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영, 하나, 여럿

        장태순(Tae Soon Cha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이 글은 『존재와 사건』에 나타난 알랭 바디우의 다자 개념을 분석하고 의미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바디우의 다자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시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 개념은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다. 바디우는 이 개념을 리오타르로부터 차용했다고 말하고 있지만, 하이데거를 참조해야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바디우에 따르면 전통적인 존재론은 존재와 ‘하나’(일자)를 동일시했으나, 이로 인한 딜레마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바디우는 하나는 존재가 아님을 선언하면서 존재론을 시작한다. 하나는 ‘하나로 셈하기’라는 작용의 결과이며, 현시를 통해 존재자로 나타날 뿐이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유형의 ‘여럿’(다자)이 나타난다. 한편으로 현시된 ‘하나’가 작용의 결과라면, 그 작용이 행해진 대상은 하나가 아니었으므로 ‘여럿’일 수밖에 없다. 현시 이전의 존재인 이 ‘여럿’에 대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하나가 아니라는 사실뿐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셈의 결과인 ‘하나’들을 단위로 하여 만들어지는 ‘여럿’이 있을 수 있다. 바디우는 전자를 비정합적 다자, 후자를 정합적 다자라고 부른다. 수학적 존재론에서 비정합적 다자는 공백으로 나타나며, 이는 집합론의 공집합에 해당한다. This paper analyzes Alain Badiou’s theory of multiplicity within the context of his work, Being and Event. He claims that traditional ontology has always prioritized the one over multiplicity. Badiou seeks to break with this tradition by making the decision to assume that the one is not and proceeds to examine the consequences of such a decision. To mark out the task of articulating Being as pure multiplicity, that is, as a multiple of multiples, Badiou argues that the one is presented only as the result of an operation called count-for-one. This operation reveals two different forms of multiplicity, the presented multiple (consistent multiple) and the pure multiple (inconsistent multiple). We argue that in order to understand Badiou’s distinction between the presented multiple and the pure multiple, we must turn to the Heideggerian distinc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n this sense, Badiou’s concept of presentation is closer to Heidegger than Lyotard. Pure multiple, although it cannot be formulated in mathematical terms, can still be represented by the empty set as conceived in axiomatic set theory, which Badiou calls the “void.”

      • KCI등재
      • KCI등재

        이미지와 동시대성의 사유 : 알랭 바디우의 이미지론

        장태순 ( Tae-soon Cha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2 No.-

        이 글은 알랭 바디우의 2001년에서 2004년까지의 세미나를 수록한 『현 시대의 이미지들 Image du temps present』을 통해 바디우의 이미지론을 구성하려는 시도이다. 바디우는 예술에 대한 많은 글에서도 이미지에 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나, 이 책에서는 동시대를 사유하기 위한 장치 중 하나로 이미지를 도입한다. 현재에 대한 사유의 출발점은 장 주네의 희곡 『발코니』이다. 바디우는 이 희곡을 네 가지 요소로 분석하는데, 이는 각각 구조, 구조의 예외상태, 벌거벗은 권력, 그리고 이 권력의 이미지이다. 여기서 이미지는 구조를 보여주는 역할놀이를 위한 배역으로서, 그리고 구조의 예외상태가 발생한 직후 나타나는 권력의 민낯인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 또는 이미지로서 기능한다. 벌거벗은 권력은 자신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예외상태를 정상성으로 포섭하는데, 바디우의 관심은 이 과정을 분석하여 예외상태가 정상성에 포섭되지 않는 길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 시대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며, 진단은 구조적 현실에서부터가 아니라 상징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바디우는 우리 시대의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이 ‘민주주의’라고 말하며, 이 상징을 분석한다. 구조와 구조를 벗어나는 것 사이의 관계 문제는 바디우의 오랜 관심사였으며, 『존재와 사건』은 이 문제를 아주 상세히 다루었다. 사건이 일어난 이후 상황에서 진리가 만들어지는 것 이외에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는 90년대 후반부터 바디우의 관심사였으며, 이는 특히 주체 이론을 통해 나타난다. 이 글은 문제의 세미나에서 다루는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과 이로 인해 탄생하는 주체성을 바디우의 2006년 작인 『세계의 논리 Logiques des mondes』의 1부에 등장하는 세 가지 주체성과 비교하고, 팔루스로 상징되는 벌거벗은 권력은 『세계의 논리』에 등장하는 반동적 주체와 어두운 주체의 측면을 모두 지니고 있음을 보인다. 또한 바디우는 이후에 벌거벗은 권력의 상징에 대항하기 위한 진리의 이미지를 제안하는데, 이것을 이념이라고 부르며, 그가 제안하는 이 시대의 이념은 ‘공산주의’이다. Badiou did not seem to have given the concept of the image any serious thought, despite his extensive work on the philosophy of art and the commentaries of other contemporary philosophers such as Foucault, Deleuze or Lyotard. However, in Images du temps present (Images of the Present Time), Badiou turns to image as a way of interrogating contemporaneity. More specifically, he refers to Jean Genet's play Le Balcon (The Balcony), in which he discerns four major elements: 1) structure, 2) truth or exception to the structure, 3) bare power, and 4) the emblem of bare power. Badiou claims that the play shows how an exception to the structure is “normalized” by the emblem of bare power. Here image plays a crucial role because it serves as an emblem of bare power. Badiou draws an analogy between the four elements in the play to contemporary society, where today's emblem of bare power is democracy. To fight this emblem, Badiou proposes to set up a kind of “image” of the exception, which he calls as “idea.” The image we need today is communism, and as a reference to this insight he named a series of conferences “The Idea of Communism.”

