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두경부 악성종양 환자에서 유리조직이식 후 시행한 혈류장애 구제술

        장용준,정철훈,이종욱,조우성,김진환,노영수,Chang, Yong-Joon,Chung, Chul-Hoon,Lee, Jong-Wook,Joe, Woo-Sung,Kim, Jin-Hwan,Rho, Young-Soo 대한미세수술학회 2008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Vol.17 No.1

        Purpose: Microvascular reconstructive surgery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This review of 121 free flaps for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performed over the last 11 years was done to evaluate circulatory crisis, salvage, and secondary reco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which factors may contribute to these rates. Method: Nine emergent explorations among 121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with free flaps were reviewed to analyze detection of vascular crisis, the time interval from detection of circulatory crisis to exploration, operation procedures and results, and secondary reconstructions. Emergent exploration was done with our protocol. Result: Nine free flaps exhibited signs of vascular problems between 1 day and 6 days postoperatively. The emergent exploration rate of this series was 7.4% (9/121). The salvage rate was 55.6% (5/9), giving an overall flap viability of 96.7% (117/121). In our study, preoperative radiation therapy, positive smoking history, alcohol consumption history, combined disease such as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recipient vessels and types of vascular anastomosis were not related to the causes of circulatory crisis. The mean time interval between the onset of clinical recognition of impaired flap perfusion and re-exploration of the salvaged 5 flaps was 3.2 hours, that of failed 4 flaps was 11.25 hours. Conclusion: Despite high overall success rate, relatively low salvage rate may be attributed to late detection of circulatory crisis and in long time interval between detection and exploration. We conclude that early detection of circulatory crisis and expeditious re-exploration are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for the success of salvage 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後期 舊石器時代 角錐狀石器의 硏究

        張龍俊(Chang Yong-J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3 No.-

        후기구석기시대에 日本 九州지역은 鹿?島?에 위치한 ?良Tn(아이라탄자와: AT)화산폭발 이후에 國府型 나이프형석기, 剝片尖頭器(슴베찌르개), 角錐狀石器, 槍先形尖頭器 등 다양한 종류의 尖頭器가 출현하였다. 각추상석기는 한반도지역과의 1ㆍ2차(잠정적)에 걸친 접촉을 통해 받아들인 슴베찌르개 혹은 각추상석기, ???海의 국부계 석기군의 제작기술, AT층 이후의 나이프형석기 제작기술 등에 영향을 받았다. 특히 각추상석기는 縱長剝片, 橫長剝片, 일반박편 등 소재를 가리지 않았기 때문에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양상을 토대로 각추상석기의 편년은 4단계로 설정할 수 있었다. 구주 구석기인들은 AT화산폭발 이후의 변화된 환경에서도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생존방식을 모색하였다. 한반도로부터 슴베찌르개를 받아들이고, 그에 따르는 새로운 수렵기술의 습득은 생존능력을 향상시켜 준다는 집단 내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 내었다. 구주지역에서 각추상석기의 출현은 현지에 가장 적합한 수렵구를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hypothesis about the appearance and development of Gakchusang-seokki(Kakusuijo-sekki) from Kyushu island in Japan. There have been a great deal of controversy based upon the fact that this wa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Airatanzawa(?良Tn, AT) volcano burst into eruption in Japanese Upper Paleolithic. And then the variety of points appeared in Kyushu island such as Kofu Knife, tanged point(Sumbechirugae), Gakchusang-seokki et al. In paticular, the Knives represent a major stone tool type in Japanese Upper Paleolithic. The Gakchusang-seokkies might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technique of Kofu Knife and tanged point. The Gakchusang-seokkies were often classified in terms of the retouched parts. These were categorized into point, side scraper, and drill. I propose that the appearance of the Gakchusang-seokki in Kyushu island could be originated from various techniques in different regions. The inter-regional variability might reflect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raw materials and local environmetal settings. On the basis of these facts, the Gakchusang-seokki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From the discussion above, I propose the mutual relationship model (Fig.7) about the appearance of Gakchusang-seokki in Kyushu island.

