they were not always significant. The present Stroop tests could be used to examine executive functions of normal hearing subjects processing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further work will extend to the hearing impair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통합학급 청각장애 학생의 온라인 수업 실태와 요구도 조사

        이현주(Hyunju Lee),이지연(Jeeyeon Lee),오은주(Eunjoo Oh),장현숙(Hyunsook Ja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3

        연구목적: COVID-19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비대면으로의 전환을 확대시켰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면적 또는 부분적 전환에 따른 국가 차원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청각장애 학생의 온라인 수업 실태와 요구도 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국의 통합교육 환경에서 원격수업을 경험하였던 청각장애 초등학생 27명과 중고등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수업 방식, 원격학습 플랫폼 기능 활용, 문자통역 및 속기 지원 시스템, 보조기기의 활용과 관련된 4개 영역의 총 2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영역에서의 실태와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설문 조사 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이해정도는 ‘이해함’과 ‘전부 이해함’이 61.2%로, 대면 수업(81.7%)보다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절반 이상(57.2%)의 청각장애학생이 교사의 수업방식에서 배려를 받지 못하였다고 하였고, 수업방식의 개선으로 자막 지원의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58.5%), 더하여 강조하기, 천천히 말하기, 시각적 자료제시, 입모양 보여주기, 배경소음관리, 수업에 대한 동기부여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 원격학습 플랫폼과 관련하여 높은 만족도(77.5%)를 나타내었다. 플랫폼 기능에 대해 자막 지원과 관련된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속도조절, 반복 구간 재생, 천천히 보기, 반복기능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셋째, 문자통역의 경우 영상과 문자통역에서 속도 차이나 동시에 보기 어렵다는 점을 개선 사항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보조기기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학생의 비율이 71.4%로 나타났으나, 사용하는 학생의 경우 만족도가 비교적 높았다(71.5%). 결론: 본 설문 조사 결과는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온라인 수업의 효과적인 방안으로 교사의 원격학습 플랫폼 활용 능력과 청각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자료 개발 및 교수법 교육, 학생과 학부모 대상 원격학습 플랫폼의 기능 활용 교육, 속기 지원의 확대, 보조기기 활용 능력 교육 및 시스템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COVID-19 has intensified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 communication in all fields worldwide, and continu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ensure effective responses at the national level to full or partial transition to online classes in the educa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and demands of online classes faced by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in the inclusive education system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27 elementary and 22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who had experienced remote class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survey consisted of a total of 24 questions in 4 areas related to online teaching methods, remote learning support platforms, text translation and shorthand support systems, and the utilization of auxiliary devices, and the status and demands in each area were investigated. Result: According to the survey, firstly, understanding in online classe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face-to-face ones. More than half (57.2%) of the deaf students felt that they were not cared for in class by their teachers. The demand for caption support was the highest (58.5%), and there were also calls for emphasis, slow speaking, visual presentation, mouth-shape, background noise management, and motivation for classes. Second, there was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77.5%) with respect to the remote learning support platform. Platform features also had the highest need for captioning support. There were requests for speed control, section replays, slow viewing, and the improvement of repetitive functions. Third, in the case of text translation, speed differences in video and text translation made it difficult to view them at the same time. Fourth, 71.4% of students did not use an assistive device at all, but the satisfaction level was relatively high (71.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sugges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lasses for hearing-impaired students need to be improv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education on the use of remote learning platforms for students and parents, expansion of shorthand support, education on the ability to utilize assistive devices, and system support, taking into account teachers’ ability to utilize platform related to remote clas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aring-impaired students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Analysis of Korean Viseme System in Korean Standard Monosyllabic Word Lists

        최재희(Jaehee Choi),윤건석(Keonseok Yoon),류혜수(Hyesoo Ryu),장현숙(Hyunsook J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한국어 독화소 체계 분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한정된 음소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일상회화체의 다양한 특성들을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상회화체 내 음소 출현율을 반영한 한국표준 단음절어표 일반용(Korean Standard Monosyllabic Word List for Adults, KS-MWL-A)을 사용하여 독화검사를 실시하고, 한국어의 독화소 체계를 초성ㆍ중성ㆍ종성별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남녀 화자 2명이 단음절어표를 자연스럽게 발화하는 모습을 녹화하여 성인 32명을 대상으로 음성 없이 독화검사를 실시하고, 단어 정반응률, 음소 정반응률, 반응음소 출현율을 구하였고, 음소 정반응률을 비교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초성ㆍ중성ㆍ종성 혼동 행렬을 통해 반응음소군을 확인하고, 누적 정반응률 60%를 기준으로 독화소군을 결정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단어 정반응률은 13.00%였으며, 음소 정반응률은 초성 19.04%, 중성 48.26%, 종성 44.77%로 초성이 중성, 종성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각 음소별 반응음소군을 통해서 독화소군을 초성 /ㄱ, ㄲ, ㅋ, ㅎ, ([ ])/, /ㄴ, ㄷ, ㄸ, ㅌ, (ㅅ, [ ])/, /ㅁ, ㅂ, ㅃ, ㅍ/, /ㅅ, ㅆ, ㅈ, ㅊ/ 4개, 중성모음 /ㅣ, ㅡ, ㅢ/, /ㅟ/, /ㅗ, ㅛ/, /ㅏ, ㅑ/, /ㅜ, ㅠ/, /ㅓ, ㅕ/, /ㅘ, ㅚ, (ㅙ)/, /ㅖ, ㅐ, ㅔ/ 8개, 종성자음 [ ], /ㄱ, ㅇ/, /ㄴ, ㄷ/, /ㄹ/, /ㅁ, ㅂ/ 5개로 분류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 초성자음과 종성자음의 독화소 체계에 미치는 중성모음의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종성의 유무에 대한 민감성이 종성 독화소 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echreading abilities of the Korean population and verify the Korean viseme system by utilizing the Korean Standard Monosyllabic Word List for Adults (KS-MWL-A), a list of word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phonemic balance and frequency of everyday use. Methods: KS-MWL-A words spoken by both male and female speakers were filmed. The speechreading test with no auditory cues was performed on 32 subjects and the percent correct scores of words and phoneme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using ANOVA. Three positions of phonemes, initial, medial and final,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 confusion matrix to determine the Korean viseme groups based on a criterion of a 60% correct respons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 correct score of words was 13.00%. The percent correct scores of phonemes of initial, medial, and final positions were 19.04%, 48.26%, and 44.77%, respectively. The Korean visemes were classified as initial phonemes [/k, kh, k’, h, [ ]/, /n, d, t’, th, (s), [ ]/, /m, p, ph, p’/, /s, s’, ʨ, ʨh/], medial phonemes [/i, ɯ, ɯi/, /wi/, /o, jo/, /a, ja/, /u, ju/, /ʌ, jʌ/, /wa, Ø, (wε)/, /jε, æ, e/] and final phonemes [/[ ], k, ŋ/, /n, d/, /l/, /m, b/]. Conclusion: It was revealed that vowels affect both the initial and final position of consonants in the Korean viseme system. Furthermore, the sensitivity to the presence of the final consonant seemed to have the capability to affect the final consonant of the visem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