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경험 연구

        유길현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경험 연구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2년 동안의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 공연의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연구대상은 총 5개의 공연을 선정하여 협업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대상자들을 선정할 때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들의 협업 공연에 참여한 사람들 중 연출가 및 무대 스텝과 공연 스텝들을 제외한 공연예술가 12명, 스트릿 댄서 8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응답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 전 인식과 동기를 분석한 결과로 공연예술가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는 협업 전 스트릿 댄스에 대한 인식을 자유로운 이미지, 배워보고 싶은 장르로서 하고 있음이 분석되었고, 같이 작품을 하려고 했던 이유로는 작품의 다양화, 선배의 권유로 분석되었다. 스트릿 댄서를 대상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인식은 상관관계가 없는 분야, 호기심으로 분석되었고, 같이 작품을 하려고 했던 이유로는 예술의 확장, 스트릿 댄스의 전파로 분석되었다. 둘째, 협업 과정을 통해 느끼는 생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로 공연예술가를 대상으로 연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르적 특성에 따른 불편함에 대해 장르적 특성의 차이, 연습시간 조율로 분석할 수 있었고, 스트릿 댄서를 대상으로 질문했을 때는 장르적 특성에 차이로 분석할 수 있었다. 셋째, 협업 경험을 통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로 공연예술가를 대상으로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장점에 대해 움직임의 시너지, 표현의 다양성으로 분석했고,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단점에 대해 장르적 조화를 이루기 힘듦, 연습시간 부족으로 분석되었으며, 협업 후 스트릿 댄스의 인식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의 지속, 확장 가능성으로서의 인식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마지막으로 향후 스트릿 댄서와 작업 할 상황이 다시 생긴다면 할 의사가 있는가에 대해 상황과 여건이 맞을 때, 협업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시너지로 분석할 수 있었다. 스트릿 댄서를 대상으로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장점에 대해 예술의 확장으로 분석할 수 있었고, 공연예술가들과 같이 작품을 하고 나서 느꼈던 단점에 대해 장르적 조화를 이루기 힘듦으로 분석하였으며, 협업 후 공연예술의 인식에 대해 확장 가능성으로서의 인식으로 분석했고, 끝으로 향후 공연예술가와 작업 할 상황이 다시 생긴다면 할 의사가 있는가에 대해 협업을 통해 얻게 되는 다양한 시너지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해서 어떤 경험을 했고, 어떻게 인식을 했으며, 또 그 인식들이 협업 경험 이후에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이제는 대표적인 공연예술 장르로 인식되고 있는 스트릿 댄스의 협업과 관련한 기초자료와 그에 관한 근거들로 제시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스트릿 댄스가 공연예술 안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르로서 발돋움하며, 스트릿 댄서와 공연예술가의 협업에 관한 후속 연구의 기반으로 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laboration experience between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To accomplish such purpose, collaborative performances of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in the past two years in 2018 to 2019 have been studied. Four performances have been selected as research target and intensiv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on collaboration participants. When selecting interviewees for the intensive interview, total 21 participants including 13 performing artists and 8 street dancers were selected from collaboration participants except producers and stage and performance staff. The responses of research participa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awareness and motivation before collaboration, interviews of performing artists revealed that they recognize street dance as liberal and genre that they wish to learn. The reasons that they want to collaborate are diversified works and recommendation of seniors. Awareness of street dancers to performing arts include curiosity about a field without correlation, and the reasons that they want to collaborate are due to expansion of arts and dissemination of street dance. Second, when the gaps in ideas from collaboration process were analyzed, performing artists felt difficulty from characteristics of genres from practice because of gaps in characteristics of genres and scheduling for practice while street dancers felt gaps in characteristics of genres. Third, when the awareness from collaboration experience was analyzed, performing artists discovered advantages such as synergy in movements and diversified expressions, and disadvantages such as difficulty in creating harmony in genres and lack of time to practice. After collaboration, they recognized continued positive image and expandability of street dance. Lastly, when asked about intentions to collaborate again with street dancers, they pointed out proper situation and conditions, and diverse synergy from collaboration. The advantages felt from collaborating with street dancers could be analyzed into expansion of arts, and disadvantage from collaborating with performing artists was difficulty to reach harmony in genres. After collaboration, they recognized performing arts as expandability. Lastly, when asked about intentions to collaborate again with performing artists, they pointed out diverse synergy from collaboration.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collaboration experiences and awareness of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and how such awareness changed after the collaboration experience. Moreover, these may prove collaboration with street dance, which is now recogniz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s genres, along with basic materials. This study expects to provide basis for follow-up researches on collaboration between street dancers and performing artists and that street dance steps up as a genre that creates positive effects in performing arts field based on the findings.

