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timating the Global Inflow and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Using Material Flow Analysis: a Preliminary Approach

        장용창,이종명,홍선욱,최현우,심원준,홍수연,Jang, Yong Chang,Lee, Jongmyoung,Hong, Sunwook,Choi, Hyun Woo,Shim, Won Joon,Hong, Su Yeon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 2015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18 No.4

        전세계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유입량과 현존량을 추정하였다. 한국에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연간 유입량(72,956톤)은 플라스틱의 연간 소비량(5.2백만톤)의 1.4%로 추정되었다. 유출량이 0이라는 가정과 함께, 이 1.4% 유입률을 1950년부터 2013년까지 전세계 플라스틱 생산량에 적용함으로써, 2013년 전세계 연간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유입량은 4.2백만톤이며, 2013년말 현재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현존량은 86백만톤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로지스틱 모델에 따라, 석유생산량의 4%가 플라스틱으로 생산될 때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최종 현존량은 199백만톤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유입량과 현존량은 전혀 다른 측정단위이기 때문에, 유입 저감 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개선된 지표가 필요하다. 또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오염은 거의 회복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는 대책의 가치는 훨씬 더 높게 평가되어야 하며, 사전주의의 원칙에 따라 더 강력한 예방 대책이 시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제한적인 정보에 근거한 예비 연구에 해당하므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의 유입량과 현존량의 경향을 규명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We estimated the global inflow and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In South Korea, we estimated that the annual inflow of plastic marine debris (72,956 tons) was about 1.4% of annual plastics consumption (5.2 million tons) in 2012. By applying this 1.4% ratio to global plastics production from 1950 to 2013, we estimated that 4.2 million tons of plastic debris entered the ocean in 2013 and that there is a stock of 86 million tons of plastic marine debris as of the end of 2013, assuming zero outflow. In addition, with a logistic model, if 4% of petroleum is turned into plastics, the final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shall be 199 million tons at the end. As the inflow and the stock are different units of measurement, better indicator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inflow-reducing policies are needed. And, as the pollution from plastic marine debris is almost irreversible, countermeasures to prevent it should be valued more, and stronger preventive measures should be taken under the precautionary principle. As this is a preliminary study based on limited informa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tendency of inflow and stock of plastic marine debri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Strategies to Protect Cranes and their Habitats in Korea

        Yong-Chang Jang(장용창),Seung-Hwa Yoo(유승화),Ki-Sup Lee(이기섭),Sun-Mi Hwang(황선미) 한국조류학회II 2020 한국조류학회지 Vol.27 No.1

        두루미와 그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 2019년 한국 순천시에서 열린 워크숍에 참가한 50명의 참가자들에 의해 평가되었다. 그것은 중앙정부를 위한 5개의 전략, 지방정부를 위한 5개의 전략, 시민단체를 위한 5개의 전략을 포함하는, 전체 15개의 전략이었다. 효과성이 가장 높다고 확인된 전략은 지방 정부가 더 많은 두루미 서식지를 법적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것이며, 실행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은 시민단체가 두루미 개체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의 두루미를 보호하기 위한 통합된 정책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다. Strategies to protect cranes and their habitats were assessed by 50 participants who attended a workshop held in Suncheon City, South Korea, 2019. They were a total of 15 strategies, including 5 for the central government, 5 for local governments, and 5 for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identified was increasing the number of crane habitat areas legally protect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most feasible strategy was monitoring of the crane population by NGOs.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set of policies for protecting cranes in Korea.

      • KCI등재후보

        봉암 갯벌의 조류상

        장용창(Yong-Chang Jang),김영호(Young-Ho Kim),차인환(In-Hwan Cha),이보경(Bo-Kyoung Le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4

        2010년과 2011년 2년 동안 7월부터 12월까지 창원시 소재 봉암갯벌에서 조류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52종의 새가 관찰되었으며, 최대 개체수는 2011년 12월에 관찰된 2768마리였다. 관찰된 종중에서 2010년에는 붉은부리갈매기의 개체수가 213마리로 최대였으며, 2011년에는 흰죽지가 1817마리로 최대였다. 2010년과 2011년 모두, 7월에서 12월로 갈수록 종과 개체수가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봉암갯벌이 새들의 번식지보다 월동지로서 기능함을 보여준다. 봉암갯벌은 2011년 12월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될 예정이지만, 그 지정면적은 92,396제곱미터로서 이번 조사지역의 약11%에 불과하다. 조류의 보호를 위해 봉암갯벌 습지보호지역의 면적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Birds in Bong-ma tidal flat in Changwon, South Korea were monitored every month from July to December in 2010 and 2011. Total 52 species of birds were found, and the maximum number of birds was 2768 in December 2011. The number of Black-headed Gull Larus ridibundus was the biggest among other species in 2010, and the number of Pochard Aythya ferina was the biggest among other species in 2011. From July to December,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increased in both years. It means Bong-am tidal flat is an wintering site rather than a breeding site of birds. Though Bong-am tidal flat will be designated as Wetlands Protection Area by Korean Government in December 2011, the designation area will be 92, 396 square meter, and it is only about 11% of the area monitored by this study. For the protection of birds, the area needs to be enlarg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Plastic Marine Debris Used as Nesting Materials of the Endangered Species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Decreases by Conservation Activities

