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

        장원섭(Wonsup Chang) 한국배움학회 2011 배움학 연구 Vol.3 No.3

        이 글은 일터에서 함께 배우기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인간의 열린 정체성과 형성 가능성, 관계 맺는 존재로서의 인간, 그리고 사람들 사이의 관계 맺음의 핵심으로서 가르치고 배우는 관계를 전제한다. 그러고 나서, 인간 삶의 중심에 있는 일이 행해지는 일터에서의 함께 배우기를 고찰한다. 그럼으로써 교육학적 관계론의 근본 가정과 방식을 찾는다. 교육은 언제나 이미 열린 가능성을 가진 주체들 사이의 관계 맺음을 통해 이루어진다.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 발현한다. 그러나 그런 관계 맺음은 결코 완벽하게 맞닿아 있지 않고, 항상 틈새를 가지고 있다. 타자와의 관계성은 학습의, 그리고 교육의 필연적인 전제이다. 그리고 그런 함께 배우기를 위한 가장 중요한 기반은 사람들 사이의 만남과 대화이어야 한다. 그것은 언제나 이미 미래를 향해 열려 있다. 이것이 교육학적 관계론의 근본 가정이고 방식이다. This paper is about learning together at workplace. I examined this matter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relationship. Above all, I suggested that human-beings have open identities and possibilities toward their future. In addition, I assumed that people live on the relations with others and the core one is educational, that is, teaching and learning relationship. Finally, I took an overview on learning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t workplace and explored basic premises for educational relationship.

      • KCI등재

        지역 평생학습 파트너십의 다양성

        장원섭(Wonsup Chang),하지영(Jiyoung Ha),차민영(Minyoung Cha),최은정(Eunjung Choi),고영준(Youngjun Koh)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미래교육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지역의 평생학습 파트너십이 그 지역이 갖는 맥락적 특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검토하였다. 연구자는 국내 네 지역의 평생학습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적 면접을 실시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네 지역이 지리적 위치와 규모, 인구구성, 산업형태, 교육여건 등에 있어서 매우 상이한 경제사회적 맥락과 상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지역마다 평생교육 제공 주체들과 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맺음의 차이도 두드러지게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각 지역들은 파트너십의 인식과 실천에 있어서 서로 다른 진화 단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우리나라가 아직은 평생학습 파트너십의 경험이 적고 지역의 여건과 사정도 모두 다르기 때문에 지역의 고유하고 독특한 다양성의 전제아래 더욱더 발전적 파트너십의 실천을 수행할 수 있는 균형점을 찾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We examined how local lifelong learning partnerships were related with the local contexts in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e conducted semi-structure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lifelong learning practitioners from four cities. We confirmed that the cities had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geographical situation, demographic compositio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industry, educational conditions, and so on. According to these situations, they had some different networks or partnerships among lifelong learning providers from governmental, civil, corporate, college sector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four cities were various in their developmental stages for awareness and practice of lifelong learning partnership. From the findings, we suggested local cities should try to develop their own lifelong learning partnerships because they had very various local conditions and situations and experiences of lifelong learning.

      • KCI등재

        마이스터고 정책의 제도적 변화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규진(Kyujin Kim),김남식(Namsik Kim),박동혁(Donghyeok Park),김혁(Hyuck Kim),장원섭(Wonsup Ch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6

