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체육에서의 무도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교육비평과 SWOT분석을 중심으로-

        장병권 ( Chang Byung-kweon ),박세원 ( Park Se-won ),김영식 ( Kim Young-si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에서의 무도교육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교육비평과 SWOT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무도 수업을 경험한 초등교사 6명(남:3, 여:3)과 전문가 4명이다. 자료는 문헌고찰, 개방형설문, 집단면담, 전문가협의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반복적 비교분석법과 SWOT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무도교육의 강점은 우리나라 전통무예가 제시되었다는 점과 신체활동가치중심 교육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도교육의 약점은 한정적 종목(씨름, 태권도)과 교사 전문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도교육의 기회는 풍부한 외부 지원과 관심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도교육의 위협은 사교육 중심의 교육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른 초등체육에서의 무도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풍부한 외부 지원과 관심을 무도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제안되었다. 둘째, 무도의 가치 습득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마련을 통해 사교육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제안되었다. 셋째, 풍부한 외부자원과 관심을 활용하여 학생과 교사의 무도경험 확대가 제안되었다. 넷째, 무도교육 종목을 다양화하고 이를 교육하기 위한 교사의 수련 기회를 제공하여 공교육과 사교육의 역할 분배가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easure to activate martial arts educat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Method was education criticism and SWOT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angle analysis methods, review among members, and expert consultation for integ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ngths of martial arts education were that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s were presented and physical activity value-oriented education. Second, the weaknesses were limited sports(ssireum, taekwondo) and lack of teacher expertise. Third, the opportunities were abundant external support and attention. Fourth, the threats was private education. The measure to activate a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 was proposed to utilize abundant external support and attention in physical education. Second, it was proposed to find measure to coexist with private education by prepar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acquire the value of martial arts. Third, the use of abundant external support and attention was suggested to expand the experience of students and teachers. Fourth, the distribution of the roles of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was proposed by diversifying items and providing teachers with training opportunities.

      • KCI등재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체육실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분석

        장병권(Chang Byung-Kweon),박세원(Park Se-Won),김영식(Kim Young-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program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For the study, 200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incumbent teachers were selected. The survey tool used a mixture of closed and open questions. The questions consisted of the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class, satisfaction, reasons fo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practical skil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curriculum. For data collection, the Google online questionnaire program was used. Closed-type question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open-type questions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physical education practice and theory. Second, it is necessary field-based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programs.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programs and to diversify the sports. Future research should follow efforts to operate improved physical education practical programs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이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기관 체육실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200명을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폐쇄형 문항과 개방형 문항을 혼용하여 수강한 체육실기 종목, 만족여부, 만족/불만족의 이유, 실기능력, 교육내용, 교수방법, 교육과정 등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구글 온라인 설문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폐쇄형 문항은 빈도수와 백분율, 개방형 문항은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실기와 이론의 통합이 필요하다. 둘째, 체육실기프로그램의 현장성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체육실기 프로그램의 비중 확대와 종목의 다양성이 필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선된 체육실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사 중핵역할 관점에 기반한 초등학교 체육업무 공문서 분석: 네크워크 텍스트 분석(NTA)을 중심으로

