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제주지역 중·장기 거주 결혼이주여성 취업의 한계와 개선 방안

        오은주 ( Eunjoo Oh ),고진호 ( Jinho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내 중ㆍ장기로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주체적인 삶을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취업과 관련하여 한계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제3차 제주특별자치도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기반 문헌연구와 결혼이주여성 대상 면담 조사방법을 적용하여 취업 지원현황과 한계를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의 취업 시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취업 지원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취업 정보 찾기의 어려움, 적성에 맞지 않는 일로 인한 잦은 퇴직, 취업이 보장되지 않는 취업 지원프로그램, 육아로 인한 취업 포기, 제주어 이해의 어려움, 취업 지원의 모니터링 부재의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인력풀 통합시스템 구축, 진로ㆍ적성검사 제공과 취업 인턴십, 전문 자격증 취득, 제주어 교육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향후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취업 프로그램 및 일자리 지원사업을 계획하는 경우 본 연구가 취업을 희망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실제적인 요구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find employment related limitations and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long-term staying marriage immigrant women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as employment is one of the main elements to live an independent life. This study has addressed possible employment improvement plans by analyzing employment support status and limitations based on 3rd Jeju multi-cultural family factual survey and interview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 in Jeju. There are 6 limits; difficulties in finding job information, frequent resignation due to lack of interest, employment support programs with no certainty for the job, resignation due to parenting,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Jeju language, and lack of monitoring system after employment support. The study suggests 5 possible solutions; labor pool system, career aptitude test, internship, obtaining professional certifications, and Jeju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n be used to fulfill marriage immigrant women’ request when Jeju plans employment programs and support projects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 감각의 논리와 음

        오은주(OH EUNJOO) 낭만음악사 2007 낭만음악 Vol.20 No.1

        들뢰즈의 감각론은 이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인식론이 아니라 감각을 통해 얻어지는 존재론이다. ‘신체 위에 작용하는 힘들과 파장과의 만남’이 감각이다. 감각은 일반적인 주체와 객체의 구분 이전에 발생한다. 들뢰즈는 감각의 논리 에서 예술 작품 스스로 힘을 보여주는 예를 찾아낸다. 유기체를 생명으로 보지 않고 생명을 가두고 있는 것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가두고 있는 것으로 보는 들뢰즈의 사유는 아르토의 ‘기관없는 신체’를 인용해 무의식의 영역으로 간다. 케이지의 실험에서 이러한 감각의 논리가 작동되는 예를 볼 수 있다. 케이지는 음 그 자체를 얻기 위해 실험한다. 개별 음은 생동성을 되찾고, 그 음의 강도를 신경시스템에 전달한다. 지각작용이 아닌 감각을 얻기 위한 시도가 들뢰즈 감각론의 중요한 관심이다. 재현의 구태를 벗어난 감각을 얻기 위한 시도. 이 글은 들뢰즈가 베이컨의 회화와 자신의 작업에서 깊은 공명을 증명해냈듯이 감각에 관한 케이지와 들뢰즈의 또 다른 공명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Deleuze’s the logic of sensation is not an epistemology that becomes through rationality(reason) but an ontology that gains through the sensation. It is the sensation that is produced when the wave encounters the Forces acting on the body. Deleuze finds out examples that show the Force art works themselves. He thinks the organism is not life but it is what imprisons life or new possibility. Then he thinks of unconsciousness referring to Artaud's “body without organs”. We can see examples that act the logic of sensation like this from experimental works of Cage. He experiments to gain ‘tone itself’. The tone as ‘tone itself’ restores its animation and the intensity of the tone is traveled on nervous system. The important interest of Deleuze's the logic of sensation is not the attempt to gain perception but sensation. Attempting to attain a sensation instead the cliches of representation. This paper is written for researching into another resonance between Deleuze and Cage about sensation like that he attested the profound resonances between Deleuze’s own work and Bacon’s paintings.

