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 문서 분석 기반 개인정보 위험도 분류 시스템

        이형선,임재돈,정회경,Lee, Hyoungseon,Lim, Jaedon,Jung, Hoek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1

        최근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피싱이나 스팸 등이 발생하고 있다. 기존에 시스템들은 개인정보 유출의 사전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로 인해 이미 유출된 개인정보가 있을 경우 개인정보 유출판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 분석 기반 개인정보 위험도 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트위터 서버로부터 웹 문서를 수집하고 해당 웹 문서 내에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웹 문서 내에 유출된 개인정보들의 위험도 분류 가중치를 계산하고 개인정보를 유포한 트위터 계정의 권위를 확인한다. 이를 기반으로 위험도를 도출하여 해당 웹 문서의 개인정보 유출여부 판별을 확인할 수 있다. Recentl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has caused phishing and spam. Previously developed systems focus on preventing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can not be discriminated if there is already leaked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personal information hazard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web document analysis that calculates the hazard. The system collects web documents from the Twitter server and checks whether there are any user-entered search terms in the web documents. And we calculate the hazard classification weighting of the personal information leaked in the web documents and confirm the authority of the Twitter account that distributed the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 hazard can be derived and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of the web document.

      • KCI등재

        형방지황탕(荊防地黃湯)과 십이미관중탕(十二味寬中湯)이 Glycerol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신부전에 미치는 영향

        이형선,김일환,김효수,Lee, Hyung-Sun,Kim, Il-Hwan,Kim, Hyo-Soo 사상체질의학회 2005 사상체질의학회지 Vol.17 No.3

        1. Objective : The present author have examin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Hyeongbangjihwang-tang and Sibimikwanjung-tang in glycerol-induced acute renal failure, a model for myoglobinuric acute renal failure. 2. Methods : Above two prescriptions were applied to rat ad libitum and serum level of creatinine, glucose and blood urea nitrogen(BUN) were measured. And serum level of $Na^+$, $K^+$ and $Cl^-$, too. 50%(vol/vol) glycerol at a dose of 10 ml/kg of rat body weight intramuscularly and 1% concentration of prescriptions were applied to rats for 7 days ad libitum. 3. Results : Serum level of creatinine and $K^+$ significantly increased by glycerol injection, and these showed pre-renal and renal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Hyeongbangjihwang-tang administered group showed decreasing tendency on serum level of creatinine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but not significant. Sibimikwanjung-tang administer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serum level of BUN when compared with control groups. 4. Conclusions : Above two prescription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on glycerol induced acute renal failure, but Hyeongbangjihwang-tang and Sibimikwanjung-tang showed a little different manner of response.

      • KCI등재

        2세 말 늦은 아동의 의사소통 제스처 특성과 표현어휘발달

        이형선(Hyung-Sun Lee),이란(Ran Lee),이은주(Eun-Ju Le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말 늦은 아동의 의사소통 제스처 특성을 파악하고 의사소통 제스처와 표현어휘발달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 낱말 이상의 자발적 산출이 가능한 만 2세 말 늦은 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4가지 놀이 상황에서 의사소통 제스처와 표현어휘를 수집하였다. 의사소통 제스처는 발화 동반 여부에 따라 발화가 동반되지 않은 제스처(지시적 제스처, 표상적 제스처, 관습적 제스처)와 발화가 동반된 제스처(보완적 제스처, 추가적 제스처)로 나누고, 표현어휘는 전체낱말수(NTW), 서로다른낱말수(NDW)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말 늦은 아동이 생활연령 일치 아동보다 전체 의사소통 제스처와 발화가 동반되지 않은 제스처를 유의하게 많이 사용하였으나, 발화가 동반된 제스처는 유의하게 적게 사용하였다. 하위유형에서는 관습적 제스처를 제외한 모든 하위유형 제스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사소통 제스처와 표현어휘발달 간 관계에서 말 늦은 아동과 생활연령 일치 아동 모두 전체 의사소통 제스처와 발화가 동반된 제스처와 NTW, NDW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발화가 동반되지 않은 제스처 하위유형에서 말 늦은 아동의 지시적 제스처와 NTW, NDW 간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발화가 동반된 제스처 하위유형에서는 말 늦은 아동의 보완적 제스처와 NTW, NDW, 추가적 제스처와 NTW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생활연령 일치 아동은 보완적 제스처와 NTW, 추가적 제스처와 NTW, NDW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말 늦은 아동의 의사소통 제스처 특성이 표현어휘발달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지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ve gestures of late-talker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Method: Communicative gestures and expressive vocabulary were collected in four play situations with 15 two-year-old late-talkers and 15 children who matched the chronological age, using more than one-word length utterances. Communicative gestures are divided into those without words (indicative gestures, representational gestures and conventional gestures) and those with words (complementary gestures and additional gestures), depending on or not speech is accompanied. The expressive vocabulary is further divided into the total number of words (NTW) and a different number of words (NDW). Result: Late-talkers used overall communication gestures and gestures without words more than age-matched children, but used gestures with words less than age-matched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ve gestures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gestures with words in late-talkers and age-matche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TW and NDW. In gesture subtypes without word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TW and NDW in the indicative gestures of late-talkers. In gesture subtypes with words, late-talkers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plementary gestures and NTW and NDW.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dditional gestures and NTW. Age-matche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plementary gestures and NDW. Further,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plementary gestures and NDW.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ve gestures of late-talkers can be an important variable for predicting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 KCI등재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 대한 와송 핵산추출물의 AP-1과 IRF3 전사인자의 억제에 의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감소 효과

