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학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성과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임혜진(Hyejin Lim),이문수(Moonsoo Lee)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2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중 학습공동체 활동의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의 개발을 통해 학생 역량 발달의 성과 확인과 함께 교육 프로그램의 질 관리에 목적이 있다. 도구 개발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의 고찰 및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경남 소재 A대학 재학생 중 2021학년도 1학기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에 참여한 233명을 대상으로 1차, 2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21학년도 2학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311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문항 적합성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신뢰도 및 검사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 성과 측정도구가 적절하게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비교과 학습공동체의 측정 문항으로 자기주도학습역량, 의사소통역량, 대인관계역량, 문제해결역량 등 4개 영역 20문항으로 선정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measure learning community participant competence, managing the quality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By reviewed the previous studies, a measurement category for learning community performance was selected and content validity was conducted.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with 233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311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commun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high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that those extracted constructs were valid by showing good fit indices. The instrument developed a 20-item scale of learning community competence which consisted of four factors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ompetence.

      • KCI등재
      • KCI등재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초등 3~4학년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임혜진(Lim hyejin),홍후조(Hong hoo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본 연구는 직업소멸 시대에 대비하여 STEAM 교육에 기반하고 체계적인 기업가 정신 함양 교육에 필요한 미래 직업형 초등학교 3~4학년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타당성과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생애주기별 발달적 관점에 따라 초등 3~4학년에 적합한 기업가정신을 추출하기 위해 협동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자원을 발굴하는 활동을 기획하였으며, 이에 따라 미래의 관광컨설턴트로서 경험할 수 있는 성취욕구, 창의성, 협업능력, 도전정신, 자기효능감을 기업가정신 요소로 추출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들을 추출하고, 과학, 사회, 미술을 기본으로 STEAM 준거틀과 진로탐색 단계에 따라 9개월간 개발되었다. 중간평가 및 7차에 걸친 전문가 협의회, 수업 적용 단계를 통해 프로그램이 수정·보완되었으며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였다. 그 결과 ‘손님 어디를 찾으시나요?’ 프로그램이 학생용 자료, 교사용 지도서, PPT 자료를 한 세트로 개발되었으며, 수업 적용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도 및 기업가정신 성향이 향상되었고,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미래 사회에 대비하여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학습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학교 교육 전반 및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EAM-based job-oriented education program for the 3rd~4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designed to foster entrepreneurship in a systematic manner in preparation for increasing job losses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effectiveness. The study has planned and arranged activities of discover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through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in order to identify entrepreneurship models suitable to 3rd~4th graders in primary school. As a result, a number of items that students can experience as a future tourism consultant have been identified as the elements of entrepreneurship, which includes achievement motive, creativity, collaborative ability, spirit of challenge, and self-efficacy. In addition, the study has analyzed the 2015 Amended Curriculum and identified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o foster entrepreneurship and has developed a program according to the STEAM framework and the career search stage for nine months based on three subjects of science, society and art. The program has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intermediate evaluation, 7 stages of expert council, and the class application stage as well to enhance the complet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a program titled How can I help you, sir? has successfully been developed that includes a combination of student materials, guidance for teachers and PPT and has been applied to actual classes. The program has been found to promote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and to enhance their entrepreneurial spirit with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mong students. The education program specifically intended to nurture and foster students’ entrepreneurship and that is in line with real-life job world is expected to facilitate a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TEAM education and to make students better prepared to our future society through practical learning opportunities while raising a degree of satisfaction with overall school education curriculum and class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내 삶의 직업 찾기’ 프로젝트가 학업적 흥미도 및 직업 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임혜진(Lim hyejin),홍후조(Hong hoo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대학생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에따라‘내 삶의 직업 찾기’ 프로젝트를 개발해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본 수업 수강생 26명을 대상으로 단일군전-후 실험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단순한 직업조사에 그치지 않고 전생애에 걸친 평생 학습의개념 속에서 진로를 설계하도록 한 것으로 ‘내 삶의직업찾기"프로젝트에참여할학생을대상으로학업적흥미도사전검사를실시하였으며, 100세시대를 대비한자신의 인생계획을 점검하도록 하였다. 우선, 1,000여개의 직업을 조사하고 4단계에걸쳐지워가는 과정을 통해 자신에게적합한직업을 찾아내도록하였으 며 마지막으로 나에게 적합한 5~6개의 직업의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또한 우선순위로 결정된 직업들을 바탕으로 같은 직업군에 해당하는 학생들끼리 모여 토론의 시간을 갖고 이를 바탕으로 모둠별 토론 보고서 및 개인 성찰문을 작성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직업 준비도 관련 요인을 종합·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흥미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연구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 삶의 직업 찾기’ 프로젝트를 수행한 학생들의 학업적흥미도는모두사전 · 사후간에유의미한차이가있었으며, 모둠별보고서와개인성 찰문을 분석한 결과 직업 준비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내 삶의 직업 찾기’ 프로젝트의 자료와 그 효과는 향후 대학생들의 전생애에 걸친 진로·직업 관련 연구와 진로 개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developed ‘Find my life job’ project and investigate its effect on undergraduate’s learning interest and vocational readiness. This research developed, implemented and evaluated ‘Find my life job’ project that targets undergraduates. The project includes multiple activities such as 100-year life plan design, 4-steps to list priorities among 1,000 jobs, group discussion with participants who choose the same job and personal report.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26 undergraduates of K university who took ‘curriculum’ cour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ex ante and ex post survey of learning interest were conducted and group and personal repor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ex ante and ex post surve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ituational interest and personal interest of the participants. Moreover, the report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ojec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vocational readiness. The conclusions gained on the found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below : First, ‘Find my life job’ project can grow an undergraduate’s learning interest and vocational readiness. Second, it seems grouping participants who chose the same job and discussing amongst themselves have a better effect on increasing sense of vocational preparation than letting one carry out career activities alone. By sharing information and experience, participants set the stage of ‘cooperation.’Third, there needs to be a systematic management of career program in college education. Fourth, career programs should be consisted of common programs according to majors and differentiated programs that extends from the common programs to various fields.

