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수산물 중 니트로빈의 정량분석법 개발 및 검증

        김주혜,신다솜,강희승,정지윤,이규식,Kim, Joohye,Shin, Dasom,Kang, Hui-Seung,Jeong, Jiyoon,Rhee, Gyu-Seek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 불검출 물질로 관리하고 있는 니트로빈(nitrovin)에 대해 고감도 정량 정성분석이 가능한 LC-MS/MS를 적용하여 적합한 분석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산물 시료는 아세토니트릴/물로 추출하고 아세토니트릴 포화 헥산으로 지방을 제거하여 고상추출 카트리지를 적용하여 정제하였다. 분석물질은 전기분무이온화방법의 positive mode에서 이온화하여 MRM 조건을 확립하여 분석하였다. 개선된 시험법은 CODEX CAC/GL-71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정량한계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정량한계는 0.001 mg/kg 수준이며, 정량한계를 포함하는 표준시료에서 얻어진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85 이상으로 시험법의 직선성이 유효함을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수산물(넙치, 장어 및 새우) 시료에 대한 니트로빈의 평균 회수율과 변동 계수는 72.1~122%, 2.9~16.9%로 확인되어 정확성 및 정밀성이 CODEX가이드라인에 부합하였다. 따라서, 개선된 니트로빈 정량분석법은 수산물 중 니트로빈을 분석하는데 적합하며, 니트로빈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실태조사에 활용되어 수산물 중 니트로빈의 안전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nsitive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nitrovin in fishery products by using a solid-phase extraction (SPE), as performed with a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he samples were extracted with a mixture of acetonitrile and water, and were then defatted with acetonitrile saturated hexane, after which further clean-up was accomplished with SPE on the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cartridges. The analytes were subsequently ionized in the positive mode of an electrospray ionization (ESI), and where thereby detected in a process of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The linearity (expressed a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matrix calibration curves was > 0.985. The limit of the quantification for the nitrovin was measured at 0.001 mg/kg. The accuracy (expressed as average recovery) was noted between 72.1 and 122%. The precision (expressed as coefficient variation) was noted from 2.9 to 16.9%. According to the CODEX CAC/GL-71 guideline accuracy, precision, linearity, and limit of detection were determined in three matrices (which were flatfish, eel and shrimp). The proposed method was suitable for analyzing the associated nitrovin residues. This application and result can also be a factor to contribute to the non-detection drugs management in fishery products.

      • KCI등재

        고속도로 화물차의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및 전용차로 효과 연구

        김주혜,이영인,KIM, Joohye,Lee, YoungIhn 한국ITS학회 2020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9 No.5

        화물차 군집주행이 화물교통량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는 가운데, 화물차 군집주행이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과 군집주행 전용차로 도입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교통량이 많고 화물차 혼입률이 높아질수록 화물차의 군집비율이 높아지고 최대 군집형성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군집주행으로 인한 평균속도 증가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진출입 등으로 대기행렬이 발생한 경우에는 평균속도 증가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우며 오히려 처리량이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므로 접속부의 용량 확보 등 접속도로와 연계된 교통운영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집 전용차로의 효과는 자율주행화물차 비율(MPR)이 100%가 되어 한 개 차로가 완전히 자율주행화물차만으로 운영될 경우에만 미 도입 시 보다 긍정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도로·교통 조건을 시나리오에 반영하여 군집주행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구간별, 시간대별로 군집주행 및 전용차로의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으며, 이는 향후 화물차 군집주행을 고려한 도로 운영전략 수립이나 관리에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nsidering the need for an infrastructure-level review,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ruck platooning on freeway traffic flow and the effect of dedicated lanes based on domestic road and traff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study, the higher traffic volume and truck ratio, the higher ratio of platoons and the greater size of platoons are formed, which results in greater effect of increasing the average speed of the network. Therefore, the routes with heavy traffic and heavy cargo traffic could be positively considered for truck platooning. Howeve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verage speed of the entire network is difficult to expect in the event of a queue due to entry and exit, and that the overall network's throughput could be reduced. Therefore, traffic operation strategies associated with the access road, such as securing capacity of the connection, are needed to maximize the effect of truck platooning. When it comes to the effect of dedicated lane, it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ly if one lane was fully operated by automated trucks under the condition of 100% MPR, which allowed positive effects in all aspects, such as higher average speed, throughput, and reduced conflict rates.

