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예비문항 개발

        이혜전,임경원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주로 발달장애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의 예비문항을 개발하는데 있으며, 주요 연구방법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기초문항을 구안하였고, 1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에 의하여 나타난 문항의 평균, 표준편차, 합의도 및 수렴도 값, CVR, 그리고 전문가 위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전체 문항을 수정하였다. 수정한 문항으로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중요도와 평가 실행 가능성을 알아보고 문항을 최종 수정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은 '지식', '단위 수업의 계획', '단위 수업의 실행', '수업 후 전문성 계발'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지식' 5문항, '단위 수업의 계획' 12문항, '단위 수업의 실행' 22문항, '수업 후 전문성 계발' 5문항, 총 4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특수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 예비문항은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평가 도구로 활용하거나,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돕는 객관적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instruction for special education’ for increasing of teaching professionalism by special teacher, and the chief research method adopted is Delphi technique. To attain the study goal, basic questions were devis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with the first Delphi research,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ased on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VR(Content Validity ratio), and consistency and convergence values of the questions gained from the first Delphi research result and expert opinions, all the questions were modified. With the corrected questions, the second Delphi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s and feasibility of the evaluation, and then the questions were revised finally.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instruction for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divided into four areas: ‘knowledge’, 'planning of the unit instruction’, ‘implementation of the unit instruction’, and ‘developing expertise after the instruction’. And the number of questions was total 44 including 5 questions for ‘knowledge’, 12 questions for 'planning of the unit instruction’, and 22 questions for ‘implementation of the unit instruction’, and 5 questions for ‘developing expertise after the instruction’.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instruction for speci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ed by this research can be us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a tool to enhance their instruction expertise or objective criteria supporting reflective thinking for their instruction.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금전관리 기술 교수 관련 문헌분석

        이혜전,임경원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es hereafter about teaching money management skills to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collect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analyzing them. For this, total of 36 researches has been analyzed by the aspects of participants, interventions, methods, response strategies, instruction modification and teaching environments. In consequences,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participants were fewer than 5, the ages of them were 14 to 19(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type of disability was intellectual disability. Also as entry skills, many students didn't acquire mathematical skills and most of the interventions were purchasing products. Modelling, using photos and simulation practices were generally used to teach money management skills. The mostly used response strategies were time delay and the least prompt strategy, and they were used combinedly. To modify instructions, simplification strategy was used, and as teaching environments classrooms and communities were used generally. Through theses results, this research compared and arranged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included proposals for follow-up researches. 이 연구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발달장애인의 금전관리 기술 교수에 관한 연구를 모아 분석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인의 금전관리 기술 지도에 대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36편의 연구를 연구대상, 교수내용, 교수방법, 반응전략, 교수수정, 교수환경 측면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 대상은 5명 미만, 연구대상 연령은 14~19세(중고등학생), 장애유형은 정신지체, 중재 전 기술 수준은 수학적 기술을 습득하지 못한 학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 내용은 물건구매가 대부분이었다. 금전관리 기술의 교수방법은 모델링과 사진자료 활용, 모의 훈련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반응전략은 시간지연법과 최소촉진법을 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교수수정은 단순화 전략이, 교수환경은 교실과 지역사회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국내외를 비교하여 정리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 수업분석 연구 동향

        이혜전,노진아,임경원 국립특수교육원 2011 특수교육연구 Vol.18 No.1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class analysis research to provide quality class with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by analyzing trends in class analysis research, which has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o do this, a total of 24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analyzed, which used the class analysis metho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jority of the topics we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many of the studies were related to mental retardation. Most studies targeted teachers 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those of class analysis conducted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with relatively fewer studies of integrated classes. The most number of the studies were performed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subjects of the Korean language, sociology , mathematics,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In more cases, the qualitative research took priority over the quantitative one. As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filtering analysis was most commonly used, while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two or more methods tended to be utilized Based on this result, in future directions for class analysis in special education, it needs to have various topics which is focused not only on teachers but also on stu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expand areas of disability, have class analysis in integrated classes, develope class rating scales, and have complementary researches betwee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quantitative one.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특수교사의 특성변인 탐색

        이혜전,임경원,백종남,김경옥,김나현,김이열,김나애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 related variables for further research of good instruction in future special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and practice of good instruction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teacher related variables(gender, teaching experience, level of education, working place, level of school). For this 634 questionnaires that has been conduc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of mental retardation all over the country, were analyzed. As a result, first, female teachers have mor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of good instruction, second, teachers who have below five-year experiences have less importance and practice.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by the areas of work places, and last, in case of special education schools,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much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ractice in overall areas. But in case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goals, conveying expectation and motiv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more differences, while middle school teachers have more differences in using various materials, physical environment and accomplishment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 methods to implement good instruction in field of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특성 변인(성별, 경력, 근무지역, 학력, 배치형태)에 따라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관한 영역별(관점, 내용, 방법, 환경, 평가)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차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좋은 수업 관련 연구를 위한 변인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중등 특수학급과 정신지체 학교를 표집,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한 63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좋은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에 있어서 여교사가 더 그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경력이 5년 이하인 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넷째, 석사과정 이상의 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적었다, 다섯째, 특수학교의 경우, 전반적인 영역에서 초등 특수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의 경우, ‘목표 기대전달’, ‘흥미․동기유발’ 부분에서는 초등교사가 ‘다양한 수업자료 활용’, ‘물리적 환경’과 ‘수행평가’ 측면에서는 중등교사가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현장에서 좋은 수업을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의 문항 구성 요인 탐색