      • 새로운 예술 형식으로서의 컴퓨터 게임 연구

        최지범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논문은 컴퓨터 게임에 내재된 다양한 예술적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새로운 예술 형식을 탐구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현재까지의 게임의 역사에서 컴퓨터 게임만큼 예술과의 간극이 좁혀진 경우는 흔치 않다. 현재의 컴퓨터 게임 문화는 다분히 미학적인 것에 대한 관심 속에서 형성되고 있다. 미학적인 것에 대한 관심이란 비단 미적 관심뿐만 아니라, 자기표현과 소통, 그리고 이를 위한 수사학적 장치에 대한 관심도 포함한다. 컴퓨터 게임이 예술에 다가가고 있는 것처럼 예술 또한 컴퓨터 게임의 담론들을 공유하고 있다. 놀이성, 인터렉티브, 가상현실 등 현대 예술의 담론들은 컴퓨터 게임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어 왔다. 이러한 양자 간의 상호작용 과정 속에서 컴퓨터 게임이 가진 예술적 가능성을 탐구하는 다양한 예술작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인의 작품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게임의 매체적 특수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예술작품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연구하고 있다. 현대사회는 게임을 즐기는 사회만이 아니라 게임을 만드는 사회이기도 하다. 하루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새로운 게임들이 모바일, 아케이드, PC, 게임기 등을 통해 등장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역으로 수많은 인구가 새로운 놀이를 개발하기 위해 분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디지털 미디어의 성능과 인터페이스의 발달, 그리고 게임 개발 도구의 발달은 게임 개발 과정을 소수의 전문가 집단의 영역에서 다수의 비전문가의 영역으로 확대한다. 게임 개발의 기술적 수월성은 게임이 근 미래에 자기표현의 보편적 수단으로 자리매김 할 것임을 의미한다. 실제로도 이미 다양한 종류의 게임 제작 툴이 배포되었으며 이를 이용한 자작 게임을 게임 개발 커뮤니티를 통해 공유되고 있다. 게임과 예술은 모두 탈맥락화라는 공통된 과정을 통해 달성된다. 일상적 맥락에서 벗어난 새로운 맥락을 만듦으로써 정체된 관념을 환기하는 것을 의미하는 탈맥락화 과정은 예술, 게임, 여가 등의 형식으로 사유의 새로운 원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양자는 모두 현실에 대한 알레고리이다. 게임과 예술은 모두 시대적 상황에 대한 작가의 시선을 은유적으로 담아낸다. 그리고 양자는 모두 자기만의 공간에서 스스로의 질서를 만들어낸다. 가상공간, 캔버스, 스크린, 무대 등의 일정한 틀 내에서만 존재하는 독자적 세계는 그 세계 내에서만 통용되는 질서의 변증법적 발전 속에서 가치를 획득한다. 이러한 게임과 예술의 유사성에 대한 고찰 속에서 게임을 이용한 예술 제작의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본인의 일차적 관심은 사적인 경험을 표현하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게임이 가진 예술적 가능성을 다각도로 실험하는 매체 연구에 있다. 따라서 본인은 논문을 작성함에 있어서 본인의 작품을 소개하는 것 보다 컴퓨터 게임 자체에 대한 매체 특수성을 미학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는 데에 비중을 두었다. 이에 본인의 작품뿐만 아니라 컴퓨터 게임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예술가들에게 다양한 사유의 소재들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폐플라스틱 이용한 오브제 예술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평면 설치 영상 구성함

