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임효신(Hyoshin Lim),정철영(Chyul-Young Jyu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진로개발역량을 진단하는 검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중학생 진로개발 역량 검사도구는 중학생이 평생에 걸쳐 진로를 인식 · 탐색 · 준비 ·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필요한 인지적 · 비인지적 측면의 역량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는지를 진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 검사도구는 3개 영역, 8개 하위요소의 총 4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검사에 소요되는 전체 시간은 약 10~15분 정도이다. 이 검사도구의 영역별 및 하위요소 문항 구성은 다음과 같은데, 자기관리 영역에 포함되는 하위요소에는 ‘긍정적 자아개념 형성(7문항)’, ‘자기이해(5문항)’, ‘사회적 기술 함양(5문항)’이 있다. 진로정보 탐색 및 활용 영역에 포함되는 하위요소에는 ‘진로정보 탐색 및 수집(8문항)’, ‘직업세계 이해(5문항)’, ‘바람직한 직업관 및 직업태도 함양(7문항)’이 있다. 진로설계 및 관리 영역에 포함되는 하위요소에는 ‘생애기반 진로선택 및 준비(7문항)’, ‘진로관련 창의성 및 적응력 함양(5문항)’이 있다. 이 검사도구는 자기평정식의 5점 Likert 척도(1=전혀 그렇지 않다, 2=그렇지 않다, 3=보통이다, 4=그렇다, 5=매우 그렇다)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내적일치도 계수는 전체 0.966, 하위요소의 경우 0.798~0.911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안하면, ① 개발된 검사도구의 지속적인 타당화 연구, ② 보다 명확하고 단일한 요인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측정 문항에 대한 수정 · 보완 연구, ③ 규준개발을 위한 대규모 표본 대상 연구 등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결과 활용 측면에서는 검사 실시를 통해 중학생 대상진로탐색의 동기부여, 자기성찰에 도움, 진로계획 수립 및 준비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ventory for measur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ried to measure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competenc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be aware, explore, plan, maintain and develop their career. The inventory was defined as the construct comprised of eight factors and forty-nine items and consumes approximately 10-15 minutes to fill out. The inventory’s constructs and subscale items are as follows. Under self management, ‘forming positive self-concept(7 items)’, ‘self-understanding(5 items)’, ‘developing social skills(5 items)’ were included. Under career information exploring and usage, ‘exploring and gathering career information(8 items)’, ‘understanding occupational information(5 items)’, ‘advisable occupational view and attitude development(7 items)’ were included. Under design and management of life․career, ‘preparing and selecting career based on one’s life(7 items)’, and ‘developing career related creativity and adaptability(5 items)’ were included. The following instrument was of self-report given in the form of 5-point Likert scale(1= Strongly disagree, 2= Disagree, 3= Neutral, 4= Agree, 5= Strongly agre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as a whole was shown as 0.966,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subscale ranged shown from 0.798 to 0.911.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proposed for future research. First, the developed inventory should be further validated through correlate research of related instruments, or through researches producing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Second, the items need to be revised to clarify and unify the factor structure. Third, the study should gather a larger sample to produce a percentile and a standardization score norm. Lastly, the result can help with motivating, self-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and preparing for career planning for current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유아 어머니의 심리·행동통제와 자녀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의 매개효과

        임효신(Lim hyoshin),서현아(Seo hy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유아의 어머니의 심리·행동통제와 자녀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P시에 소재한 유치원 6곳과 어린이집 10곳에 재원중인 242명의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로 회귀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 심리통제는 낮을수록 정서표현성은 높아지고, 행동통제가 높을수록 정서표현성이 높아졌다. 다음으로 어머니 심리통제와 행동통제는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 정서표현성은 정서조절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심리통제와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고, 행동통제와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성에서도 정서표현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emotional dis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behavioral control and young children s emotional regulation. Data were gathered from 242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in six kindergartens and 10 daycare centers that were located in an urban commun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aking a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emotional expressivity became better when there was less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expressivity became better when there was more behavioral control. Nex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Maternal emotional expressivity was found to have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emotional expressivity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nd that emotional expressivity had a perf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control and emotional regulation skills as well.

