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의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남숙경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and the intention to seek help. In this study, a total of 276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and hierarchie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concept(general self-concept. academic self-concept, significant others self-concept, emotional self-concept)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and the intention to seek help. That is, intention to seek help was directly affected by intention to drop out of school and indirectly affected through self-concept. These finding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role of self-concept.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와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276명이 대상으로 참여하였다.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와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각 하위요인별 자아개념(일반자아, 학문자아, 중요타인자아, 정서적자아)이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중단의도는 도움추구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동시에 각 하위요인별 자아개념(일반자아, 학문자아, 중요타인자아, 정서적자아)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도움추구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업중단의도와 도움추구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의 구인타당도 재점검

        남숙경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3

        This study explore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Psychological Help Scale-Short Form(ATSPPH-SF) in Korean. ATSPPH-SF scale is a widely cited measure of mental health treatment attitudes. In this study, specificall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ATSPPH-SF was examin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ATSPPH-SF evidenc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Factor-analytic findings demonstrated that a revised two factor model represented the data well rather than original two factor model of ATSPPH-SF. It is suggested that this revised two factor model of ATSPPH-SF may be applied to understanding Korean'treatment attitudes and behavior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social, cultural environment. 본 연구에서는 상담태도 측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는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ATSPPH-SF;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Scale-Short Form)의 구인타당도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ATSPPH-SF)의 요인구조를 재점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의 결과를 통해, 처음 만들어진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ATSPPH-SF)의 2요인으로 구성되어져 있다는 초기의 가설이 지지되지 않았으며 추후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의 결과해석을 통해 ‘긍정태도와 필요성’과 ‘부정태도와 불필요성’으로 이루어진 2개의 새로운 하위문항요인 구조가 확인되었고 기존의 도움추구 태도 단축형 척도의 대안적인 모형으로 제안되었다. 이는 한국인들의 상담태도를 측정하는데 있어 기존의 10문항 2요인 척도와는 차별화되는 본 연구에서 밝혀진 수정된 2요인의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ATSPPH -SF)를 사용하여 결과를 해석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방향을 위한 제안을 한국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의 집단간 차이분석: 대상, 성별, 연령, 상담경험 유무를 중심으로

        남숙경,이상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새로운 2요인 모형의 전문적 도움추구 단축형 척도가 대상, 성별, 연령 및 상담경험 유무에 따른 집단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고 각 변인 별 집단에 따른 상담태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요인구조의 형태동일성을 검증하였고, 다음으로 모든 집단의 요인계수에 동일화 제약을 가한 모형과 동일화 제약을 가하지 않은 기저모형을 비교한 요인부하량 동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변인별 집단간 각 문항의 절편에 동일화 제약을 가한 모형과 동일화 제약을 가하지 않은 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절편 동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형태동일성, 요인부하량동일성, 절편동일성이 성립되어 변인별 집단간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척도의 측정동등성이 검증되었다. 이는 대상, 성별, 연령 그리고 상담경험유무에 따른 집단에 동일하게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단축형 척도를 사용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각 변인들에 따른 집단의 상담태도 평균 차이를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비교하였고, 성인일수록, 여자일수록,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상담경험을 받은 경우, 전문적 도움추구 단축형 태도 척도의 두 요인 중 긍정태도와 필요성 요인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ces of attitudes toward seeking professional help in multiple groups based on variables such as subject(i.e., college students vs adults), gender(male vs female), age(those in their twenties, thirties, forties. or fifties), and previous counseling experience(those who have had or don't have experience). In order to identify multiple group differences in help-seeking, the approach of latent mean analysis (LMA) within the framework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Configural, metric, and scalar invariances were tested and approved for revision of a two factors-model in ATSPPH-SF. Based on previously mentioned variables, results of mean differences indicated certain subgroups in each variable demonstrated more positive attitudes in seeking help. For instance, Individuals who are adults, females, in their thirties, or those who have had previous counseling experience are more positive  toward seeking help than other subgroup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 프로파일 분류: 성별,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차이 분석

        남숙경,최현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files of loners and those likely to suffer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files differed by gender, ego-resilience, ego-weakness, and schoo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0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n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main profiles of students related to their likelihood of being loners and suffering academic burnout: the adaptive group, which had a low tendency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the burnout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but a low tendency towards loneliness; the lonely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loneliness but a low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and the loner-burnout group, which had high tendencies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Cross-tabulation and one-way ANOVA analyses of the four groups showed that the loneliness-burnout group had a statistically lower level of ego-resilience, higher level of ego-weakness, and low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than the other group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규명하고 이러한 프로파일에 따라 성별, 자아탄력성(자아탄력 및 자아취약),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중학생 3학년 2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프로파일은 4개의 집단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낮은 ‘적응 집단’, 외톨이 성향은 낮으나 학업소진은 높은 ‘소진 집단’, 외톨이 성향은 높으나 학업소진은 낮은 ‘외톨이 집단’,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높은 ‘외톨이-소진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4개 집단에 대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톨이-소진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자아탄력, 높은 자아취약, 낮은 학교적응 수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에 대한신뢰도 일반화 검증연구

