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사고 역량 향상을 위한 수업 및 평가방법 탐색

        장재홍(Jaehong Ja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학생의 창의적 사고 역량 유형을 확인하고, 각 역량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및 평가방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발산적 사고력, 독창적 유연성, 호기심 및 모험심, 탐구심을 지표변인으로 사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수업방법으로 개별화, 상호작용, 학생 참여형 수업 정도, 평가방법인 과정중심평가, 평가 피드백이 역량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적 사고 역량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구분되었다. 둘째, 개별화 정도는 ‘상위 역량’ 집단을 구분하는 영향변인이었다. 셋째, 상호작용은 창의적 사고 역량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학생 참여형 수업은 모든 잠재집단 구분에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영향변인이었다. 다섯째, 과정중심평가는 ‘일반 역량’과 ‘상위 역량’ 집단을 구분하였다. 여섯째, 평가 피드백은 모든 잠재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쳤다. 창의적사고 역량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적극성과 주도적 태도를 발현할 수 있는 참여 중심의 수업활동 구성,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면밀히 살필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이를 지원하기 위한 평가 피드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confirmed the student's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profile and the instructions and evaluation methods that affect the profile. LPA was performed using divergent thinking, creative flexibility, curiosity and adventure, and inquiry as index variables, and the degree of individualization, interaction, and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was used as the instruction method, and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and evaluation feedback were used as evaluation methods. For the analysis, the 6th year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Second, individualization was an influential variable that differentiated the ‘higher competency’ profile. Third, interaction did not affect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profile differentiation. Fourth, students' classroom engagement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the differentiation of all profiles. Fifth,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differentiated the ‘general competency’ and ‘higher competency’ profiles. Sixth, evaluation feedback affected the differentiation of all profiles.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foster learners' activeness and initiative attitude for student engagement classes. In addition, it should support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and evaluation feedback that can check the process as well as the result of learning.

      • KCI등재

        중학생의 학습전략 종단적 변화 양상 및 영향요인 탐색

        장재홍 ( Jaehong Jang ),조애영 ( Aeyoung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습전략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변화 양상을 토대로 학습전략 유형을 구분하여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교육종단연구 제4-6차년도 학생 5,341명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1학년에서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총 3개년도 시점의 학습전략 변화 양상을 잠재계층성장분석(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유형은 각각 ‘하강집단’, ‘상승집단’, ‘유지집단’으로 나뉘었다. 둘째, 독서활동은 학습전략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자기이해와 자기효능감은 학습전략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친구와의 관계보다는 교사와 부모와의 관계가 학습전략을 높이는 데 유의한 영향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별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전략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 양상에 기초하여 학습자 개개인에게 필요한 학습전략을 지원하며 효과적인 학습전략 제고를 위해 다양한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ing aspects in the learning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type by distinguishing the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changing aspects. For the analysis, data with 5,341 students in the 4th-6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re used, and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of three-year poin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LCGA) from 1st to 3rd year of middle school. A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learning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falling groups’, ‘rising groups’ and ‘maintenance groups’, respectively. Second, reading activities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Third, learners’ self-understanding and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Fourth,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teachers and students-parents were an important influence variable in enhancing learning strategies rather than friendship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learning strategies at various poi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Based on these changing aspects, it is needed to support learning strategies each students need and enhance effective learning strategies with various measures.

      • KCI등재

        전문성 개발 활동 개선을 위한 교사 인식 분석 : 긍정적 특성, 지원요인, 방해요인을 중심으로

        장재홍(Jaehong Jang),신범철(SHIN BEOMCHUL)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의 긍정적 특성과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에 미치는 지원요인과 방해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 조사(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3주기(2018) 결과 중 한국 교사 데이터(초등교사 3145명, 중등교사 2829명)를 활용하였으며, 학교급 및 교직경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중등교사 공통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지식을 시연 적용하며, 활동적 학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는 전문성 개발 활동에 대하여 긍정적인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초·중등교사 공통적으로 21년 차 이상의 고경력 교사들과 다른 경력의 교사 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 인식 여부에 따른 지원요인·방해요인에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였으며, ‘적합한 전문성 개발 활동 부족’이 공통적으로 긍정 인식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급, 교직경력별 대안을 제시하고, 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에 필요한 개선책 마련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positive feature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pport and barriers factors on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we used Korean teacher data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18 and confirmed the differences school level and teaching career(3145 elementary school teachers, 2829 secondary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recognized the application of new ideas and knowledge the provision of active learning opportunities as positive feature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highly experienced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of career and other teachers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pport and barriers for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according to whether they perceiv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positively. In addition, the lack of appropriat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had the greates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y perceiv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positively.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lternatives for each school level and teaching career, and try to help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의 학습전략 수준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영향요인 탐색

