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초기 일본의 학교와 지역사회와 국가

        임경택(Yim, Kyung-Taek)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5

        이 글은, 근대 일본 초기의 학교 교육이 천황제국가의 확립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그 역할은 무엇을 토대로 이루어졌는지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학교는 단순히 교육사의 문제가 아니라 일본 제국 전체의 진로와 크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필자가 인류학적 필드워크를 수행했던 지바현 사와라의 ‘사와라소학교(佐原小學校)’를 주요 고찰 대상으로 하여, 한편으로는 국(國)-현(縣)으로 이어지는 공교육정책에 당시의 사와라가 어떻게 대응하고, 그것이 사와라소학교에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는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즉 학교와 지역사회 그리고 국가의 관계에 대한 필드워크의 기록을 바탕으로 역사인류학적으로 추적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일본근대교육의 초창기 모습을 밝히고, 천황제국가의 군국주의 교육의 전사(前史)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일본 제국’의 출발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중요한 시도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1872년 8월 3일에 문부성이 공포한 ‘학제’는 근대 일본의 교육제도의 최초의 설계도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공교육이라는 개념조차 존재하지 않았던 때에, 전국적으로 동일한 교육제도를 위로부터의 명령으로 일거에 시행하려고 한 것이었다. 이 학제에 근거하여 창립된 ‘사와라소학교’는 1873(메이지 6)년 5월 30일, ‘제1대학구 제29번 중학구 소학 제1교’라는 명칭으로 개교하였다. 개교 당시 학생은 21명(남19명, 여2명)이었으나, 연말에 이르자 215명(남 136명, 여 79명)으로 늘어났고, 소학교의 교원(敎員)은 학구에서 선정하였다. 사와라 소학교 창립과 관련하여 사와라무라의 유지들이 거액을 기부하여 추진하였고, 창립 3년 만에 주민들 사이에 정착하게 되었다. 1879년에는 ‘학제’가 폐지되고, ‘교육령’이 공포되었다. ‘교육령’은 지역차를 인정하고 민간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하지만 이 ‘교육령’은 1880년 12월 28일에 개정되는데, 이 ‘개정교육령’이 소학교 교육의 두 번째 분수령이 되었다. 개인주의적·실리주의적인 ‘학제’에서 출발한 교육이 우선 ‘교육령’으로 완만하게 좌선회하였고, 이어서 우경화로 급선회한 것이다. 또한 여태까지의 지육(智育)편중에서 덕육(德育) 즉 이데올로기교육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환하였으며, 국가재정난으로 인해 국고보조금이 폐지되었다. 이와 같이, 일본에서 소학교 교육의 추진은 무엇보다도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즉 메이지시대의 학교는 촌락공동체적 성격을 농후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그것은 학교가 원래 천황의 학교로 전국에 일률적으로 발족하게 되기는 하였지만, 실제의 담당자는 촌락공동체의 지도자인 구 지방 명망가(名望家)층이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학교가 만들어졌기 때문에, 학교는 애초부터 ‘국가의 기관’과 ‘지역의 기관’으로서의 성격을 동시에 제도적으로 보장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와 가족?촌락공동체와의 일체화는, 일본근대화정책의 일환으로서 교육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만들어낸 측면이 있었다는 것을 빼놓을 수 없다. 학교는 ‘지역’과 ‘국가’의 양측으로부터 작용해 오는 힘을 결합하고 조정하는 장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천황제 이데올로기를 심어주는 주요한 기관이 되었던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in detail the role of schoo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Emperor system in early modern Japan. The school is not only a problem about the history of education. It is associated largely with the course of the entire Japanese empire. I mainly consider Sawara Elementary School as a major object. Sawara is the place that I carried out anthropological fieldwork. And I focus on two points-the response of Sawara district to the public education policy, the reflection to Sawara Elementary School. In other words, I want to trac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and the nation-state o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anthropology. This study reveals the earliest appearance of modern education in Japan, Imperial system, and has the meaning of militaristic education of Japan. Futhermore, I think it would be important to try to analyze the specific starting point of the Empire of Japan.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ulgated a ‘School System(?制)’ on August 3, 1872. In 1879, the ‘School System’ was abolished, and announced ‘the education ordinance(?育令)’. It was amended in the December 28, 1880. This revised ‘the education ordinance’ was the second dividing-ridge in elementary education. After th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was changed. They put emphasis on Imperial ideology. Thus, the promotion of primary school education in Japan, above all, have made of the community. School in the Meiji era reflected rich the nature of village community. The school was a field that combines and adjusts the power to act comes from both sides of the ‘local’ and ‘nation’. But ultimately it became a major ideological institutions instill an Imperial system.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질소 상압플라즈마를 이용한 TiO<sub>2</sub> 박막의 표면개질 및 광활성 평가