      • KCI등재

        일반논문 : 특수교육 교원평가에 대한 연구 경향: 2000~2015년에 발표된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김주혜 ( Joohye Kim ),임장현 ( Janghyun L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1

        교원평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문성 신장이라 할 수 있다. 특수교사는 일반교사와 비교하여교육대상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차별화되는 직무영역이 있으며, 근무지에 따라 다른 직무 수행이요구된다. 이에 전문성 향상이라는 교원평가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적인 특성을반영한 교원평가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루어진 특수교육 교원평가에 대한 연구를 분석하여 특수교육교원평가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한 특수교육교원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한편 해당 분야의 관심을 촉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이루어진 특수교육교원연구를 조사하여 9개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은 1편의 질적연구를 제외한 8편의 논문은 설문조사를 실시한 양적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특수교사가 대부분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는 교원성과상여금에 대한 인식,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 교사평가문항 활용의 3가지로 분석되었으며,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결과 및 논의에 따르면 특수교육교원평가의 문제점으로는 평가 문항에 대한 부적합성과 평가과정의 비공정성 등이 지적되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특수교육교원의 근무지 특성을 고려한 특수교육교원평가 지표 개발 및 체제 구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특수교육교원평가와 관련한 연구 동향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nds and Issues in Research regar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and provide the sugges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The present study reviewed 9 articles published since 2000 up to 2015 concer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Korea. It identified methods, participants, Research Subjects, results and suggest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1)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employed, and survey was mainly used, (2) most participants w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most studies we have reviewed, was aimed at analyzing awareness of teacher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4)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has the low validity to evaluate the expertis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the result of using this evaluation system, must be unfair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김주혜(Kim, Joohye),김희규(Kim, Heegyu),박찬영(Park, Chanyoung) 한국통합교육학회 2020 통합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근거로 실효성 있는 제도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의 유초중등 특수교사 80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 운영과 관련한 세부적인 방안과 학교과정별로 의견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교육 지원교사는 교육청 또는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배치하여 순회교육 형태로 지원하도록 하되 담당 학생 수를 1-3명으로 조정하여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일반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수업 시수도 최소화하는 한편, 적절한 처우와 보상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교육 지원교사 제도의 실효성 있는 운영을 위해서는 통합교육 지원교사의 역할이나 역할 수행을 위한 체제와 관련한 법적인 근거 마련, 지침과 매뉴얼 개발 등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 지원교사의 제도 운영 방안 및 이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for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laced in general class and to propose an operation plan of the system based on this. An online survey to examine the potential detailed pla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as well as the difference in opinions between various school curriculums, was carried out on 809 from preschoo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out the nation. The research revealed that whil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should be placed at the Office of Education 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provide support in an itinerant education form, they should be responsible for only between 1-3 students and have their class hours minimized. Moreover, it suggested that the relevant measures for the appropriate treatment and compensation will be required. Moreover, the need to prepare a structure and the relevant legal basis and develop a guideline and manual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s’ roles and role fulfillment was suggested for the realistic and effective oper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Based on the results, an operation plan for the inclusive education support teacher system and relevant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의 인지발달 및 학습을 위한 교육용 앱에 대한 사용성 평가 연구

