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중채널네트워크에서 응용 가능한 라포 형성 기반의 가상 인플루언서 디자인

        장서원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리(Only) 모바일 시대가 되며 24시간 디지털 생활이 익숙한 Z세대의 무서운 트래 픽 성장과 함께 인플루언서와 다중채널네트워트(Multi Channel Network, 이후 MCN으 로 표기)가 주목받고 있다. 시각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인 간의 역할을 대체하여 가상으로 존재하는 가상 인플루언서(Arti-Influencer)가 등장 했다. 해외에서는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2016년부터 가상 인플루언서에 대한 연구와 제작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가상 인플루언서들이 주로 게임 캐릭 터를 차용하여 제작되었거나 일시적 홍보용 쓰임에 그치고 있다. 또한 가상 인플루언 서로서 역할을 위해 필요한 라포 형성과 연계된 국내 연구는 아주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MCN과 라포 형성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선행 가상 인플루언서 사 례를 콘셉트, 캐릭터 디자인, 스토리 그리고 기술 4가지 기준으로 분석해보았다. 이 를 바탕으로 각 디자인 요소를 반영한 ‘소통형’ 가상 인플루언서 ‘쟈드(Jade)’를 제작하여 가상 채팅 상황 체험을 통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은 총 30명의 설문 조사 와 10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정성 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했다. 실험 결과는 SPS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라포 형성을 측정하기 위한 3가지 요인인 즐거운 관계, 개인적 유대감 그리고 비언어적 요소에서 모두 가상 인플루언서의 인터 랙션 움직임이 사용자의 긍정적 정서 반응 및 라포를 형성하는 데 유의미하게 작용함 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디지털 흐름에서 앞으로 증대될 가상 캐릭터에 대한 연구 및 MCN의 새로운 서비스와 관련한 연구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With rapid traffic growth of the Z-generation who is routinely enjoying digital life 24-hour in "Only mobile era", the Influencer and multi channel network (MCN) receive attention. Since 2016, as visualiza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Arti-Influencer has appeared. This new concept tried to replace human roles. Research and development (R&D) of arti-influencer has been already actively conducted in US and Japan. However, the arti-influencer was limited used by borrowing game characters or temporary advertisement in Korea. Moreover, the R&D connected to the rapport building are insufficient. In this paper, MCN and rapport building were studied. The trend of arti-influencer was analyzed by four criteria; concept, character design, story, and technology. An arti-influencer called Jade was created by using design elements from previous analysis as a case study. The Jade played a role of the virtual chatting bot which helped to get the database of user experiences in this experimen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parallel with a survey of thirty respondents and ten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 was dealt with t-test using SPS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user's positive emotional response and rapport were increased.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the area of virtual characters that will increase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world and MCN.

