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 아동의 문해력 증진을 위한 앱 기능 분석

        임장현(Janghyun Lim),박은혜(Eunhye Park)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17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0 No.3

        Literacy skill is an essential element in promoting the educational outcomes and social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variety of apps that are effective in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launched and are being used eff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s literacy instruction app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future app development and educational application. 7 iOS-based apps, 7 android-based apps, 14 apps in total were analyzed, and assessed by program category,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to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of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app sele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서비스에 대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요구분석

        임장현(Lim, Janghyun),박은혜(Park, Eunhye),구정아(Ku, Jeongah)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들의 학교 및 사회생활 참여를 높이기 위한 AAC 지원의 중요성이 최근 강조되고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 AAC 기기 및 중재서비스에 대한 요구조사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소수의 연구밖에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내 AAC 서비스 지원이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더 적합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와의 개별 면담과 FGI를 통해 AAC 중재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포커스 그룹별로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여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제(AAC 중재 경험과 접근 장벽, 자녀에 대한 AAC 지원 요구: 생애주기별 AAC지원서비스에 대한 요구, 가족지원: 가족참여 AAC중재 서비스 요구,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달장애 가족 요구 중심의 AAC 중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안과 논의점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potential AAC users’ parents regarding AAC,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4 themes and 15 sub-them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ticipants. Main theme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AAC intervention and access barriers to AAC, (2) AAC support services according to the lifespan perspective on their children, (3) family supporting services to enhance parental involvement, (4) the establishment of AAC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ervice users. Overall, the experiences of AAC use were limited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accessability, and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AAC service system considering users’ demands were nee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학급에 배치된 장애학생 학부모가 인식하는 통합교육지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탐색

        손지영(Son, Jiyoung),임장현(Lim, Janghyu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지원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학교과정별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전국 초․중․고등학교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수합된 25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들은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업무 및 기타 행정적 지원, 학부모 상담, 교내외 프로그램 안내, 장애인식개선교육 등을 통합교육지원으로 가장 많이 지원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의 어려움에 대해 학부모들은 장애자녀의 진로와 비장애학생과의 관계 형성 측면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셋째, 통합교육지원을 위한 일반교사의 역할에 대해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장애학생 특성에 대한 이해, 특수교사와의 협력 등의 역할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과정 학부모들은 중등과정보다 수업시간의 학습 지도, 친구관계 형성, 행동문제 지원, 특수교사와 협력하는 역할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 진로교육 및 정보제공, 교직원 및 일반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교육 순으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초등과정학부모들은 교수학습지원, 행동문제 지원, 장애인식개선교육,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업무를 하는 특수교사의 역할에 대해 중등과정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일반학급에 전일제로 배치된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지원에 대한 고려점 및 제언이 제시되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and teacher roles as perceived by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placed full-time in general classroom. It furth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of perception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are assigned to general class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and the final survey data of 252 people were analyzed. Result: First, the analysis found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ceived the most support for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 work, parental counseling, and information provision. Second, parents responded most to the difficulty in terms of career paths and relationships with non-disabled students. Third, the role of general teachers was recognized as important to improve awareness of disabilitie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ope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urth,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recognized as high in terms of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disabilities. Parents generally perceived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s more important than in secondary schools.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considerations and suggestions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were presen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were placed full-time in general classrooms.

      • KCI등재

        일반논문 : 특수교육 교원평가에 대한 연구 경향: 2000~2015년에 발표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김주혜 ( Joohye Kim ),임장현 ( Janghyun L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1

