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금산조의 음고(音高)와 음기능 연구 : 서용석류와 지영희류를 중심으로

        장지연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해금산조의 음고(音高)와 음기능 연구 -지영희류와 서용석류를 중심으로- 장지연 해금연주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해금산조의 본청 음고를 찾기 위하여 지영희류 해금산조와 서용석류 해금산조 19개 음반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음을 본청으로 연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본청을 으로 연주하므로 악보 또한 본청 으로 출판하여야 한다. 해금산조의 선법에 따른 음계의 음기능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지영희류 해금산조는 Bb본청 우조, C본청 계면조, Eb본청 우조, F본청 계면조이다. Bb본청 우조에서 음은 얕은요성 와 및 는퇴성, 는 하향요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C본청 계면조에서 음은 깊은요성과 다루침, 음은 잉어질, 와 와 은 얕은요성, 는 퇴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Eb본청 우조에서는 은 얕은요성 는 퇴성, 는 하향요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F본청 계면조에서는 는 깊은 요성, 는 얕은요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2.서용석류 해금산조의 음계는 Bb본청 우조, Bb본청 계면조, C본청 계면조, Eb본청 계면조이다. Bb본청 우조에서 와는 얕은요성, 은 얕은요성·잉어질·퇴성이며, 는 하향요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Bb본청 계면조에서 는 깊은요성과 다루침, 과 는 얕은 요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C본청 계면조에서 는 깊은요성, 는 얕은요성, 는 다루침으로 나타나고 있다. Eb본청 계면조에서 은 깊은요성과 다루침, 은 얕은요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Abstract> Research about Pitch and Tone function of Haegeum Sanjo -Laying stress on Seoyongseok-ryu and Jiyeonghui-ryu Jang Jiyeon Fir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nding Pitch of best Haegeum Sanjo to performers. So, analyzed Seoyongseokryu and Jiyeonghuiryu's 19 record. As the result, could know that like most . Second purpose of this research is analyzing Pitch function by mode. So, recognized about mode. And decided dimension of Pitch function as Toeseong, Jeonseong, Yoseong, Chuseong. Case of Seoyongseokryu Haegeum Sanjo divides mode and investigated main Pitch function by it basing performance of Gim Seong A. Through analysis, modes that appear were Ujo, Gyemyeonjo, Gyemyeonjo, Gyemyeonjo four. Summarized Pitch function of each mode as follows. ① In the case of Ujo is Yateunyoseong, Yateunyoseong, Yateunyoseong and Ingezil and Toeseong, hahyangyoseong Tone function appear. ② In the case of Gyemyeonjo is Gipeunyoseong and Daruchim, Yateunyoseong, Yateunyoseong Tone function appear. ⅳ ③ In the case of Gyemyeonjo is Gipeunyoseong, Yateunyoseong, Ingezil Tone function appear. ④ In the case of Gyemyeonjo is Gipeunyoseong and Ingezil, Yateunyoseong Tone function appear. Case of Jiyeonghuiryu Haegeum Sanjo divides mode and investigated main Pitch function by it basing performance of Jiyeonghui. Through analysis, modes that appear were Ujo, Gyemyeonjo, Ujo, Gyemyeonjo four. Summarized Pitch function of each mode as follows. ① In the case of Ujo is Yateunyoseong, Toeseong, Toeseong, hahyangyoseong, Toeseong Tone function appear. ② In the case of Gyemyeonjo is Gipeunyoseong and Daruchim, Ingezil, Yateunyoseong, Yateunyoseong, Yateunyoseong, Toeseong Tone function appear. ③ In the case of Ujo is Yateunyoseong, Toeseong, hahyangyoseong Tone function appear. ④ In the case of Gyemyeonjo is Gipeunyoseong, Yateunyoseong Tone function appear. Result of this research must not do so necessarily. Because Pitch and Pitch function is thing that can change according to performer's special quality. Therefor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reference one example that play Jiyeonghuiryu Haegeum Sanjo and Seoyongseokryu Haegeum Sanjo. But, expect to become many help to a person who learn Haegeum Sanjo basis.

      • 高等學生의 家政科 敎科에서 健康家庭에 관한 敎育 要求度 및 家族健康性

        장지연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 and family strengths and improve family strength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a decisive period when values are formed and reorganized. This study also purposed to find new education direction of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s helpful in leading healthy family life and provide basic data for organizing curriculum suitable to the purpose. For this study, a pilot-test was carried out from June 30, 2005 to July 7, 2005 targeting on 150 girl and boy juniors of high schools. Afterwards, it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original survey was performed from August 30, 2005 to September 6, 2005. The subject of this survey was 550 girl and boy juniors of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SPSS program was used in statistics processing, an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post test.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was 3.44, over the middle level. The area students needed was "marriage and becoming parents", the highest need, followed by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management of nutrition", "household economy", "management of clothes and residence", and "home culture". Second,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s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sociodemographic vari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sex, department of school, family type, parents' academic background, parents' occupat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Especially, more girl students needed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than boy students did. The need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was more high in whole areas, "marriage and becoming parents", "household economy", and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than tha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s for family type, more students who were from a nuclear family with siblings, a single parent family, and a large family with three generations needed the education in the area of "the whole area", "household economy", and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than high school students from a nuclear family with a child. Students whose father graduated from university showed higher need for education in the whole areas, "house economy",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management of nutrition", and "home culture" than students whose father graduated from high school did. In addition, students whose mother graduated from university needed education of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more than students whose mother graduated from high school. Besides, high school students whose father was engaged in sales service, office occupation, profession·technology·administration·management needed education of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and "home culture" more highly than students whose father was engaged simple occupation did. High school students whose mother was engaged in a full-time housewife, sales·service, office occupation, profession·technology·administration·management needed education of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management of nutrition" more highly than students whose mother was engaged in simple profession did. In case that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between 3 million won and 4 million won and over 4 million won, the need for education of "management of nutrition" was higher than the case that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won and between 2 million won and 3 million won. Third,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as average 3.27, which means good condition. Fourth,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ociodemographic vari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department of school, academical background of parent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Girl students than boy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r family strengths. In addition, students whose parents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over than students whose parents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students whose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more than 4 million won and between 3 million won and 4 million won than students whose monthly household income was less than 2 million won and between 2 million won and 3 million won showed higher family strengths. Fifth,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variance of home econom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letion of the science of home-economics, sex of a teacher who was in charge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when students were freshmen of high school, and an original subject of the teacher who was charge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when they were freshmen.