      • 자살행동 경험이 있는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장서원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소년 자살은 그들의 문제에 개입하고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여지도 없이 충동적인 자살생각에 의해 자살완료의 사건이 벌어진다는 점에서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매우 심각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사회적 문제이다. 그러나 모든 청소년이 같은 상황 아래에서 자살생각을 하고 자살시도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미 자살생각, 자살시도를 경험했다고 하더라도 자살생각 다음에는 자살시도, 자살시도 다음에는 자살완료의 수순을 밟는 것은 아니다. 즉 자살생각, 자살시도, 자살완료라는 연속선상의 과정에서 청소년 개개인이 어떠한 보호적 요인, 긍정적 대처자원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자살생각에서 멈추거나 자살시도 단계에서 멈추기도 하며 돌이킬 수 없는 치명적 자살을 완료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중 자살행동 경험이 없는 그룹을 기준으로 해서자살생각, 자살시도를 경험한 그룹을 나누어 자살생각,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있는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또 자살행동을 경험한 두 그룹에서 자아존중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SSI(Beck의 자살생각), SEI(Self-Esteem Inventor : Coopersmith, 자아존중감), Lazarus & Folkman (1984)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용인시의 3곳의 중학생으로 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집한 896부 중 자살행동 경험이 없는 응답 617부, 자살생각을 해보았다는 응답 203부, 자살을 시도를 하였다는 응답 76부를 수거하고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서 자살생각, 자살시도의 경험이 더 많았으며 자살시도 그룹과 자살행동 비경험 그룹에서 여학생이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행동 비경험 그룹은 자살행동 경험 그룹에 비해 높은 자아존중감, 낮은 자살생각과 함께 4가지 하위영역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행동 경험 그룹의 자살생각에 대한 정도는 자살시도 그룹이 자살생각 그룹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자살생각 그룹이 자살시도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자살시도 그룹과 자살생각 그룹이 모두 정서중심적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두 그룹을 비교해 보면 자살생각 그룹이 문제중심적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살시도 그룹은 일반적 자아존중감이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살생각 그룹은 학문적 자아존중감이 문제중심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아존중감이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자살행동의 경험 그룹과 비경험 그룹과의 차이, 자살행동 경험 그룹에서도 자살시도 그룹과 자살생각 그룹의 자살생각의 정도,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가 검증되었으므로 자살생각, 자살시도의 경험에 따라 단계적이고 차별적인 자살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해 맞춤식 개입전략을 마련하는데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자살시도 후의 치료는 이미 사후 대책에 불가한 것이고 자살에 대한 최선의 치료는 예방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 특히 자살시도를 한 학생에 대한 즉각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동시에 자살시도 학생에 대한 정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와인소비자의 유형에 따른 와인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서원 경성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wine selection attributes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wine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marketing strategies related to wine such as wine specialty store, restaurant management, wine marketer, wine import company, wine sommelier, etc. were presen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ctivation of wine market and formation of various segments of consum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of wine consumer type, wine selection attributes, and repurchase intention using ANOV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 <0.001 in the external attribute and the internal attribute factor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he wine selection attribute(β = 0.102, p < .05) and internal attribute(β = 0.625, p < .001), which are sub-factors of wine selection attributes. This implies that the intrinsic property of the win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external attribute. In other words, the quality of the wine (texture, taste, color, flavor) is to repurchase a good product. As a result of the adjustment effect of drinking frequency in relation to the wine selection attribute and the repurchase intention, the drinking frequency was analyzed to have a moderate effect.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the influence of the wine selection attributes on the repurchase depending on the groups that frequently drink wine and those who do no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selection of sampling group and wine expert group in the Pusan ​​and Ulsan are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onal attribute and the repurchase intention were the other limitations in extracting the sample. In the futur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more complete follow up by complementing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tional attribute and the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wine consumer type. 본 연구는 와인 소비자의 유형에 따른 와인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와인 전문점, 외식업체 경영자, 와인 마케터, 와인 수입회사, 와인 소믈리에 등 와인에 관련된 마케팅 전략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여 와인시장의 활성화와 다양한 소비자의 세분화 형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와인 소비자의 유형, 와인 선택속성, 재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와인소비자유형 모두 와인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인 외적속성, 내적속성요인에서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와인선택속성의 하위요인인 외적속성(β=0.102, p=.048), 내적속성(β=0.625, 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분석되었다. 이는 와인을 재 구매하는데 있어 내적속성이 영향력이 외적속성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와인의 품질(질감, 맛, 색, 향)이 좋은 재품을 재구매한다는 것이다. 와인선택속성과 재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음용회수의 조절효과의 검정결과 음용횟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와인을 자주마시는 그룹과 그렇지 않는 그룹에 따라서 와인선택속성이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강도에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의미하고 있다. 본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표본을 추출하는 데 있어서 부산ㆍ울산지역의 와인 구매경험이 있는 집단과 와인전문가 집단을 표본을 선택하였다는 것과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 와의 관계만 검정하였다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향후 와인소비자 유형에 따른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와의 관계의 연구에서 본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후속연가가 있기를 기대한다.