        장병권(Chang, Byung Kwe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2

        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업무 공문서 분석을 통하여 초등학교에서 체육업무의 특징을 살펴보고 학교체육 내실화를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C도 소재 H초등학교의 2016학년도(2016.03.01.~2017.02.28.) 체육업무 공문서 212건이다. 문서수집은 업무관리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선정은 분석대상 학교의 업무분장을 활용하여 체육업무에 한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교의 체육업무 공문서는 생산문서 40건, 접수문서 172건으로 나타났다. 월별 빈도수 최대치는 생산문서(3월, 9건)와 접수문서(10월, 29건)가 상이했다. 둘째, 공문서 제목에 출현한 단어의 빈도는 생산문서에서는 ‘제출’, ‘2016’, ‘현황’, ‘계획’, ‘수영장’, ‘○○초’, ‘○○(지역명)’, ‘피구’, ‘학교스포츠클럽’ 순으로 나타났으며 접수문서에서는 ‘알림’, ‘2016’, ‘안내’, ‘제출’, ‘개최’, ‘협조’, ‘현황’, ‘계획’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트워크 분석결과 생산문서는 5개, 접수문서는 4개의 주요 클러스터로 구성되었다. 결론: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과 향후 과제로는 첫째, 체육행정에서 체육교육으로, 둘째, 엘리트 체육에서 풀뿌리 체육으로, 셋째, 단위학교, 지역교육지원청, 도교육청의 기능 재정립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official documents for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education, and presented the basi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12 official documents for physical education in 2016 (2016.03.01.-2017.02.28.) of 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 province. The Work Management System was used for document collec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study subjects was limited to physical education work by utilizing the work division of the school to b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next analysis(NTA) were used for analysis method. Results: There were three noticeable result were found. First, there were 40 production documents and 172 documents received as the official documents for physical education work of the school to be studied. The maximum monthly frequency was different for production documents (March, 9 cases) and received documents (October, 29 cases). Second, the frequency of words appearing in the titles of official documents were "Submission", "2016", "Status", "Plan", "Swimming Pool", "○○ Elementary School", "○○ (region name)", "Dodge Ball", "School Sports Club" appeared in the order. In the received documents, ‘Notification’, ‘2016’, ‘Information’, ‘Submission’, ‘Holding’, ‘Cooperation’, ‘Situation’, and ‘Plan’ appeared in order. Third,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production documents were composed of five and received documents were composed of four major clusters. Conclusion: Implications and future tasks are as follows. First, from physical administration to physical education, second, from elite to grass-roots physical education, and third, to re-establish the functions of unit schools, regional education support offices,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구성주의에 기반한 창의적 체육수업 사례 탐색 : 초등학교 영역형 경쟁 단원을 중심으로

        장병권(Chang Byung-Kweon),박세원(Park Se-Won),김영식(Kim Young-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ase of crea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based on constructivism. In order to reflect the constructivist philosoph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ractical research, good physical education theory, and CPS model were appli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4th grade students of M elementary school in Chungbuk,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of 28 classes, and 2 students (male: 2, female: 2) were selected in each the first and second class implementation. Participan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related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case description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riangulation and review among members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authenticity. The result of the study was the growth of students and teachers. Student growth was categorized into “expression of creativity” and “holistic growth”, and teacher growth was categorized into “discovery of creativity in area competitio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itude to physical education”. 이 연구는 구성주의에 기반한 창의적 체육수업 사례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성주의 철학을 체육수업에 반영하기 위하여 실행연구와 좋은 체육수업 이론, CPS 모형을 적용하였다. 좋은 체육수업 이론에 기반한 교재연구는 CPS 모형을 적용한 수업설계, 2차에 걸친 수업실행 과정 등 연구 전반에 걸쳐 활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28차시의 창의적 체육수업에 참여한 충북 소재 M초등학교 4학년 학생으로 1, 2차 수업실행에서 각각 2명(남:2, 여:2)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수업설계와 수업실행 과정에서 참여관찰, 심층면담, 관련문서 등을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수업실행과 논문작성 과정에서 사례기술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진실성 확보를 위해서는 삼각검증과 구성원간 검토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학생과 교사의 성장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성장은 ‘창의성 발현’과 ‘전인적 성장’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교사의 성장은 ‘영역형 경쟁에서의 창의성 발견’과 ‘체육수업에 임하는 초등교사의 자세’로 범주화되었다.

      • KCI등재

        체육교육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 분석

        장병권(Chang, Byung-kweon),채창목(Chae, Chang-Mok),김영식(Kim, Young-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2

        이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keyword network)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체육교육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 수집은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창의’, ‘체육’, ‘스포츠’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된 논문(479편)중에서 2000년 이후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복된 논문을 제외하고 강신복(2009)이 설정한 체육교육학 연구 주제 범위와 박병기, 강현숙(2007)이 설정한 창의성 연구 주제 범위에 따라 총 113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체육교육학에서 창의성 연구 논문은 2000년 이후 한해 평균 약 6.6편이 발표되었으며 빈도 추이는 꾸준히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방법에 따른 빈도는 양적연구, 문헌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빈도는 ‘창의성’, ‘학교스포츠클럽’, ‘창의․인성’, ‘창의적체험 활동’, ‘창의․인성교육’, ‘독창성’, ‘인성’, ‘창의경영학교’, ‘표현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출현빈도가 높은 22개 키워드를 선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창의성~체육’, ‘창의․인성~창의․인성교육~인성~창의적인성’, ‘학교스포 츠클럽~창의적체험활동~창의경영학교~체육교육혁신형’, ‘무용교육~창작무용~ 독창성~유창성’이 각각 클러스터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른 향후 과제로는 첫째, 교육정책 중심에서 현장 연구로, 둘째, 표현활동 중심에서 연구영역의 다변화, 셋째, 결과중심에서 창의적인 과정의 프로그램 개발및 적용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creativity research in Sport Pedagogy utilizing keyword network analysis. 113 studies related to creativity research in Sport Pedagogy since 2000 were colle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roximately 6.6 studies on creativity research in Sport Pedagogy were published annually. Secondly,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research. Third, the main keywords were ‘creativity’ followed by ‘school sport club’, ‘creativity and characte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originality’, ‘character’, ‘creative school management’, ‘expressive activity’. Fourth, according to analysis of 22 high degree centrality keywords; ‘creativity~physical education’, ‘creativity and character~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character~ creative personality’, ‘school sport club~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creative school management~physical education innovation type’, ‘originality~fluency~creative thinking’ a trend emerged showing keywords were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ask to undertake are ‘research of field’, ‘diversification of research area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process’.