      • KCI등재

        알랭 바디우의 국가론 연구

        장태순 ( Chang¸ Tae Soo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알랭 바디우는 『존재와 사건』 9장에서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극복하는 자신의 국가론을 전개한다. 엥겔스는 국가가 태초부터 존재한 것이 아니라 계급 대립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계급 대립이 사라지면 국가도 소멸함을 주장하였다. 레닌은 엥겔스의 생각을 받아들이며, 특히 국가가 사라지기 위해서는 사회주의 혁명이라는 폭력혁명이 필연적임을 역설하였다. 바디우는 상황 상태라는 존재론적 개념에서 출발하여 국가를 설명한다. 그는 국가가 사회경제적 조건인 계급으로부터 만들어졌지만, 계급 자체로부터는 분리된 것이라는 엥겔스와 레닌의 생각을 상황 상태 개념을 통해 정당화한다. 또한 그는 국가의 본질이 관료제와 공권력이라는 생각의 존재론적 기초도 제시하였다. 그러나 바디우는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국가론의 두 가지 점에 대해서는 반대하였다. 첫째로 그는 국가가 지배 계급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라는 마르크스주의의 생각에 반대하여, 국가는 지배 계급의 이익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일반적인 의미의 관리와 강제를 행한다고 주장하였다. 둘째로 그는 계급 대립이 사라지면 국가도 소멸한다는 마르크스주의의 생각에 반대하여, 국가는 모든 사회역사적 상황에 필연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그 결과 바디우가 추구하는 정치는 국가의 필연적 소멸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공백과 초과와의 새로운 관계를 추구하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Alain Badiou’s theory of the State exposed in Chapter 9 of Being and Event has two sources : the Marxist conception of the State proposed by Engels and Lenin, and the mathematical ontology based on the set theory. Engels argued that the state did not exist from the beginning of the history, but was created through class confrontation, and that if class confrontation disappeared, the state would be abolished. Lenin adopted Engels’ idea while emphasizing the violent socialist revolution which was inevitable for the abolition of the state. Badiou describes the state starting from his ontological concept of ‘the state of the situation’. His set theory based ontology gives a justification of Engels and Lenin’s idea that the state was, while created from the socioeconomic classes, separated from the classes themselves. He also presented the ontological basis for the idea that the essence of the state is bureaucracy and public force. However, Badiou did not agree with the classical Marxist state theory on two points. First, in opposition to the Marxist idea that the state is for the interests of the ruling class only, he argued that the state performs administration and coercion in the general sense. Second, contrary to Marxism’s idea that the state will abolish if class conflict disappears, he argued that the state inevitably exists in all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As a result, Badiou’s politics is not aimed at the inevitable extinction of the state, but rather a new relationship with the void and the exces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진리, 주체, 강제 : 알랭 바디우 철학에서 새로움의 문제

        장태순(Tae Soon Chang)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5

        이 글은 알랭 바디우의 『존재와 사건』에서 구조를 벗어난 새로움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바디우는 이 책에서 수학을 존재론과 등치시키고 철학을 존재론에 관한 사유인 메타존재론으로 본다. 집합론은 존재들의 구조를 결정한다. 존재에 흠집을 내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사건이다. 사건은 그 자체로 새로움이 되지는 않으나 새로움의 씨앗이 된다. 사건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진리가 구조를 벗어나는 진정한 새로움이다. 진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이름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진리를 포함하는 새로운 구조 내의 존재들을 지칭하는 이름이 기존의 구조 안에 있으며, 진리를 이루는 요소들 중 특정한 요소가 새로운 구조 안의 특정 명제를 참으로 만들거나 거짓으로 만든다. 이를 ‘강제’라고 부른다.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시각예술: 디지털 아트에서의 아우라 문제에 관하여

        이연우 ( Yenowoo Lee ),장태순 ( Tae Soon Chang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1 哲學論考(철학논고) Vol.3 No.-

