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봉와직염으로 오인된 슬개건내 결절성 통풍

        임세혁(Se-Hyuk Im),양보규(Bo-Kyu Yang),남석우(Seok-Woo Nam),정현석(Hyun-Seok Chung),이승림(Seung-Rim Yi),안영준(Young-Joon Ahn),김성완(Seong-Wan Kim),이예현(Ye-Hyu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4

        통풍은 관절의 급성 또는 만성 통증을 일으키는 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요산 나트륨의 결정이 관절 주위 및 연부조직에 침착되어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에 결정적인 요산 결절은 주로 족무지의 중족 족지 관절에서 시작되며 그 외에도 족근관절, 수근관절 등에도 침착 가능하다. 하지만 슬개건 내에 발생한 결절성 통풍에 대하여 국내에 보고된 경우는 없으며, 저자들은 봉와직염으로 생각하고 며칠 간 항생제 치료를 시행한 뒤 증상의 호전이 없던 환자에 대해 자기 공명 영상 검사 후 슬개건 내에 자리잡은 낭종성 병변을 절개를 통해 육안적으로 통풍 결절을 관찰, 병리검사에서 확진한 경우를 증례보고하고자 한다. Gout is characterized by recurrent attacks of arthralgia, and deposition of monosodium urate crystals in and around the joints of the extremities and soft tissues. Monosodium urate crystals are observed most frequently at the 1st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usually presented in the ankle and wrist joint. However, no case of an intratendinous tophus in the patellar tendon has been reported in Korean literature. In this report, we found monosodium urate crystals in the patellar tendon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mages and intratendinous tophus were visible to the naked eye by excision. We reported on the case of a patient who experienced an unusual intratendinous tophus in the patellar tendon.

      • KCI등재
      • KCI등재

        표층 내측 측부 인대 및 후방 사인대의 대퇴 부착부 위치 결정을 위한 주변 구조물을 이용한 측정 방법

        안영준(Young Joon Ahn),임세혁(Se Hyuk Im),양보규(Bo Kyu Yang),이승림(Seung Rim Yi),이예현(Ye Hyun Lee),권지은(Jieun Kwon),김해민(Hae Min Kim),이민호(Min Ho Lee),박상현(Sang H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3

        목적: 슬관절 내측 재건술 시 중요한 해부학적 위치 결정을 위해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 부착단에서 표층 내측 측부 인대와 후방 사인대 대퇴 부착부 사이 거리를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200예의 슬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에 대해 후향적 계측을 시행하였다. 시상면에 표층 내측 측부 인대 및 후방 사인대 대퇴 부착부 경계를 표시 후 크기를 측정하였다.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 부착단을 확인 후 각각 두 인대의 대퇴 부착부 중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결과: 부착부 평균 크기는 표층 내측 측부 인대 수직 13.5±1.7 mm, 수평 10.9±0.3 mm, 후방 사인대 수직 9.4±1.3 mm, 수평 6.1±0.5 mm였다.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에서 표층 내측 측부 부착부의 중심까지의 직선거리는 각각 17.1±3.8 mm, 15.9±3.2 mm였고 후방 사인대 부착부의 중심까지의 직선거리는 각각 11.9±2.9 mm, 8.2±2.7 mm로 측정되었다. 결론: 슬관절 내측 구조물 재건 시 골 구조물을 촉지하기 힘들 때 대 내전근 건과 내측 비복근 건의 부착단을 확인하고 이들을 기준으로 표층 내측 측부 인대와 후방 사인대의 대퇴 부착부 위치를 정하고자 할 때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Anatomical medial knee reconstruction is crucial to the recovery of the knee joint. Our purpose i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femoral insertion of the superficial medial collateral ligament (sMCL) and posterior oblique ligament (POL) from the attachment site of the adductor magnus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with MRI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00 knee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sults were retrospectively measured. The boundary of femoral insertion of sMCL and POL was marked and measured on the sagittal image. The attachment site of the adductor magnus tendon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was identified. The lineal, anterior-posterior and proximal-distal distances were measured from the attachment site to the center of the femoral insertion of sMCL and POL. Results: The average size of sMCL and POL was as follows—sMCL: length of 13.5±1.7 mm, width of 10.9±0.3 mm and POL: length of 9.4±1.3 mm, width of 6.1±0.5 mm. The lineal distances from the insertion of the adductor magnus tendon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to the center of the sMCL and POL were measured—distances to the sMCL: 17.1±3.8 mm, 15.9±3.2 mm; distances to the POL: 11.9±2.9 mm, 8.2±2.7 mm.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femoral attachment site of sMCL and POL by identifying the attachment section of the adductor magnus tendon and medial gastrocnemius tendon. Moreover, this study will guide the reconstruction of sMCL and POL when palpation of the bony structures become difficult.

