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전북지역 갈색날개매미충 발생 현황

        장수지,이장호,김주,최인영,김주희,최민경,안민실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갈색날개매미충의 확산 차단을 위하여 연차별, 지대별 발생을 조사하였다. 갈색날개매미충은 2010년 전북 김제와순창에서 최초 발생한 이후 년도별 농경지의 난괴 발생면적을 살펴본 결과 2015년에는 10개 시군 405.2ha, 2016년12개 시군 782.3ha, 2017년 14개 시군 496.5ha에서 발생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발생지역은 지속적으로 확산되고있지만, 발생면적은 2016년에 정점을 이룬 것으로 생각된다. 지대별 발생면적은 2015년의 경우 해안평야부(고도50m이하)는 평균 2.9ha, 중간평야부(50~100m)에는 18.8ha, 중간산간부(100~200m)는 132.9ha, 산간부(200m이상)는93.7ha로 중간산간부에 발생이 가장 많았고, 2017년에는 해안평야부 8.1ha, 중간평야부는 16.2ha, 중간산간부는 26.5ha,산간부는 103.1ha로 산간부에서 발생이 많았다. 중산간부와 산간부에는 갈색날개매미충의 서식처인 활엽관목류들이많아 발생이 많은 것으로 생각되며, 한편 2017년에 들어와 점차 중간산간부에서 산간부로 확산되는 경향이었다.

      • KCI등재

        문화와 성역할정체감: 한국, 중국, 일본, 미국 비교연구

        장수지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5 No.3

        The constructs of 'Autonomy' and 'relatedness' as prototype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cultur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or independent self construal-interdependent self construal. In this study, gender and cultural differences on gender role identity(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were examin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China, Japan, and the US. are as follows: First, most respondents highly evaluated positive aspect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than negative aspect, and also femininity scores than masculinity scores.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showed a different pattern of correlation depending on nation. In addition, the theoretical relationships that previous studies assumed were only supported by American men. Finally,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both of country and gender were identified, country effect was appeared to be greater than gender effect. Specifically, American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positive aspect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by contrast, Japanese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negative aspect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Korean students had shown intermediate levels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And the degrees of positive gender role identity of Chinese were very similar to that of America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velopment of gender role identity is strongly influenced by the dominant sociocultural values and imply that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cultural heterogeneity within a homogeneous culture in cross-cultural comparative study. 본 연구에서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원형이 되는 ‘자율성’과 ‘관계성’이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 혹은 독립적 자기개념-상호협조적 자기개념 차원의 속성과 일맥상통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성별 및 문화에 따른 성역할정체감(긍정적 남성성/긍정적 여성성/부정적 남성성/부정적 여성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한국, 일본, 중국, 미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개국의 대학생들은 전반적으로 남성성과 여성성의 긍정적 측면에 대한 자기평가가 높았고, 남성성보다는 여성성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역할정체감 하위구성요소 간의 상관분석 결과, 국가에 따라 성역할정체감 구성요소 간의 관계 양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 이론적으로 가정된 구성요소 간 관계성은 주로 미국 남성에서만 지지되었다. 셋째, 이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성역할정체감에 대한 성별 및 국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지만, 성별보다는 국가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본과 미국 대학생은 성역할정체감의 양상이 매우 대조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일본 대학생은 다른 나라에 비해 부정적 측면의 남성성과 여성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미국 대학생은 긍정적 측면의 남성성과 여성성이 높았다. 한국 대학생은 일본과 중국의 중간 정도의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중국 대학생의 긍정적 남성성과 여성성 정도는 미국 대학생의 경우와 매우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성역할정체감이 성별전형성을 지니기는 하지만 그보다 더 개인이 속한 사회의 고유한 가치의 지배를 받는다는 점과 비교문화연구에서 기존의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차원의 이분법적 논의에서 탈피하여 동질 문화권 내의 문화적 이질성에 더 주목해야 함을 강조해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령집단 별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 관계

        장수지,김수영,Erika Kobayashi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8 No.2