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ere high in case that students chose and completed home economics subject, they were educated the subject by female teacher, and they were educated the subject by a teacher who taught home economics originally. From the above result, first,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education on "marriage and becoming parents" and "methods to talk with families" that showed the high need as healthy families education. Second, it is needed to prepare a method to raise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b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ho showed lower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since family strengths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were lower than general school students, it is required to perform healthy families education aiming at vocational high school to improve family strength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Fourth, from the result of high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 it is required to make home economics subject a required subject, not an optional subject and lead many students to choose and complete the subject. Fifth, students who were taugh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by a teacher who taught home economics originally showed higher family strengths than those who were taught by a teacher who taught technology subject originally did. It is likely that the result suggests something important under present circumstances wher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is educated as an integrated subjec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he above result seems to be used as basic data in finding new education direction of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organizing suitable curriculum.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요구도와 가족건강성을 알아봄으로써 가치관이 형성되고 재구성되는 결정적 시기인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을 증진시켜, 건강한 가정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새로운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합당한 교육내용을 구성 하는데 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남 · 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2005년 6월 30일부터 7월 7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수정, 보완하여 2005년 8월 30일부터 9월 6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한 통계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Duncan의 검증)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3.44로 중간 이상의 요구도를 나타냈으며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경제’, ‘의복 · 주거관리’, ‘가정문화’ 영역의 순으로 요구도가 높았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를 보면, 성별, 학교계열, 가족형태,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가계월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역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인문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전체영역’과 ‘결혼과 부모됨’, ‘가정경제’,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역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족형태에서는 형제자매핵가족, 한부모가족, 삼세대가족의 고등학생이 외동자녀핵가족의 고등학생보다 ‘전체영역’과 ‘가정경제’,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역의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버지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고등학생이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 이하인 학생보다 ‘전체영역’과 ‘가정경제’,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문화’ 영역에서,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고등학생이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인 고등학생보다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역의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 직업이 판매 · 서비스직, 사무직, 전문 · 기술 · 행정 · 관리직인 고등학생이 아버지의 직업이 단순직인 고등학생보다 ‘가족간의 대화방법’, ‘가정문화’ 영역의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직업이 전업주부, 판매 · 서비스직, 사무직, 전문 · 기술 · 행정 · 관리직인 고등학생이 어머니의 직업이 단순직인 고등학생보다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영역의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가계월소득이 300만원~400만원, 400만원 이상인 경우가 200만원 이하, 200만원~300만원인 경우보다 ‘영양관리’ 영역의 교육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은 평균 3.27점으로 중간정도의 양호한 상태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은 성별, 학교계열, 부모의 학력, 가계월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인문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아버지,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인 고등학생이 아버지,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 이하인 고등학생보다, 가계월소득이 400만원 이상, 300만원~400만원인 고등학생이 200만원 이하, 200만원~300만원인 고등학생보다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과 교과 변인에 따른 고등학생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은 가정과학 교과 이수여부와 고등학교 1학년 때 기술 · 가정 교과 담당교사의 성별, 고등학교 1학년 때 기술 · 가정 교과 담당교사의 원래 담당 교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가정과학 교과를 선택하여 이수하고 있는 경우, 고등학교 1학년 때 기술 · 가정 교과를 여자교사에게 수업 받은 경우, 고등학교 1학년 때 기술 · 가정 교과를 원래 담당교과가 가정 교과이었던 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고등학생이 인지하는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첫째,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으로 요구도가 높은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역의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남학생과 실업계 학생의 교육 요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셋째, 인문계 학생에 비하여 가족건강성이 낮은 실업계 학생의 가족건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실업계 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실시가 요구된다. 넷째, 가정과학 교과를 선택한 고등학생이 인지한 가족건강성이 높게 나타난 결과에 따라 가정과학 교과를 필수이수교과로 하거나 많은 고등학생들이 선택하여 이수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다섯째, 기술 · 가정 교과를 원래 가정 교과 담당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고등학생이 기술 교과 담당교사에게 수업을 받은 고등학생보다 인지하는 가족건강성이 높은 결과는 기술 교과와 가정 교과가 기술 · 가정이라는 통합교과로 되어 있는 지금의 현실에 시사하는 점이 있다고 생각되어 진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새로운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합당한 교육내용을 구성 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현상학적 시간개념을 바탕으로 한 『순간을 멈추다』의 창작과정 연구

        장지연 동덕여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무용작품 ⌜순간을 멈추다⌟를 무대화 시키는 과정과, 그에 대한 창작의 결과를 현상학적 시간성에 대해 논하였다. 순간예술인 무용을 통해 ‘순간’의 시간을 시각화 하고, 시간성을 더욱 구체화시켜 보다 차별화된 창작의 결과를 도출해 내기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현대 사회는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해 빠르게 변화 하고 있다. 현대인들은 이런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성취하고자 하는 시간만을 지향하며 매시간 마다의 시간을 인식하지 못하고, 등한시함으로써 시간을 공간처럼 분할하여 획일화 된 시간을 보내고 있다. 본 연구자는 획일화된 삶이 되어 버린 현대인들에게 여유롭고 넓은 시각으로 자신의 삶 속에서 매순간 존재하는 순간에 대한 인식을 가져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현대인들이 놓쳐버리고 있는 시간을 의식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시간성과 공간성, 앙리 베르그송의 지속이론, 사진의 시간성 등 다양한 시간 이론을 수용하여 이미지와 공간, 움직임을 도출 해내고 그에 따른 창작 결과를 이끌어 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This research discussed the process of staging the dance performance ⌜Stopping the moment⌟ and the result of creation thereof in respect of phenomenological time concept. This research aimed at visualizing time of 'moment' through dance, a moment art, and deriving more differentiated creation result by more materializing temporality.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dern people are spending standardized time by segmenting time as a space by neglecting it without cognizing time per hour by aiming for only the time to achieve in order to adapt to this society. The researcher felt a necessity to have cognition on the moment that exists every moment in modern people's own life with leisurely and wide sight, whose life has become standardized, and intended to cognize time that modern people are missing. Here, the researcher intended to derive image, space, and movement by accepting various time theory, e.g. temporality and spatiality of Maurice Merleau Ponty, consistent theory of Henri Bergson, and temporality of photo, etc., accordingly, draw creation result along with it.