      • KCI우수등재

        수원시 자전거 이용환경 평가지표 개발 및 토지이용별 적용방안 연구

        김숙희(Kim Sukhee),임혜진(Lim Hyejin)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3

        본 연구는 자전거 이용에 필요한 이용환경과 관련된 지표를 도출하고, 자전거 이용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 및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평가요소 간 상대적 중요도는 자전거 안전성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자전거 주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항목의 우선순위가 높고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모형을 토지이용별로 자전거도로에 적용한 결과 비교적 현실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향후 이를 활용하여 지자체의 자전거도로 이용환경 개선을 위한 개선방향 도출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n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derive indicators related to the environment for bicycle use and to evaluate the environment for bicycle use in the city of Suw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the assessment factors was highest in bicycle safety an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assessment indicators was highest in terms of priority of items directly affecting bike riding, and items with indirect influence were low in importanc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evaluation model to bike paths in Suwon, it was confirmed that they can be described in a relatively realistic manner.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government directives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cycle paths.

      • KCI등재

        교과내 단원 내용과 통합된 창의성 지도의 효과 연구:

        홍후조(Hong, HooJo),임유나(Lim, YooNa),민부자(Min, BuJa),임혜진(Lym, Hye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지식과 정보가 폭증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인재는 창의적·협동적 문제해결력을 지닌 사람이다. 교육받은 인재상이나 교육목표에서 ‘창의성’ 함양을 강조하고 있지만, 학교교육에서 중요한 교과수업에는 창의적 사고기법이 통합되어 있지 못하다. 연구자들은 교육에서 창의성이 중요하다면 교과 수업에 창의적 사고기법이 적절히 통합되어 가르쳐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국어, 사회, 과학과의 내용을 분석하고, 창의적 사고기법의 적용이 가능한 단원과 차시를 선정, 박사급 연구자 4인이 협의하여 창의적 사고기법 12가지가 포함된 수업자료를 개발하였고, 실험반에 8주간 12차시의 프로그 램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 검사를 이용해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측정하였다. 동질성이 확보된 비교집단과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한 평균차이검증(t-test), 사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및 전체 창의성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교과 내용을 재구성하여 창의적 사고기법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학생들의 창의성 향 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창의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기준, 교과서, 수업, 평가 등에서 개선의 필요성을 재확인한 셈이다. The quality of outstanding individual in future society is creative and cooper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However, subject classes, which take the greatest proportion of school curriculum, failed to incorporate creative thinking modes. Researches regarded that if creativity is important in education, school curriculum should integrate creative thinking skills into daily classroom teaching. Hence, the research team analyzed the content of 4th grade subjects at the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and selected units and periods which creative thinking is applicable. 4 doctoral-level researchers developed the 12 subject-integrated materials for classroom teaching. Experimental classes implemented the program for 8 weeks 12 periods. The team measured the effect of the program with the Creative Thinking Assessment Tool(Cronbach α=.86) of KEDI. It conducted t-test via before-tests and after-tests of an equivalent comparative group and covariance analysis, whose covariate is the before test result of each creativity factor.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expressed meaningful difference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ccuracy, and overall creativity with those of the comparative group.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thinking educational program, which reconstituted subject content, encouraged students’ creativity impr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