        The conceptual framework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describ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core groups in a cultural context. Therefore, individualism-collectivism is related with sense of community (SOC), which refers to an individual’s personal attitude to the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individualism-collectivism cultural disposition and SOC toward three types of community, namely, territorial, activity-based, and cyber community, respectively. In particular, this work paid attention to th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age groups, differences in cultural disposition due to membership in a particular age group, SOC, and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SOC. A survey was conducted on 932 men and women aged 20 to 50 yea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community activity level, SOC, and collectivism tendencies in all three types of community brought about by membership in an age group. Second, horizontal collectivism (HC) commonly ha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all three types of SOC. Third, in spite of the common effect of HC, distinc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cultural dispositions and SOC depending on the nature of each community type and age group. In the case of participants in their 20s, overall results showed different trends compared with other age groups. Meanwhile, the positive effect of vertical individualism (VC) toward SOC for cyber community was notable in people in their 40s and 50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rought by the nature of particular communities, including core group social networks, differences in values and behavior aspect per age group, and differences in community preference and activity level per cohort or life cycle group. 개인주의-집단주의 개념적 틀은 문화적 맥락에서 개인과 집단 간의 관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개인이소속 집단에 대해 갖는 태도인 공동체의식과 연속적인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성향과 세 가지 유형의 공동체(지역사회, 활동모임, 가상공동체)에 대한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특히 연령집단이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에 주목하여,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그리고 그 영향관계에서의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거주 지역의 성비,연령대 비율을 고려하여 할당 표집된 20~50대의 성인 남녀 932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가지 유형의 공동체에서의 활동 수준과 각 유형에 대한 공동체의식, 집단주의 성향에서 연령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세 가지 유형의 공동체의식에 대해공통적으로 강한 정적 관련성을 보인 문화성향은 수평적 집단주의(HC)이었다. 셋째, HC의 공통된 효과에도 불구하고, 공동체의 속성에 따라 문화성향과 공동체의식 간의 관계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동시에 이 관계에 있어서의 연령대에 따른 차이도 나타났다. 특히 20대의 경우 전반적으로 다른 연령대와는 크게 차별되는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40, 50대의 가상공동체의식에 대한 수직적 개인주의(VI)의 효과도 주목할 만한 것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공동체 차원에 따른 공동체 내 사회적 관계망 등 중심적 속성의 차이, 코호트 내지는 생애주기의 차이로 인한 가치관과 행동양상의 차이, 이로 인한 선호 공동체 및 활동수준의 차이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물리적방법에 의한 갈색날개매미충 산란차단 효과

        장수지,이장호,김주,최인영,김주희,최민경,안민실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피해 차단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반사필름과 반사판, 허수아비판, 방충망이 산란에 미치는영향을 조사하였다. 블루베리 과원내 지제부 포장에 알루미늄 증착 반사필름을 설치하였을 때에는 주당 난괴가84.6개(무처리 113.6)로 25.5%의 산란차단효과가 있었다. 또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삼각형 반사판을 설치하였때에는 주당 106개(무처리 137.6)의 난괴를 산란하여 22.9%의 산란차단효과 있었다. 또한 빨강색 허수아비판(높이1m × 폭 65cm)과 야광허수아비판(높이 1m × 폭 65cm)을 설치하여 산란차단효과를 분석한 결과 빨강색 허수아비판은주당 169.6개, 야광 허수아비판은 155.8개(무처리 154.4개)의 난괴를 산란하여 허수아비판의 산란차단 효과가 없었다.방충망 2, 4, 6, 9mm 눈금크기에 따른 산란차단효과를 살펴본 결과 무처리에서는 주당 1.7개를 산란하였을 때9mm 이하의 크기에서는 산란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반사필름, 반사판, 방충망 설치가 갈색날개매미충산란억제 효과가 있었다.