        임경택,김경환,박준,김경석,박유정,송선정,김종호,조동련,Lim, Gyeong-Taek,Kim, Kyung Hwan,Park, Jun,Kim, Kyoung Seok,Park, Yu Jeoung,Song, Sun-Jung,Kim, Jong-Ho,Cho, Dong Lyun 한국공업화학회 2009 공업화학 Vol.20 No.4

        상압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하여 $TiO_2$ 박막의 표면을 개질하고 광촉매 활성을 평가하였다. $TiO_2$ 박막은 $TiO_2$ 졸-겔 용액에서 유리판에 dip-coating법으로 코팅한 후 소성 온도와 소성 시간을 변화시켜 가면서 제조하였다. 표면 개질에 사용된 플라즈마는 질소 플라즈마였으며, 방전전력, 처리시간 등의 공정변수를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광촉매 활성은 UV-A와 형광등 하에서의 메틸렌 블루 분해효율을 바탕으로 평가하였다. XPS 분석 결과, 박막의 표면에 소량의 질소가 도핑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광촉매 효율은 UV-A와 형광등 하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형광등 하에서 좀 더 증가하였다. $TiO_2$ thin films were surface-modified with atmospheric plasma and their photocatalytic activities were evaluated. The films were deposited on glass plates by dip-coating in a $TiO_2$ sol-gel solution and sintered at various temperatures for various times. Nitrogen plasma was used for the modification and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varying operational parameters such as discharge power and treatment time. Photocatalytic a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methylene blue (MB) under irradiation of UV-A and fluorescent light. According to XPS analysis, a little amount of nitrogen was found to be doped in the film surface after the modification. As a result, photocatalytic activity increased under irradiation of UV-A and fluorescent light, especially fluorescent light.

      • KCI등재

        마을(무라) 갱생에서 흥국안민까지: 갱생의 현장 처방으로서의 보덕사법(報德仕法)의 유전(流轉)