        원상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A Study on Object Art Based on Waste Plastic - Created flat installation video concentrated on artworks of researcher-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changes in art can be shown clearly through art history. There are various forms of art in contemporary art. On the other hand, the early art presents a process developed with different majors. Art creation includes personal idea intensely. The meaning of art indicates that individual artists have aesthetic power to express their own personality through artworks. The researcher is highly interested in object among diverse art forms. Though every object has its own use and function, if the objects are used as object, the meaning of original use and function disappears, which reveals unexperienced stimulation or unexpected effects. This study is aimed at classifying and organizing the basic concept of object, investigat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object through researching literature with history, changes and classification in object. Intention of three main idea was figured out through artworks. First, the researcher tried to find artistic material in daily life, which showed to used waste plastic used in daily life as the main material for artworks to present art of waste materials. It refers to plain material with out unique characteristic we think generally to connect with elegant art. Second, waste plastic consisting of the artworks in researcher was chosen to find and represent memory in childhood. Waste toys and abandoned plastic coffee cup remind of memories in early childhood, present modern environment issue and try to share idea. Third, the future direction of artworks in researcher will be expected throw ideal. The reason why plastic was selected is first, to find solution for social environment problems in daily life. Second, in case of contemporary art, there is no limit for art. If materials in daily life are used for creating artworks, it will help the public understand art. Marvelous artworks will be created for people to understand art easily as direction of artworks in the researcher with attention to social problems. 폐플라스틱 이용한 오브제 예술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평면 설치 영상 구성함- 예술의 발전사를 따라가다 보면 예술의 발전과정과 예술의 변화를 분명 하게 볼 수 있다. 현대의 예술현장을 보면 예술의 양식들이 매우 다양하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발전 초기단계의 예술은 다른 계열의 전공들 과 함께 발전한 과정들이 있다. 예술 창작은 강렬하게 개인적 생각을 내포하고 있다. 예술의 매력(魅力) 은 작가마다의 작품에 독특한 개성들을 표현할 수 있다는데 미적 힘을 가 진다는 것이다. 현재 수많은 형형색색의 예술양식들 중에서 오브제는 본인에게 있어서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다. 일상생활에 쓰이는 모든 물체는 그 나름의 용도 나 기능 또는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게 마련인데, 이러한 물체가 일단 오브제로 쓰이면 그 본래의 용도나 기능은 의미를 잃게 되고 이때까지 우 리가 미처 체험하지 못했던 어떠한 연상 작용이나 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브제의 역사와 변화 그리고 분류, 문헌고찰을 통해 서 오브제의 발전 조리(脉络)를 알아보고 오브제의 기본 개념을 세분화하 여 정리한다. 이에 작품을 통해서 크게 3가지의 생각의 의도를 알아보았다. 첫째, 본인은 일상생활 중에 예술성이 있는 재료를 찾고 싶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본인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일상생활 중에 사용하 고 버려진 폐플라스틱을 이용해서 작품의 주요한 재료로 전환했다. 이것 을 통해서 폐 재료의 예술상을 제시한다. 그 중에서 우리가 보편적으로 생각하는 특이한 점이 없이 평범한 재료와 고아한 예술과의 연결성을 찾 고 제시한다. 둘째, 본인의 작품을 구성한 폐플라스틱 재료는 어린 시절의 기억들을 찾고 재현하고자하는 의도로 폐 장난감과 버려진 플라스틱 커피 잔을 이 용하여 유아기의 기억들을 회상을 유도하고 현대의 환경문제를 전달하고 사유를 공유하고자 한다. 셋째, 이상을 통해서 본인 미래의 작품방향을 예상한다. 본인의 작품에서 플라스틱을 사용한 이유는 첫째, 사회 환경문제에 대 해 생각했고 일상생활 중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했다. 둘째, 현대예술에서 미술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작품 을 구상함에 있어 현실생활에서 소재를 찾아 일반사람들과 예술의 거리를 더욱 좁히고자 하였다. 미래의 작품 방향은 사회문제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사람들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아름다운 작품을 창작하고 싶다.