      • 민족통일을 향한 한국교회의 방향과 과제

        장지연 호남신학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 한반도 통일논의는 정부가 주로 주도하여 왔다. 한국교회는 통일운동의 한 주체로서 남북한 민간교류 발전에 기여해왔다. 한국교회는 70년대의 민주화운동을 통해 형성된 성숙한 시민의식을 바탕으로 80년대에 들어와서 한반도의 통일을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로 인식하고 이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1980년대 이전에는 반독재민주화, 인권옹호, 통일을 '기원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면 1980년대는 통일운동으로 전환된 시기로 볼 수 있다. 1988년 "민족의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기독교회 선언"은 군사정권의 탄압 속에서 민족통일을 향한 남한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표현함으로써 한국교회와 민간통일운동의 본격적 출발신호로 평가된다. 1990년대는 급변하는 국내외 정세로 80년대와는 전혀 다른 통일운동의 환경이 조성되었다. 독일통일, 사회주의체제의 붕괴,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남북기본합의서 등은 냉전시대를 벗어나 새로운 통일시대를 맞이하리라는 기대를 갖게 하였다. 90년대 들어서면서 보수교회들이 통일의 과정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면서 한국교회 통일운동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주도하는 흐름과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 주도하는 흐름, 이렇게 두 흐름으로 나뉘어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자는 북한교회를 통한 사회선교에, 후자는 남한교회가 중심이 된 교회재건에 중점을 두는 등 다른 선교정책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북한이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자, 이를 돕기 위해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한국기독교총연합회가가 연합하여 북한동포돕기를 전개하는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김대중 정권이 들어서고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지자 '통일'은 당위론의 차원을 넘어서 버렸고, 이제 통일이 막연한 바램이 아닌 가시적인 결과로 다가와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북한의 개혁개방정책과 함께 남한의 경제협력, 민간교류 등으로 화해 분위기를 이어가는 듯 했으나, 9·11 테러 사태를 계기로 미국의 일방주의적 외교가 더욱 강화되고 대북강경정책으로 인해 남북관계까지 경색될 위기를 맞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는 한반도 평화와 민족통일을 위한 항구적인 중심세력의 역할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하는 문제 앞에 서 있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가 이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할 과제를 크게 (1) 사회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 (2) 북한선교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로 나누어 정리하고자 한다. 가. 사회적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 한국교회는 민간통일운동에 기여하면서 남북관계의 변화발전과 평화통일운동에 끼친 성과는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는 것이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현실이라 할 수 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통일위원회가 95년 하반기에 두 차례 통일희년운동평가회를 갖고 정리한 내용을 먼저 참조해 보기로 하자. 이 평가 모임에 서는 희년 이후 기독교 통일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1) 각교회, 교단에 대한 제안 수준에서 탈피해 이들이 실천에 나서도록 교회협이 운동체의 성격을 강화할 것, (2) 통일운동의 대중적 기반을 확대할 것, (3) 교회 통일운동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민간통일운동과 연대를 강화할 것, (4) 북의 민과 교류를 확대할 것 등을 제시하였다. 7년 전에 제시된 이 같은 과제를 살펴보면, 많은 부분이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문제제기라는 점에서 교회 통일운동을 둘러싼 환경이 본질적으로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한국사회와 교회가 북한문제에 대해 갖는 여전한 보수성과 북한교회의 좁은 입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상태는 교회 통일운동뿐만 아니라 전체 통일운동의 실천과제인 휴전체제의 종식과 평화체제의 구축, 남북한 군비축소 등의 과제가 여전히 미해결 상태인 우리 사회 전반의 현실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사회 통일운동에 일정하게 기여하기 위한 한국교회의 과제로 첫째, 한국교회는 통일 이후의 사회적 통합을 미리 연구하고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통일 후의 민족공동체의 모습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를 넘어 새로운 구조 속으로 들어가는 제3의 길이어야 한다는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제3의 차원이란 모호하기는 하지만, 제3의 길의 모색은 기독교 대 공산주의라는 상호 대립을 넘어서서 상호비판, 상호재해석, 상호접근을 통한 제3의 새로운 사회창출의 필요성을 제시해 준다 .... 통일의 길, 제3의 길은 남북의 대화와 협동에서 개척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제3의 통일된 민주주의국가와 사회는 물론 상대적이고 따라서 새로운 미래에로 진전해야 할 단계다. 근 한 세기 동안 단련되어 온 민족민중의 민주역량은 제3의 통일된 민족국가와 사회를 창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조혜정은 사회를 체제 통합과 사회 통합의 두 차원으로 보면서 기존 통일논의가 체제 통합만 중시하고 사회 통합을 간과해왔음을 비판한다. 그리고 남북의 통일은 "단순히 두 개의 별도의 정치 경제 체계를 가진 두 국가의 통합이 아니라 그 동안의 근대사와 분단 체제가 만들어낸 여러 이질 집단을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정도로 통합해낼, 곧 '다름'을 조직화해낼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사회문화적 통합의 차원에서 남북통일의 과제를 제안하기도 한다. 한국교회는 새로운 공동체를 향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이 그 원천이 되는 새로운 이념을 창출해 나가는 선교공동체가 되어야 하며, 남한과 북한 모두가 서로의 체제에 안주하지 않고 새로운 공동체의 모습을 바라볼 수 있도록, 그래서 '우리는 한 민족이다'라는 정체성을 갖고 특히 남한으로 하여금 더 고통받고 있는 북한을 껴안을 수 있도록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상상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교회는 대화와 화해의 기능을 충실히 감당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 일반 특히 한국교회에 뿌리깊이 남아 있는 반공의식에 대한 교회의 신학적 극복노력과 구체적인 방안이 없다는 지적은 여전하다. 