        임경택 ( Kyung Taek Y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2

        이 글은 이와 같이 18세기 말에 관동지방에서 출발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갔던 ‘보덕 사법(報德仕法)’이, 메이지 시대 이래의 ‘보덕운동’을 통해 국민국가의 도덕·사상적 상징으로 유전(流轉)되어 가는 과정을 ‘공동체에 대한 병리학적 상상’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 이다. 손토쿠의 사후, ‘보덕사법’이 문하생들에 의해 ‘보덕운동’으로 전개되면서 국가에 의해 ‘만능약’으로 유전되고, 또 국가에 의해 ‘전유(appropriation)’됨으로써, 그 2차적 기능이 1차적 의미를 압도하게 된다. 즉 국가가 필요로 했던 도덕적 ‘보덕주의(=만능약)’가 강조되면서 무 라를 부흥시키고자 했던 ‘보덕사법(=처방약)’의 실천적 의미가 퇴색되어 간다는 것이다. 그리 고 ‘만능약’ 또는 ‘만능처방’으로 변용된 보덕사법은 국가영웅으로서의 손토쿠와 중첩되면서 사라지게 된다. 즉 손토쿠가 다시 ‘긴지로’로 부각되어 성실한 소년상의 이미지가 강조되고, 보덕주의의 선전도구로 전환되면서, 이제 그 보덕사법의 시효는 마감된 것이라 생각되는 것 이다. 이 글은 이러한 관점에 입각하여, 일본에서 촌락공동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활용 된 보덕사법이 역사적 과정을 거치면서 국가의 통치방식으로까지 이어져, 일본사회를 치유 하는 ‘만능약’으로 유전되다가 소멸되는 과정과 그 사회적 배경을 추적하고 있다. 이와 같은 논의는, 현장성을 강조하고 주민의 상황을 관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인류학적 주장을 전제 로 한다면, 정책의 궤적 안에서 명멸하는 현장성에 대한 재조명의 틀을 제공해 줄 수 있으리 라 생각한다. 그것이야말로 현장에서 ``일어나는 일/사건``의 추적을 넘어, 현장에서 ‘조우``하는 주체와 그 주체들의 ``지식``까지 포섭할 수 있는 관점을 마련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national ethical/ideological symbol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Hotoku Movement (報德運動) in Japan can be viewed as a pathological national community. During the Meiji period, the Hotoku Movement, known at the time as the Hotoku Way (報德仕法), spread across the whole nation from Kanto (關東) in early 19thcentury as a national/ethical symbol. After the death of Sontoku(尊德), the creator of the Hotoku Way, his followers organized the Hotoku Movement in order to spread it to the nation. The Japanese state appropriated this movement as a universal remedy for all social problems. The function as a national symbol for a social remedy became more important than the original meaning, which was merely that of mutual help and moral sincerity in rural areas. In other words, the practical meaning of Hotoku Way for the revitalization of rural communities vanished while Hotoku Movement as a social remedy which the government needed to reorganize the society was magnified at the’ forefront. However, the Hotoku Way was transformed as a symbolic cure-all remedy for social problems, and also vanished after the emphasis was placed on commemorating Sontoku as a national hero. Because both had the same function, the one which lost its influence in the symbolic competition would inevitably disappear from the national symbolic field. From an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which emphasizes the real life of people in the real world, this case reveals how the real life flickers in the trajectory of policies and make us rethink the context of the real life of the real world. This study makes us look over the happenings or events of the real world, and provides a perspective to look into the context of the encounters among subjects and their knowledge formation and reformation.

      • KCI등재후보

        고도성장 하 일본의 사회변동 고찰 - "고도대중소비사회"의 형성을 중심으로 -

        임경택 ( Kyung Taek Yim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건지인문학 Vol.15 No.-

        This study has a primary goal of getting that I consider a Japanese social change to happen by high growth, not on the aspect of economic production but on the process of high mass consumption society. And I am going to thereby analyze the change of everyday-life. It is explanation about the high mass consumption society of Rostow, W. and a concept called the greed naturalism of Masao Maruyama that it becomes the key of the argument. At first I grasp the scale through numerical value and describe rapid economic growth in Japan, and analyze the mechanism that enabled the growth. After that, I chase the change of the society/everyday-life which “compressive” economic growth caused. In brief, I replace high growth in Japan with cultural context, and I’m going to see In brief, I replace high growth in Japan with cultural context. Through such analysis, the high growth excavated new value in a dimension unlike the actual situation.

      • KCI등재

        미생물복귀돌연변이(Ames)시험을 통한 탄산리튬의 변이원성 고찰

        임경택 ( Kyung Taek Rim ),김수진 ( Soo Jin Kim ) 한국산업보건학회 2014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4 No.3

        Objectives: To evaluate the mutagenicity of lithium carbonate, a bacterial reverse mutation(Ames) test was carried out using four strains of S. typhimurium(TA1535; TA1537; TA98; and TA100) and one strain of E. coli(WP2uvrA). Materials: This was carried out in a dose range from 312.5 to 5,000 μg/plate in triplicate with and without S9 activation,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metabolic activation system supplemented by a post-mitochondrial fraction prepared from the livers of rodents treated with enzyme-inducing agents such as Aroclor 1254 or a combination of phenobarbitone and β-naphthoflavone. Results: No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number of revertants were observed under the conditions examined in this study.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lithium carbonate has no mutagenic activity. Despite the results, it can have an effect by inducing acute oral toxicity, eye irritation and acute aquatic toxicity. Based on this study, we suggest that future studies should be directed toward chronic, carcinogenic testing and other related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