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교사의 수업지도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장근주,조대현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t cogni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musical background to music teacher's instru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212 7th graders. Data were analyzed by SPSS using the Base version 12.0 software. The variations for the different cogni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s music teacher's instruction were measured by t-tes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that is, high group(M=4.03) and the low (M=3.10) according to their music backgroun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Students were relatively positive(M=3.98) about the music classes. However, students indicated that music teacher's musical skill(M=4.22) was more important than personal attributes and instructional skill. They highly evaluated music teachers' explanation in the music classes; however, they had low remarks on the questions related to individual instructions with music teachers. Therefore, students' oriented instruction is suggested. In addition, teachers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every students and to encourage as many students as possible to participate in music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role of music teacher is not only to acquire musical ability, but also to apply this skill to education.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음악적 배경에 따른 음악수업에서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음악교사의 자질을 재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학교 1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사항은 빈도분석을 실행하였고, 음악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도 변수는 조사대상의 음악적 배경에 따라 상위집단(M=4.03)과 하위집단(M=3.10)으로 구분(p=.000)하여 t-test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음악교사가 시행하는 음악수업에 대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식의 정도는 비교적 긍정적(M=3.98)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교사의 음악적 기술능력(M=4.22)이 개인적 능력과 교수 능력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음악교사의 개인적 자질 및 지도기술에 대한 결과는 교사와 학생의 일대일 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주도의 획일적인 수업보다는 학생중심의 능동적 교육환경이 지향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더불어 학생 개개인에 대한 보다 세심한 관찰의 중요성과 개별 상황에 맞는 교육적 환경의 제공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은 결론적으로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할이 단지 음악적 지식이나 실기능력만을 전제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교육적 관점에서 적용하고 접근할 수 있는 교육적 사고의 형성이 얼마나 중요한 지를 보여주고 있다.

      • 드뷔시의 음악에 나타난 인상주의 화성 기법의 특징에 관한 고찰 : Prelude I중 "Voiles"를 중심으로

        장근주 신음악학회 2001 新음악논집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Impressionistic harmonic techniques in Debussy's Music by analysing "Voiles" from Prelude for Piano, Book I. There is very little literature employing pure whole-tone scale. Debussy's "Voiles' from Prelude I is a good example of his use of whole-tone and pentatonic scales. Impressionism is a term which was first applied to the work of a group of French artists whose work is characterized by a subtle play of light and color upon the canvas, rather than the clear delineation of specific objects. Impressionistic music which has been aplied to Debussy's musical compositions was to suggest a mood, to evoke an atmosphere, particularly through the use of intensely coloristic devices, and through the avoidance of clearly defined forms and statements. He used the following harmonic techniques, devices, or procedures: 1. Irregular and frequently static harmonic rhythm 2. The whole-tone scale 3. Augmented triads: 9th, 11th, and 13th chords; and chords with added 2nds, 4ths, and 6ths; all of these often moving in parallel motion 4. Pentatonic 5. Non-functional harmony 6. Occasional use of modes "Voile" is based on a ternary (A-B-A) form. The A section begins with whole-tone scale, shifts to the pentatonic scale in the B section, and returns to the whole-tone scale for the A'. Debussy employs the pentatonic scale in the B section to avoid the harmonic monotony characteristic of the whole-tone scale (successive major seconds) which would otherwise make it difficult to create harmonic and melodic direction. The whole-tone harmony of the prelude is presented in a slow tempo and static mood, whereas the brief pentatonic section conveys a sense of tension and climax, partly because of the presence of intervals other than those of the whole-tone section. The prelude is built on three motives: the descending opening motive, the Bb pedal, and the ostinato consisting of ascending major seconds. These three motives are presented in changing contexts throughout the music. The pentatonic scale Gb-Ab-Bb-Db-Eb shares the three notes, Bb, Ab and Gb, with the whole-tone scale, Gb-Ab-Bb-C-D-E. These three common tones function as a transitional passage connecting each section. The fact that both the whole-tone and the pentatonic collections begin with the same notes (used as pivot tones) makes it possible for Debussy to use the same harmonic intervals for the cadential structure. The continuous use of these structures in the cadences provides a sense of tonal unity throughout the music. Debussy's music is regarded as an extention of nineteenth century composition and his nonfunctional use of chords opened new frontiers of freely treated harmonic color.