      • 봉산탈춤을 활용한 온라인 예술교육 콘텐츠 설계 : 유튜브 콘텐츠를 중심으로

        홍도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유튜브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서 전통문화예술교육의 온라인 강의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2020년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우리나라 교육계에서 비대면 강의인 온라인 교육이 쟁점이 되고 있다.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예술교육 콘텐츠가 생성되어 활성화된다면 미래의 예술교육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온라인 예술교육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체 활동이자 유희적·놀이적 성향을 띄는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을 교육 자료로 선정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의도에 의해 학습상황에 주도적으로 개입하게 되는 적극적 상호작용의 유도를 돕는(피수영, 이명숙, 2016) 콘텐츠 활용중심의 교육 특성을 반영한 온라인 교육콘텐츠로 인해 새로운 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예술교육의 보편화 및 활성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유튜브 동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을 활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예술과 온라인 매체의 융·복합적 사례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교육을 제공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현시대에 급변하고 있는 온라인 교육에 다양한 콘텐츠와 새로운 교수학습법 교육 매체를 활용한 온라인 예술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을 다루면서 유희와 춤, 국악, 전통문화를 동시에 아우르며 새로운 교육 매체인 동영상 콘텐츠와 연계한 체험적 전통예술 교육콘텐츠의 개발을 다루고 있다. 유튜브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콘텐츠 <탈춤 꽃이 피었습니다>를 통해서 학교에서 학생들의 문화생활 및 행사 활동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예술교육의 대중화와 보편화를 위한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방향성이 향후 다양한 측면에서의 타당성 검증과 여러 예술 과목과의 융합에 관한 연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research is appreciated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online lectures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YouTube video platforms. As of 2020, online education, which is a virtual lecture,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Korean education since the wake of the Coronavirus infection-19.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online art education content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at if art education content is generated and activated using online media without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it will be of significant tool to the future art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new art education can be explored, and the generalization and revitalization of the art education can be expected with online educational contents reflecting educ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focused on the usage of contents, by selecting the basic movement of Bongsan Dalchum, which is cooperative activity and has a playful tendency, as an educational material, and helping learners to lead the active interaction in the learn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ir own intentions (Pi Sooyeong, Lee Myung-sook, 2016). Based on the YouTube video platform, an educational model utilizing the fundamental movement of Bongsan Tartum is developed, and the education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mbination of art and online media is provided. Based on this research,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on online art education with new teaching methods and utilizing various contents will be conducted in depth. This research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traditional art education contents in cooperation with video contents, which are new educational media, by simultaneously drawing games, dances, national music and traditional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e online educational content “Tartumai (Kamemai) has bloomed” will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the cultural life and event activities of students at school and as well as generalization and ubiquity of art educ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become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various art subjects and validity in various aspects.