이념 갈등의 시대는 지나갔다고는 하지만 중요한 시기마다 한국사회와 교회 일각에서 반공의식이 표출되곤 했다. 최근만 해도 '김일성 조문파동', '8·15 방북단 파문사건' 등이 좋은 예이다. 서경석 목사는 지금 우리사회에는 대북관계와 관련하여 크게 (1) 북을 찬양고무하는 그룹, (2) 극단적 반공그룹, (3) 대북 지원활동과 북한과의 대화에 적극적인 그룹, (4) 남한의 '퍼주기'에 비판적이며 북의 인권문제를 제기하기 원하는 그룹이 있는데, 세 번째와 네 번째 그룹은 우리에게 필요한 그룹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이들이 실제 차이보다 훨씬 먼 것처럼 되어 있고, 이들의 갈등이 필요이상으로 부풀려 있는 사회에서 이들이 만나고 대화할 수 있도록 교회가 중간역할을 감당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역할을 감당하기 위해 교회는 이념 대결로 빚어진 남북갈등과 남남갈등에 대한 중립의 원칙을 지켜나가야 한다. 어느 한쪽 정부에만 가치와 정당성을 주는 평가를 일체 하지 않으면서 평화공존과 교류의 필요성을 강하게 얘기해야 한다. 또한 교회가 화해자로서의 모범이 되기 위해서 교회지도자들이 하나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처럼 교단의 이해득실에 따라 각기 생각이 다른 성명을 내는 상황에서는 서로 배타적인 입장만 확인할 뿐이지, '다양성 속의 일치'라는 개념이 적용될 여지가 별로 보이지 않는다. 앞으로 한국교회는 남북관계에서 생기는 구체적 상황에 대해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는 자기희생의 각오, 즉 십자가의 정신이 더욱 필요하다. 셋째, 한국교회는 이제 소극적 의미의 평화를 넘어 '적극적 의미의 평화'를 구체화시켜야 할 시점에 와 있다. 남한은 통일을 원하면서도 우월한 군비확장을 통해 북한을 흡수하겠다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리고 북한의 남침을 예방하고 건실한 국가안보 체제를 통한 안정을 구가하겠다는 삶의 방식이 이어져 왔다. 남한의 이러한 통일방식은 북측의 경우에도 형태는 다르나 내용은 궁극적으로 같은 발상을 담고 있다. 한반도에서의 냉전체제적 적대구조는 다른 어느 나라의 경우 보다 훨씬 더 경직되고 강화된 형태로 존속되어 온 것이다. 한국교회는 민주화과정을 거치면서 한국민중이 '분단구조'와 '분단논리'의 희생양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민족통일이라는 과제를 교회의 삶 속에서 실천하고자 '통일신학'이라는 이름으로 신학화작업을 해온 것도 사실이다. 남북분단의 외형적 원인과 민족내부의 내면적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면서, 교회의 죄책을 고백하고 이것을 행동으로 옮기고자 하였다. 그러나 큰 틀에서 볼 때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의 모습은 평화가 지닌 소극적 의미인 '전쟁 부재상태'를 만들어야 통일의 여건이 조성된다는 논리의 테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한국교회는 소극적 의미의 평화를 넘어 적극적 의미의 평화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적극적 평화는, 통일의 내용을 민족공동체적 삶의 구석구석에 '정의로운 평화' 내지는 '정의가 깃든 평화'를 정착시키는 데서 찾아야 한다. 이것은 한국교회 뿐만 아니라 세계교회의 공동과제이기도 하다. 세계교회는 샬롬 운동의 가장 근접한 현장이 바로 한반도라고 믿어 1990년에 '정의·평화·창조질서의 보전'(Justice, Peace, and the Integrity of Creation) 세계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한 바 있다. 경제사회적 정의, 정치·군사적 평화, 환경보호와 생명문화 운동 등이 샬롬의 내용이 될 것이다. 한국교회는 그 동안 민주화운동, 인권운동 등을 통해 반 평화적 모습에 대해 싸워왔다. 민주화의 목표는 민주사회에 몸담고 살아가는 모두의 평화적 상생의 삶이다. 그 동안의 한국교회의 모습이 적극적 의미의 평화의 모습과 전혀 동떨어져 있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JPIC의 요소들이 한반도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교회의 책임과도 연결되며, 한국교회는 구체적으로 정의와 헌신적 사랑을 짜집기하는 평화를 이 땅에 심을 수 있도록 분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나. 북한선교 차원에서의 교회의 과제 첫째, 앞으로 민족통일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한국교회가 나아가기 위해서는 좀더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신학적 접근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현재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는 현실을 생각해 볼 때, 북한선교의 환경은 매우 급박하게 변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방향은 매우 다양해질 전망이다. 80년대까지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도 이제는 다양한 북한선교의 실체를 인정하면서 변화를 계속 모색하고 있고, 한기총의 북한선교정책도 북의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하게 되었고 특히, 북한교회를 지원하는 면에서 도움을 많이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남한교회의 교단·기관들의 북한선교정책의 차이는 여전하며, 이로 인한 통일운동의 방향성과 내용의 혼란을 극복하는 일은 교회에 주어져 있는 중요한 과제이다. 김동선 교수는 큰 틀에서 남한교회를 포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북한선교정책은 (1) 한국교회의 공식적인 북한선교의 방향이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쪽으로 가야하며, (2)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의 기존의 협력관계를 발전시키면서, 동시에 조선그리스도교연맹과의 관계보다 훨씬 큰 차원의 통일환경에도 대처를 준비해야 한다는 두 가지 큰 원칙 위에서 수립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교회는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통일신학의 정립을 통하여 모든 계층과 민족을 화해시키는 이념과 실천적 방안을 부단히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구약성서의 희년정신과 예수그리스도의 비폭력 사랑을 우리 민족의 고난의 역사와 분단의 현실에서 재해석함으로써 민족의 통일적 신앙과 도덕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오늘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부정적 요소를 통일한국에 이식하는 일이 없도록 통일적 도덕성을 확립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홍정은 새로운 세기를 맞이한 한국교회가 다음과 같이 선교적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교회가 지향하는 바는 교인들로 하여금 우리 시대의 중요한 변화들, 즉 범 세계화, 개인주의, 남북분단과 동서갈등의 문제, 정치적 행위 주체의 문제, 생태적 문제들 속에서 그리스도의 길을 따라 복음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그 방법론에 있어서 교회 내에 참여민주주의를 심화 발전시키는 아래로부터의 과정이어야 한다. 이것은 교회가 인간의 얼굴을 한 지역공동체의 복원과 평화발전을 위해 시민사회단체들과 동반자가 될 것을 요청한다. 