      • KCI등재

        유아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자녀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임효신 ( Hyoshin Lim ),서현아 ( Hyunah Se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자녀 문제행동, 삶의 의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자녀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P시에 소재한 유치원 4곳과 어린이집 6곳의 기관에 재원중인 만3-5세 유아 부모와 자녀 282명을 대상으로 결혼만족도, 삶의 의미, 문제행동을 측정하였다. 조사는 2020년 8월 4주에 실시하였으며 관련 자료는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유아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자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부모의 삶의 의미와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유아 문제행동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는 부분매개역할을 나타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satisfaction, child problem behavior, and meaning of life of infant par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meaning of lif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satisfaction and child problem behavior of infant parents. In order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study, marriage satisfaction, meaning of life, and problem behavior were measured for 282 parents and children aged 3-5 years old who are enrolled in 4 kindergartens and 6 daycare centers located in P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4th week of August 2020, and related data were analyzed for correlation and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and the meaning of life of infants parents. Second,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infants parents and their children’s problem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 on the meaning of life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parents. 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satisfaction and problem behavior of infants parents showed a partial mediating role.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통한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의 효과적 운영 방안 탐색

        최수정(Su-Jung, Choi),이건남(Gun-Nam, Lee),남중수(Jung-Soo, Nam),임효신(Hyoshin, Lim),조규형(Kyuhyu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0

        진로교육법에 따르면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는 초·중·고등학교에서 특정 학년 또는 학기를 정하여 진로교육 과정을 집중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교육부의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에 따라 2016년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학교 진로교육 운영 내실화라는 취지하에 시범학교 운영을 확대하고자 하지만,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세부적인 방안이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와 관련된 교육 정책의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18명의 학교 진로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델파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의 비전과 목적, 방향, 추진 전략과 함께 참여 주체 및 역할에 대한 내용, 운영 절차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를 연계한 진로교육 체제 구축, 교과교육–창의적 체험활동–방과 후 활동을 연계한 진로교육 운영, 학교급별 주체–지역 및 단체–중앙정부의 연계 체계를 구축, 교과 통합 진로교육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확대 운영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급 별로 연계된 진로교육 체제 구축, 장기적인 안목에서 교육과정 내의 진로교육 내용및 방법 등이 통합적으로 조직될 필요가 있으며, 충분한 시간을 들여 인식의 변화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언하였다. The career education law states that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is a particular semester or grad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o operate career education course intensively. However, there is no specific operating strategy about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policy and to present proposals for operating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Methodologies of this study analyzed several aspects of effective operating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through the delphi analysis with 18 career education professionals and teach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vision, goal, direction, and strategy of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is presented. Also participants, tasks, and procedures of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better research on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 KCI등재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정철영(Chul-Young Jung),정진철(Jinchul Jeong),이종범(Jongbum Lee),정동열(Dongyul Jeong),임효신(Hyoshin Lim),이서정(Seojung Lee),임정훈(Junghoon Lim)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진로교육 현황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은 「① 진로교육 환경 및 정책 분석, ② 우리나라 초·중등 단계진로교육 실태 분석, ③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으로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종합·분석, 전문가 검토를 거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진로교육 환경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회 환경 변화의 영역별로 직업세계와 고용·취업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진로교육 정책변화의 흐름과 국외 진로교육 정책 추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초 · 중등 단계 진로교육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진로교육의 제도적 기반(담당인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주요 운영 방식(정규교육과정에서의 진로교육, 진로심리검사 및 진로상담, 진로체험, 대상별진로교육 프로그램), 진로교육 성과평가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진로교육의 발전 방향과 세부 발전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우리나라 진로교육 발전 방향의 영역은 크게 4개 영역 「① 제도적 지원 장치 마련, ② 개인 맞춤형 진로지도 지원 강화, ③ 학교-현장 연계 진로교육 활성화, ④ 진로교육 내실화 관리 지원」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세부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We diagnosed the conditions of current career education systems in South Korea to reconstruct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curriculum initiatives. We reviewed literatures of ① environment and policies of career education, ② K-12 career education system in Korea, and ③ strategies of Korean career education with following comprehensive analysis and SME review. First, to identify existing career education system, we approached through the multiple layers of social environment which are occupations and employment related settings as well as the flow of Korean career education policy development compared with foreign policy trends. Second, we structured the pros and cons of career education at K-12 school as policies (human resources and modules), programmes (career education in course, career inventory and counseling, heuristic method, and customized program) and career education evaluation.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s and policies on career education and its details are ① to creat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n career education, ② to emphasize the customized career education, ③ to activate school-work integration on career education, and ④ to facilitate the career education 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