      • 예술 작품 속에 내포되어 있는 규칙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시천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세계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규칙적, 반복적 표현에 대해 그 표현의 목적과 배경, 진행방향을 살펴봄과 동시에 앞으로 본인작업에서 발전되어야 할 과제에 관해 연구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언급하는 규칙성이란 철학적, 담론적 차원의 광범위한 의미가 아니라 수학적 규칙성이라는 구체적이고 좁은 범주로 그 용어의 범위를 제한한다. 수학적 규칙성의 발견과 응용은 인류 문명이래로 인간들에게 많은 성과를 안겨다 주었다. 또한 사물의 본질과 그것들의 질서와 체계, 시스템을 찾기 위한 노력들은 우리들에게 많은 수학적 발견을 가져다주었다. 기타 다른 분야에서는 물론이거니와 미술의 역사 에서도 자연과학적 발견의 성과인 기하학의 탄생을 위시하여 다양한 수학적 발견이 예술가들에게 많은 영감을 제공하여 왔고 현재 역시 수많은 과학적 발견과 성취가 예술가들에게 많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규칙성 이론 들 중 현대 과학의 프랙탈 개념과 카오스모스적 세계가 본인 작품세계와 만나는 지점들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본인 작품에 내재해 있는 수학적 규칙성의 의미와 필요성, 그것이 구현하고자하는 바에 대해서 진술하려 한다. 또한 동시에 수학적 맥락의 해석으로서는 닿을 수 없는 예술작품이 가지는 아우라에 대하여 본인 작품을 위주로 연구해 보려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urpose, background and future directions of regular and repeated expressions distinctively shown in this author’s works of art and also the parts to be more improved in them afterwards. And the regularity mentioned in this paper does not refer to the broad sense of philosophical and discoursal dimensions, but the range of the term is restricted to a concrete and narrow range of mathematical regularity. The discovery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al regularity has brought about considerable achievements to mankind since its civilization. Also, the efforts to find the essence of objects and their order and system have resulted in numerous mathematical discoveries in mankind. Like in other areas, in the history of art, too, with the start of birth of geometry, the result of discovery in natural science, various mathematical discoveries did often inspire artists, and today’s countless scientific discoveries and achievements present artists with numerous ideas. This article studies the points at which this author’s works of art and the world of chaosmos and the fractal concepts of modern science among the diverse theories of mathematical regularity to state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mathematical regularity internalized in this author’s works of art and also what is to be realized by them. Moreover,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mainly with this author’s works the aura of art works which cannot be touch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mathematical context.

      • 연극에서 오브제의 상징적 표현과 활용에 관한 연구 : Eimuntas Nekrosius의 작품 분석을 중심으로

        임은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논문은 에이문타스 네크로슈스의 작품을 통해 연극에 있어서 오브제의 다양한 성격과 상징적인 표현 그리고 무대에서의 활용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현대 공연예술에서 오브제 개념의 대두와 전개양상을 알아보면 그 전개양상은 시각예술의 흐름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공연예술에서도 오브제의 사용이 비슷한 양상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는데,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은 다른 문화와 다른 언어, 다른 환경에서 살고 있지만 비슷한 생각을 갖고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 예술에서 오브제는 더 이상 낯선 것이 아니며, 오브제의 넘쳐나는 사용은 이미 동 시대 예술가들의 생각 속에 깊숙이 파고들어 있다. 이에 그 흐름을 알아보며 예술가들이 어떠한 표현으로 의미를 전달하는지 알 수 있다. 더불어 극 공간에서는 오브제가 어떠한 역할을 가지고 표현되어 왔는지 에이문타스 네크로슈스의 공연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그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 색감, 배우들의 움직임 등은 그가 살아온 리투아니아의 문화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예술가들은 주변 환경과 문화가 곧 그 작품에 드러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네크로슈스의 작품을 분석하고 그의 연극을 끌어가는 오브제를 분석하면 네크로슈스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가공되지 않은 순수하고 투박한 물질적 오브제의 근원을 알 수 있다. 현대 공연예술에서 무대는 재현적인 표현에서 벗어나 추상화 되어가며, 상징적인 부분은 오브제에 의도를 담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무대디자이너는 다의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오브제를 표현하는데 있어 정확하게 연극의 분위기를 감지해 내어 겉으로 들어난 연극의 특징보다는 연극이 내재한 본질을 시적으로 표현 했을 때 관객과의 심리적 거리를 좁힐 수 있음을 논하고자 한다.