결국, 한국교회가 수립해야 할 통합적이고 포괄적인 선교정책은 교회 차원을 넘어서서 사회참여적 선교를 통한 민족통일에 기여하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교회는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입장에 서서 고통받고 있는 북한에 대한 교회의 책임을 보다 더 인식해야 할 것이다. 남한교회는 북한과의 관계에서 북한에 '교회를 재건할 것인가' 아니면 북한에 '인간이 행복하게 사는 공동체를 건설할 것인가' 하는 근본 문제에 있어서 다른 생각들을 갖고 있다. 둘 다 필요한 일들이지만 시급성과 효율성의 문제에 비추어 보면, 당장 고통받고 있는 북한이 보다 행복한 상황을 맞을 수 있도록 남한교회가 기도하고 고통의 해결을 위해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긴요하다고 본다. 김용복 박사와 주한 독일대사 폴러스 박사의 다음과 같은 각각의 지적은 한국교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교회가 남한사회의 물질적인 풍요를 하나님의 물질적인 축복으로 간주하는 너무나 안이한 신앙적 태도를 가져왔으며, 경제성장의 과정에서 경제적 약자와 희생자들을 소홀히 여겨왔음을 반성하여야 할 것이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누리는 상대적인 물질적 풍요도 철저한 디아코니아(경제) 신학을 바탕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며, 민족의 살림살이를 바로 잡는 선교적 사역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교회와 모든 기독교 신앙인들은 한국 민족 사회의 살림살이를 바로잡고, 그 희생자를 일으켜 세우는 디아코니아의 선교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남한교회는 남한 자체 내에서 통일기반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통일이 실현되는 경우, 북한에 대한 본질적 지원을 하고자 하는 남한 내의 정치의지가 존속되고 더 강화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남한주민들이 분단 때문에 가장 고통을 당하는 사람은 북한사람이라는 의식을 가지도록 환기시켜야 합니다. 그들에게 분단은 압박과 빈곤의 생활을 뜻합니다. 교회는 통일에 대한 남한 내의 토론에서 이 점을 분명히 주지시키도록 작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두 사람의 지적은, 교회가 예수의 가르침대로 보다 많은 고통을 당하는 사람들 편에 서서 통일운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교회가 껴안아야 하는 고통 당하는 사람들의 범위가 제한적일 수는 없다. 그것은 남한이 되었든, 북한이 되었든, 나아가 세계의 어느 곳이라도 한국교회는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통일을 함께 이루어야 할 당사자인 북한 사람들이 지척에서 굶고 있는 상황이라면 한국교회는 더욱 무거운 선교적 책임을 느껴야 할 것이다. 북한동포돕기운동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는 점은 지난 몇 년간의 경험 속에서 분명해졌다. 요즘 들어 시들해진 북 돕기의 열기를 활성화시켜 나가되, 어려운 결단이 되겠지만, 북한교회 재건을 위해 마련한 기금의 일부를 물질적 고통을 나누는 일에 사용한다면 남북 서로에게 좋은 도전이 되리라 본다. 남한교회는 북한사람들의 신음하는 고통을 결코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남북교회의 공동선교의 과제도 우리에게 남아있는 과제이다. 남북한교회는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여 공동선교의 가능성을 발견해야 한다. 1992년 8월 채택된 '1995년 희년을 향한 기독교 평화통일 협의회' 문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일방적 북한선교는, 자주적 평화통일의 과정에의 참여를 배제하고, 심지어 흡수통일을 최상의 시나리오로 전제하고 난 후 북한에 상륙하려는 안이한 '생각에 빠진다는 점에서, 경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신학적, 선교적 오류이다. 오히려 우리는 자주적 평화통일에 헌신하는 일 그자체가 선교적 과제임을 선명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것은 결코 좁은 의미의 선교, 곧 전도를 부정하거나 폐기처분하려는 것이 아님을 확언한다. 남북교회의 공동선교는 지금까지 남한교회가 개교회의 확장이나 교회의 세력을 확산하려 해 온 데에서부터 과감히 탈피하여, 남한교회 내에 있는 물질주의와 우상숭배에 대한 회개운동을 펼치고, 북조선 그리스도인들이 어려운 여건 속에서 신앙을 가꾸어 온 고귀한 체험을 공유해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 수적으로나 물량적으로 우세한 남한교회가 영적으로도 북조선 교회보다 더 성숙하다는 우월의식과 교만을 버려야 한다. 남북교회의 공동선교가 이루어지려면 먼저 남한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교회갱신과 회심운동이 일어나야 한다. 남북교회의 공동선교가 이루어지려면 흡수통일의 발상은 버려야 한다. 북한 땅에서의 선교는 기본적으로 북한교회에 의한 자주적 선교일 것이고, 통일을 지향하는 한국교회로서는 이러한 자주적 선교를 전제로 하는 협력과 교류를 주된 주제로 삼아야 할 것이다. 현재 남북교회의 공동선교의 좋은 거울이 될 수 있는 것이 북한동포돕기운동이라고 본다. 이것을 통해 남한교회의 북한교회에 대한 태도와 방향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1995년 마카오회의에 참석했던 조선그리스도교연맹의 한 목사의 이야기는 우리가 되새겨보아야 할 의미가 담겨 있다. 한 형제가 어려움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들은 다른 한 형제가 온 동네 사람들을 다 모아놓고, 어려움을 당한 형제를 돕는다는 것을 선전하면서 돕는다면 도움을 입는 그 형제가 얼마나 자존심을 상해할 것인지를 생각해 보았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어려움을 당한 형제를 조용히 불러 따뜻한 식사 한끼 대접하면서 정성을 표시한다면 받는 그 형제가 어떤 마음을 가지고 그 집을 나서게 될지 생각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의 말에 대해 요란하게 북한 지원에 나서고 있는 한국교회와 지원단체들이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남한교회의 지원에 대해 북한 측이 감사표시에 합당한 입장표명한교회 내에 있기도 하였다. 이것은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없다. 북한을 돕는 일이 남북 사이에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관계를 형성하여 남북교회가 함께 감당할 수 있는 공동선교의 과제를 개발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북한동포돕기운동을 한 예로 들었지만, 남북교회가 서로 만나면서 공동선교의 과제들을 개발할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남북의 교회는 '새 하늘과 새 땅'을 이루는 하나님의 선교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동역자이다. 남북교회는 분단현실로 갈라져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이다. 남북의 민중과 통일을 위한 대화와 연대를 강화해야 한다. 동서독교회는 지난 40년 동안 다른 어떤 조직보다 동질성을 다양한 영역에서 강하게 유지해 왔다. 동독개신교연맹은 독일전체 개신교인들과 특수한 공동체성 속에 있음을 고백하였다. 80년대에는 동서독 교회 사이에 자매관계가 수립되었다. 그들은 여건이 가능한 한 서로 협력하였다. 한국교회는 민족통일에 기여하기 위한 선교적 사명을 감당키 위해 자신을 개방하도록 요청 받는다.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는 교회의 개방성을 위한 좋은 모델이 된다. 왜냐하면 십자가는 세상 모두를 향해 열려있음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십자가는 서로의 고통을 짊어지고 그 고통을 극복하며 마침내는 해방되어 자유를 찾게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제는 남북한 교회가 서로 민족의 고통을 추구하지는 않지만 그 고통을 짊어질 수 있어야 한다. 아무도 그 고통을 짊어지려고 하지 않을 때에라도 교회가 그것을 짊어질 각오가 되어 있고, 그렇게 했을 때 교회는 하나님나라에로의 개방성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렇게 했을 때 교회는 자신이 그어놓은 경계 안에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이념의 경계를 넘어, 편견의 경계를 넘어, 교파의 경계를 넘어 진정한 화해의 길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 바이오매스 유래 발효당과 효모 균주를 이용한 젖산 생산 기술 개발