        장재홍 ( Jaehong Jang ),박인우 ( Innwoo Park ),윤가영 ( Gayoung Yun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의 학습전략 수준을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분류하고,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자료를 활용하였고, 영향요인으로 성별, 부모 학력, 경제 수준, 생활(부모와의 관계), 정서조절, 과제관리, 학습적응성, 리더십, 학업성취도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수준 프로파일은 3개의 집단 수준으로 나뉘었다. 각 집단을 학습전략 실행 ‘상위 수준 집단’, ‘일반 수준 집단’, ‘하위 수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명명한 이유는 유형을 구분하는 큰 차이가 학습전략의 실천적 요소에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부모 학력은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 수준과 가정생활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습적응성이 높을수록 학습전략 실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하였으며, 과제관리능력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학습전략 실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하였다. 넷째, 리더십이 높을수록 보다 학습전략 실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하였다. 다섯째,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학습전략 실행 상위 수준 집단’에 속하였다. 학습전략은 이를 활용하는 학습자의 실천적 태도가 중요하다. 학습전략 향상에 따른 학습의 효과성을 고려한다면, 교수ㆍ학습장면에서는 교과에 관한 지식만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학습전략을 전수하고 교육하는 일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전략의 행동 및 실행을 돕는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learning strategy level in adolescents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the types of classif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strument utilized to measure was ‘A Measurements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Study Ⅱ: ICCS 2016’. In this research, we considered as affecting factors the following variables: gender, emotional control, task management, adaptability of learning, leadership, academic achievement, parents' educational level, economic level, fam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ree types of profiles were revealed: ‘high level group with high ability to execute’, ‘general level group with general ability to execute’, and ‘low level group with low ability to execute’. Practical factors mainly affected three group differences. Second,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atent profiles while economic level and family life did not affect. Third, the higher adaptability of learning, the more they were likely to be in the high level group and it's the same with task management skill. Fourth, the higher leadership, they were likely to be in the high level group. Fifth,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ey were in the higher level groups. Learners' prac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was key to learning strategy level. Considering findings of this study, instructors need to pay attention to teach learning strategies and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help learners to practice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과 태도

        장재홍(Jang, Jaehong),조애영(Cho, AeYoung),박인우(Park, Innw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과 전문성 개발 방법을 확인하였으며, 코티칭 수업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교수법 적용, 수업 주도율, 수업 필요도, 수업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 코티칭 관련 사업에 참여한 중학교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은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며, 정규수업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수업 방식은 주로 교과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이루어졌다. 코티칭 수업 전문성 개발 방법을 확인한 결과 수업 계획서 작성 및 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으며, 코티칭 수업 연수 및 컨설팅 실시와 정기적 협의회도 거의 이루어 지고 있지 않았다. 코티칭 수업 전문성 개발 여부에 따른 수업 인식을 확인한 결과 수업 계획서 작성 및 공유 여부에 따라 모든 수업 인식 변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코티칭 수업 연수 및 컨설팅 실시 여부에 따라 교수법 적용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기적 협의회 여부에 따라 수업 주도율과 수업 필요도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교사의 코티칭 수업 운영방식 및 수업 전문성 개발 방법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of middle school teachers, and analyz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rate of class leadership, level of class necessities and level of class satisfaction based on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teaching. For thi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360 middl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teaching related projects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teaching mainly took place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during the regular class hours and most frequently in the subject-specific classe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Moreover, the result from analyz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teaching showed that the writing and sharing of lesson plans were not done properly, and the training sessions, consultations and regular council were rarely organiz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variables of class recognition between the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o-teaching and that did not in terms of writing and sharing the lesson plans. Conducting co-teaching training and consultations only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Organizing regular councils only had differences in class leadership and class necessity. From the finding of this paper, the co-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methods for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 비교 분석