      • KCI등재

        협동게임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신체활동가치로서 ‘협동’의 가능성 탐색

        장병권(Chang, Byung Kweon)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3

        목적: 이 연구는 협동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 경험에 관한 사례를 공유하고 체육과 신체활동가치로서 ‘협동’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C도 소재 M초등학교 4학년 학생 28명(남:14, 여:14)을 연구참여자로 설정하고 협동게임을 주제로 14차시의 체육수업을 운영하였다. 주요 정보제공자로 학생 4명(남:2, 여:2)을 선정하여 참여관찰, 개방형설문, 심층면담, 문서고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례기술과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서는 다각도 분석, 구성원간 검토, 전문가 협의를 활용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협동게임을 활용한 체육수업 경험은 ‘경쟁 금단현상’, ‘활기찬 협동’, ‘협동 속 경쟁 찾기, 경쟁 속 협동 찾기’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하여 ‘협동’은 신체활동가치의 한 요소로서 충분한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과제로는 협동과 경쟁이 함께 구현될 수 있는 체육수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are cas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cooperative games,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operative’ as the physical education value. Methods: For this purpose, 28 4th graders of 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 province (male:14, female:14)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14 class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operated using cooperative games. Four students (male:2, female:2) were selected as major information provid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review, and analyzed through case description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ulti-angle analysis, review among members, and expert consultation were used to secure authenticity.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periences using cooperative games were categorized into ‘competition withdrawal phenomenon", ‘vibrant cooperation", ‘finding competition in cooperation, and finding cooperation in competitio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cooperation" is a factor of the physical activity value and has sufficient potential. As a future task, we proposed the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ere cooperation and competition can be realized together.

      • KCI우수등재

        2015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체육교과서의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 초등학교 3, 4학년 경쟁영역을 중심으로

        장병권 ( Byungkweon Chang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3, 4학년 체육교과서 경쟁영역에 담긴 창의성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체육교과서 내 창의성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집된 자료는 2015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된 3, 4학년 검정교과서 16종이다. 자료 분석은 Rhodes의 4P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체육교과서 창의성 교육 내용분석틀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람 관점에서 고른 활동주체를 대상으로 ‘탐구심’ 관련 활동이 많았다. 둘째, 창의적 과정 관점에서 ‘학습’이 대부분이었으며 게임을 적용, 변형하거나 개발하는 활동이 많았다. 셋째, 창의적 산출물 관점에서 활동방식은 ‘생각하기’가 많았으며 창의성 요소는 비교적 골고루 나타났다. 넷째, 창의적 환경 관점에서 공간과 매체는 제약이 없었으나 간접체험활동이 많았다. 체육교과서의 창의성 교육 내용은 창의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단순한 게임 변형과 만들기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향후 체육교과서의 창의성 교육 내용은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과정을 포함하는 형태로 제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reativity education contained in the competition area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for grades 3 and 4 of elementary school. The collected data are 16 types of 3rd and 4th grade certified textbooks developed based on the 2015-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data analysis, a framework for analyzing creativity education content in a physical education textbook developed based on Rhodes’ 4P model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erson, there were many activities related to ‘inquiry mind’.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rocess, ‘learning’ was the most, and there were many activities to apply, transform, or develop games. Thir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roduct, the way of activity was ‘thinking’ a lot, and the elements of creativity appeared relatively evenly. Fourth, from the viewpoint of creative press, there were no restrictions on space and media, but there were many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extbooks, simple game transformation and making were the mainstays in the state of lack of understanding of creativity education. Creativity education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should be a systematic form that includes a creative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