      • KCI등재

        中華民國時期 兒童公育論의 變化- 아나키즘, 국가주의, 여성문제 -

        장수지 중국사학회 2022 中國史硏究 Vol.- No.139

        Reformers and revolutionaries in early twentieth century China advocated for a system of “communal child rearing”(儿童公育) that assigned primary responsibility for child rearing to society and community rather than individual parents. This article discusses the idea of communal child rearing, how it changed over time, and how these debates have reverberated in post-1949 policy debates. Revolutionary anarchists in the 1900s believed communal child rearing could dismantle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nd child and thus would play a crucial role in their project to overthrow the existing social order and create of a more egalitarian society. In the 1920s, starting from 1919 to be exact, communal child rearing became a focal point of debate for social reform. Those who advocated for the program were radicals who also supported women’s liberation and criticized private property and family as an embodiment of traditional values.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round and after this time show how their contemporaries understood communal child rearing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However, the debates in the 1910s and 20s differed from those in the 1900s in terms of their utiliz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Whereas radicals in the 1900s advanced their ideas based on revolutionary idealism, the 1910s and 20s groups (on both sides of the debate) grounded their arguments in the social scientific discourses of early child education and psychology. In the 1930s, nationalists gained more ground and argued for communal child rearing for the sake of the nation. While nationalists’ views on child rearing drastically differed from the anarchists and other radicals of earlier periods, they continued to support the feminist claim that communal child rearing was crucial for women’s economic activities and social participation. The wartime conditions in China from the mid-1930s also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public child rearing facilities for war orphans. Public child care in wartime China owed much to the desperate material conditions of women and children. These policies prioritizing the needs of working women and children continued after 1949 and served as the basis of institutionalized child care facilities in the earl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아동을 부모가 아닌 사회, 혹은 공동체가 함께 키워야 한다는 ‘아동공육(Communal Child Rearing)’의 주장이 1900년대 초반 등장하기 시작하여, 1940년대까지 중국 사회의 개혁, 가족과 교육의 변화를 추구하는 사람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이 ‘아동공육’의 상(image) 및 지향하는 바는 주장하는 사람들마다, 시기마다 변화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 변화의 내용과 지속의 이유, 그리고 그것이 이후 시기에 영향을 미치게 된 요소에 대해 탐색해본다. 1900년대 아나키스트들은 부모와 자녀 관계를 단절시켜 기존 질서를 전복하고 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아동공육을 실행하자고 주장했다. 1919년부터 1920년대에는 아동공육이 논쟁거리로 부상하게 되었다. 찬성 측에서는 기존 사유재산제도에 대한 비판, 가족제도의 철폐 혹은 개조, 여성해방의 이상적 지향이 선명했다. 이 논쟁 이후 신문 잡지의 담론 중에는 여성의 경제적 독립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견이 전개되었다. 실제로 아동공육기관을 설치하려는 시도도 찾아볼 수 있다. 찬성파와 반대파 모두에서 교육학, 아동심리학 등의 근거를 가지고 논증하고자 하는 점이 1900년대의 급진적 공상적 아동공육 주장과는 차이를 보였다. 1930년대 이후의 논의에는 아나키즘적 지향이 사라지고 애국주의의 입장에서 아동공육기관을 만들어야 민족이 건전해진다는 주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에서도 일관된 흐름은 여성들의 직업활동과 사회 참여를 위해 아동공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는 여성운동 측의 주장이다. 또한 193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이 전쟁 상황에 빠지면서 고아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상황에서 탁아소나 보육원 등이 새로 생겨나게 되었다. 아동을 공적으로 양육하는 실천이 나타나게 되는 것은 결국 여성들의 절실한 필요와, 아동들의 열악한 성장 환경이라는 조건으로 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여성과 아동의 필요성에 우선 집중하는 현실에서의 실천은 중화인민공화국 이후 보육시설의 확충으로 이어졌다.

      • KCI등재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살생각의 관계: 감정표현불능증(alexithymia)과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장수지,남숙경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alexithymi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307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on effect of alexithymi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uicidal ide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exithymia and suicidal ideation was found. Third, alexithymia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suicidal ideation, and this mediation was moderated by self-este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lf-esteem may prevent suicidal ideation from alexithymia, ultimately reducing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alexithymia.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고, 자아존중감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구 남, 여 중학생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표현불능증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두 변인 사이의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조절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감정표현불능증이 매개하고 이를 자아존중감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통해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감정표현불능증, 자살생각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감정표현불능증으로부터의 자살생각을 방지하고, 궁극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감정표현불능증을 통해 자살생각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