      •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분장 작품 연구

        이수연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55

        최근 시각적 이미지가 중요해지고 대중의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여러 예술 분야에서는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착시효과를 활용한 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이러한 착시효과는 분장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안면교정을 통하여 착시효과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기하학, 색채학, 반전도형, 가현운동을 통한 시각적 착시효과를 분장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분장 작품이 공연예술의 캐릭터로 적용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작품 제작과정은 문제의 이해와 해결안의 종합, 해결안의 평가과정을 거쳤다. 문제의 이해는 모티브 선정과 콘셉트을 설정하는 구상 단계로, 해결안의 종합은 분장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여 디자인 일러스트를 보여주는 전개의 단계로, 그리고 해결안의 평가는 분장 작품을 제작하는 구현의 단계로 적용하였다. 또한,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인 기하학, 색채학, 반전도형, 가현운동을 주제로 각 주제당 1점으로 총 4점의 분장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시·지각에서 오는 착각으로 인한 상상력과 호기심을 일으키며 자유로운 발상으로 표현되는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을 활용함으로써 공연예술 캐릭터의 분장에 적용하여 감정 상태와 성격을 보여줄 수 있는 분장 작품을 제작하였다. 둘째,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분장 디자인 일러스트를 제시하였다. 기하학은 탈의 형상을 도식화하여 재구성한 선과 도형 등에 감정적 의미를 넣었으며, 색채학은 넓어지는 배열의 안으로 색채 대비 효과를 나타냈다. 반전도형은 ‘루빈의 컵’의 도형을 재구성하여 활용한 이중성과 양면성을 나타냈으며, 가현운동은 도형의 연속성에 의해 움직임을 느끼게 하기 위하여 안면의 형상을 겹쳐 보이는 디자인 일러스트를 제시하였다. 셋째, 분장 디자인을 토대로 분장 작품을 제작하였다. 기하학은 각시탈의 사실적 모티브로 삼아 조형적인 작품으로, 색채학은 환상 동화 속의 호기심이 많고 엉뚱 발랄하며 중성적 이미지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반전도형은 한 인물의 이중성과 한 안면에 마주 보는 두 인물의 양면성의 작품이며, 가현운동은 움직임과 조명을 통해서 오는 안면의 움직임을 형상화한 추상적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을 활용한 분장 작품을 제작함으로써 전통극, 뮤지컬, 연극, 퍼포먼스 등의 공연예술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각적 착시효과의 분장 디자인이 폭넓은 학문적 후속 연구의 토대가 되고, 다양한 시각적 착시효과의 표현기법이 자유로운 발상을 통해 창의적인 분장 작품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Recently, as visual imag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and the public have a greater discerning eye, in various art fields works using visual illusions that induce curiosity and interest have been created. These visual illusion effects are also used in makeup, but most of them are limited to works that show visual illusion effects through facial correction.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the visual illusion effect with geometry, chromatics, reversible figure, and apparent movement to the makeup design, in order to produce makeup works using the expression technique of visual illusion effect. Through this,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akeup works with the characters of performing arts using the expression technique of visual illusion. The production process had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problem, synthesizing the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Understanding the problem was the stage of conception to design a concept and select a motif, and synthesizing solution was a step of development that showed the design illustration by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makeup design. Evaluating the solution was a stage of implementation to produce makeup works. In addition, a total of 4 makeup works were made, with 1 point for each theme, with themes of geometry, chromatics, reversible figure, and apparent movement as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visual illusion effect.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produced makeup works that can show their emotional state and personality, by applying the makeup of performing arts characters with utilizing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visual illusions that generate imagination and curiosity due to the illusion from visual perception and that be expressed by free thinking, and by applying it. Secondly, a makeup design illustration was presented using the expression technique of visual illusions. With geometry, emotional meanings additionally arranged with using reconstructed lines and shapes by schematizing the shape of the mask, and with chromatics color contrast effects was shown into the broadened arrangement. For reversible figure, by reconstructing the shape of the Rubin's Cup, the duality and ambivalence was presented, and with using apparent movement, it was performed by placing the shape of the face in an overlapping manner in order to make the viewer feel the movement by the continuity of the shape. Thirdly, makeup works were made by using these makeup designs. For geometry, the formative work was made using the pattern of the bridal mask as a realistic motif. With chromatics, works of curious, wacky, and neutral images from fantasy fairy tales were created. With using reversible figure, works showing the two sides of the two characters facing each other in one face, not the duality of one person were made. With using apparent movement abstract works depicting facial movements through movement and lighting were created.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re make-up methods to actual performing arts such as traditional plays, musicals, plays, and performances by creating make-up works with using expression techniques of visual illusion effect. It is hoped that the makeup designs using the expression technique of the visual illusion effect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with wide range of academic follow-up academic researches, and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f visual illusion effect will be actively used to make creative makeup works through free thinking.

