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잘못된 신념을 통한 유아의 정신이론 이해와 가장놀이와의 관계

        임은숙,최석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both the type of play behavior and the pretend ability, and the theory of mind understanding especially through false belief understanding. Subjects were 60 4-, 5- year old children. Observation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e results was comput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ath Analysis. In case of the 5-year-old childr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 pretend play and their false belief understanding was existed but the 4-year-old children's false belief understanding was not related with the level of preten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false belief understanding and pretend play, there was positive especially among the 5-years-old children while it was negative among the 4-years-old children. Pretense ability affects pretend play and further pretend play influences the child's false belief understanding respectively. 본 논문은 유아의 사회인지 발달의 이정표라 할 수 있는 정신 이해와 우리 나라 4, 5세 유아의 정신 이해와 가작화 능력 및 가장놀이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4세와 5세 유아 각각 30명을 대상으로 가장놀이의 유형을 조사하였으며 가작화 능력측정 및 잘못된 신념과제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 Program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t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 5세 유아의 정신 이해는 가작화 능력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4, 5세 유아의 가작화 능력은 가장놀이로, 그리고 가장놀이는 정신 이해의 경로를 통해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

        포어 동사 ir와 장소 전치사구: 보충어-부가어 구별을 중심으로

        임은숙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6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3 No.1

        The Portuguese verb ir ‘to go’ may be used with locative phrases headed by, at least, four different prepositions: a, até, em and para.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distinguish the functions of the prepositions used with ir, in terms of semantic and syntactic properties. However, there is not a satisfactory analysis that could explain them systematically. Adopting Chae’s(2000) typological approach, we analyzed locative prepositional phrases in terms of complements vs. adjuncts according to semantic functions. The outcome is a systematic distinction of the phrases into two categories: while a and em phrases are analyzed as complements with the meaning GOAL, para phrases as adjuncts with the meaning DIRECTION. In other words, a and em phrases are complements that the verb ir requires, and para and other prepositional phrases are adjuncts, which can be used not only with motion verbs but also with other types of verbs.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a reconsideration of two points in the prescriptive grammar. Firstly, we propose that em should also be allowed to be used with ir, because em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a. Secondly, we propos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a and para in terms of shorter and longer duration of stay should be abandoned. Entre verbos de movimento, o verbo ir, especificamente, é usado com mais de quatro preposições diferentes nos sintagmas locativos: a, até, em e para. Muitos estudos tentaram distinguir o uso de preposições com ir em termos de propriedades semânticas e sintáticas. Mas ainda não há análise satisfatória nem teoria que possa explicar sistematicamente o fenômeno. Adotando a abordagem tipológica de Chae(2000), analisamos os sintagmas preposicionais locativos e pudemos distinguir as preposições em termos de complementos vs. adjuntos. O resultado foi a distinção sistemática dos sintagmas em duas categorias: os sintagmas encabeçados por a ou em são analisados como complementos indicando “meta” (GOAL), enquanto os encabeçados por para foram classificados como adjuntos com o significado indicando DIREÇÃO. Em outras palavras, os sintagmas com a e em são complementos que o ir necessita, e os com para ou outras preposições são adjuntos, que podem ser usados junto com outros verbos de movimento também. Baseando-se nessa análise, propomos a reconsideração de dois pontos na gramática prescritiva. Em primeiro lugar, propomos que o uso de em junto com ir deve ser reconhecido porque em exerce a mesma função que a. Em segundo lugar, propomos que a distinção entre a e para em termos de curta e longa permanência deve ser abandonada.

      • KCI등재

        초등 4학년 학생들의 부모행복감이 자녀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은숙,정민자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 행복감이 자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아동과 부모 2,20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R통계분석 프로그램과 Lavaan 패키지를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부모가 느끼는 행복감은 자녀의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으며, 부모의 행복감은 부모양육태도 중 따스함과 자율성 지지의 양육태도를 거쳐서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모와 자녀의 행복감의 정서가 세대간 이전되고 있고, 자녀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부모의 행복감이 선행되어야 하며, 부모가 따스하고 애정어린 태도로 자녀의 선택을 존중해 준다면 자녀는 심리적 안정감과 함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이룰 수 있다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교육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고, 부모의 따스함과 자율성지지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중요한 변인임을 재검증하였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al happiness on children's happiness in 4th grade children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s the research subjects, 2,2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grade and their parents were selected as a panel using data from the fourth year of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statistical package and programs such as Lavaan were used for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happiness and children's happiness have a significant direc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arents' happiness on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happiness, warmth, autonomy support, and structure provision among parenting attitudes form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happiness whereas inconsistency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not only does parental happiness directly affect children's happiness, but it also shows the path leading to children's happiness through warmth and autonomy support.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al happiness should be preceded in order to increase children's happiness and that when children's choices are respected with a warm and affectionate attitude to improve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can be achiev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al attitudes of parenting should be checked during the period when their children are in their early puberty, and autonomy to respect their children, affectionate mind, and consistent parenting attitude should be educa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대안학교 중등 장애 고위험군 학생의 학교적응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

        임은숙,황복선 한국행동분석학회 2019 행동분석․지원연구 Vol.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 connected with teaching desirable expected behaviors in all school environments on School Adaptive Behavior chan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t-risk in an alternative school. Two students at-risk in age range from 13 to 14 years who were enrolled in a metropolitan-area alternative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dividual growth documents and teacher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extracting and categorizing appropriate contents on School Adaptive Behavior changes. In addition, pretest-posttest data on participants' School Adaptive Behavior scores were compared using a school adaptive behavior scale developed by Lee and Kim(2008).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wo participants at risk in the alternative school were changed positively their School Adaptive Behaviors(i.e., school study behavior,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school life adjustment)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s which were consisted of teaching appropriate behaviors according to expected behaviors, changing the school environment desirably, and proving the reinforcement on students' behaviors. Based on these findings, to promote ideally School Adaptive Behavior chang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t risk in the alternative school, I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 components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내 모든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기대행동들을 교수하는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대안학교 중등 장애 고위험군 학생의 학교적응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학생은 수도권에 소재한 대안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명의 13세에서 14세 사이의 장애 고위험군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개인성장기록부와 교사면담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학교적응행동 변화에 해당하는 내용을 추출․범주화하여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이규미․김명식(2008)이 개발한 학교적응행동 검사를 사용하여 학교생활 적응수준을 사전-사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질적․양적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기대행동에 따른 규칙행동을 교수하고 환경을 변화시키며 강화를 제공하였던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은 2명의 대상학생 학교적응행동(예: 학교공부기술, 학교친구 및 교사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을 전반적으로 변화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안학교 중등 장애 고위험군 학생의 학교적응행동 변화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