        김주혜(Kim, Joohye),김희규(Kim, Heegyu) 한국자폐학회 2021 자폐성 장애연구 Vol.21 No.2

        장애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고, 학교 현장의 실제적인 수업 상황에서 특수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육용 앱과 프로그램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용 앱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용 앱을 개발하고 교육 현장에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평가의 대상이 되는 교육용 앱은 발달장애 학생의 인지발달 및 학습을 위한 두브레인 프로그램이며, 유저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용성 평가는 휴리스틱 평가를 채택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발달장애 학생을 교육하는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가는 설문조사와 포커스그룹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사용성 평가의 전체 평균 점수는 3.90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은 조직성 영역이고 가장 낮게 나타난 영역은 기능성 영역이었다. 포커스그룹면담에서는 문제 제시와 피드백, 차시와 난이도 조정, 반응 횟수와 시간, 활동 시작 등에 대한 선택 옵션, 인터페이스의 직관성 등과 관련하여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용 앱의 개발 및 개선 방향, 특수교육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o propose further research on optimal user-oriented educational app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evaluates the usability of an educational app, Dobrain, and closely considering its user interface. A heuristic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teach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3.90, the highest area was the organizational domain, and the lowest level was the functional domain. The focus group suggested improving the presentation and feedback, adjusting the duration and difficulty, option availability for numbers and reaction time, and activity start, among others. An intuitive interface was also reques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educational app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measures to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special education fields were discussed.

      • KCI등재

        LC-MS/MS 및 GC-MS/MS를 활용한 수산물 중 디아제팜의 정량분석법 개발

        신다솜,강희승,김주혜,정지윤,이규식,Shin, Dasom,Kang, Hui-Seung,Kim, Joohye,Jeong, Jiyoon,Rhee, Gyu-Seek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국내 생산 및 수입 양식 수산물에 대해 잔류할 수 있는 향정신성 의약품인 디아제팜 대한 안전관리강화기반을 위해 마련되었다. 중국인민공화국 국가 표준시험법(GB 29697-2013)을 기반으로 전처리 방법을 개선하여 GC-MS/MS 시험법을 확립하였으며, LC-MS/MS 방법과의 기기간 검증을 통해 확립된 시험법의 선택성, 정량한계 및 회수율에 대한 검증을 통해 디아제팜 시험법으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LC-MS/MS의 경우 아세토니트릴로 추출 후 PSA를 이용해 정제하였고, GC-MS/MS의 경우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후 $C_{18}$카트리지를 이용해 정제하였다. 디아제팜은 표준용액을 정량한계를 포함한 농도에 따라 검량선을 작성한 결과 두 기기 모두 $r^2$> 0.99 이상의 직선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에서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LC-MS/MS 및 GC-MS/MS 모두 0.0004 mg/kg, 0.001 mg/kg 수준이었으며, 평균 회수율은 각각 99.8~106%, 109~124%이었다. 또한, 분석오차는 모두 15% 이하로 정확성 및 재현성이 우수하였으며, CODEX 가이드라인 규정에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따라서 개발된 시험법은 안전한 수산물의 국내 유통과 잔류실태조사를 위해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quantification of diazepam residues in fishery products, using liquid and gas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d GC-MS/MS). The sample utilized in the study was extracted from the fish sample (crucian carp) using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For the utilization of the purification process, the dispersive solid phase extraction (dSPE) was used for LC-MS/MS, dSPE and SPE was used for GC-MS/MS, respectively. To be sure, the standard calibration curves showed a good linearity as the noted correlation coefficients, $r^2$ was > 0.99. The average recoveries for accuracy ranged in 99.8~124% for the samples which were fortified at three different levels (0.001, 0.002 and 0.010 mg/k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the precision effect was measured at a range of 4.01~11.8%. The limit of detection (LOD) for the diazepam analysis was 0.0004 mg/kg, and the limit of the quantification (LOQ) was 0.001 mg/kg.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was characterized with a high accuracy and acceptable sensitivity to meet the established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GL71-2009) guideline requirements. We therefore established the optimal analys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diazepam in the fishery products using LC-MS/MS and GC-MS/MS. It would be applicable to analyze the diazepam residues in fishery products in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 KCI등재