      • 다중요소중재를 활용한 직업교육이 지적장애학생의 사무보조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장서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Clerical Assistant Work Skill by providing vocational education using multiple components intervention to three students diagnose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tending the post-high school course at the special school in downtown Busan. We selected using copying machine, using binding machine, using scanner as subcategory of the clerical assistant work skill training and let students perform each assignment through 30 steps of assignment analysis. As for the multiple components intervention method, we appropriately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ubject focusing on video modelling, response prompt(least-to-most prompting, time delaying), visual cue(progress scheudle). Among the single subject research method, we us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nd examined each student's performance rate 3 days a week for 3 month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ll target skills were improved, i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xamination, subjects showed similar performance rate with the intervention point. As a result, this research verified the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using multiple components intervention has effect on clerical assistant work skill performance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셀룰로오스 나노복합체 필름의 특성연구

        장서원 금오공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Characterizations of Cellulose Nanocomposite Films Seo-Won Jang Department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Polyblends of Cellulose with three different fillers are compared with their mechanical properties, and morphologies. Poly(vinyl alcohol) (PVA), poly(vinyl alcohol-co-ethylene) (EVOH), and poly(acrylic acid-co-maleic acid) (PAM) were used as fillers in the formation of Cellulose blend films with solution blending. The variations of their properties with various filler contents in the polymer matrix are discussed. For the PVA/Cellulose blend,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showed a maximum value at the 30 wt % level of Cellulose in the blend, and then it decreased when the Cellulose content was increased up to 40 wt %. On the other hand, the EVOH/ Cellulose and PAM/Cellulose blends showed a maximum value at the 20 wt % Cellulose loading and then it decreased with increasing filler contents in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Initial modulus also show similar trend at a critical content of filler. The blends with PVA showed the highest tensile properties of the three blend systems. The mechanical properties, morphologies, and gas barriers of nano- composite films of Cellulose with two different organoclays are compared. Dodecyltriphenylphosphonium-mica (C12PPh-Mica) and hexadecyl-mica (C16 -Mica) were used as reinforcing fillers in the fabrication of the Cellulose hybrid films. Even polymers with low organoclay contents (1?7 wt %) were found to exhibit much higher strength and modulus values than pure Cellulose. The addition of C12PPh-Mica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C16-Mica with regards to the initial tensile modulus, whereas the addition of C16-Mica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C12PPh-Mica with regards to the gas barrier of the Cellulose matrix. PVA/Cellulose blended nanocomposite films were prepared by the solution intercalation method, using dodecyltriphenylphosphonium?mica (C12PPh-Mica) as the organoclay. The variations of the mechanical tensile properties of the hybrids with the organoclay content were examined. The mechanical tensile properties of the PVA/Cellulose (w/w = 30/70) blended hybrid films were found to decrease linearly with increases in organoclay content from 1 to 5 wt %. 셀룰로오스 나노복합체 필름의 특성연구 장 서 원 금오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고분자공학과 요약 용액 블렌딩 법을 통해 세가지 다른 충전제를 사용하여 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을 만들고 각각의 기계적 성질과 모폴로지를 비교했다. 폴리(비닐 알코올) (PVA), 폴리(비닐 알코올-에틸렌) (EVOH) 그리고 폴리(아크릴산-말레산) (PAM) 등이 세가지 충전제로 사용되었다. 각 블렌드 필름의 물성들은 첨가된 충전제의 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였다. 30 무게 %의 PVA/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의 최대 인장 강도가 가장 높은 값을 가졌으며 40 무게 %가 되면 감소했다. EVOH/셀룰로오스와 PAM/셀룰로오스 블렌드 필름은 EVOH와 PAM이 각각 20 무게 % 포함되었을 때 가장 높았고, 그 이상이 되면 역시 감소했다. 초기 탄성률 값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는데, 세가지 블렌드 필름 중에서 PVA를 포함한 필름이 가장 높은 기계적 성질을 가졌다. 서로 다른 두가지 유기화 점토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나노복합체 필름의 기계적 성질, 모폴로지, 가스 투과성 등을 조사하였다. 유기화 점토로는 도데실 트리페닐 포스포니움-마이카 (C12PPh-Mica)와 헥사데실-마이카 (C16-Mica)가 각각 사용되었다. 소량의 유기화 점토 (0 - 7 무게 %)의 첨가로도 셀룰로오스의 성질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하였으며, 인장 강도의 경우에는 C16-Mica가 C12PPh-Mica에 비해 보다 적은 양으로도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초기 탄성률의 경우에는 C12PPh-Mica가 보다 효과적이었다. 가스 투과성의 경우 C16- Mica를 사용한 경우에 C12PPh-Mica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산소 차단성이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VA가 30 무게 % 포함된 블렌드된 셀룰로오스 나노복합체 필름을 제조한 후에 각 기계적 성질을 유기화 점토의 양에 따라 조사하여 조사하여 순수한 셀룰로오스 나노복합체 필름과 비교하였다. 순수한 셀룰로오스 나노복합체의 경우에는 기계적 성질이 5 무게 % 점토를 첨가했을 때 가장 높은 값을 가졌으며, 소량의 점토만으로도 순수한 셀룰로오스 보다 높은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었다. PVA를 포함한 셀룰로오스 블렌드 (PVA/Cellulose (w/w = 30/70))의 나노복합체 필름의 경우에는 유기화 점토의 첨가된 양이 1에서 5 무게 %까지 증가해도 기계적 물성은 오히려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 와인 소비동기와 플로우, 심리적 행복, 지속이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 와인 관여도에 따른 조절효과

