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인문학 연구역량 진단도구 개발

        한승아(Han, Seung-a),박인우(Park, Innw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인문학 연구역량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이공계열 및 사회과학계열의 연구방법과는 달리 인문계열은 전공과 연구자 고유의 특성에 따라 연구방법이 보다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현재까지 인문학 연구절차는 일반적으로 정의되어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각 분야 인문학 전문가들의 연구방법을 절차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각 연구절차마다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하고 모형을 도출하여 각 단계에 따라 대학 인문학 학부생이 수행할 수 있는 연구역량 수준을 진단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문헌조사를 통해 1차 모형과 30개의 진단문항이 구성되었으며 3인의 전문가 검토를 통해 모형 수정과 43개 진단문항이 재구성되었다. 델파이기법을 활용하여 인문학 전문가 5인과 교육학 전문가 5인 등 총 10인 전문가 검토가 진행되었고 이 과정을 통해 모형 재수정과 내용타당도(CVR) 검사가 진행되어 대학생 인문학 연구절차 모형과 예비검사를 위한 진단문항 총 41개가 도출되었다. 총 41개 문항의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 4년제 대학 인문계열 전공 대학생 3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요인추출을 위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고 직교회전방법인 베리맥스로 요인회전을 실시하여 그 결과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41개 문항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1개의 문항이 추가 삭제되었으며 모형에 담긴 인문학 연구절차 구성에 수정이 이루어졌다. 총 40개 진단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를 살펴볼때, 표본 적절성을 나타내는 Kaiser-Meyer-Olkin 측도는 0.935,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은 0.00으로 KMO>0.5 Bartlett의 P<0.05를 만족하므로 진행된 요인분석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유값(eigen value)이 1이상인 요인 총 8개가 전체 입력변수의 61.482%를 설명하고 있어 사회과학연구 만족수준인 60%이상으로 확인되므로 추출된 요인들은 충분한 설명력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요인별 항목화된 문항에 대해 Cronbach α값을 구하여 요인 간 신뢰도를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요인 8개를 구성하는 각 요인별 문항 간의 신뢰도는 각각 0.886, 0.850, 0.858, 0.773, 0.718, 0.750, 0.736, 0741로 전 영역 70% 수준을 상회하므로 요인구성이 신뢰할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최종적으로 총 8단계의 대학생 인문학 연구절차에서 연구행위가 수행되는 순환과정을 도식화한 연구모형과 요인별로 정의된 40개의 진단문항이 확정되었으며 대학생 학부교육에 있어 계량화된 인문학 연구역량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search competency assessment in Humanities for college students. Although there are various kinds of research methods up to researcher s individual viewpoint about each specific major which is involved in the Humanities, this study tried to justify the general research process and competency needed in each research procedure by synthesizing the collected feedback from the professionals in this field. Methods Throughout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a research model in Humanities and 30 items were developed. They were revised as a new procedural research model and 43 items after interviews with 3 professors teaching and doing research in Humanities. Using the Delphi method, content validity of the 43 items and the procedural research model were examined. For an operational test, 41 items were selected referring to the feedback and professional ideas from 10 experts in Humanities or Education. The operational test with 41 items was conducted to 309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Liberal arts track nationwide. Resul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and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 s alpha). Kaiser-Meyer-Olkin showed 0.935 and the P-value from Bartlett s correlation test was 0.00; therefore, referring to KMO>0.5 Bartlett s P value <0.05, the factor analysis was regarded acceptable. Reliability of 8 sub-factors showed high alpha coefficient levels such as 0.886, 0.850, 0.858, 0.773, 0.718, 0.750, 0.736 and 0741.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procedural research model and 40 items were confirmed as the research competency assessment in Humanities for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에 대한 개념적 분석