        본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정책의 경로 변화 과정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이스터고 정책이 정부 교체와 상관없이 중등 직업교육 제도의 일환으로 지속될 수 있었던 원인과 내적인 변화의 계기들을 역사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을 역사적 제도주의의 관점과 이 사조에서 주요하게 통용되는 용어를 활용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 정책은 중등 직업교육제도의 기존 요소들이 잔존하면서도 ‘마이스터’라는 차별화 지점을 부각하면서 태동되었다. 둘째, 마이스터고 정책은 준비기 및 시행기에 취업률이라는 성과지표에 의존하며 경로의존성을 형성하였고, 기존의 여러 정책요소가 제도적으로 결합하면서 가겹(layering)의 형태로 경로를 형성하였다. 셋째, 청년세대 공정 담론과 고졸 채용에 관한 부정적 여론, 조기 입직과 노동환경에 관한 문제 인식의 강화, 코로나 팬데믹의 산업과 교육현장에의 충격 등 의도치 않은 결과에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표류(drift)하였다. 종합하면, 마이스터고 정책은 완만한 변형(gradual transformation)을 이루고 있으며 동일한 장관이 서로 다른 시기의 정권에서 이슈화를 시도하였다는 특이점을 갖는다. 행위자로서 교육부 장관은 직업교육의 아젠다를 선점하고 이슈화하였지만 정책이 처한 시기와 환경이 달라짐에 따라 그 영향력에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마이스터고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마이스터고등학교 발전 방안을 제도적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ajectory of policy change in Meister High School from a historical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Through this analysis, the causes for the continuity of Meister High School policy as part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regardless of changes in government, and the internal catalysts for change were examine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summarized using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commonly used terms in this discourse, are as follows. First, the Meister High School policy emerged by highlighting the differentiation point of "Meister" while maintaining existing elements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system. Second, the Meister High School policy relied on the performance indicator of employment rates during the preparatory and implementation stages, forming path dependence. Various pre-existing policy elements combined institutionally to form a layering effect in the path formation. Third, the policy drifted due to unintended consequences such as negative public discourse on fair access for youth, negative perceptions of employment upon high school graduation, and issues related to early employment and working conditions, as well as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industries and educational settings. In summary, the Meister High School policy is undergoing a gradual transformation, and has the uniqueness of attempting issue framing by the same minister in different periods of government. As an actor, the Minister of Education sought to dominate and frame the agenda of vocational education, but the influence varied depending on the timing and context in which the policy was situa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Meister High School policy are derived, and suggestions for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Meister High School are provided.

      • KCI등재
      • KCI등재

        장인적 일하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구유정(Yujeong Ku),장원섭(Wonsup Chang),이민영(Minyoung Lee),이진희(Jinhee Lee),황정산(Jeongsan Hwa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본 연구는 장원섭(2015)의 장인성 개념에 기반하여 고안한 개념인 장인적 일하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련 개념 및 측정도구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장인적 일하기의 개념을 확립하고, 5개의 하위요인을 정의하였다. 교육학 및 인적자원개발 분야 전문가 24인을 대상으로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5개 요인의 26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조사는 국내 직장인 219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3개 요인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장인적 일하기 척도를 일 지향성, 주체적 일하기, 일의 창조로 재구성하였고, 일부 문항을 수정・삭제하여 25개의 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조사는 국내 직장인 525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여 척도의 구성요인과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동일 하위요인 내의 타 문항과 상관이 높은 1개 문항을 삭제하였다. 최종적으로 일 지향성, 주체적 일하기, 일의 창조의 3개 요인과 24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의의 및 제한점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Masteristic Work Scale (MWS). The definition of masteristic work was established based on Masterit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master s work and life from a modern perspective (Chang, 2015). 26 items and 5 factor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reviews using the Delphi metho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scale was conducted on the data from a preliminary survey of 219 employees. The model was revised and reconstructed into the 3-factor model with 25 items based on factor analysis results. The validation on the main survey data of 525 employees was conducted, and 1 item with a high correlation to other items was removed. As a final version of MWS, 3 factors: work orientation, proactive work, and work creation, and 24 items were validated and confirm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MW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경력단절 여성의 구직경로가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미치는 영향 :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장지현(Jihyun Chang),김민영(Minyoung Kim),장원섭(Wonsup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여성연구 Vol.78 No.-

        본 연구는 경력단절 경험 여성의 성공적인 노동시장 재진입에 대한 구직경로의 효과와 학력별로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2007 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전국 규모의 패널 조사인 ‘ 여성 가족때널 조사’ 의 1차년도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 먼저 , 경력단절 여성의노동시장 재진입 구직경로와 직종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학력에 따라 구직경로와 직종 분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학력수준 일치도와 임금에 대한 학력 간 차이가 구직경로와 직종 간 차이로 인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 학력수준 일치도에 대해 개인적 관계망은 경력단절 여성들에게 가장 부정적이었으며 이보다는 제도적 관계망이 긍정적이라는것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좀 더 세부적으로 고줄 이하 집단과 2-3년제 대졸이상 집단으로 학력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 제도적 관계망은 2 -3 년제 대졸 이상 집단에서 그 어떠한 구직경로보다 가장 효과적이었지만, 고졸 이 하 집단에서는 효과적인 구직경로가 아니었다 . 다만 개인적 관계망은 고졸 이하집단에서도 비인격적 매체를 활용하는 것보다 부정적이었다 . 그리고 구직경로의 효과는 직종을 통해 간접적으로 학력수준 일치도에 영향을 주었다 .임금과 대해서는 , 고줄 이하의 경우 비인격적 매체 활용이 개인적/제도적관계망 구직경로에 비해 긍정적인 영항을 , 2-3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경우구직경로 간 차이는 없었지만 , 학력 간 차이가 직종을 통해 간접적으로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searching channels on successful reentry to labor market among career-interrupted women, focusing on differences o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 first wave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Women & Family', the national data from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KWDI),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frequency analysis of job-searching channels and occupational categories among career-interrupted and reentry women showed noticeable differences based on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Therefore, effect of job-searching channel on successful reentry to labor market-educational fitness and wage- was explained by comparing two groups, which were divided into one with low level of education and another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group with low level of education showed negative effect of personal network on educational fitness with job, and positive effect of impersonal media channel on wag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other group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institutional network had positive effect and indirect effect through occupational categories on educational fitness.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job-searching channels on wag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인(匠人)적 여성 리더의 일과 학습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구유정 ( Koo Yoojeong ),박수연 ( Park Soo Yeon ),장원섭 ( Chang Wonsup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3