        장서원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한국은 식문화가 서구적으로 변해가면서 와인이 하나의 트랜드로 각광을 받고 대중화되어가고 있으며, 소비자의 욕구가 반영되어 다양한 와인의 종류와 품질 및 가격대를 접할 수 있도록 와인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와인소비동기(쾌락적 동기, 과시적 동기, 효용적 동기, 사회적 동기)와 플로우, 심리적 행복, 지속이용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 와인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다양한 업종의 레스토랑에서 와인 판매를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와인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이끌어내어 충성고객 확보에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표본은 최근 6개월 이내에 와인을 음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자료 수집 및 설문 조사 기간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기초설문지를 작성하여 2022년 7월 15일부터 2022년 7월 31일까지 60부의 설문 응답을 수집하여 파일롯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파일롯 테스트 후 측정 도구를 점검하고 이를 수정·보완하여 2022년 8월 10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부산, 울산, 경남 및 경북 거주자를 대상으로 대면 조사를 원칙으로 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 및 6개월 이내에 와인 소비 경험이 없는 응답 90부를 제외한 31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IBM SPSS 25.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진행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와인소비동기가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가설1에서는 쾌락적 동기와 효용적 동기, 사회적 동기는 플로우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과시적 동기는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와인소비동기가 심리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가설2에서는 쾌락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는 심리적 행복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과시적 동기와 효용적 동기는 심리적 행복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플로우는 심리적 행복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가설3은 채택되었다. 넷째, 플로우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가설4는 채택되었다. 다섯째, 심리적 행복은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어 가설5는 채택되었다. 여섯째, 와인소비동기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가설6에서는 쾌락적 동기는 지속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과시적 동기와 효용적 동기, 사회적 동기는 지속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와인 관여도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결과, 효용적 동기와 플로우 간 경로, 효용적 동기와 심리적 행복 간 경로, 심리적 행복과 지속이용의도 간 경로에서 집단 간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심리적 감정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와인소비 행동에 적용하여 인과관계를 검증 함으로써 추후 관련 연구의 의미 있는 학술적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와인 소비에 있어 플로우와 심리적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메뉴 및 시설 등 물리적 환경과 소믈리에 및 서비스 접점의 인적 서비스의 관리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셋째, 와인 소비자는 업무나 사회생활과 관련된 몰입 상황과 힐링을 통해 심리적 안정을 위한 상황적 몰입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기에 와인을 판매하는 레스토랑에서는 그 목적에 맞는 공간이나 음향 및 조명 등의 물리적 인테리어가 구분되어 운영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넷째, 와인을 판매하는 레스토랑 및 와인 숍에서는 급변하는 와인 트랜드를 분석함과 동시에 소비자를 다양한 변수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후 와인을 추천할 수 있는 전문 소믈리에의 자질을 갖추고 있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oday, as the Korean food culture has developed into western, wine is becoming popular among public and catching on with trend. The wine market is expanding into its variety, quality, and price that reflect consumer’s appetite. By reflecting this current social trend, the research h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umption motivation of wine, (hedonic motivation, ostentatious motivation, utility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the flow, the psychological happiness and the continuous intention of its consumption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ine involvemen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o the various restaurant to increase the sales power, and moreover to suggest the strategic method to secure the loyal customer by eliciting the positive attitude from wine consumers. The research has progressed targeting from the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d drinking wine past six months. The information and the duration of survey have gathered from the expert’s opinions and feed backs. The pilot test has conducted through 60 volumes of surveys from July 15th, 2022 to July 31st, 2022. After the pilot test, the survey inspection was conducted by checking measurement equipment,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the main survey was re-conducted from August 10th,2022toAugust31st,2022. The main principle of the survey was targeting residents from Busan, Ulsan, Gyeong Nam, and Gyung Buk province by face questioning.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310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90 copies of unfaithful responses and 90 copies of responses without experience in wine consumption within 6 months.To be able to accomplish the fundamental objective of the research, various analyses were us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contro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y using IBM SPSS 25.0 and AMOS 23.0 statistic program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 the verification on the influence of wine consumption motivation toward flow was appeared positive(+). In contrast, ostentatious motivation has no significant impact. Second, Hypothesis 2, the verification on the influence of wine consumption motivation toward psychological happiness, hedonic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were appeared positive (+) toward psychological motivation. In contrast, ostentatious motivation and utility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impact. Third, Hypothesis 3 was adopted as the flow appeared positive (+)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happiness. Fourth, Hypothesis 4 was adopted as the flow appeared positive (+) influence on the continuous intention of consumption. Fifth, Hypothesis 5 was adopted as the psychological happiness appeared positive (+) influence on the continuous intention of consumption. Sixth, the hedonic motivation appeared positive (+) on the continuous intention of consumption. However, ostentatious motivation, utility motivation, and social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continuous intention of consumption. Last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wine involvement, the difference in influence between groups was confirmed in the path between utility motivation and flow, the path between utility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and the path between psychological happiness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Thus, the academic implications and the operational suggestion based on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the research will be considered to provide a meaningful academic fundamental data for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by verifying causality implementing psychological emotion (the new variable) into wine consumption behavior. Second, it suggested that the management of human servic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menus and facilities including sommeliers and human resource service management are very important to feel flow and psychological happiness in wine consumption. Third, it is considered that the wine consumers can be said to have situational immersion for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immersion situations related to work or social life. Therefore, restaurants selling wine suggested the need to separate and operate physical interiors such as space, sound, and lighting. Fourth, it is suggested that restaurants and wine shops selling wine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ine trends, examine consumers by segmenting them into various variables and have the qualified professional sommeliers to recommend wine.