        교원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문성 신장이라 할 수 있다. 특수교사는 일반교사와 비교하여교육대상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차별화되는 직무영역이 있으며, 근무지에 따라 다른 직무 수행이요구된다. 이에 전문성 향상이라는 교원평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적인 특성을반영한 교원평가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루어진 특수교육 교원평가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특수교육교원평가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특수교육교원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한편 해당 분야의 관심을 촉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이루어진 특수교육교원연구를 조사하여 9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은 1편의 질적연구를 제외한 8편의 논문은 설문조사를 실시한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특수교사가 대부분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는 교원성과상여금에 대한 인식,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교사평가문항 활용의 3가지로 분석되었으며,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결과 및 논의에 따르면 특수교육교원평가의 문제점으로는 평가 문항에 대한 부적합성과 평가과정의 비공정성 등이 지적되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특수교육교원의 근무지 특성을 고려한 특수교육교원평가 지표 개발 및 체제 구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특수교육교원평가와 관련한 연구 동향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regar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and provide the sugges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 present study reviewed 9 articles published since 2000 up to 2015 concer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Korea. It identified methods, participants, Research Subjects, results and suggest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and survey was mainly used, (2) most participant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most studies we have reviewed, was aimed at analyzing awareness of teacher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4)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has the low validity to evaluate the expertis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result of using this evaluation system, must be unfair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were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동향 분석: 2006~2019년까지 발표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이준화 ( Lee Junhwa ),임장현 ( Lim Jangh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한 국내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문제행동 중재 연구의 동향과 중재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 방향을 제시하고 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 제공함과 동시에 실제적인 적용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선정기준에 맞추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학술연구 정보 서비스인 RISS통합검색을 활용하여 2006년부터 2019년까지의 27편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연구들은 일반적 특성, 독립변인, 종속변인을 변인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의 성비는 대략 3(남):1(여)이었고,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 발달장애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수의 연구가 비연속적 지원체계(85.19%)를 적용하고, 단일환경(77.78%)에서 중재되었다. 셋째, 연속적 지원체계를 적용한 연구들은 사전사후설계와 단일대상연구설계를 혼용하였다. 비연속적 지원체계를 적용한 모든 연구가 단일대상연구의 방법으로 설계를 하였다. 넷째, 대다수의 연구가 중다요소중재를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였고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중재로 교수적 환경 수정, 대체행동 중재로 의사소통 기술 훈련, 후속결과 중재로 토큰강화가 주된 중재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소수의 연구가 중재 요소로 또래 참여, 자기 결정, 역할 및 기대 제시를 포함하였다. 다섯째, 27편의 모든 연구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외현적 문제행동을 표적행동으로 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 특성으로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의 중재, 외현적인 행동과 더불어 내재화된 행동에 대한 중재, 문제행동 중재에 또래 활용, 선호도 평가와 선호도를 고려한 중재, 자기결정 증진을 위한 중재, 사회적 역할 부여와 성취 경험을 주는 중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considered domestic prior studies related to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looking at trends of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by positive behavioral support, to provide basic data for research and to seek practical applications. For the thesis to be analyzed, 27 studies from 2006 to 2019, which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using the integrated search of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And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s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ex ratio of the study subjects was approximately 3 (male): 1 (female), and the disability type was in the order of intellectual disability, autistic disorder,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Second, a number of studies applied non-consecutive support systems (85.19%) and mediated in a single environment (77.78%). Third, studies applying the continuous support system mixed pre-design and single-objective design. All of the studies that applied the discontinuous support system were designed as a single subject study method. Fourth, most of the studies used multi-element interven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teaching environment modification through intervention of background events and prior events, training of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intervention of alternative actions, and Token reinforcement through intervention of follow-up results was applied as the main intervention method. In a small number of studies, peer participation, self-determination, role and expectations were presented as factors of intervention. Fifth, all studies in section 27 targeted the behavior of the external problem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분석

        김주혜,임장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teacher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inclusive school.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4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4 themes and 15 sub-them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ticipants. Main theme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and barriers, (2) ineffective teacher evaluation system (3) situation again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possible solution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Overall,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has the low validity to evaluate the expertis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inclusive school, and the result of using this evaluation system, must be unfair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were discussed.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관련한 계속된 논의에 따라 근무성적평가와 성과급평가, 2010년부터는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에서는 이러한 평가 기준과 내용 적절성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을 뿐 아니라 특수교육 내에서도 특수학급 교사의 근무상황과 업무의 내용이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는 다르게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평가가 특수학급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적절한 평가 요구에 보다 더 적합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를 평가하는 동료 교원의 개별 면담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특수학급 교사평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특수학급 교사 4명, 일반 교사 3명, 교장․교감 급 교원 4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포커스 그룹별로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고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4개의 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 평가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