        코로나바이러스 이후 시각예술계에서는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디지털 이미지가 예술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디지털의 한계를 지적하는 이들은 진품성을 문제 삼는다. 진품성 개념은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에 기대고 있다. 벤야민은 예술작품의 아우라를 제의적 기능과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하였고, 여기에서 예술 작품의 진품성이 가지는 아우라적 권위가 탄생한다. 아우라의 발생은 인공물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간은 자연을 경험하며 어떠한 감정을 느끼는데, 이 또한 아우라 발생의 원인이 된다. 벤야민은 이때의 아우라를 ‘시선’으로 정의한다. 사진으로 대표되는 20세기의 복제기술은 아우라를 몰락시켰다. 사진과 영화처럼 원본성이 없는 예술품이 등장했으며, 예술이 자본주의 시스템 안으로 편입되면서 하나의 상품이 되었고, 숭배의 대상에서 즐김의 대상이 되었다. 벤야민에게 아우라의 몰락은 예술의 몰락이 아니다. 아우라의 붕괴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의 출현을 의미한다. 그러나 벤야민의 주장과 달리 아우라는 붕괴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오늘날 아우라는 예술의 필요조건이 되었다. 디지털 예술에서 중요한 것은 시선의 아우라이다. 디지털 예술작품의 아우라는 반드시 거리감에 한정되지 않는다. 준비된 현대의 수용자는 동등한 입장에서 작품과 교류하며, 능동적인 주체로서 작품과 시선을 주고받는다. After the coronavirus, the visual arts world is actively using digital technology. Whether digital images can be an alternative to art is controversial, and those wh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digital question authenticity. The concept of authenticity rests on Walter Benjamin's concept of aura. Benjamin understood the aura of artwork in relation to its ceremonial function, from which the authenticity of artwork as aura-like authority is born. The generation of aura is not limited to artifacts. Humans experience nature and feel certain emotions, which also causes the generation of aura. Benjamin defines the aura at this time as ‘the gaze’. The reproduction technology of the 20th century, represented by photography, destroyed the aura. Artworks without originality such as photos and movies appeared, and as art was incorporated into the capitalist system, artworks became a commodity, and they are no more objects of worship but enjoyments. For Benjamin, the downfall of the aura is not the downfall of art. The collapse of the aura marks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art. Contrary to Benjamin's claim, however, the aura did not disintegrate; rather, it has become a necessary condition of art today. What is important in digital art is the aura of the gaze. The aura of a digital artwork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ense of distance. The prepared contemporary audience interacts with the work on an equal footing and exchanges gaze with the work as an active subject.

      • 마르크스주의와 페미니즘이 바라보는 여성억압 : 가부장제의 해체를 중심으로

        유수진 ( Soojin Yoo ),김현지 ( Hyeonji Kim ),장태순 ( Tae Soon Chang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20 哲學論考(철학논고) Vol.2 No.-