      •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선연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문요약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선 연 희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실용무용전공 지도교수 박 성 진 본 연구는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에 따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299명의 방송댄스, 스트릿 댄스 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ANOVA(일원배치분산분석) 및 Dunnett의 T3 사후검정을 통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용무용 전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유형 차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모두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과 자기효능감은 학년과 장르, 자아존중감은 장르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대학 실용무용 전공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 중 부정적 피드백이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대학 실용무용 전공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도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 중 긍정적 피드백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피드백이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대학 실용무용 전공자의 피드백 지각 유형에 따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모두 긍정적 피드백, 교정적 피드백을 높게 지각했을 경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피드백을 높게 지각했을 경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실용무용 지도자의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부정적 피드백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지도 방법을 연구하는 이론의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 Study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by the Feedback Types of Practical Dance instructor - Focused o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y Seon, Yeon-Hee Majoring in Practical Dance Graduate School of Total Art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back types of a practical dance instructor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o investig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299 students majoring in Broadcasting dance and Street dance were survey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cross-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T3 post-test by Dunnett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dance major.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in gender, but there was difference in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and self-efficacy in grade and genre, and self-esteem was showed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re.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feedback perception type of college practical dance major on self-efficacy showed that negative feedback among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type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Third,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feedback perception type of college practical dance major on the self-esteem showed that positive feedback among instructor’s feedback perception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and the negative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Fourth, the difference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type of feedback perception of college practical dance major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both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perceived higher in the case of positive feedback and corrective feedback whil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were perceived lower in the case of negative feedback. Based on the above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type by a practical dance instructor, self-efficacy and self-esteem. Especially, negative feedback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data to study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for enhanc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f students.

      • 무대공간에 따른 효과적인 조명디자인 방법 연구 : 창작무용 <아큐>를 중심으로

        신성환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55

        국 문 요 약 무대공간에 따른 효과적인 조명디자인 방법 연구 - 창작무용 <아큐>를 중심으로 -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무대디자인 전공 신성환 조명디자인은 무대기술적인 분야에서 빛을 도구화하는 작업으로서 창의적인 사고와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무대조명은 스스로 존재할 수 없으며, 공연 속에서 그 대상을 위한 빛의 창조활동을 통해 작품과 유기적으로 관계를 맺고, 그에 따른 극적인 빛의 결과물은 관객으로 하여금 정서적인 감흥을 불러일으키는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빛을 구상하고 무대공간에 연출하고자 하는 조명디자이너라면 누구나 작품성과 완성도가 높은 공연을 기술여건이 좋고 지명도가 높은 공연장에서 작업하기를 희망한다. 물론 소규모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공연물이 작품성이 낮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기술여건이 좋은 극장과 작품성이 더해진 공연의 기회는 디자이너의 과한 욕심일 수도 있으며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현실의 극장에서 기술여건과 구조적인 형태가 매번 같을 수가 없으며, 새로운 공간에서는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가 생겨나기 마련이고, 그러한 문제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한 아이디어와 기술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연극이 대본을 기반으로 하여 대사와 표정연기로 메시지를 전달한다면, ‘아큐’와 같은 무용은 인간의 신체를 매개체로 하여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관객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말과 글이 아닌 움직임을 통한 동작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작품으로 표현되고 형상화 된다. 이렇듯 움직임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 무용공연의 특성에 적합한 무대조명은 무대미술 중에서도 빛을 가지고 무용 예술을 시각화하여 심미적, 심리적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시각적 매체이다. 무용공연을 위한 무대조명디자인은 공식처럼 정형화 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빛의 기능과 특성을 활용하고 아이디어를 더하여 ‘아큐’ 공연에 있어서 효과적인 디자인방법을 찾는다. 공연이 이루어지는 무대의 형태는 프로시니엄 무대, 돌출무대, 원형무대, 가변형무대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무대공간은 오랜 역사가 말해주듯이 고유의 분위기와 무대형태, 무대구조, 기술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무대 공간 중에서 프로시니엄 무대와 돌출무대의 특징적인 구조와 형태를 파악하고 장·단점을 고찰하여 실제 무용공연의 조명디자인에 어떻게 적용하고, 조명디자인방법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였는지 창작무용 ‘아큐’의 공연사례를 통해 연구한다. 창작무용 ‘아큐’는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2008.9.5.-9.6)과 국립극장의 KB청소년하늘극장(2012.12.27.-12.30)에서 공연되었으며, 두 공연무대의 특성들을 분석하고 무용공연의 느낌을 조명과 접목시켜 특성이 다른 두 무대에서 동일한 조명의 결과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창작무용 ‘아큐’의 공연이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대표적 공연장인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프로시니엄 무대)과 국립극장 KB청소년하늘극장(돌출무대)의 조명환경과 극장구조를 비롯한 공간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또한 이처럼 형태와 공간특성이 다른 무대공간에서 조명작업을 위한 작품의 분석과 기술검토 단계, 무대화 단계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두 공간에 적용 가능한 조명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택 유형별 희망근로형태 분석