      • Flare and starspot-induced variabilities of red dwarf stars in the open cluster M37 : photometric study on magnetic activity

        장서원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4 국내박사

        RANK : 247615

        Flare and rotational variabilities induced by stellar activity are important for studying the effect of magnetic fields on the evolution of red dwarf stars. The level and frequency of magnetic activity in these stars have a different aspect at every moment of the observations due to the effect of age-rotation relation. The use of both tracers is thus essential to have a relatively homogeneous set of stellar activity data for statistical studies. The archival light curves and imaging data of the open cluster M37 taken by MMT 6.5m telescope were used for this work. We find that the archival light curves from the original image subtraction procedure exhibits many unusual outliers, and more than 20% of data get rejected by a simple filtering algorithm. In order to achieve much more accurate photometric precisions and also to make the most efficient use of the data, the entire imaging database were re-analyzed with our new time-series photometry technique (Multi-Aperture Indexing Photometry) and carefully calibration procedures. The merit of this approach is clear: we find an optimal aperture for each star with a maximum signal-to-noise ratio, and also specify the isolate peculiar situations where photometry returns misleading information with a new photometric index. Meanwhile, the importance of minimizing known (or unknown) systematics is being emphasized in wide-field time-series analysis because variability detection performance can be easily damaged by them. We adopt the so called photometric de-trending which is a very useful tool in removing systematics from light curves, especially for bright stars. Our method removes serious systematic variations that are shared by light curves of nearby stars, while true variabilities are preserved. Consequently, our method utilizes nearly 100% of available data and reduce the RMS scatter several times smaller than archival light curves for brighter stars, reaching almost 2 mmag at r = 16 mag. This new dataset allows a rare opportunity to explore different types of variability between short (~minutes) and long (~one month) time scales. The total number of 2,319 stars exhibits convincing variations that are induced by flares, pulsations, eclipses, starspots and, in some cases, unknown causes. The discovery rate of new variables is increased by 60%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catalog of variables. Based on the new light curves, we study, for the first time, a variety of aspects of those two variabilities in red dwarfs and their relation to magnetic activity. In the case of flare variability, we find two important new results: (1)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s of flare timescales, energies, and frequencies among many stars of the same age and mass group, and (2) it seems likely that enhanced magnetic activity in cluster member stars is due to their young ages (age effects). Meanwhile, if we assume that all quasi-sinusoidal variations are caused by starspots, the result that (3) rapidly rotating stars can cause more frequent flares than the slower rotators is easily explained by larger spots, which are indicative of the presence of strong magnetic fields. However, the situation is not simple since a large fraction of flare stars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light