        이은혜 ( Eunhye Lee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1

        이 연구는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밝힘으로써 각각의 수업개선 활동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용어 간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활동으로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수업의 개선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근본적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의 속성을 갖는다. 그렇지만 각각의 영역은 사회적 흐름과 교육현장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며 고유한 활동 체계를 만들어 냈다. 따라서 각 활동의 개념과 속성, 영역을 구분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코칭, 장학, 컨설팅의 유래는 무엇인가?, 둘째, 기존 국내 연구에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셋째,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먼저 코칭, 장학, 컨설팅의 개념적 유래와 사전적 의미를 각각 살펴보았다. 또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에 따라 각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개념 간 양자비교도 하였는데, 우선 수업코칭과 수업컨설팅의 행위의 대상, 문제해결 방식, 컨설턴트와 코치의 역할에서 차이를 보였다. 수업코칭과 수업장학의 구분은 참여주체 간 관계, 장학담당자와 코치의 요건, 문제의 정의와 해결과정을 기준으로 볼 때 가능하다.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은 분석대상, 참여주체 간 관계, 문제 원인과 해결방안, 실행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기존 정의를 분석하여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찾아내고, 세 개념 간 구분과 관계를 설명하였다. 결론에서는 수업컨설팅의 개념이 활동의 성격을 보다 잘 담아낼 수 있도록 재정의 될 필요가 있으며, 수업장학과 수업코칭 간의 관계를 재고해 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conceptually the difference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y analyz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 practices for instructional improvement are common in that fundamental objectives are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instruction. However, each area changed according to the social flow and the demands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created a unique activity system. So, in order to get rid of this mixed use of these terms, it is meaningful to distinguish the concepts, attributes, and areas of each activity. The specific study questions were 1) what is the origin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2) how are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defined in existing research in korea? 3) how can we conceptually distinguish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Based on reviewing various existing studie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ual origins and lexicons of coaching, supervision, and consulting, respectively, in addition reviewd the prior studies conducted in Korea with regard to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summarized how each concep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researcher. Second, this study compared each two concept with another one. Finally, the existing definitions of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inherent and common attributes of each concep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needs to be redefined to better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activities, and that studies that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coaching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are needed.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수업 만족도에 대한 컴퓨터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학습자 참여의 예측관계 분석

        이은주(Lee, Eunjoo),박인우(Park, Innwo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자 특성 변인을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으로, 학습 과정 변인으로 학습자의 학습 참여도로 설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서울 시내에 위치한 방송통신고등학교 1학년 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213부를 최종적으로 통계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도구는 교수실재감 검사, 컴퓨터 자기효능감 검사, 학습자 참여도 검사, 수업 만족도 검사를 사용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컴퓨터 자기효능감 및 교수실재감은 학습자 참여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둘째, 학습자 참여가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만족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으며 셋째, 학습자 참여가 교수실재감과 만족도를 매개하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학습자의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학습자가 학습을 주도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수업 만족도를 느끼는 데 중요한 변인임을 규명하였으며 교수실재감 역시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 내어 수업 만족도를 이끌어냄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er participation. The subjects were 300 students of Air and Correspondence High School based in Seoul, one of the online based educational institutions.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SPSS 19.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among computer self-efficacy, teaching presence,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Second, computer self-efficacy, in online real-time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nd learner participation mediated computer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Third, teaching presence, in online real-time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Furthermore, learner participation mediated teaching presence and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develop their teaching methods to lead the learner's positive participation and in order to have a high academic satisfaction teaching presence and learner participation should be guaranteed.

      • KCI등재

        교사의 수업방식과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수업태도, 수업 분위기, 만족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어, 수학, 영어 교과 중심으로

        장지윤 ( Chang Jeeyun ),박인우 ( Park Innwoo ),김은진 ( Kim Eunji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주요교과인 국어, 수학, 영어를 중심으로 교사의 수업방식과 숙제 피드백이 학생의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만족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수업에서 교수 변인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과 학교 현장의 수업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교수변인으로는 수업방식, 피드백을, 학습자 변인으로는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만족도, 자기주도학습, 학업성취도를 선정하고, 이 변인들간의 관계 및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연구정보원이 2015년에 수집한 제6차년도 서울교육 종단연구(SELS) 자료 중 235개 일반계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 2,907명과 해당 학생들을 가르치는 국어교사 632명, 수학교사 648명, 영어교사 658명의 설문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의 수업방식은 학생의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수업만족도, 자기주도학습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교과와 영어교과의 경우에는 학업성취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의 숙제 피드백은 국어교과의 수업태도, 수업분위기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영어교과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교사의 수업방식과 숙제피드백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수업에서 교사는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설계·실행함으로써 교사-학생간의 원할한 상호작용과 자율적인 수업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homework feedback on students’ class attitude, classroom atmosphere, clas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re curriculum classes (Korean, Mathematics, English). This study confirmed that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feedback on homework has an influence student’s learning. This search for relationships and effects between these variables was done by utili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ried to provide positive support to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eoul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using panel data from 6th year (2015).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907 3r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1,938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teaching method influenced the student’s attitude of class, classroom atmosphere, class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Especially, mathematics and English classes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homework feedback from the teacher influenced the class attitude, the class atmosphere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Korean class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English class.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homework feedback on learners, teachers in the clas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mooth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s and an atmosphere of autonomous class by designing and executing the student’s participating classes.