      •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 행태 분석

        오은주(Eunjoo Oh),김유진(Yuji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교육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행태를 분석하고 학업성취도와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K대학교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참여자들은 2018년 1학기에 개설된 온라인 강좌에 참여한 학생들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018년 1학기 온라인 강좌를 수강한 학생 316명으로, 3학점 전공교과목 1강좌에 참여한 82명의 학생과 교양선택 1학점 수강생 118명, 2학점 교양선택 수강생 116명으로 구성되었다. 온라인 강좌 학습자들의 학습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 학습자들의 접속 횟수, 진도율, 과제제출 횟수, 부정행위 행동 수를 분석하였고, 학습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온라인으로 실시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점수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강좌에 대한 인식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진도율 86.57퍼센트로 80퍼센트 이상의 학생들이 출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진도율이 전공강좌와 교양강좌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학년별로 강좌 진도율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온라인 강좌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평균 3.87로 전제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강좌의 수강을 권유할 것이라는 문항의 평균이 3.50으로 가장 낮았고, 온라인 수업을 신청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 다는 문항의 평균이 3.6으로 다음으로 낮았으며, 온라인 수업은 가치 있는 경험이었다는 문항의 평균 역시 3.68로 낮게 나타났다. 각 문항의 평균을 T-검정을 사용하여 강좌별로 분석한 결과 온라인 수업이 가치 있는 경험이었고 많은 지식을 습득하였으며, 수강을 후회하지 않는다는 항목의 평균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활동을 증진시키고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In this study, the learning behaviors of the students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s were analyzed and the behaviors were compared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is study, the students of K university who took the online class in 2018 participated.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316 students from three classes; one major class and two liberal arts classes 82 students, 118 students, and 116 students selected. In order to analyze the learning behaviors of online learners, log-in frequencies, progress rates, class rolls, and absenc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their achievements. In addi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fill in questionnaires about cyber lectures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the online class. The results showed that 80% of the students who attended online courses attended the program with a progress rate of 86.57%.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gress rate between the classes. However, the differences of the progress rate by grad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online course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online classes with the mean score of 3.87. In particular, they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recommend others taking online courses and they somewhat regret taking online classes. However, the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y the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the ways of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by promoting their active particip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경험 연구

        오은주 ( Eunjoo Oh ),고진호 ( Jinho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경험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경험 과정을 도식화하고, 이 경험에서 나타난 공통적 요소는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6단계(① 연구문제 설정 ② 주제어로 연구물 검색 ③ 연구물 선정 ④ 개별 연구물 분석 ⑤ 개별 연구물 범주화 및 분석 틀 도출 ⑥ 종합해석)의 질적 메타분석 절차를 거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공동체 경험은 ‘고립 → 공동체 들어가기 → 상호작용하기 → 목소리 내기’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결혼이주여성의 능동적 주체 되기로 전체 주제를 아우를 수 있었다. 공동체는 공통적 언어 사용, 만장일치제, 다양성 존중, 수평적 관계가 공통적 요소로써 기반이 되어야 함을 밝혔으며, 공통적 요소들이 충족되지 않을 경우 공동체는 와해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이 한국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존중되며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공동체를 구안하는 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mmon factors of community experiences of migration women by marriage. It schematized community experiences using qualitative meta-analysis on previous studies. The study proceeded in 6 steps by using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① setting research question ② searching relevant studies ③ selecting studies ④ individual study analysis ⑤ categorization of individual study and deduction of analysis and ⑥ fin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analysis, Migration Women by Marriage experience those steps when they enter the community; isolation → being part of community → interaction → raising voice. Being active subject is the main key for Migration Women by Marriage to be part of community. There are 4 main common factors for community; use of the same language, unanimity, diversity appreciation and lateral relations. Without those common factors, we can face the collapse of community.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to provide environment for Migration Women by Marriage living as active subjects in Korean socie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이주 다문화 담론기술과 분석방법론 연구

        오은주 ( Eunjoo Oh ),고진호 ( Jinho K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한국 이주 다문화 담론기술과 분석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사회의 이주 다문화 담론은 국가주도를 통한 정책 차원에서 대두되었으며 거시적 담론의 특성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 서구의 수입된 담론이 주류를 형성해왔다. 서구의 담론이 일정 부분 현실을 반영하여 전개되고 있으나 무비판적 수용의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한국사회를 중심으로 다문화 담론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등장한 이주 다문화 담론과 이론을 분석한 후 1인칭적 기술과 비판적 담론을 중심으로 유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① 이론적 거시담론 ② 이론적 미시담론 ③ 담론적 거시이론 ④ 담론적 미시이론의 4가지 형식으로 담론과 이론의 연계유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사회에서 다문화 담론을 논하는 데 적용 가능한 분석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suggesting multicultural discourse description and analysis method of Immigration in Korea. In Korea society, multicultural immigration discourse has been discussed by Korean government for the policy purpose and it has macroscopic character. Discourses from the western countries have been in the mainstream and certain parts of those discourses have been accepted and used in Korea with no criticism. Therefore, It has limit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our own multicultural discourse based on Korea society. This study will first analyze multicultural discourse and theory appeared in Korea, and then will suggest 4 different types based on the first-person description and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ose four types are linked to discourse and theory and they are ① theatrical macroscopic discourse ② theatrical microscopic discourse ③ discursive macroscopic theory ④ discursive microscopic theory. This study can be used in analyzing discourse of multicultural phenomenon in Korea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