      • KCI등재

        후기구석기시대의 광역네트워크 구조 : 흑요석을 중심으로

        장용준(Chang, Yongjoon)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50

        후기구석기시대에 있어 주로 세석인을 사용했던 사람들은 흑요석을 중요한 석재로 인식하였다. 흑요석은 2.8~2.5만 년 전부터 철원, 연천, 포천, 인제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고, 세석인기법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남부 각지로 옮겨졌다. 백두산 주변과 함경북도의 두만강 주변지대가 백두산 흑요석의 중요한 공급처였지만, 한반도 중부와 남부지역에서는 산지를 기반으로 한 원산지공급지대는 확인할 수 없었다. 백두산 흑요석은 작은 석기나 예비 소재의 형태로 추가령 구조곡이 있는 중부지역으로 유입되었고, 이 지역을 거점으로 남부지역으로 백두산 흑요석은 퍼져갔다. 흑요석이 출토된 후기구석기유적은 연천, 인제, 철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과 그 주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를 검토한 결과, 추가령 구조곡 내 용암대지는 후기구석기시대의 핵심교통로이었음을 처음으로 파악하였다. 동북지역에서 남하하던 인류는 경기 북부와 강원 북부로 접어들면 구조곡 내 평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었는데, 이 지역이 바로‘추가령 구조곡의 도보길’이었다. 선사시대부터 추가령 구조곡은 흑요석 네트워크로 미루어 볼 때 한반도의 북부와 중남부지역을 잇는 가장 중요한 교통로였다. 후기구석기시대에 백두산 흑요석 루트는 A~C 루트(철원 루트, 인제-홍천 루트, 동해안 루트)가 있었으며, 철원 루트는 철원-포천 루트, 철원-연천 루트로 세분할 수 있었다. 후기구석기시대의 흑요석로 본 광역네트워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구석기인은 흑요석 네트워크를 통해 집단 간의 다양한 생존기술과 정보를 공유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한반도 중부지역에서는 추가령 구조곡을 중심으로 한 광역네트워크가 다른 지역보다 발달되어 있었다. 후기구석기인은 흑요석을 매개로 하여 경험을 축적하고 이를 공유하면서 서로의 정보와 소식을 나누는 무형의 공간을 창출했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In the Upper Paleolithic, people who mainly used microblades recognized obsidian as an important stone tool. From 28,000 years ago, obsidians were intensively excavated from Cheolwon, Yeoncheon, Pocheon, and Inje in Korea. These spread together as the microblade technique spread to the southern regions. The area around the Duman River in North Hamgyeong Province was an important source of obsidian from Mt. Baekdu. However,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ource-based supply zone could not be confirmed.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wher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s located, obsidians from Mt. Baekdu were brought in as small stone tool(blades, burins, microblades and microblade cores, endscrapers, flakes, smalls cores) and blanks. It was first identified that the lava plateau with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as a key migratory route for the Upper Paleolithic. When hunter-gatherers came down from the northeastern region to the southern region, they could move from Wonsan to northern Gyeonggi-do and northern Gangwon-do along the plain(lava plateau) in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n important way. This area was the ‘Path of Chugaryeong Tectonic Valley’. There were A-C routes (Cheolwon route, Inje-Hongcheon route, and East Coast route) in the obsidian route of Mt. Baekdu, and the Cheolwon route could be subdivided into Cheolwon- Pocheon route and Cheolwon-Yeoncheon route. The significance of the wide area network in terms of obsidian is as follows. First, people in Upper Paleolithic shared various survival skills and information among groups through the obsidian network. Second,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widearea network centered o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as more developed than in other regions. It is presumed that people of the Upper Paleolithic accumulated experiences through obsidian and created an intangible space where they could communicate information while sharing it.