        현재의 20대 여성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크고 작은 불편함을 느끼며 생활하고 있으며, 디지털 공간은 페미니즘의 대중화를 통해 여성의 인권에 대한 억압을 폭로하고 가부장제의 타파를 외치는 장이 되어 왔다. 협소한 의미의 가부장제는 그리스-로마법에 나온 체계이지만, 넓은 의미에서 가부장제는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지배의 확대를 의미한다. 현대에도 가부장적 권력은 여전히 다양한 차원에서 실질적인 차별을 행사하고 있다.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에서 엥겔스는 여성 해방의 진전이 곧 보편적인 인간 해방의 진전이라 본다. 여성 억압은 결코 보편적이거나 영원한 것이 아니라 계급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자본에 근거하여 시작한 것이며, 여성의 예속의 원인은 사적 소유이다. 여성에 대한 남성의 억압은 곧 스스로에 대한억압이고, 여성 해방이 곧 남성 해방이다. 모든 여성의 해방을 위하여 자본주의 체제는 사회주의 체제로 변해야 한다. 페미니즘 사상은 역사적으로 세 개의 물결(wave)로 이루어진다. 19세기 중반부터 1950년대까지인 ‘제 1의 물결’ 시기에 시작된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정의로운 사회에서는 개인이 자율성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하고, 또 개인이 생각하는 좋은 삶을 추구하며 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의 제 2의 물결 시기에는 급진주의 페미니즘이 우세했다.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 체계 안에서는 진정한 의미의 성평등이 이루어질수 없다고 보기 때문에 급진적인 질서 개편을 통해 진정한 해방적 개혁을 기획한다. 그들은 성억압을 설명하는데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참고 및 비판했다. 1992년에 시작된 제3의 물결 페미니즘은 ‘다양성에 대한 존중’을 공통적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이들은 단순한 설명에 저항하며 기꺼이 다른 것을 받아들이려는 의지를 보인다. 마르크스주의 여성해방론은 프롤레타리아트 해방과 방법론 측면에서 다를것이 없다. 그러나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이와 같은 마르크스주의 여성해방론에 동의하지 않았다. 급진주의 페미니스트인 게일 루빈은 마르크스가 성억압을 충분히 다루지 못했음을 지적하며, 슐라미스 파이어스톤은 성적 하부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역사적 유물론을 확대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게급차별주의가 여성의 유일한 적이 아니라고 보았다. 그들은 성계급을 통해 여성 억압을 분석하고자 했다. 페미니즘은 점차 차이나 차별에 관한 이론이라기보다 ‘차이를 이해하는 방식’으로서 그 이론적, 실천적 논의가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오랫동안 여성을 억압했던 가부장제는 반드시 해체되어야 하는 사회구조임은 분명하다. 우리 사회에서 가부장적 권력의 해체는 국가 중심의 가부장적 권위주의,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해소를 내포하며, 이는 시민사회의 성숙과 길을 같이하는 것이다. Korean women in their twenties are now living with large and small discomforts in various fields, and the digital space has been, through the popularization of feminism, a field to expose the oppression of women's human rights and to shout out the breakdown of patriarchy. The patriarchal system, in a narrow sense, is a system of Greek-Roman law, but in a broad sense, patriarchal system means the expansion of male domination over women in society. Even in modern times, patriarchal power still exercises substantial discrimination at various levels. In The Origin of the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Engels sees progress in women's liberation as a universal progress in human liberation. Women's oppression was never universal or eternal, but began on the basis of capital as the class society developed, and the cause of women's subjugation is private ownership. Men's oppression of women is self-suppression, and women's liberation is male liberation. For the liberation of all women, the capitalist system must be transformed into a socialist system. Feminist thought historically has three waves. Liberal feminism, which began in the “first wave” period from the mid-19th century to the 1950s, believes that in a just society, individuals should be able to exercise their autonomy, and they should be able to live while pursuing the good life they think of. In the second wave period from the 1960s to the 1980s, radical feminism prevailed. Since radical feminists believe that true gender equality cannot be achieved within the patriarchal system, they plan a genuine emancipatory reform through radical restructuring. They referenced and criticized Marxist theory in explaining sexual oppression. The Third Wave Feminism, whichbegan in 1992, has a common feature of ‘respect for diversity’. They resist simple explanations and show a willingness to accept others. Marxist women's liberation theory is no different from the proletariat liberation in methodology. However, radical feminism and socialist feminism disagreed with Marxist women's liberation. Gayle Rubin, a radical feminist, pointed out that Marx did not fully deal with sexual oppression, and Shulamith Firestone argued that historical materialism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sexual substratum. Socialist feminism saw that racism was not the only enemy of women. They sought to analyze women's oppression through the gender class. Feminism is not a theory about differences or discrimination, but rather as a thought to know ‘how to understand differences’. And its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should proceed together. It is clear that patriarchy, which has long oppressed women, is a social structure that must be dismantled. The dissolution of patriarchal power in our society implies the dissolution of state-centered patriarchal authoritarianism and patriarchal familialism, which is in line with the maturity of civil society.

      • 칸트 미학에서 추의 개념

        신예림 ( Yerim Shin ),이연우 ( Yeonwoo Lee ),장태순 ( Tae Soon Chang ) 단국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哲學論考(철학논고) Vol.1 No.-

        전통적으로 추한 것은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오히려 미적이고 친숙한 것이 되었고, 예술에서 추함은 한 장르로 대접받으며 많은 인기와 명성을 얻고 있다. 이런 현상의 배경을 칸트 미학을 통해 설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먼저 추의 의미와 역사를 간단히 살펴본다. 역사 속에서 추는 그 존재를 부정하려고 해도 부정할 수 없는 불편한 것이었으며, 추함은 사회에서 차별받고 배제된 이들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다음으로는 『판단력비판』에서 미와 숭고 개념을 고찰하고, 미의 분석에서 취미판단을 이루는 네 가지 계기에 몇 가지 수정을 가하면 부정적 취미판단의 형태로 추에 대한 순수 판단이 가능하다는 벤첼의 주장을 검토한다. 벤첼의 해석에 따르면 추는 만족과 불만족을 동시에 주는 것으로, 숭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The Ugly, traditionally considered as to be dreaded and feared, now becomes aesthetic and familiar, and ugly pieces of art gathers fame and popularity.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is phenomenon with Kant's aesthetics. First, we will survey the meaning and the history of ugliness. Ugliness was something uncomfortable throughout the history because its existence in undeniable despite all efforts. Then we will show how Kant’s aesthetics accounts for the Ugly. Negative judgments of taste, i. e., judgments about the Ugly can be established by introducing the notion of “free and disharmonious play of the faculties of cognition” and by introducing “a negative version of the principle of subjective purposiveness“. Finally we will show the Ugly interpreted as such is very similar to the Subl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