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소명의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임여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21 아동과 권리 Vol.25 No.4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care teachers’ calling, care-giving practices related to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and emotional support, and attempts to determine whether emotional support moderates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calling on care-giving practices in relation to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involving 376 childcare teachers was utilized. Correlations and moderator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Childcare teachers’ calling and emotion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practices with regard to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Emotional Support from fellow teacher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calling and care-giving practices in relation to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create a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for the practi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by revealing that the emotion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differs depending on the level of calling by childcare teachers’. 연구목적:이연구는보육교사의소명의식과영유아권리존중보육실행의관계에서동료교 사로부터받은 정서적지지의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목적이있다. 방법: 서울및 수도권소재 어린이집보육교사 376명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한 후, SPSS21.0통계프로그램으로빈도분석,기술통계,상관분석과조절회귀분석을실시하였다. 결과:보육교사의소명의식과동료교사로부터의정서적지지는영유아권리존중보육실행과 정적상관이있으며,정서적지지는보육교사의소명의식과영유아권리존중보육실행의관 계에서조절효과를나타냈다.구체적으로보육교사의소명의식은대체적으로영유아권리존 중보육실행을높여주는방향으로영향을미치나동료교사의정서적지지수준에따라정도 의크기에 차이가나타났다. 결론:본연구의결과는보육교사의영유아권리존중보육실행에서보육교사의소명의식수준 에따라동료교사의정서적지지가미치는영향이다름을밝혀냄으로써영유아권리존중보육실 행을위해 바람직한조직문화조성을 위한노력이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Serum-Free Medium에서 배양한 한우 배의 내동성과 이식

        임여정,김진희,송해범,정연길 韓國受精卵移植學會 2004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19 No.2

        난자의 체외성숙 및 체외배양에는 일반적으로 동물의 혈청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채취한 소의 상태에 따라서 혈청의 질에 차이가 있어 실험데이터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고, 그것으로부터 바이러스, 세균, 마이코플라즈마 등에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완전 무 혈청 배양액에서 난자의 성숙, 배 발생율, 세포 수, 동결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근래 혈청배지로 생산한 체외 배양 수정란은 과체중의 산자 생산, 초기 산자 사망률, caesa Serum-contain is commoly used for the production of in vitro-derived bovine embryos. However, were biological activity of serum varies from lot to lot, time consuming to choose better serum with good quality and risks of virus, bacteria and mycoplasma infection. This study established serum-free culture systems of in vitro embryo development to efficiently obtain a large number of blastocysts from ovaries of Hanwoo and oocytes maturation, cell number, tlerance of cryopreservation. Secondly, serum-contain medium is suspected of contributing to the large calf size, dystocia, cersarean sections, calf mortality and confirmed these blastocysts are high quality in terms of cyotolerance, high rates of pregancy and normal birth. For these reasons, Culture media (IVMD101 and IVD101)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preimplantation bovine embryo are rather simplistic, being based on salt solutions with additional energy substrates and growth factors. An improved serum-free medium (IVMD101) was developed for bovine oocytes maturation in vitro. Proportions of embryos developing to the blastocyst stage cultured in both IVD101(32.4%) and IVD101(34.5%) serum-free media were higher than in TCM199+10% FBS(12.4%) serumcontaining medium. Futhermore, the cell numbers per blastosyst obtained in the serum-free media were superior to those of blastocysts developed in serum-supplemented medium. Also, cell numbers of blastocysts obtained in the serum-free media were similar with blastocysts derived in vivo. Survival rate blastocysts after 24 hr incubation after thawing, the blastocysts cultured in both IVD101(94.5%) and IVD101(95.8%) serum-free media were higher than in TCM199+10% FBS (52.5%) serum-containing medium. After 72 hr incubation after thawing, hatching rates of blastocysts developed in IVD101(78.4%) and IVMD101(83.7%) were sighnificantly higher than that developed in the serum-supplemented medium(32.0%). The pregnancy rates almost not different between fresh blastocysts(38.2%) and frozen blastocysts(34.9%).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mproved serum-free media(IVMD101 and IVD101) offer several advantages over culture in serum-cotaining medium, including increased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nd high cel numbers. Additionally, the survival and hatching rates of embryos product in serum-free media after post-thaw culture were superior to those of embryos produced in the serum-containg medium and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bovine embryos for cryo-preservation. These improved serum-free media are beneficial not only for the study of the mechanisms of early embryogenesis but also for mass production of good quality embryos for embryo transfer, cloning and transgenesis.

