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형 일학습병행제 선행경험학습인정 도입과 고려사항

        임다미 ( Tami Im ),강기호 ( Kiho Ka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7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코리아텍 사례를 바탕으로 대학형 일학습병행제에 선행경험학습인정을 도입하기 위한 실질적인 준비 과정과 그 결과물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경험학습인정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 및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국내 다른 교육기관들이 선행경험학습인정을 도입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 사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많은 교육기관들의 성공적인 선행경험학습인정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지원, 문화적 지원, 대학 내부의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preparation process and outcomes of applying RPL in University Dual System based on KOREATECH’s case.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prior research and cases was described in this study to assist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who might be interested in adopting RPL into their organizations. Furthermore, three different levels of suppor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successful adoption of RPL in Korea. Support from national system level, sociocultural level, and university level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for the success of RPL.

      • KCI등재
      • KCI등재

        온라인 PBL이 학습자의 4C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임다미 ( Tami Im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23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PBL(Problem Based Learning)이 학습자의 4C 역량과 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PBL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예비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PBL 경험에 매우 만족했으며, 학습과 예비교사로서의 자신에게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인식했다. 셋째, 학습자들은 실시간 화상회의 시스템과 메신저가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데 매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요인에 대해 본 연구 참여자들은 의사소통과 성실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리더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팀원 간의 개인적 친밀도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은 온라인 PBL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피드백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impact of online problem-based learning (PBL) on learners’ 4C competencies and learning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online PB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arners’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rvice teacher efficacy. Second, learners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online PBL experience and perceived it to be very beneficial to their learning and to themselves as preservice teachers. Third, learners perceived that the real-time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instant messenger were very helpful for successful online PBL. Fourth, regarding the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online PBL,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perceived that communication and sincerity are very important, and the role of the leader is also important, but personal intimacy among team members is relatively less important. Fifth, learners perceive that instructor feedback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online PBL.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정보통신 소프트웨어분야 국가직무능력(NCS) 개선 방안

        권오영 ( Oh-young Kwon ),임다미 ( Tami Im ),명재희 ( Jae-hui Myeong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7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9 No.1

        본 논문은 NCS의 교육적 활용을 높이기 위해 SWECOM과 NCS 정보통신 소프트웨어 분야를 비교·분석하여 NCS가 가진 구조적인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도출한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NCS 능력단위와 능력단위요소를 역량에 대한 분류 체계로 적용하고, 수행 준거, 지식, 기술, 태도에 대해 수준과 역할을 명시한다. 둘째,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하위 단계의 능력단위를 만들어 지식, 능력, 태도 항목의 불필요한 반복을 줄여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NCS에서도 개발 외에 필요한 관리능력과 같은 실무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면 사용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SWECOM and Information & Communication Engineering NCS to explore how to improve current NCS. First, it would be helpful to use NCS competency unit and competency unit element as categorization criteria and then to provide levels and roles into performance criteria and KSA. Second, developing common lower level competency unit would decrease the redundancy of KSA and make it clear for users. Third, providing other kinds of skills along with technical skills such as management skill would be useful for users.

      • KCI등재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역량기반 평가 시스템 개발

        허선영 ( Sun-young Heo ),임다미 ( Tami Im ),권오영 ( Oh-young Kwon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8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10 No.1

        평생직업개발에 대한 중요성 인식, MOOC의 확산과 온라인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교육 시스템 마련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기술공학분야의 역량기반 평가 도구와 시스템에 대한 설계·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기술공학분야의 직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Competence-based Assessment System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 CBAS-LVCD)을 설계 및 구축하였다. CBAS-LVCD는 NCS 기반 루브릭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학습자를 평가하고 기술공학분야에서 사용할 시뮬레이션 도구를 제공한다. 이는 실습과 온라인 시험이 제한적인 기술 엔지니어링 분야의 실무에 필요한 역량을 평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he proliferation of MOOC, and interest in online education have increased. As a result, efforts are continuously being made to develop an education system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However, research on design and development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tools and systems in the field of technology engineering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 for Lifelong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CBAS-LVCD). CBAS-LVCD utilizes NCS-based rubric-based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learners and provides simulation tools for use in technology engineering. This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assess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practical affairs in the field of technology engineering, where practical work and on-line testing are limited.