      • KCI등재

        오디에이션 학습이 음악인지능력과 음악수업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장근주,고승희 한국음악교육학회 2013 음악교육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고든의 오디에이션 학습이 음악 인지능력 향상과 음악수업의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음악 인지능력 검사와 음악수업 흥미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오디에이션의 학습이론을 통제집단은 기존의 수업을 3주 동안 학습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집단은 음악 인지능력에서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실험집단 흥미도의 전체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상승되었고, 이 중 음악 수업에 대한흥미도가 높아졌다. (3) 음악 인지능력은 흥미도와 95%의 신뢰도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과적 접근에 의한 현대음악 학습 지도연구 -바르톡의 연가곡 ‘시골풍경(Dorfszenen)'을 중심으로-

        장근주,유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09 음악교육공학 Vol.-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artok's song cycle Dorefszene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is study employed the sequenced form among Forgarty's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second grade 118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ee province. Those students had never heard contemporary music in their life. This lesson was producted for three classes. Each class intergrated with art, physical education, social science, mathematics and drama. The first class included art and physical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The second class was related with social science and mathematics subjects. The last class focused on drama making. In art intergrated activity, after students listened to Bartok's music and read the poem of each part, they were instructed to draw paintings. In physical education related activity, students expressed their feeing according to the flow of music. In social science related teaching, students investigated both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Hungarian agriculture and similar kind of Korean music to Bartok's. Teaching related to Mathematics included the study of Golden Section and Fibonacci Series which are crucial characteristics of Bartok's music. The main activity in this session was for students to create a simple eight measure music using whole tone scale. The final drama making put all above activities together to consummate previous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artok's song cycle Dorefszene i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is study employed the sequenced form among Forgarty's interdisciplinary approach.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second grade 118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ee province. Those students had never heard contemporary music in their life. This lesson was producted for three classes. Each class intergrated with art, physical education, social science, mathematics and drama. The first class included art and physical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The second class was related with social science and mathematics subjects. The last class focused on drama making. In art intergrated activity, after students listened to Bartok's music and read the poem of each part, they were instructed to draw paintings. In physical education related activity, students expressed their feeing according to the flow of music. In social science related teaching, students investigated both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Hungarian agriculture and similar kind of Korean music to Bartok's. Teaching related to Mathematics included the study of Golden Section and Fibonacci Series which are crucial characteristics of Bartok's music. The main activity in this session was for students to create a simple eight measure music using whole tone scale. The final drama making put all above activities together to consummate previous learning.

      • KCI등재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를 적용한 초·중등 음악 프로젝트 수업 개발

        장근주,박영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3 음악교육공학 Vol.- No.5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sign thinking model of Stanford University's d.school and propose music project classes that incorporate the procedures of empathize-define- ideate-prototype-test, which are the five stages of design thinkin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three music project classes that apply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reate Music’, ‘Make a Music Video for Public Advertisement’, and ‘Make a Sound-producing e-Book Opera’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First, ‘Creating Music’ is a five-session music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3 and 4 aiming to help them express their feelings and experience music composition easily through Soundraw, Music Maker Jam, and Chrome Music Lab. Second, "Make a Music Video for Public Advertisement" is a five-session music cla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to 6th grade. Students use an AI Image Creator to create public service announcement music videos, producing and presenting campaign songs to address everyday problems. Third, ‘Make a Sound-producing e-Book Opera’ is a four-session music project class for 9th-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is class, students utilize Book Creator to make an e-book that tells the story of an opera while incorporating sound elements. It is expected that these three music project classes, applying the design thinking devised in this study, will be widely distributed and utilized as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본 연구는 스탠퍼드 대학 d.school의 디자인 사고 모델을 고찰하고, 이를 중심으로 디자인 사고 5단계인 공감-정의-아이디어-프로토타입-테스트의 절차를 적용한 초·중등 음악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자인 사고 방법론을 기반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적용한 음악 창작하기, 공익광고 음악 영상 만들기, 소리 나는 오페라 전자책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첫째, 음악 창작하기는 초등학교 3-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느낌을 사운드로우(Soundraw), 뮤직 메이커 잼(Music Maker Jam), 크롬 뮤직 랩(Chrom Music Lab)을 활용하여 창작해보는 5차시 구성의 음악 수업이다. 둘째, 공익광고 음악 영상 만들기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생활에서 경험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공익광고 음악 영상으로 제작하여 발표하는 5차시 구성의 음악 수업이다. 셋째, 소리 나는 오페라 전자책 만들기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북 크리에이터(Book Creator)를 활용하여 오페라의 이야기를 전자책으로 제작하는 4차시 구성의 음악 프로젝트 수업이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디자인 사고를 적용한 3가지 음악 수업이 이론적 수업 모델로서 현장에서 널리 보급되고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현행 중학교 음악 감상 제재곡의 분석 및 개선방안 : 제 7차 교육과정의 9종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근주,류은미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3 교과교육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제 7차 중학교 9종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음악 감상 제재곡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 을 마련하여 음악감상을 음악교육의 한 영역으로 올바른 자리 매김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9종의 음악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곡가와 시대별 분포는 여전히 고전과 낭만에 치중되었고 현대 음악에 대한 비율이 매우 낮았다. 기존의 교과서에 비해 전통음악의 비율이 신장되었으나 아직도 서양 음악 중심의 감상곡이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곡의 난이도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각 출판 사에 따른 감상곡의 편차가 심하였다. 따라서 보다 나은 음악감상교육을 위하여 교과서가 갖는 중요성을 재인식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가창 중심의 교과서에서 가창, 기악, 창작, 활동 영역간의 균형 있는 교과서의 편찬을 기대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오페라 감상 교육의 실태 조사와 개선 방안