        이 연구는 장원섭(2015)의 ‘장인성(匠人性, masterity)’ 개념에 기반하여, 장인(匠人, master)의 속성으로서 장인성을 보유한 일터 여성을 ‘장인적 여성’으로 명명하고, 그들의 리더로의 일과 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을 밝힘으로서 한국 사회에서의 여성 리더의 이상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장인적 여성 리더 8명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일과 학습 과정은 첫째, 주어진 일과 학습과업에 순응하며 묵묵히 최선을 다하기 보다는 냉철한 자기성찰에 기반하여 자신의 길을 탐색하고 개척하는 주체적 학습과 성장의 과정이었다. 둘째, 여성으로서 겪는 억압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키며 고유한 강점들, 부모됨의 경험을 리더십의 발휘에 적극 활용하는 해방적 일하기의 과정이었다. 셋째, 일과 가정생활, 여성으로서의 삶 간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일 지향적으로 수렴되어가며 행복과 의미를 추구하는 ‘나로 살기’의 통합적 과정이었다. 결론적으로, 장인적 여성 리더로의 주체적, 해방적, 통합적 과정을 통해 발견한 현대 사회의 여성 리더의 이상적 모습은, 일과 삶의 의미와 사회적 관계를 주체적으로 구성해가면서 행복하고 의미있게 일하며 사회적 가치창출에 기여하는 모습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에서 나타난 장인적 여성 리더의 일과 학습을 통해 여성의 장인성 개념을 정교화하는 후속연구와 장인적 여성 리더를 양성하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dealistic model of woman leaders in South Korea by exploring the work and learning of masterful woman leaders. Using the methods of a qualitative case study,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female leaders who exhibited masterity were conducted.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participants displayed learning by self-reflection and motivation to act. They were bold and self-directed in deciding their learning goals and methods. Second, the participants tended to make use of their feminine abilities such as social skills and motherhood experience, rather than perceiving their gender as a barrier. Third, boundaries between social roles - a worker, leader, mother, and a woman - seemed to desolve and their lives seemed to be well-integrated.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were willing to be genuine in their work and share values. According to such findings, we were able to propose an idealistic model of woman leaders. We were also able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4년제 일반대학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터디를 통한 경력개발에 대한 질적 연구

        김민영(Kim, Minyoung),장원섭(Chang, Wonsup)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2

        최근 청년 실업률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취업준비생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 취업스터디는 이러한 다양한 취업 준비 행동 중 하나로,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의 발달로 더욱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들의 취업스터디를 통한 경력개발의 현상과 의미를 질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질적 연구 결과, 취업준비생들은 온라인 취업 커뮤니티에서 오프라인 취업 준비 공동체 모임을 형성하였고, 처음에는 낯선 관계로 시작하였다가 점차적으로 ‘경계 허물기’를 통해 강화된 공동체 관계를 만들고 있었다. 그리고 취업스터디에서의 학습은 ‘공유하기’와 ‘실제처럼 경험하기’, ‘피드백을 통해 성찰하기’의 방식으로 취업에 요구되는 역량을 함께 학습하고 있었다. 취업준비생들은 취업스터디를 통해 경력개발에 도움이 되는 개발지원관계망을 형성하고 상호 지원을 하고 있었으며, 심리적 안정감을 얻기도 하였다. 취업스터디는 고정된 팀이 아닌 경계가 유연한 것으로 향후 필요할 때마다 흩어졌다 모였다의 방식으로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놋워킹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reer development of job applicants through job-preparing study groups.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applied.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jor learning activities in the study groups were sharing, simulation learning, and giving or taking feedback. Second, job applicants have experienced and learned not only the competencies related to job-seeking but also some career competencies in the organizations through job-preparing study groups. From the study groups, they were developing their career by forming and broadening their relationships and getting the career and psychological supports. Moreover, the boundaries of the study groups were not fixed, they could possibly be changed and new study groups could be derived if needed.