        이혜전,백종남,임경원 국립특수교육원 2013 특수교육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quality factor of questions and to explore factor structure based on preliminary questions of ‘Criteria of Special Education Class Evaluation’ developed in the preceding research. To accomplish the goal of this study, I conceived basic questions for development of ‘Criteria of Special Education Class Evaluation' prepared in the preceding research, collected target sampling of special teachers in Chungnam, Chungbuk, Daejeon and Jeonbuk area according to the grade of school, and analyzed the data of 414 copies collected. First, I verified discrimination of questions, multiple collinear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s to examine the quality factor of measuring questions of ‘Criteria of Special Education Class Evaluation’. Second, a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measuring questions of class evaluation criteria, I obtained the verification value of KMO and Bartlett, and verified whether the data would be suitable for the factor analysis, got the factor structure matrix through principal factor analysis and oblimin factor rotation, and analyzed the factors. As a result of study, I organized 6 factors including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Preparation of Class’, ‘Class Improvement and Generalization’,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Development of Class’, ‘Facilitation of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upport Plan’ and 32 sub questions. Based on this result, I suggested discussion and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의 예비문항을 바탕으로 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하고, 요인구조를 탐색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마련한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 개발을 위한 예비문항을 토대로 기초문항을 구안하였고, 충남, 충북, 대전, 전북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급에 따라 목적표집 하였으며, 회수된 414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특수교육 수업평가 기준' 측정 문항의 양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 변별도와 문항 간 다중 공선성,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수업평가 기준 측정 문항의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KMO와 Bartlett의 검증값을 구하여 요인분석에 적합한 자료인지 검증한 후, 주축요인분석과 오블리민 요인 회전을 통해 요인구조 행렬을 구한 후, 요인을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이해 및 수업준비', '수업개선 및 일반화', '개별화 교육지원', '수업전개', '수업 참여촉진', '수업지원계획'의 6가지 요인과 32개의 하위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혜전 ( Hey-Jeon Lee ),임경원 ( Kyoung Won L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개념, 수업평가 실태, 수업평가 기준을 알아봄으로써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얻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1차로 특수교사 268명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개념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차로 전국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개념과 수업평가의 실태 및 기준에 대한 종합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사가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개념을 교육내용, 방법, 환경 및 분위기, 수업결과의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효율적인 수업과 좋은 수업의 개념 차에 대한 인식을 정리하였다. 둘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수업평가의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셋째, 특수교육 현장에서 느끼는 수업평가의 필요성, 바람직한 평가의 유형, 수업 평가의 대상과 결과의 활용, 수업평가 기준이 필요한 이유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넷째, 수업평가 기준 개발의 주체와 수업평가 정착을 위한 선결조건,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평가 요소들의 우선순위, 수업전문성 발달을 위한 지원방안과 수업평가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보상체제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in the speci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ncept of good instruction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urrent instruction evaluation status as well as the desirable directions and plans for future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Hence, studies were performed twice. First, open style questionaries were used targeting 268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collect their opinions regarding good instruction concepts. Second, the survey paper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1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results, the good instruction concep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nk were examined in the aspect of education teachers' perspective differences on effective instruction and good instruction were summarized. Second, the status of instruction evaluations conducted on special education sites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s were reviewed. Third, the needs for instruction evaluation, types of good instruction, targets for instruction evaluation, use of the results, and the reasons for the need of instruction evaluation were also studied. Fourth, main bodies of developing the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prerequisites for setting down the instruction evaluation, priority evaluation factors for 'good instruction', plans to support professionalism of instruction, and effective rewarding systems to promote instruction evaluation were also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on developing instruction evaluation criteria for 'good instruction' of special education as well as the implications were deducted.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만족도의 차이

        김연옥,이혜전,임경원 한국직업재활학회 2012 職業再活硏究 Vol.22 No.3

        The aims of this study are providing data to establish further employment policies for the disabled women by researching the difference of the satisfaction level in their daily lives based on their social economic status and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original data from ‘4th Panel Survey of the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y the Korean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a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ir daily living satisfaction level was varied to following areas : education, income, employment status,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age, marital status,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degree of disability. Their job-related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very high but satisfaction on friend relationships, residence, health status, monthly income, leisure, and their overall daily lives was low.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the satisfaction degrees of their daily living dependent to their social economic status and to the characteristics in sociology of population, a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여성장애인의 고용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실시한「제4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력, 소득, 취업여부, 주관적 계층의식, 연령, 결혼상태, 장애유형과 장애정도에 따라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만족도의 차이를 내용별로 알아본 결과, 직업 관련 만족도와 결혼생활 만족도는 높게 나타난 반면, 친구관계, 거주지, 건강상태, 월 소득, 여가생활 및 전반적인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일상생활만족도에 대하여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