        지체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지체장애거점센터의 역할과 과제 탐색

        강혜경 ( Kang Haekyung ),김주혜 ( Kim Joohy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2019년 기준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의 약 11%를 차지하고 있는 지체장애학생들은 그 중 약 62%에 해당하는 학생이 일반학교 안에 있는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에서 교육받고 있으며 이러한 통합의 추세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 통합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경험을 통해 그 어려움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서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지원을 위한 지체장애거점센터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된 지체장애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 8명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5개의 주제와 2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주제는 통합교육의 어려움, 통합된 지체장애학생지원, 통합교육구성원의 역량 강화, 기관협력 및 연계, 기능적인 지체장애거점센터가 되기 위한 개선방향이다. 본 연구결과 지체장애학생 통합교육을 위한 지체장애거점센터의 역할과 과제로 첫째, 통합교육을 위한 교내 모든 교사와 부모들의 역량강화, 둘째, 전문가와 서비스들을 연결하는 코디네이터 역할, 셋째, 지체장애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서비스 제공, 넷째, 지역사회 내 독립적 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위상정립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in an inclusive education setting is rising and such a trend is expected to increase as well. In response to such a trend, the study examines what roles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play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further explores the challenges such centers currently face to support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o do so,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currently work in inclusion classrooms. Their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5 major themes and 21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The major themes are 1)the difficulties in ensuring qualitative inclusive education, 2)the support plan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inclusion classrooms, 3)strengthening the expertise of all the stakeholders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4) stronger cooperation and networks amongst related organizations, and 5) areas of improvement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Based on such results, the roles and challenges th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an be concluded as below: 1)to empower teachers and parents, 2)to coordinate and build the bridge between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service providers, 3) to provide better-individualized education services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4)to work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in the community.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 수준 인식

        김주혜,김정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인식 차이와 교사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여 통합교육 지원 역할과 관련한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290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 지원 역할의 중요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 수준 인식의 차이는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교사변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교육 지원 역할 실행 수준은 중요도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중요도에 있어서는 교육경력과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 교육과정 지원과 사회적 관계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과정 별로는 전체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합교육 지원 실행에서는 교육경력과 연수시간에 따라 전체 통합교육 지원과 통합교육 운영 및 관리 지원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교과정별로는 교육과정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논의: 성공적이고 질적인 통합교육을 위하여 1)특수교사의 통합지원에 대한 역할 인식의 중요성, 2)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전문성 강화, 3)학교과정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과 관련한 개선방향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specific guidances for the role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special class teachers for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ir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90 special class teacher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role and their performance level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that the teachers acknowledged and performance that they actually conducted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were tested by the t-test.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variables,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Results: The level of performance of special class teacher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at of importance as they acknowledged. In terms of importa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pporting curriculum and social rela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education or inclusive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all areas by the school level. In performance of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inclusive education support, and inclusive educa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support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 and job training hou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supporting the curriculum by the school level as well. Conclusion: 1) the importance of role recognition for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2)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experts, and 3) particular approach reflecting the specific context of each school level, were discussed.

      • KCI등재

        특수학급 교사 평가에 대한 교원의 인식분석

        김주혜,임장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teachers regard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inclusive school.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4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4 themes and 15 sub-them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ticipants. Main theme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and barriers, (2) ineffective teacher evaluation system (3) situation again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possible solution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Overall, the current teacher evaluation system has the low validity to evaluate the expertise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inclusive school, and the result of using this evaluation system, must be unfair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evaluation system were discussed. 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관련한 계속된 논의에 따라 근무성적평가와 성과급평가, 2010년부터는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교육에서는 이러한 평가 기준과 내용 적절성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을 뿐 아니라 특수교육 내에서도 특수학급 교사의 근무상황과 업무의 내용이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와는 다르게 적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평가가 특수학급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적절한 평가 요구에 보다 더 적합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를 평가하는 동료 교원의 개별 면담과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특수학급 교사평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특수학급 교사 4명, 일반 교사 3명, 교장․교감 급 교원 4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포커스 그룹별로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고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4개의 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특수학급 교사 평가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과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