        이상희,남숙경,이상민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진로연구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CDSE-S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에 대해 보다 면밀한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신뢰도 계수들의 평균, 신뢰도 계수들의 변산, 또한 이 척도 점수의 신뢰도 계수들 간의 변산을 설명하여 주는 변인들을 확인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의 일환인 신뢰도 일반화 검증(Reliability Generalization)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한 총 92개의 연구가 조사되었으며, 이 논문들 중 77개(83.7%)의 연구는 자신들의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를 보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를 보고한 논문들을 면밀히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5개의 하위요인 중에서 직업정보 척도의 점수가 가장 낮은 신뢰도 계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척도의 점수에 대한 신뢰도 계수가 높은 것은 성별(여성비율), 소속(고등학생과 대학생집단), 척도점수 구간(10점 척도), 평균, 표준편차 변인과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for the scores on a commonly used career scal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Short Form(CDSE-SF). Reliability generalization, one of meta-analytic methods, was employed to identify typical average score reliability, variability of score reliability, and variables explaining this variability. For this purpose, ninety-two published research papers (i.e., journal articles, thesis, and dissertations) were obtained, all of which used the CDSE-SF. The results revealed that seventy-seven (83.7%) of them reported score reliability of their own data. Of the five subscales, Occupation Information subscale showed the lowest score reliability. In addition, higher score reliability was associated with gender (female), school grade levels (high and college students), scale types (10-point Likert scale), mean scores, and standard deviation scores.

      • KCI등재

        상담경력과 상담자소진과의 관계:한국과 미국상담자 비교연구

        이자영,남숙경,박희락,김동현,이미경,이상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counselors' burnout. Specifically, 488 professional counselors in Korea and America (192 Koreans, 296 Americans), were surveyed.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and five subscales of the Counselor Burnout Inventory (CBI) was analyzed using curvilinear relations as well as linear relations model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the linear model for the two burnout subscales (Korean counselors: Devaluing Client; America: Negative Work Environmen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e curvilinear model. For these variables, the curvilinear model's goodness of fit was better than that of the linear model.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for a multi-dimensional statistical model approach when examining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issue of counselors' burnout. 본 연구에서는 상담경력과 상담자소진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과 미국의 상담자들 총 488명(한국 192명, 미국 296명)을 대상으로 상담자소진척도(CBI; Counselor Burnout Inventory) 5개의 하위척도들과 상담자들이 보고한 상담경력간의 관계를 보다 면밀히 분석하였다. 두 변인간의 관계를 선형적 관계 뿐만 아니라 곡선형(curvilinear)관계로도 함께 고려해 분석한 결과, 두개의 소진 하위변인들(한국: 내담자 가치저하; 미국: 비협조적 직무환경)에서는 선형모형의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곡선형 모형에서는 경력변인과의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였다. 즉, 이들 변인에서는 선형 모형에 비해 곡선형 모형에서의 모형적합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담자소진과 관련된 변인을 연구할 때, 비선형적인 통계적 모형 접근의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완벽주의의 매개 및 조절효과

        송승안,남숙경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8 人間理解 Vol.3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r this study, 389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were survey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indirect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 direct non-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complementary mediation effects of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were also found.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lso presented complementary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fair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Further, other-oriented perfectionis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arentific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완벽주의가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의 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화 경험과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물리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간접만 매개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정서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직접만 비매개로나타났고,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보충매개로 나타났다. 불공평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타인지향 완벽주의와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보충매개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물리적 부모화와 대인관계문제 사이를 타인지향 완벽주의가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 :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역할

        김미선,남숙경 한국교육방법학회 2013 교육방법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특성화고 남학생들의 진로결정에 있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와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역할을 알아보았다. 경상남도 J시에 소재한 특성화고 2, 3학년 남학생 416명이 참여 하였으며, 연구 결과 진학 및 취업 진로결정 집단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계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진로결정 집단간의 평균차이를 살펴보면,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진로 결정자율성의 하위변인인 확인된 조절과 학교생활만족도에서, 진학집단과 취업집단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학 집단의 경우, 개인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집단의 경우, 집단주의만이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과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조절 두 개의 변인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진학집단에서는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동기가 개인주의와 학교생활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집단에서는 집단주의와 학교생활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진로결정자율성의 확인된 조절이 진로결정자율성의 내적 동기와 더불어, 유의하게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vocational high school male students’ decision making factors between a career decision while entering a college and a career decision while attaining a job. We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identified regulations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f the groups and i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between a career decisions. In addition, the identified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student group for college admission had meaningfu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those two variables. There was also a meaningful mediating effect of an identified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student group for employment as well as the intrinsic regulation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