        이기섭,장용창,홍선욱,이종명,권인기,Lee, Kisup,Jang, Yong Chang,Hong, Sunwook,Lee, Jongmyoung,Kwon, In Ki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 2015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Vol.18 No.1

        해양 생물에 대한 교란은 해양쓰레기의 악영향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해안에 있는 수하암이라는 섬에서 수행된 조사를 바탕으로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를 포함하고 있는 저어새 둥지의 비율이 계산되었다. 플라스틱을 포함하고 있는 둥지의 비율은 2010년 71%에서 2011년 37%, 2012년 33%로 줄어들었다. 전체 둥지의 개수는 2010년 28개에서 2011년 38개, 2012년 43개로 늘어났다. 이 번식지에 2011년과 2012년에 나뭇가지와 볏짚 등의 자연물 둥지 재료가 공급되었는데, 이런 보호 활동이 위와 같은 변화의 한 원인으로 보인다. 해양쓰레기의 악영향을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보호 활동이 필요하다. Disturbance to marine wildlife is a serious negative impact of marine debris. In this study, the percentages of Black-faced Spoonbill nests that included plastic marine debris were calculated from surveys conducted on an islet named Suhaam off the western coast of South Korea. The percentages of nests including plastic decreased from 71% in 2010 to 37% in 2011 to 33% in 2012. The total number of nests increased from 28 in 2010 to 38 in 2011 to 43 in 2012. These differences in nests and nesting materials were possibly due to natural nesting materials such as tree branches and rice straws that were provided at the breeding site as a protective action in 2011 and 2012. Additional conserva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further negative impacts from marine debris.

      • KCI등재

        우이도 사구 해안의 외국기인 해양쓰레기 특성

        이종명,장용창,홍선욱,최현우,Lee, Jong-Myoung,Jang, Yong-Chang,Hong, Sun-Wook,Choi, Hyun-W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8 No.2

        해양쓰레기의 국가간 이동은 우리나라와 주변국들 사이의 잠재적 외교 갈등 요인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 보기 드문 미피복 사구가 있는 전남 신안군 우이도도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언론에 보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결과는 발표된 바 없다. 우이도 사구에 접한 성촌해변 $200m^2$에서 2012년 2월 조사한 결과, 전체 해양쓰레기 중 외국기인의 비율은 수량 기준 34.7%, 중량 기준 56.3%, 부피 기준 48.5%였다. 기인 국가는 수량 기준 98.9%가 중국이었다. 가장 많이 발견된 외국기인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 음료수병과 검정 구형 부자였다. 검정 구형 부자는 중국의 패류나 해조류 양식업에 사용되는 것이다. 성촌해변 1,100m 구간에서 총 539개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 생산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5개였다. 이들 중 87.6%가 중국 북부 랴오닝성 제품으로 나타났다. 외국기인 해양쓰레기는 국내 정책으로는 예방하기 힘들기 때문에 기인국과의 협력을 통해 해당 쓰레기의 관리 정책 개선을 추동해야 한다. 더불어 겨울철에 대량 유입되는 검정 구형 부자는 원활한 국내 재이용 등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해안 사구의 지형적, 생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양쓰레기 수거 처리 방법의 개발도 필요하다. Transport of marine debris between countries is a potential source of diplomatic conflicts. U-i Island in Shinan County, Jeonnam Province has been reported by media as being damaged by marine debris from foreign countries. However, scientific researches on those marine debris have not been published. So, the features of foreign marine debris on Seongchon Beach in U-i Island were surveyed on Feb. 2012. The ratio of marine debris from foreign countries was 34.7% by number of items, 56.3% by weight, and 48.5% by volume in $200m^2$ transacts. Most of them, 98.9% in number, were inferred to be originated from China. The most abundant items were plastic beverage bottles and black floats. The total number of black floats was 539 within the 1,100m beach. Fifteen of them had information on manufactured locations, of which 87.6% were Liaoning Province in northern China. As domestic policy cannot prevent the inflow of the marine debris from foreign countries, countermeasures should be sought out from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the neighboring countries. For the black floats, recycling method should be developed as lots of the same types of black floats are drifted ashore in winter. And, as the U-i Island is a National Park with its valuable natural heritages, methods should be designed to minimize impacts on dune topography and ecology.