      • KCI등재

        원격수업 운영을 위한 교사 지원 요구 분석:텍스트마이닝 기법의 활용

        조서연(Cho, Seo Yeon),임다미(Im, Tami),함은혜(Ham, Eun Hye)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what policy support teachers needed in the middle of expanding rapidly distan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Specifically, a set of open-ended response data from approximately 3,000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as analyzed adopting dirichlet allocation (LDA) for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DA, the topics of teachers demand for effective distance clas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e four domains: ① content-quality management support, ② content-production support, ③ infrastructure-equipment support, and ④ infrastructure-interactive platform support. Secon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resulted in clarifying specific contexts of each topic and identifying key and fundamental demands covering across all the topics: ① support for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② extens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③ securing instructional research/preparation hours.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원격수업 운영과 관련된 교사들의 지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에 대응하여 원격수업 운영이 급격하게 확대된 이후인 2020년 8월에 수집된 A도 교육청 소속 초·중·고 교사 3,000여 명의 개방형 응답자료를 활용하였다. 잠재디리클레할당을 활용하여 지원 요구의 대표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각 주제별 지원 요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디리클레할당 분석 결과, 교사들의 원격수업 운영 지원 요구의 주제는 크게 ① 콘텐츠-질 관리 지원, ② 콘텐츠-제작 지원, ③ 인프라-기자재 지원, ④인프라-쌍방향 플랫폼 지원의 네 가지로 도출되었다. 둘째,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네 가지 주제영역별 지원 내용의 맥락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특히 ① 교사-학생 상호소통을 위한 지원, ②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지원, ③ 업무 경감을 통한 수업 연구 시간 지원이 모든 주제영역을 아우르는 핵심적인 요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함의와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대학원생의 교육 요구 분석

        정수정(Soojeong Jeong),백새봄(Saebome Baek),임다미(Tami Im) 한국인간발달학회 2024 人間發達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대학원생의 교육 요구를 분석하고, 이러한 교육 요구가 인공지능 활용 빈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의 대규모 국립 종합대학교에 재학 중인 593명의 대학원생이었다.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해 인공지능 윤리기준 관련 22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현재수준과 중요수준을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Borich 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원생을 위한 인공지능 윤리 교육에서 가장 우선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은 안전성, 책임성, 투명성, 인권보장, 침해금지로 확인되었다. 또한, 책임성은 인공지능 활용 빈도와 관계없이 일관되게 교육 요구 최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반면, 인공지능 활용 빈도가 낮은 집단일수록 프라이버시보호와 투명성이, 인공지능 활용 빈도가 높은 집단일 수록 안정성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원생 대상 인공지능 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의식과 역량 함양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graduate stu-dent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ethics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educational needs diffe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I use. Participants were 593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large university in Seoul, South Korea. We used a self-reported survey to measure students' levels of current understanding and their perceived importance of 22 items related to AI ethical standards. We analyzed the data using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s well as The Locus for Focus Model. Our results identified safety, ac-countability, transparency, human rights protection, and non-infringement as the top pri-orities for AI ethics education for graduate students. Accountability emerged consistently and was identified as the top priority for educational needs, regardless of the frequency of AI use. On the other hand, privacy and transparency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for those who use AI less frequently, and safety was found to be more important for those who use AI more frequently. Our findings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AI ethics educational programs for graduate students, ultimately helping them in enhancing their ethical awareness and competence in relation to AI.

      • KCI등재

        대학생이 경험하는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과 수업 참여도의 관계 : 의논대상의 조절효과

        조서연(Seo-yeon Cho),오정희(Jung-hee Oh),함은혜(Eun-hye Ham),임다미(Tami Im)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수업참여도의 관계를 탐색하고, 변수 간 관계에서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의논하는 대상의 유무와 분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충청남도 K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조사에 대한 800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논대상 유무에 따라 어려움과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겻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담당 교수나 동료학습자, 학교 직원 등과 의논하는 학생이 평균적으로 비대면 수업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의논하는 대상에 따라 어려움과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담당교수 혹은 기타 대상에게 어려움을 의논한 학생이 동료학습자에 어려움을 의논한 학생보다 높은 비대면 수업 참여도를 보였다. 셋째, 비대면 수업 어려움이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의논대상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논대상이 담당교수인 학생들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의논대상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비대면 수업 어려움이 참여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in non-face-to-face classes and class participation,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and classification of person with whom students discuss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800 responses to a survey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cussion target. On average, students who discuss difficulties experienced in non-face-to-face classes with professors, fellow learners, and school staff solve problems and participate effectively in cla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erson with which students discussed the difficulties. Specifically, students who discussed difficulties with their professors or other subject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lass than students who discussed with fellow learn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son to discu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ifficulties on class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for the students who discussed with the professor in charge, and the negativ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ifficulties on participation was alleviated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out the target of discussio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