      • KCI등재

        여성의 개발지원관계망 특성과 개발지원기능의 관계에서 성별구성의 조절효과 분석

        이민영(Minyoung Lee),장원섭(Wonsup Chang),장지현(Jihyun Cha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1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개발지원관계망 특성이 개발지원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개발지원관계망 성별구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전문대졸 이상의 여성 직장인 427명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성의 개발지원관계망 특성 중 관계 강도는 심리사회지원, 역할모델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망 크기는 경력지원, 심리사회지원, 역할모델링에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관계망 범위는 경력지원에만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개발지원자 지위는 경력지원, 심리사회지원과 역할모델링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개발지원관계망 특성과 개발지원기능의 관계에서 개발지원관계망의 성별구성은 관계 강도와 경력지원, 관계강도와 심리사회지원, 관계망 범위와 역할모델링, 개발지원자 지위와 역할모델링에서 유의한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관계 강도와 경력지원, 관계 강도와 심리사회지원 사이에서 개발지원관계망의 성별구성은 여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부적 조절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망 범위와 역할모델링, 개발지원자 지위와 역할모델링의 사이에서 개발지원관계망의 성별구성은 여성의 비율이 높을수록 정적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developmental network characteristics have on developmental function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velopmental network gender composition.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427 female employees who we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d moderator analyses, and other types of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ie strength was found to have positively affected psycho-social support and role modeling. Network size was found to have negatively affected career support, psycho-social support, and role modeling. Network range was found to have only negatively affected career support. Developer status positively impacted career support, psycho-social support, and role modeling. Second, developmental network gender composition was found to have nega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ie strength and career support and between tie strength and psycho-social support. These results mean that the positive effect of tie strength on the degree to which women received career and psycho-social support were greater when the percentage of male developers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female in their network. Developmental network gender composi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range and role modeling. This result means that the ratio of developers who belong to other organizations in the women s developmental network had a great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role modeling that was conducted when the percentage of female developers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male in their network. Developmental network gender composition was found to have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er status and role modeling.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higher status of developers in the women s developmental network, when there were more female developers in their network than male, had a great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role modeling.

      • KCI등재

        자동화와 연결의 시대 일의 교육 연구를 위한 행위자—관계망 이론의 적용 가능성 탐색

        장경진(Kyoungjin Jang),장원섭(Wonsup Chang)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4

        이 연구는 자동화와 연결의 시대에 변화하고 있는 일의 교육을 기술하고 해석하기 위한 관점으로서 행위자—관계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이 가진 유용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ANT의 주요 개념과 관점을 소개하고, 관계론적 확장이라는 접근법을 중심으로 일의 교육 연구에 있어 ANT가 가진 시사점과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ANT의 핵심 개념인 행위자—관계망, 인간과 비인간의 행위 능력을 동등한 위치에 놓는 대칭성, 현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번역과 번역 과정의 의미를 개관하였다. 나아가, ‘ANT와 그 후(After-ANT)’의 논의를 소개함으로써 ANT의 적용이란 ANT의 용어 자체에 연연하기보다, ANT적 세계관을 연구의 대상이 되는 현상을 기술하는데 적용하는 것임을 밝혔다. 그 후, ANT가 일의 교육에서 사용되던 관계론적 접근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관계론의 해석력을 더욱 확장하는 차원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그러나 ANT 논의가 가진 모호함과 난해함으로 인해 ANT적 관점을 연구에 반영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이에 앞선 연구의 시도와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소개함으로써 ANT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actor-network theory (ANT) as a perspective for describing and interpreting the education of work, which is facing numerous changes during the era of automation and connectivity. The researchers introduce the main concepts and aspects of ANT and explicate its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explicability of relational approaches in the research on education of work. The meanings of the key ANT concepts, that are ‘actor,’ ‘network,’ ‘translation’ and ‘symmetry’ are explained. Further, the researchers introduce ‘After-ANT approaches to delineate that adopting ANT perspective is not merely adopting the terms of ANT, but utilizing the perspective to describe and critically analyze the subject phenomena. The following section discusses and asserts that ANT can provide insights to exp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ional approach further. However, due to ANT s ambiguity and difficulty, it remains challenging to adopt the ANT perspective in research. This article attempts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ANT by introducing empirical studies that applied ANT in the themes in the education of work. Discussion on methodology foll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