      • KCI등재

        한국 구석기시대 흑요석 연구의 현황과 과제

        장용준(Yong-joon Chang) 한국구석기학회 2013 한국구석기학보 Vol.- No.28

        우리나라에서 흑요석이 출토된 구석기유적은 동관진과 만달리(어해남 1999)를 제외하고 28곳에서 4,877점 정도가 확인되었다. 흑요석은 경기도 북부지역과 강원도지역의 후기구석기유적에서 많이 출토되고 있다. 우리나라 흑요석제 석기의 개시 시기는 절대연대, 출토문화층 등을 고려할 때 25,000BC 이후로 생각된다. 현재까지 흑요석이 출토된 구석기유적은 모두 후기구석기시대에 해당한다. 흑요석제 석기군에서는 주로 세석인과 세석핵이 공반되고 있어 세석인기법과 깊은 연관성을 찾을 수 있었 다. 또한 흑요석의 확산에는 조합식 석기의 사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흑요석의 이용방식은 다른 석재와 달리 별도 공간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기도 하지만, 이것이 석재사용의 차별화 전략의 결과인지는 확실치 않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 구석기시대 유적 중 흑요석을 단일 석재로 사용한 유적은 발견된 바 없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흑요석 원산지가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게 주요한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흑요석 원산지 분석은 중성자방사화분석과 X선 형광분석을 주로 이용하였다. 현재까지 한반도 내 백두산을 제외한 지역에서 흑요석 원산지는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원산지가 분석된 흑요석자 료들의 분석결과를 보면 한반도 남부지역에 소규모의 흑요석 원산지가 있을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 백두산 흑요석 원산지는 백두산 주변과 두만강 유역, 중국 길림 남부지역, 한반도 동북부지역이 중심 권역으로 생각되며, 여기서 채집된 흑요석이 한반도 동해안루트를 따라 우리나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 되었다. 한반도 내 흑요석 유입은 직접입수형 모델과 간접입수형 모델로 구분해서 이론적이나마 검토해 보았고, 직접채취형, 교환형, 중개형으로 세분할 수 있었다. 앞으로 우리나라의 흑요석 연구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흑요석 보유기관은 분석을 위한 샘플시료의 적극적 제공, 한 유적 또는 동일한 문화층의 흑요석에 대해 ‘전수조사’의 실시, 흑요석 연구를 위한 각종 기초 DB의 정리 및 확보, 흑요석 전문가의 양성, 한반도 내 흑요석 원산지의 발견, 흑요 석의 입수방식 연구가 그것이다. 끝으로 환동해안지역에 있는 국가 간의 공동연구도 반드시 필요하였다. The present analyses show that PNK-1 and PNK-2 of Baedusan obsidian were used for tool making by Paleolithic people in the Korean peninsula. Obsidian from Upper Paleolithic sites in Korea were found in 28 sites and Obsidian stone tools reaches about 5,000. About 85% of analyzed obsidian of Paleolithic originated from the Baekdusan volcano in the Korean peninsula. The Sinbuk is the only Paleolithic site in the South Korea known to date which has produced obsidian of Japan source(Koshidake, Hariojima). Baekdusan obsidian source is thought to be Baekdusan area and Duman river region in Korean peninsula. Obsidian in South Korea were derived from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aekdusan Obsidian have spread by the east coast route of Korea. Stone tools made by obsidian have a deep relation with the microlithic technology. Obsidian sites in Korea were used as only raw material like obidian not been found. We need that Obsidian hold agencies(ex, museum, research center) actively provide for the samples for analysis, for anlysis of all Obsidian in the same cultural layer of the sites, DB work about obsidian in Korea, professional training of obsidian, and the discovery of obsidian source.

      • KCI등재

        한국과 일본출토 석인과 세석인의 비교 연구

        장용준(Yongjoon Chang) 한국구석기학회 2015 한국구석기학보 Vol.- No.31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출토된 후기구석기시대의 석인과 세석인을 검토한 결과, 여러 특징이 확인되었다. 첫째, 두 지역은 석기문화의 성립에 있어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루트가 달랐다. 그로 인해 석기군에서도 제작방식이나 석기종류에서 차별성이 나타났다. 둘째, 후기구석기인들에게 석인과 세석인은 필요에 의해 채택된 기술로 선택적 도구로서 반드시 사용해야만 하는 기술은 아니었다. 후기구석기시대에 석인과 세석인관련 유적보다는 그렇지 않은 유적이 더 많이 확인되었다. 셋째, 일본의 간토우·도호쿠지역에서 출토되는 석인기법을 기반으로 한 기부가공나이프형석기 중 슴베찌르 개(박편첨두기)와 유사한 것들은 형식분류의 재검토가 필요하였다. 넷째, 한국과 일본을 포함하는 환동해지역의 문화적 특징은 한쪽이 일방적으로 기술을 전해주는 양상이 더많았다. 일본에서 석인제 수렵도구는 한반도로부터 석인기법이 유입된 이후에 본격화되었다. 한반도루트를 이용해 일본열도에 세석인기법이 전해진 시기는 20000~15000년 전으로 추정되며, 아직까지는 구체적인 전파경 로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다섯째, 한국과 일본의 후기구석기문화는 석인기법과 세석인기법, 공통양식의 석기 등이 확인된다는 점에서 기술적 기원이 유사하였다. 일본열도는 한반도와는 다른 석재환경이 독자적인 석기형태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석인과 세석인문화도 현지 석재에 맞게끔 세석인기법을 변화·발전시킨 산물이었다. 한반도와 일본열도을 포함하는 환동해지역에서는 석인문화와 세석인문화라는 공유문화와 여기서 파생된 지역문화가 중첩되면서 독특한 문화권을 형성시켰다.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출토되는 석인과 세석인은 지역문 화중첩의 특징을 잘 반영한 결과물이었다. This paper reviewed blade and microblade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Unlike sites in Korea, all the Paleolithic sites discovered in the Japanese Archipelago belong to the Late Paleolithic. The two regions had a different influx routes of modern human and stone technology. As a result, we showed a lot of differences of lithic assemblages in paleolithic sites. In Japan, the various hunting spears were intensively excavated from paleolithic sites. The Blade technologies of Korea and Japan show very complex aspects according to local raw materials. Second, blade and microblade technology in Late Paleolithic Period were adopted as an optional tool as needed. Third, a review of the types for knife-shaped tool(naifugata sekki) and flake points of Japan is required by all means. Fourth, stone tools and technology were often handed down unilaterally, rather than giving and receiving from each other. Fifth, paleolithic people of Korea and Japan shared and developed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s. The beginning of the Late Paleolithic i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appearance of lithic assemblage of blades, use of siliceous or glassy raw material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beginning date of blade technology does not exceed about 40,000 cal BC. The cultural formation of the Late Paleolithic between Korea and Japan is the spread of the sharing of blade and microblade technique. Blades and microblades excavat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lapping of various local technique.