      • 한우의 개체별 체외수정란 생산

        임여정,정연길,석상현,박성백,송해범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 한국발생생물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03 No.1

        최근, 한우의 수정란 체외이식두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나, 모축의 등록번호를 대부분 확인 할 수 없으며, 확인이 가능할지라도 개체별 수정란의 생산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모축의 등록번호가 확인된 개체의 난소로부터 채취한 난포란만을 체외성숙, 수정, 배양하여 배 발생율을 조사하고, 동결성적을 조사하였다. 도축된 한우의 난소를 개체별로 채취하여 2생리식염수에 넣어 3시간 이내에 실험실로 운반하고, 난포란을 채취하였다 개체별로 채취한

      • KCI등재
      • KCI등재

        사물 위치에 따른 3, 4, 5세 유아의 공간 대응

        임여정 ( Lim Yoe Jeong ),오지은 ( Oh Jee Eun ),이순형 ( Yi Soon Hyu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3

        본 연구는 유아의 공간 대응에 대한 이해가 사물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이러한 차이가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형방과 이를 나타내는 그림 지도를 연구 도구로 하여, 두 공간에서 중앙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로 동일한 사물을 배치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126명이었고,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그림지도와 인형방에 있는 사물의 위치를 대응시켜 인형방에 숨겨진 고양이 인형을 찾아야 하는 공간 대응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세 이후 유아는 참조 공간과 공간 표상물에 있는 사물을 동일한 위치에 성공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었으며, 3세 유아도 공간 대응의 기초적인 이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의 공간 대응은 수직/수평의 위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유아의 공간 대응은 상하, 좌우 위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유아는 ‘상’보다는 ‘하’, ‘우’보다는 ‘좌’에 위치한 사물에 대한 공간 대응을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mapping of the young children based on the location of objects, and reveal whether these differences do change with age. In order to do so, we placed 4 identical objects above, below, to the right of, and to the left of a central reference point and created a search task using picture map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6 young children 3, 4, and 5 years of age and the subjects`` task was to read the provided picture map, pick up the object from the location indicated on the map, then pick out the same location on the picture ma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of 4 years or older were able to successfully place the objects from the reference space and the picture maps on the same locations, and children of 3 years showed basic spatial understanding. Second, young children``s spatial mapp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ther the locations were vertical or horizontal. Third, the spatial mapping of young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whether the location was above, below, to the right of, or to the lef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young children showed a better understanding of spatial mapping when the objects were located below or to the lef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as opposed to above or to the right of the central reference point respectivel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문화역량의 매개효과

        임여정 ( Yoejeong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은 교육과정운영과 연계하여 유아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 창의성 간 관계에서 문화역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23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 창의성, 문화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서 문화역량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 문화역량이 연계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3 prospective infant teacher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creativity, and cultural competence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cultural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at cultural competencie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prospective infant teachers.

      • KCI등재

        문화역량과 문화예술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임여정 ( Yoejeong L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문화역량과 문화예술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7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화역량과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은 문화예술활동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문화역량은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문화역량의 하위요인 중 상상력, 표현력, 관심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문화역량 및 문화예술활동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ulture competence and arts activitie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reativity. The subjects were 27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ound Seoul, Gyeo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is main result of the study were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e competence and creativ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rts activiti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e competence and creativity. Thir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e competence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reativi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ulture competence, arts activities is important to increase their creativity.

      • KCI등재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환경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임여정 ( Lim¸ Yoej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환경(원장과의 관계, 동료교사와의 관계, 복지환경, 교사전문성 지원, 운영 및 의사결정)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과 중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환경 및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 간에는 각 변인들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서는 소명의식과 교사 전문성 지원, 동료와의 관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직무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을 높이기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alling and job environment on care-giving practice in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For this purpose, 388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 were investigated by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such as calling, job environment, and care-giving in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was disclosed. Second, as for care-giving in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it was shown that childcare teacher’s calling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ive variable. Furthermore, calling, the suppor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relationship with colleague showed their influence as for care-giving in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solid understanding on calling and job environment of childcar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prepare the support plan for the childcare teacher to enhance the care-giving in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