      • KCI등재

        폐쇄성 급성 주관절 후방 탈구에서 발생한 급성 상완근 파열 및 혈종

        정홍준 ( Hong Jun Jung ),임세혁 ( Se Hyuk Im ),남석우 ( Seok Woo Nam ),김현세 ( Hyun See Kim ),양성욱 ( Sung Wook Yang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4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2 No.1

        This repor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 rare case that brachialis tear and hematoma caused by acute elbow posterior dislocation. We studied a 20-year-old male patient with right elbow joint pain after outstretched injury. Physical examination showed instability of hright elbow joint and simple radiography indicated a posterolateral dislocation of right elbow joint. Computed tomography taken after closed reduction using Parvin technique revealed a few small bone fragment located on posterior humerus capitulum. Magnetic resonance imaging showed complete tear of brachialis and anterior articular capsule with hematoma. The patient was managed with long arm splint and hinge brace for an elbow dislocation with brachialis rupture and hematoma. The elbow joint range of motion was recovered to be in a normal range, and pain was diminished. There are few reported cases of acute elbow posterior dislocation combined with brachialis rupture and hematoma. The patient showed good clinical outcome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슬관절의 과굴곡 상태에서 좌상 후 발생한 급성 슬개골하 지방괴의 분리 손상

        이승림(Seung Rim Yi),임세혁(Se Hyuk Im),조의환(Eui Hwa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4

        슬개골하 지방괴는 슬관절 전방 부위에 위치한 세 가지의 지방괴 중 하나로 슬개골하 지방괴의 손상이 비교적 흔하며, 원인은 주로 수술에 인한 의인성 손상 및 충돌 등에 의한 반복적인 미세 외상 등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국내 및 국외에 보고된 적이 없는 슬관절의 과굴곡 상태로 전면부에 좌상을 입은 후 발생한 슬개골하 지방괴의 급성 분리 손상을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확인하였고, 이를 보존적으로 치료하여 완치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infrapatellar fat pad (IPFP) is one of three fat pads located about the anterior knee. Injury in this region is relatively common. Damage to the IPFP is caused mostly by an iatrogenic injury from a surgical procedure or repeated small collision trauma. The authors experienced a case of an IPFP injury, that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domestic or international literature. In this case, acute IPFP separation followed by a contusion at the anterior aspect of knee in the kneeling position, confirmed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e patient was fully recover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 KCI등재

        전체 대퇴골에 발생한 골괴사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이승림(Seung Rim Yi),임세혁(Se Hyuk Im),박상훈(Sang Hoo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3

        무혈성 골괴사는 골조직 및 골수 조직의 허혈성 상태로 인한 괴사로 정의될 수 있으며, 외상성 및 비외상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혈성 골괴사는 대퇴골 골두, 상완골 골두와 같이 장골의 골단 부위에서 주로 발생한다. 기존의 무혈성 골괴사는 대부분 대퇴골 골두에 한정된 증례에 대한 보고 및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근위 대퇴골의 무혈성 괴사의 존재는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이후 생물학적 고정 실패의 원인이 된다. 본 저자들은 대퇴골 골두로부터 대퇴골 경부, 간단부 간부 및 원위부에 이르는 골수강내 부위의 대퇴골 전 영역의 무혈성 골괴사가 관찰된 56세 남자 환자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고 2년 추시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Avascular necrosis (AVN) is defined as the cellular death of bone and bone marrow components due to the loss of blood supply, and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or non-traumatic events. AVN usually involves the epiphysis of a long bone, such as the femoral and humeral heads, which are susceptible to osteonecrosi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ut they were restricted to investigations of femoral head avascular necrosis. The presence of osteonecrosis in the proximal femur may impair biological fixation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We report a 56-year-old male patient with avascular necrosis located not only at the femoral head, but also in the entire femur, including the medullary cavity, who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2 years earlier along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과 소 절개 봉합술의 비교