      • KCI우수등재

        일본 도호쿠(東北)지역의 석인석기군 연구

        장용준(Chang, Yongjoon) 한국고고학회 2018 한국고고학보 Vol.0 No.107

        일본 도호쿠(東北)지역은 혼슈지역에서 석인기법이 발달한 곳이다. 이 지역의 석인기법은 비능조정 방식과 능조정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비능조정 석인기법은 현지에서 조달한 석재를 이용하였다. 특히 도호쿠지역과 간토우지역을 제외한 일본열도, 한반도, 러시아, 중국지역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기법이었다. 반면, 능조정 석인기법은 규질혈암을 이용하였다. 특히 원산지유적들이 야마가타현(山形縣)과 아키타현(秋田縣)을 중심으로 발견되었다. 일본열도에서 자주 사용된 흑요석은 석인석기군의 중요한 석재로 채택되지 못하였다. 일본열도 내에서 도호쿠지역의 능조정 석인석기군은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기술이 뛰어났다. 석인관련 접합유물을 분석한 결과, 석인기법과 관련된 특수한 기술들이 모두 적용되었다. 능조정 석인기법은 후기구석기 초의 소형박편석기군 또는 간토우지역이나 쥬부지역의 비능조정 석인기법에서 기술적 연원을 찾기는 어려웠다. 비능조정 석인석기군에서 능조정 석인석기군으로 시간적인 변화는 인정되지만, 기술적인 계통의 상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후기구석기 중엽의 능조정 석인석기군은 홋카이도를 제외하면 일본열도에서는 주로 도호쿠지역에서만 사용되었다. 도호쿠지역의 능조정 석인집단은 새로운 제작기술과 수렵정보를 도구에 접목시켰다. 대량으로 생산된 석인은 착장형 수렵구(기부가공첨두기)를 만드는 데 우선적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비능조정 석인석기군은 제대로 된 수렵도구와의 상관성을 찾기 어려웠다. 두 석기군은 수렵도구의 제작수준, 도구사용의 방식 등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Blade tools and technology were developed in the Yamagata and Akita Prefectures in the Tohoku (northeast part of Honshu) region of Japan. This area is home to many sources of silicate shale which was used by Late Paleolithic people to make blade tools and spears. These sources were optimized for the production of blade tools in Japan. The Honshu region of Japan (except Tohoku region) have not siliceous shale that can make blades. Many symmetrical blades were made using the crested technique. In Japan, the blade technology of the Tohoku region did not evolve from the non-crested technique. The blade technology appeared at around 30ka. The Tohoku region had witnessed flake tool industries in the early Late Paleolithic. Blades produced between 27ka and 22ka made up a dominant component of the stone tool industries of the Tohoku region. The foraging groups of this area that used the blades were different from the groups that made flake tools. Among the many blades, the well-shaped blades were used primarily in hafted spears as tanged points. The foraging groups of the Tohoku region that used blades had produced new types of tools for their livelihood. Foraging groups using the crested technique blade technology would have had a more extensive activity area, compared to groups using flake too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