        장지연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석유 부족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석유 기반 화학 물질을 대체하기 위해 비식용 바이오매스를 사용하는 생화학 물질 생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이용하여 볏짚, 음식물 쓰레기, 억새와 같은 다양한 바이오매스로부터 PLA(polylactic aicd)의 원료 물질인 젖산 단량체를 생산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균주는 Bovine taurus로부터 유래된 codon optimizaiton된 젖산 탈수소 효소(LDH) 유전자 및 LDH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최적 프로모터인 pGPD를 함유한 플라스미드를 사용하였다. 우리는 또한 셀로바이오스와 자일로스의 동시에 대사할 수 있도록 S. cerevisiae 유전체에cellodextrin transporter (cdt-1)와 β-glucosidase (gh1-1)를 도입하였고, Scheffersomyces stipitis 유래 자일로스 대사유전자군인 XYL1 (xylose reductase), XYL2 (xylitol), XKS1(xylulose kinase)를 도입한 균주를 제조하였다. 이와 더불어, Issatchenchia orientalis (내산성 효모 균주)를 선별하여 PDC1유전자 자리에 LDH 유전자를 도입한 내산성 젖산 생산 균주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젖산 발효 공정에서 석고의 생산을 감소 및 제거 할 수 있는 Gypsum free 공정을 개발하였다.볏짚의 경우, SAA(암모니아 수용액) 방법으로 15% 암모니아로 80 ℃에서 120 분간 전처리하여 포도당과 자일로스를 제조 하였다. 재조합 균주를 이용하여 플라스크 발효에서 40 g/L의 발효당에서 10.6 g/L의 젖산을 생성하였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156.3 ℃에서 123.7 분 동안 0.37 % w / v H2SO4로 산 전처리 하여 얻은 발효당 26.4 g/L에서 재조합 균주를 이용하여 젖산 6.4 g/L를 생산하였다. 억새의 경우, 바이오매스 가수 분해물에서 균주의 성장을 억제 할 수 있는 포름산 및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을 함유하였다. 따라서 이온 교환 컬럼을 이용하여 무독화 과정을 개발하고 젖산 발효 생산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젖산 생산을 하였으며, 3- 하이드 록시 프로피온산, 아 디프 산, 숙신산 등과 같은 다른 생화학 물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oil-shorta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caused increasing needs of producing biochemicals using non-food biomass to replace petroleum based chemicals. In this study, we produced lactic acid which is used to be a monomer for producing polylactic acids (PLA) from various biomasses such as rice straw, food-wastes and silver grass by using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The strain harbors a plasmid containing a codon-optimized lactate dehydrogease (LDH) gene derived from Bovine taurus and an optimal promoter (PGPD) to increase expression of the LDH. We also constructed another lactic acid producing S. cerevisiae in which cellobiose and xylose can be metabolized simultaneously by introducing cellodextrin transporter(cdt-1) and β-glucosidase (gh1-1) for metabolizing cellobiose and XYL1 (xylose reductase), XYL2 (xylitol dehydrogenase) and XYL3 (xylulose kinase) derived from Scheffersomyces stipitis for metabolizing xylose into the chromosome. In addition, we constructed another lactic acid producing yeast in which LDH gene was introduced on PDC locus of Issatchenchia orientalis(acidic tolerant yeast) and for decreasing or removing gypsum. In the case of rice straw, glucose and xylose were prepared from rice straw using SAA(soaking in aqueous ammonia) pretreatment with 15% ammonia at 80℃ for 120min. The recombinant strain produced 10.6 g/L of lactic acid from 40 g/L of fermentable sugars under flask fermentation. In addition, the recombinant strain produced 6.4 g/L of lactic acid with 26.4 g/L of fermentable sugars which were derived from food-wastes by using acid pretreatment with 0.37% w/v H2SO4 at 156℃ for 123.6min. In the case of silver grass, the biomass hydrolysates contains organic acids such as formic acid and acetic acid which can inhibit growth of lactic acid producing strains. Therefore, we develop a detoxification process by using ion exchange column and use the fermentable sugars for producing lactic ac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various biomasses can be great resources for producing lactic acid and also applied to other biochemicals such as 3-hydroxypropionic acid, adipic acid, succinic acid, etc,. Therefore, development of effective pretreatment of these biomasses and efficient strains will contribute to produce cost-effective biochemicals against petroleum-based chemicals.