      • KCI등재

        팔색조 Pitta nympha의 서식환경 및 분포현황 : 제주도와 함평군을 중심으로

        김영호(Young-Ho Kim),장용창(Yong-Chang Jang),오홍식(Hong-Shik Oh),최수산(Su-San Choi)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2009년 4월부터 11월까지 제주도 전역과 전라남도 함평군일대에 서식하는 팔색조개체군의 크기와 서식처 및 생태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제주도에서 관찰된 팔색조의 개체수는 모두 32개 지점에서 64개체였으며, 함평군에서는 번식한 3군데의 둥지에서 이소한 새끼 5마리를 포함하여 11마리였다. 고도별로는 제주도에서는 해발 97m에서 해발 1171m 까지, 함평군은 해발 80m에서 163m까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성공률은 제주지역이 57.1%, 함평군 33.3%로 나타났다. 둥지의 높이는 제주지역에서 돌 위에 튼 둥지는 1.76±0.87m(n=3), 나무 위는 4.08±1.48m(n=4)이었고, 함평군은 4.44±0.56m(n=3)여서 제주도와 함평군 모두 나무위에 둥지를 튼 개체는 약 4m정도의 나무에 둥지를 짓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지의 식생은 제주도는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Thunb.,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며, 함평군의 번식처는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단풍나무 Acer palmatum, 밤나무 Castanea crenata var. dulcis, 팽나무 Celtis sinensis,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어, 활엽수의 비율이 함평군은 90.5%, 제주지역은 95.5%로 두 지역 모두 활엽수가 우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식생에서 상록 활엽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제주지역에서는 45.5%로 높았으나 함평군에서는 없었다. 제주지역의 번식지는 온도 25.38±0.45℃, 습도 73.39±1.88%, 조도는 313.27±38.25lx였고, 함평군은 온도 25.57±0.26℃, 습도 70.40±2.28%, 조도는 607.00±94.74lx로 나타났다. 둥지주변의 지렁이는 제주지역 4.14±0.18개체, 함평군 8.67±0.88개체로 함평군이 2배정도의 많은 개체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둥지의 입구는 가로 125.0±5.0mm, 세로 127.5±4.8mm였으며, 산좌 크기는 가로 190.0±0.0mm, 세로 180.0±4.1mm, 깊이는 192.5±2.5mm였고, 둥지 상부의 이끼의 두께는 30.0±0.0mm이었다. 둥지의 재료는 이끼, 나뭇가지, 식물의 뿌리, 나뭇잎, 솔잎, 삼나무 잎 및 소의 배설물이 관찰되었다. 둥지재료는 나뭇가지(160여개)와 이끼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둥지 재료의 생중량은 나뭇가지 0.200±0.008kg, 이끼 0.550±0.005kg 그리고 잔여물의 무게는 0.275±0.120kg이었다. Population, habitats, and ecological features of Fairy Pitta Pitta nympha in Jeju Island and Hampyung County of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were studied between April and November, 2009. Total 64 individuals at 32 points in Jeju and 11 individuals including 5 juvenile or chicks from 3 nests in Hampyung were observed. In Jeju, they were observed between 97 meter and 1171 meter high above the sea level, and in Hampyung, they were observed between 80 meter and 163 meter high above the sea level. The breeding success rate was 57.1% in Jeju and 33.3% in Hampyung. The height of the nest from the ground was 1.76±0.87m(n=3) for the nests on the rocks in Jeju, 4.08±1.48m(n=4) for the nests on the trees in Jeju, and 4.44±0.56m(n =3) for the nests on the trees in Hampyung. So, for the nests on the trees, the height was about 4 meters from the ground in Jeju and Hampyung. In Jeju, Camellia Camellia japonica, Ring-cupped Oak Quercus glauca Thunb., Japanese Eurya Eurya japonica, and Serrata Oak Quercus serrata were the dominant species of trees around the nests. In Hampyung, Red-leaved Hornbeam Carpinus laxiflora, Japanese Maple Acer palmatum, Japanese Chestnut Castanea crenata var. dulcis, Asian Celtis Celtis sinensis, and Silk Tree Albizzia julibrissin, were the dominant species of trees around the nest. The rate of broadleaf trees was 90.5% in Hampyung and 95.5% in Jeju. While the rate of evergreen broadleaf trees was 45.5% in Jeju, there was no evergreen broadleaf trees in Hampyung. In Jeju, temperature was 25.38±0.45℃, humitity was 73.39±1.88%, and illuminance was 313.27±38.25lx around the nests. In Hampyung, temperature was 25.57±0.26℃, humidity was 70.40±2.28%, and illuminance was 607.00±94.74lx. The number of earthworm (per 1m×1m), the main diet, was 4.14±0.18 in Jeju and 8.67±0.88 in Hampyung per square meter around the nests. The diameter of the nests at the entrance were 125.0±5.0mm (width), and 127.5±4.8mm (length). The diameter of the inside hole of the nests were 190.0±0.0mm (width), and 180.0±4.1mm (length). The depth from the bottom of the hole to the entrance of the nests was 192.5±2.5mm, and thickness of the moss at the upper part of the nests was 30.0±0.0mm. The materials composing the nests were mostly moss, branch of trees, roots, leaves of pine trees and broadleaf trees, and Cattle dungs. The main materials were branches(160) and moss. The weight of the branches was 0.200±0.008kg, moss was 0.550±0.005kg, and the remaining was 0.275±0.120kg for a n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