      • KCI등재

        중ㆍ고등학생의 학습전략 수준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영향요인 탐색

        장재홍 ( Jaehong Jang ),박인우 ( Innwoo Park ),윤가영 ( Gayoung Yun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중ㆍ고등학생의 학습전략 수준을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분류하고,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연구Ⅱ’ 자료를 활용하였고, 영향요인으로 성별, 부모 학력, 경제 수준, 생활(부모와의 관계), 정서조절, 과제관리, 학습적응성, 리더십, 학업성취도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전략 수준 프로파일은 3개의 집단 수준으로 나뉘었다. 각 집단을 학습전략 실행 ‘상위 수준 집단’, ‘일반 수준 집단’, ‘하위 수준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명명한 이유는 유형을 구분하는 큰 차이가 학습전략의 실천적 요소에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부모 학력은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 수준과 가정생활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학습적응성이 높을수록 학습전략 실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하였으며, 과제관리능력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학습전략 실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하였다. 넷째, 리더십이 높을수록 보다 학습전략 실행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하였다. 다섯째,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학습전략 실행 상위 수준 집단’에 속하였다. 학습전략은 이를 활용하는 학습자의 실천적 태도가 중요하다. 학습전략 향상에 따른 학습의 효과성을 고려한다면, 교수ㆍ학습장면에서는 교과에 관한 지식만 전달하는 것을 넘어서 학습전략을 전수하고 교육하는 일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전략의 행동 및 실행을 돕는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learning strategy level in adolescents through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to identify what factors affect the types of classif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instrument utilized to measure was ‘A Measurements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 Study Ⅱ: ICCS 2016’. In this research, we considered as affecting factors the following variables: gender, emotional control, task management, adaptability of learning, leadership, academic achievement, parents' educational level, economic level, family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ree types of profiles were revealed: ‘high level group with high ability to execute’, ‘general level group with general ability to execute’, and ‘low level group with low ability to execute’. Practical factors mainly affected three group differences. Second, the parents' educational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latent profiles while economic level and family life did not affect. Third, the higher adaptability of learning, the more they were likely to be in the high level group and it's the same with task management skill. Fourth, the higher leadership, they were likely to be in the high level group. Fifth,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ey were in the higher level groups. Learners' practical attitudes and behaviors was key to learning strategy level. Considering findings of this study, instructors need to pay attention to teach learning strategies and develop training programs to help learners to practice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수업 설계자 역량에 대한 집단별 요구의 차이에 관한 연구

        문은경 ( Eunkyung Moon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된 교수-학습 환경에 따라 수업설계자의 역량에 대한 현장 실무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의 인식의 차이와 이러한 인식과 교과과정의 관련성을 분석하는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업설계자의 역량에 대하여 실무 현장 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수업설계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수업설계자 역량을 육성하기 위해 관련 교과목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업설계자 역량에 관한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IBSTPI의 수업설계자 역량 표준안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실행도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도구를 만들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72명의 현장 실무 전문가와 47명의 교육기관 전문가가 선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IPA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수업설계자 육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교육공학 전공이 개설되어 있는 4개 대학의 학부과정과 10개 대학의 대학원 과정의 교과과정을 수업설계자 역량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수업설계자 역량에 대한 현장 실무 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의 요구 간에는 차이가 있다. 둘째, 교육기관의 교과과정은 수업설계자 역량에 대한 요구가 서로 일치하는 세 영역에 대해서는 부합되도록 구성된 반면, 일치하지 않는 전공기초 영역에 대해서는 교육기관 전문가의 요구에 더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요구분석에서는 단일집단보다는 다양한 집단을 고려하여 요구를 분석할 것과, 다양한 집단의 요구를 고려하여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요구를 확인하고, 교과과정에 반영할 수 있을 것임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while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current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to analyze the compatibility of courses at educational institute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s, two specific study questions were set as followed: 1) Were there differences between the field experts and the experts at educational institutes? 2) Do the educational institutes that bring up the instructional designers provide the appropriste courses to meet the needs being identified by the experts? Based 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studies on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the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y standard set by IBSTPI in 2001 was select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with the importance-performance scale. Seventy-two field experts and 47 educational institutes experts wer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distibuted via email. The data being collected were analyzed by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For the appropriativeness of the courses, courses offered by 4 undergraduate programs and 10 graduate program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ased on analysis of the data being collected, two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needs of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between the groups of the experts. Secondly, the educational institutes provide the courses appropriately in the area of the competencies that two groups showed the same needs while the courses in the area that the needs were different between groups were more related to the needs of the experts of educational institutes. it was recommended that various gourps should be considered to identify precisely the needs in instructional designers competencies and ro analyze the curriculum of educational instit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