      • 배려 윤리를 바탕으로 한 초등학교 사회과 환경교육 관련 내용 분석

        장지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가 직면한 생태학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다각도의 환경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경문제가 개선되기보다는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 많은 환경교육 연구자들은 과학과 기술의 개발만으로는 환경문제가 해결될 수 없으며 생활 양식과 사고방식, 가치관, 인식의 전환을 통해서 환경문제의 해결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환경 문제의 원인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관점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인간과 자연에 대한 기존의 관점에 내재되어 있는 환경윤리, 환경관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관계, 상호의존성, 책임, 희생과 헌신 등을 강조하는 배려 윤리는 합리성, 자율성, 공정성, 개인의 권리 등을 강조하는 정의의 윤리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길리건과 나딩스로 대표되는 배려의 윤리와 콜버그가 주장하는 정의의 윤리와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배려 윤리의 특징과 배려 윤리가 초등학교 환경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환경교육 관련 단원의 목표, 환경 교육 관련 내용을 배려 윤리의 특징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환경 교육의 문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수행한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콜버그의 정의 윤리와 길리건, 나딩스의 배려 윤리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배려 윤리의 특징과 환경교육과 배려 윤리의 관련성을 정의하였다. 둘째, 배려 윤리를 바탕으로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배려 윤리의 특징을 (1)관계성, (2)맥락성, (3)상호의존성, (4)책임과 배려 등 네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관계성을 환경과 인간과의 관계, 환경보호와 전지구적 관계로 세분하고, 맥락성은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통한 구체적 문제로 공감, 감정이입을 통한 개별적 문제로 공감 등으로 나누었으며, 상호의존성은 자연에 의지해서 살아가는 모습, 인간의 도움에 의존하는 자연, 인간과 공존하는 생물 공동체로 나누고, 책임과 배려는 자연 환경 보존에 대한 책임, 자연에 배려하는 태도, 자연의 가치 인식 등으로 세분함으로써 9개의 주요 요소로 나누었다. 셋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3~6학년의 사회과 교과서의 환경 교육 관련 단원의 목표를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영역으로 나누어 배려 윤리와 관련이 있는 목표를 살펴 보았다. 넷째, 3~6학년의 사회과 교과서의 환경 교육 관련 내용을 배려 윤리의 분석틀로 분석하여 현행 사회과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의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환경 교육과 관련된 내용이 뚜렷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으며, 환경 문제를 사회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 중의 한 문제로, 민주적인 생활을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로만 인식하고 있다. 자연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 배려의 대상으로서 환경, 인간과 상호작용의 관계인 환경에 대한 이해 등에 서술된 구체적인 목표가 없다. 배려적 대상으로서의 자연과 공동체적 삶을 추구하는 지구 생태계와 상호 공존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가 서술되어야 한다. 둘째, 3~6학년의 사회과 환경 교육 관련 단원의 목표를 분석한 결과, 자연을 이용가능한 개발 대상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자연의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고 자연과 인간의 상호 공존의 관계성, 책임과 존중 등의 배려 윤리에 해당하는 목표가 각 학년의 단원 목표에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 내용을 배려 윤리의 분석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배려 윤리에 해당하는 내용 제시가 부족하며 환경을 바라보는 인식도 개발 논리에 치중되어 있다.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 전체에 대한 공동체 의식의 함양이 필요하다. 그리고 실천적 문제로 느낄 수 있는 맥락적 고려가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overcome ecological crises that mankind is faced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is being executed in various ways but environmental problems are rather worsening than bettering. Many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ers believe that environmental problems cannot be sol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and there should be changes in people’s lifestyle, way of thinking, value system, and perception. The fundamental 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is a wrong view of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nature.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change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view underlaid in the conventional view of man and nature. Care ethics, which emphasizes relation, interdependency, responsibility, sacrifice, commitment, etc.,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problems hardily solvable with justice ethics that emphasizes rationality, autonomy, fairness, personal rights, etc. The present study compared care ethics represented by Gilligan and Noddings and justice ethics maintained by Kohlberg, and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care ethics and the implications of care ethic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in Korean environment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goal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goals of uni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connec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care ethic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performed for these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are ethics and th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are ethics were defin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on Kohlberg’s justice ethics and Gilligan’s and Noddings’s care ethics. Second, analysis framework was suggested based on care ethics for analyzing the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care ethics were divided into four areas: (1) relation; (2) context; (3) interdependency; and (4) responsibility. Relation was subdivided into th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 and man and th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the earth, and context was subdivided into sympathy with specific problems through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sympathy with individual problems through empathy. Interdependency was subdivided into human life relying on nature, nature relying on man’s help, and the community of living creatures coexisting with human beings, and responsibility and care was subdivided into responsibility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thoughtful attitude toward nature, and recognition of the value of nature. Thus, a total of 9 main elements were derived. Third, the goal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goals of uni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3^(rd)~6^(th) grade were divided into the area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kill, value and attitude, and goals related to care ethics were looked for. Fourth,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3^(rd)~6^(th) grade were analyzed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of care ethics, and problems in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identifi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oal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re as follows.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are not presented clearly,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garded as a part of various social problems and as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democratic decision making. There is no specific goal related to interaction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beings, environment as an object of care, and th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interacting with human beings. Therefore, specific goals should be stated for nature as an object of care and coexistence with global ecosystem pursuing community lif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oals of uni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in 3^(rd)~6^(th)-grade social studies, it is the prevalent view that nature is an exploitable object of development. Thus, units in each grade should suggest goals based on care ethics such as recognizing the immanent value of nature, the coexistenc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man, and responsibility and respect.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of care ethics, the volume of contents related to care ethics is insufficient, and the view of environment is inclined to development logic. Thus,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for the entire ecosystem including man. In addition, contextua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so that students see environmental problems as practical issues.