        박지강,박경진,김용민,김동수,최의성,손현철,조병기,임세혁,Park, Ji-Kang,Park, Kyoung-Jin,Kim, Yong-Min,Kim, Dong-Soo,Choi, Eui-Sung,Shon, Hyun-Chul,Cho, Byung-Ki,Im, Se-Hyuk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9 No.1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이 확인된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3예에서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21예에서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연령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50.4세,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56.7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24.1개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26.1개월이었다. 양 군의 결과를 견관절 운동범위, VAS (Visual Analogue Scale), ASE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A) 점수를 비교했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에서 소파열이 2예, 중파열이 10예, 대파열이 11예였으며,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에서는 각각 1예, 8예, 12예 였다. 평균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은 3.8 cm이었고, 소 절개 봉합술군이 4.2 cm이었다. 최종 추시 시에 양 군에서 동통과 기능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양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양 군의 견관절 운동범위 (p=0.7493), VAS (p=0.9677), ASES (p=0.8032), UCLA (p=0.2289) 점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최종 추시 시 임상 결과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절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결과가 좋지 않았다. 회전근 개 전층파열에서 관절경적 봉합술군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 간에 임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urpose: To compare the outcome of patients who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using all-arthroscopic mini-open repair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4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arthroscopic (group I) or mini-open (group II) rotator cuff repair. 23 patients underwent an arthroscopic repair and 21 patients had a mini-open repair. The mean age was 50.4 years in the arthroscopic group and 56.7 years in the mini-open group. The outcomes for the 2 groups were evaluated using ROM, VAS, ASES, UCLA scal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rrelations, T-test, Paired T-test. The mean follow-up period in the arthroscopic and mini-open groups were 24.1months and 26.1months, respectively. Results: The group I (arthroscopic group) had 2 small-sized tears, 10 medium sized tears, and 11 large sized tears (3~5 cm). The group II (mini-open group) had 1 small sized tears, 8 medium sized tears, and 12 large sized tears. The mean cuff tear size of the group I and Group II were 3.8 cm and 4.2 cm, respectively. At last follow-up periods, ROM and functional scores were improved. In the group I and group I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VAS, ASES, UCLA score. Conclusion: The size of the tear did not produce different results at arthroscopic repair group but larger tear size was associated with a worse outcome in mini-ope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arthroscopic and mini-open group.

      • KCI등재

        젊은 남성에서 팔씨름에 의해 발생한 상완골 간부 골절

        이승림 ( Seung Rim Yi ),권지은 ( Jieun Kwon ),이예현 ( Ye Hyun Lee ),양보규 ( Bo Kyu Yang ),안영준 ( Young Joon Ahn ),임세혁 ( Se Hyuk Im ),조준희 ( Joon Hee Cho ),박상훈 ( Sang Hoon Park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7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5 No.3

        Humeral shaft fracture sustaining arm wrestling is rare, but occurs intermittently. We treated 15 cases of humeral shaft spiral fractures occurred during arm wrestling for fun since 2007. Average age was 22.47±2.69 years, average body mass index was 22.67±2.06 kg/m<sup>2</sup>. There was no prominent tendency for the fractures to occur at a certain phase of the match. Fractured level and length of each case were measured in the plain radiographs and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reports. Eight cases (53.3%) had an associating medial butterfly fragment, and the time taken until the fracture occurred was longer than that of simple spiral fracture (15.62±9.03 seconds vs. 7.85±2.67 seconds, p=0.048). Fractures were distributed mid to distal one third of humerus, the length of fracture was 7.93±2.69 cm and involved 25.43%±8.24% of humeral length. All cases except one treated surgically using plate and screws and returned their full activities within postoperative 3 months. Although arm wrestling is a simple and joyful sport, participants should be aware of the risks of injury during arm wrestling, especially for the amateur p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