        국송이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55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treet dance, this study will provide a meaningful database and specific analysis on the desired type of labor according to the types of occupation chosen by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The survey has been written according to the advanced research analysis of the occupation status research and desired types of labor. A total of 302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have taken part in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 18.0 program for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frequency analysis. The detailed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how influential the type of occupations chosen by the street dance major students is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higher age group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dance instructors, and the group of participants that are single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professional street dancers, while married participant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college lecturers. Secondly, a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what kind of influence the type of work chosen by the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has on the type of occu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ance instructors, professional street dancers, college lecturers, and occupations related to running events and dance academies preferred regular jobs, while the choreographers preferred non-regular jobs. Thirdly, a research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at influenc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our major insurances (the awareness of the four major insurances) had on the types of occupation chose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that chose dance instructor and choreographer knew more about the four types of major insurances compared to the students that chose other occupations. Moreover, when looking at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ypes of occupation chosen bas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our major insurance (the necessity of insurance), the only occupation that did not need the four major insurances was the dance instructor. Lastly,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influence the four major insurances (awareness of the insurance types) had on the desired labor types (regular, non-regular :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occupations chose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treet dance majoring students preferred regular jobs, while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types of the four major insurances was low. They also thought that the four major insurances was necessary, and they were willing to make registration. By summarizing these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ncludes that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treet dance, there is a relation between the chosen types of occupation, desired labor types and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our major insurances. Therefore, I propose that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bsequent study will need to focus on the target samples to continue the analysis of the desired labor types chosen by street dance majoring students and artists. 본 연구는 스트릿 댄스의 발전을 위해서,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유형별 희망근로형태에 대하여 세부 분석하고 의미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스트릿 댄스의 직업실태조사, 희망근로형태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총 302명의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일원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직업선택 유형이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결과, 연령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댄스강사의 선호도가 높았고 결혼 여부에서는 미혼인 경우 전문 스트릿 댄서를, 기혼인 경우 대학교수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의 희망근로형태가 직업선택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결과, 안무가를 제외한 댄스강사, 전문 스트릿 댄서, 대학 교수, 행사 및 이벤트 관련, 댄스학원 운영 등의 직업 유형들은 정규직을 선호하였고, 안무가는 비정규직을 선호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4대 보험 인식(4대 보험 종류 인식)이 직업선택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결과, 댄스강사와 안무가를 선택한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은 4대 보험 종류 인식에 대해 다른 직업을 선택한 이들보다 잘 알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4대 보험 인식(보험의 필요성)에 직업선택 유형 간 차이분석을 보면 댄스강사만 4대 보험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4대 보험 인식(보험 종류 인식)이 희망근로형태(정규직, 비정규직 : 직업선택 유형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결과,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들은 대부분 정규직을 선호하였다. 4대 보험 종류 인식에서는 조금 알고 있고, 4대 보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가입을 희망한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 결론은 스트릿 댄스 전공 대학생들의 직업선택 유형, 희망근로형태, 4대 보험 인식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표집 대상을 확대하여 스트릿 댄스 전공자 및 예술인들의 희망근로형태를 분석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