        장근주,박나연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3 교과교육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오페라 감상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오페라 감상교육의 방향을 모색 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먼저 제7차 교육과정의 8종 교과서에 수록된 오페라 제재 곡을 분석하고, 서울 및 경기도 내 두개의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설문지는 음악수업선호도, 일반적인 음악감상수업과 오페라 음악감상실태, 그리고 오페라 음악감 상 시 바라는 점의 네 가지 측면으로 압축되었다. 현행 음악수업은 주로 가창과 이론 중심이나 본 연구의 결과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음악수업은 감 상이 55%로, 32%의 선호도를 보인 이론보다 훨씬 우위를 나타냈다. 과반수의 학생들이 한 달에 한번 감상수업을 받고 있으며, 이중에 88%의 학생이 보통 이상으로 음악감상수업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그러나 음악감상시 진지한 태도로 임한다고 한 학생은 단지 48%에 불과하였고 극소수의 학생들만이 음악감상수업이 음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키우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대부 분의 학생들은 학교 음악시간에 처음으로 오페라를 접하였고, 많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교양을 높이기 위하여 좀더 다양한 오페라 감상을 원하였다. 따라서 음악교사는 학생들이 대형 모니터나 선명한 음향시 설로 오페라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며, 오페라와 관련된 지식과 감상태도를 지도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음악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역량 기반 음악과 교육과정 재구성

        장근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sub-elements and skills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o identify instruction and evaluation for enhancing music subject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 Two delphi surveys with twenty music teachers, a professional council composed of four members, and a working group consisting of one university professor and four current teacher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elements of music subject competency were revised by referring to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the six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Second, the skill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usic subject competences so that the subordinate element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Third, the teaching instruction and evaluation methods for cultivating music subject competences were derived to one method: however, it is effective to use various methods together rather than using one instruction and evaluation method. Fourth, music subject competencies can be integrated not only with one achievement standard but also with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음악 교과 역량의 의미와 하위 요소, 각 하위 요소를 구현하는 기능을 재구성하고, 이러한 음악 교과 역량의 의미를 실현하고 기능을 습득하는 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 학교 수업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이 어떤 음악 교과 역량과 관련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전문가협의회와, 20명의 중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서와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개 역량의 정의 또는 의미를 참고하여 수정하였다. 둘째, 기능은 음악 교과 역량별로 하위 요소들과 연계성이 드러나도록 분류하였다. 셋째, 음악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법은 각각 하나의 방법으로 수렴하였으나 여러 방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의견도 있어, 학습의 주제나 내용에 따라 사용되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넷째, 음악 교과 역량은 성취기준별로 하나의 교과 역량만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교과 역량이 종합적으로 함양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