variations. Besides the fac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rotational variables with and without detected flares, further statistical study is required to clarify the starspot effects on magnetically active/inactive stars. Lastly, according to the empirical picture of angular momentum evolution of low-mass stars (K--M spectral types) in open clusters, the rotation periods of the initially fast rotators are expected to have remained constant or spun down slightly at this cluster age. (4) As expected, we confirm that most of variable flaring stars are lying in the rotational gap with ages between 400 Myr and 600 Myr, where a magnetic field is strengthened and maximized. All these evidences support the idea that the strength of magnetic activity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rotation rate of a star and its evolutionary status (age-activity-rotation paradigm). In conclusion, we suggest future direction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stellar activity in cool stars with photometric time-series data.

      • Ve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ptical transient candidates

        장서원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7 국내석사

        RANK : 247615

        가시광일시현상 -가시광영역에서 짧은 시간동안 나타났다 사라지는 성상현상- 은 최근의 여러 광학탐사관측에서 수시로 보고되고 있지만, 이 현상의 발생 원인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에 있다. 이런 일시현상의 실존여부와 그 원인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해, 30초 내외의 짧은 일시현상에 초점을 두어 관측 및 이론연구를 진행하였다. YSTAR 탐사망원경으로 많은 수의 일시현상 후보들을 발견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으로 이들의 성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였을 때 지금과 같은 방식의 탐사는 일시현상의 실존분석에 큰 한계를 가짐을 발견하였으며, 최소한 일부의 후보들은 관측장비와 상호반응하는 우주선에 의한 잡음이라고 판명하였다. 나머지 후보들의 경우에도 현재의 자료로는 원인분석이 어렵다는 결론을 얻었다. 다만 우리 태양 근방 1kpc 이내의 dMe 별들로부터의 플레어 발생빈도를 모델을 통하여 예측한 바, R=25 등급까지 상당수의 플레어 현상을 보이는 별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이들에 의한 일시현상이 상당수 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 과정에서 얻은 경험적 한계에 대한 이해는 향후 진행될 Pan-Starrs와 같은 대형탐사자료의 분석과, 두 개 이상의 망원경으로 동시에 실시되는 일시현상 전용탐사관측의 분석에 크게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are increasing number of reports on the detection of optical transient (OT), stellar-looking sources which rise to high brightness and then fade out in the moment. Their nature however remains unknown.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existence and possible nature, we have carried out a series of experiments consisting of observation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We found a large number of OT candidates from our survey observations. However, we find that these observations alone do not necessarily prove that these candidates are real astrophysical sources. At least a small fraction can be better explained by cosmic ray incidents which leave stellar looking blobs on the data. The other short duration OT candidates remain to be a mystery. Flares from M dwarfs are demonstrated to be the most likely sources for rapid variable transients. We estimated the general flare event rate from the local dMe stars within 1kpc from the Sun. This model indicates that flare events of the unseen population can be very significant. Our experiment and consideration provide general guideline and desirable constraints for future OT detection strategy. Further studies based on large scale deep surveys such as Pan-Starrs, and also dedicated OT surveys based on multiple telescopes are very much des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