        장재홍 ( Jaehong Jang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라 수업개선활동과 과제피드백이 교사효능감과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이하 GEPS) 제7차년도(2018년) 고등학교 교사 데이터를 총 2754명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수의 교사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정도와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으나, 평가방식의 기대 정도와 실제 수행교사들의 선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지필평가에만 적용하는 것은 수업개선이나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수행평가에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하는 것은 과제피드백에 효과가 있었다. 넷째, 지필·수행평가 모두에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적용하는 것은 과제피드백과 교사효능감에서 다른 평가방식 적용보다 더 큰 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수행평가에만 적용한 경우와 지필·수행평가 모두 적용한 경우 미적용 집단보다 학생의 수업이해도 평균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지필·수행평가에 모두 적용한 집단의 경우 수업개선활동과 과제피드백이 교사효능감과 수업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행평가만 적용한 집단의 경우 과제피드백이 교사효능감과 수업이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을 위한 제언을 하였으며,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는 학생의 수행과정 및 성장 과정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in (a)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b) task feedback, and (c)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structions of implementing the Teacher by Teacher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TPFA) Policy.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task feedback on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struc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754 high school teachers ’ data from the 7th-year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18) conducted by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it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eachers acknowledged the policy and its necessity; however, the level of expectations for the assessment, and the level of preference among teachers who implemented the policy were low.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only the paper-based written tes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task feedback, nor teacher efficacy. Third, implementing performance-based assessment was effective on task feedback. Fourth, it was most effective when both written and performance-based assessment were implemented. Fifth, in both cases of solely implementing performance-based assessment, and combining performance-based, and written assessment, the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task feedba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 efficacy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instruc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TPFA should be implemented to reflect th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and the growth of the students.

      • KCI등재

        청년세대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 분석 및 영향요인: 학교교육경험, 조직풍토, 전공 및 직무 일치를 중심으로

        신주랑(Jurang Shin),장재홍(Jaehong J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ypes of job satisfaction among the youth generation and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each typ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indicators of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d how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such as the degree of help with school education experience, autonomy and authority in jobs, the degree of development potential, and the level of major and job matching, affect potential group types. Data from the 11th year of the 2005 Korean Education Termination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for analysis.The study found that job satisfac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potential group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dissatisfaction” group, the “salary and welfare dissatisfaction” group, the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 satisfaction” group, and the “high job satisfaction” group. Furthermore, the degree of opportunity to improve work ability through work, the degree of adjustment of work hours according to one's needs, and the level of education and skill-wor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all groups. However, the degree to which the speed of work can be determined or changed by itself did not affect group classification. Based on the study's results, the desired workplace culture and environment of the younger generation were revealed, and necessary implications for those in charge of running a company or managing employment or employment polic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일자리 만족도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급여, 고용 안정성, 복리후생, 업무내용, 근무시간 및 업무량, 근무환경,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개인의 발전가능성, 전반적인 만족도를 일자리 만족도 지표변인으로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교교육경험 도움 정도, 일자리 내 자율성 및 권한, 발전가능성 정도와 같은 조직풍토, 전공 및 직무 일치 수준이 잠재집단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1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자리 만족도 유형은 4개의 잠재집단으로 ‘발전가능성 불만’ 집단, ‘급여 및 복리후생 불만’ 집단,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만족’집단, ‘높은 일자리 만족’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일을 통해 업무 능력을 높일 기회 정도, 자신의 필요에 따른 업무 시간 조정 정도, 교육, 기술-업무 수준은 모든 집단을 구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업무 속도를 스스로 결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정도는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세대가 원하는 직장문화와 환경을 밝혔으며, 기업을 운영하거나 고용 또는 취업정책을 운용하는 책임자에게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온라인 게임 서버를 위한 부하 분산 미들웨어의 구현에 대한 연구

        신동일(Dongil Shin),신동규(Dongkyoo Shin),김민수(Minsoo Kim),장재홍(Jaehong Jang),윤현숙(Hyunsook Yoon),이정훈(Junghoon Lee),한창완(Changwan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Ⅰ

        오늘날 온라인 게임 TCP망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백에서 수천명이 접속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표준이지만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트웍 게임 엔진의 구조적 단점을 보완한 3-tier 방식을 적용한 분산 네트웍 게임 서버를 위한 부하 분산기의 연구 및 개발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2-tier방식에서 오는 클라이언트 수 증가에 따른 네트웍 부하 가중에 대한 처리 문제와, 분산된 2-tier방식을 적용한 서버에서 각 서버간의 통신, 데이터 공유에 대한 문제 등을 다루고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3-tier방식을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사이에 각 서버의 사용자나 이동되는 데이터를 분산하고 모니터링하는 부하 분산기 시스템을 적용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