      • 한국군 동원체제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부분동원의 확대 및 일상화

        장지연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방개혁에서 예비전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시점에서 총력전 대비를 위한 동원전력의 신속한 즉응태세를 완비하는 것 은 무엇보다 중요하며, 일반적 사항으로 절차(국회 사전동의)상 동원적기 상실, 경제적 요소(총동원에 의한 소모성․긴장도) 등 우리나라의 고유 사항으로 지정학적 조건에서 오는 외적의 선제기습공격․배합전에 의한 short warning time이나, 자원 소재․밀도 등 특이성 에대하여 부분동원제도는 동원령 선포 여건제약에 따른 비상대처 미흡점 처리와 국방부문 잠정조치(작전동원, 훈련소집)의 실용제도화를 위한 측면에서 확대 및 일상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보행자 길 찾기(wayfinding)를 위한 사인시스템에 관한 연구 : 강남고속버스터미널 안내.유도사인을 중심으로

        장지연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rapid development of urban lif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Bus terminals have been allowing modern people to widen their area of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ir exchange. New roads 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have shortened travel time and also transfer between mass transportation has become faster due to high concentration allowing for a more convenient travel. However, the increase of bus terminal demand has led to larger terminals with more and more facilities to aid the convenience and leisure of the people, developing the terminal to a very complex structure. As the terminal structure becomes complex, many people with diverse demands visit the highly concentrated facility leading to a unsorted flow of people struggling to reach their destination. Therefore, the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e users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guiding the users to their destination. Especially, among the way finding factors of the human being in the urban environment, sign-system is the most used of the landmarks. Sign-systems are the media of delivering information for people in their life environment to allow order and also aid in path finding with easy to process information. Therefore, people depend on recognition of landmarks to determine their paths, and depend more on sign-systems in moving on their paths. In this paper, we deal with a specific terminal: GangNam terminal, which is filled with dynamic population using express buses from Honam, YongDong, JyungBu. Also, it is a major center of public transportation transfer that consist subways and metro buses. GangNam Terminal which has great bonding with many sorts of mass transportations is always a place where foreigners and also domestic citizens lose their way through the terminal. Therefore, we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influences the current sign-system affects the users in path finding in GangNam Terminal. To achieve a fair and controlled data, we used surveys. Results showed that many do have difficulty in finding the route to their destination and the reasons are as follows. The main factor cause this confusion was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guidance signs at key nodes. As a result, the connectivity of the information given cannot be achieved. Also the lack of unity with the spatial environment and publicity of the sign has led to lack of usage of the information. Concluding, this paper proposes a sign-system design in a limited scope through results of surveys and research to aid pedestrians by giving information and guidance. As a result we have developed a sign-system which meets the unity of the spatial environment and installed them at key nodes to guide the pedestrian in their decision. Also, we limit the amount of information give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delivery, introduced a chroma system to aid spatial recognition, and unified the system components to a single design. 산업화 이후 급성장 하고 있는 도시 환경 중에서 터미널은 현대인들의 활동범위를 넓히고 교류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지로 자리매김해오고 있다. 새로운 도로증설과 환경개선은 지역 간 이동시간을 단축시켰고, 대중교통과의 밀접도가 높아지면서 탑승 및 환승이 편리해졌다. 그러나, 터미널의 이용자가 증대됨에 따라 그 규모가 커지고, 편의를 위한 복합 상가 및 여가공간이 형성되면서 점차 복잡한 구조가 되어가고 있다. 터미널의 공간구조가 복잡해짐에 따라 각기 다른 목적을 가진 이용자가 한 공간에 밀집하게 되었고, 목표점으로의 이동에 있어서도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에 있어서 주변의 환경요소는 경로를 파악하고, 이동하는데 큰 척도로 작용한다. 특히,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인간의 길찾기(wayfinding)를 편리하고 유용하게 하는 가장 밀접한 요소가 랜드마크(landmarks)의 하나인 사인시스템(sign-system)이다. 사인시스템은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써 인간의 생활환경에 질서를 부여하고, 길찾기에 있어 보다 알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각요소를 체계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행자는 길찾기 과정에서 위치정보를 인지해 판단하고, 행동에 이르기까지 사인시스템에 상당부분 의존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터미널, 그 중에서도 유동 인구가 많고 호남· 경부·영동선의 고속버스 탑승 및 지하철, 노선버스의 환승이 가능한 강남 고속버스터미널을 구체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대중교통과의 결합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강남고속버스터미널은 구조가 복잡하여 내·외국인 보행자들이 길을 잃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강남고속버스터미널을 목적지로 하는 보행자의 길찾기 과정을 살펴보고 사인시스템이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결과의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민들은 대상지 내의 길찾기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근본적인 원인은 복잡한 공간구조에서 이를 보완해 줄 안내·유도사인시스템이 결절점(nodes)에 설치되지 않아 정보의 연계성을 저하시키고, 공간과의 일치성이 결여된 불명확한 정보 전달로 시각정보로써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사인시스템의 구성요소도 전달성과 통일성, 공공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 및 자체연구를 토대로 보행자 길찾기를 위한 안내·유도 사인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보행자를 고려한 사인시스템 디자인을 한정된 범위에서 제안하였다. 그 결과 사인시스템의 정보와 공간을 일치화하여 목적지로의 접근성을 높이고, 결절점에의 설치로 보행자 이동경로의 결정을 돕도록 하다. 또한, 사인시스템의 효율적 정보전달을 위해 정보의 양을 제한하고 색체시스템 도입을 통해 공간의 이해를 도왔고, 사인시스템 구성 요소를 일관적으로 표현해 시각적인 표준화를 구축하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