        이형선 ( Hyeong-seon Lee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20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와송에 유기용매를 활용하여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항염증 활성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기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식세포에 와송 hexane 추출물을 전처리하고 LPS로 염증을 자극하여 염증과 관련한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식세포에 와송 hexane 추출물은 LPS 자극에 의해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고, ROS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IL-1β, IL-2, IL-6, IP-10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mRNA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 탁월하게 억제하였다.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는 상위 전사인자인 AP-1과 IRF3의 조절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이들을 단백질 수준에서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c-Jun, c-Fos, IRF-3의 인산화 억제로 핵 내 전사활성이 제한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볼 때, 와송 hexane 추출물은 염증 반응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rostachys japonicus (O. japonicus) is known as a medicinal plant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symptom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hexane fraction from O. japonicus (OJH) on the LPS-stimulated response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cell cytotoxicity and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 OJH-treated macrophage cells. Additionally,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transcription factors were determined using RT-PCR and western blotting assay. OJH showed no change in lactate dehydrogenase (LDH) levels and exhibited reduced ROS levels in LPS-induced inflammatory cells. Moreover, OJH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mRNA level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1β, IL-2, IL-6, TNF-α, and IP-10. Furthermore, OJH effectively inhibited the protein levels of AP-1 (p-c-Jun and p-c-Fos) and p-IRF3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OJH exhibits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ies via regulation of inflammatory factors.

      • 간 이식 공여자의 LDLT (Living-donor liver transplantation)시 CT volumetry 측정 방법의 유용성 평가

        이형선(Hyeong Sun Lee),김명성(Myeong Seong Kim),정종성(JongSung Jeong),김명구(Myeong Gu Kim)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5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7 No.2

        Purpose :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s necessary in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as essential, which depending on preoperative measurement of donor’s liver size. Therefore, to find a evaluate and usefulness, which of accurate preoperative measurement of right lobe liver sizing, is known two-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2D CT) and applying new 3D CT method. Meterial and method : The subjects were from March 2014 to February 2015 for Hepato Biliary / CTA to donors who underwen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30 (19 men, 11 women) and mean age is 36 years (17 - 61 years). To find a usefulness of 2D and 3D CT method was compared with excised volume from right lobe of liver by surgery (Graft weight). In this study, using CT equipment was General Electric health care system (GE) 64 Channel (Discovery CT 750 HD) and 4.5 cc / sec speed contrast agent injected with the earl artery, late artery and the portal phase were scanned. Right lobe of liver volumetry were performed on 2D and 3D mehods respectively in 3.75 / 3mm cross-sectional/Interval scanned portal phase by GE’ s Advantage Workstation (Ver 4.6.05). Conventional method, 2D CT Volumetry was to be measured in the contour of all of the each cross-sectional liver images, but 3D CT Volumetry was loading with volume rendering, and obtained liver total volume after cut off the liver vessel and blood CT images as using threshold value of liver parenchyma set, and then obtained right lobe of liver from cut-off based on the mid hepatic vein. Result : The excised average on weight of the donor liver parenchyma by surgery was 648.56±146.58 cm3, mean 775.76±162.04mm3 as using a 2D CT measurement method, but mean applied to 3D CT measurement method as704.03±156.64cm3. Applied with method of 2D CT measurement, showed average 127.2cm3 wight (t-test,p=0.002) difference from the excise dliver, but differences in55.46cm3(t-test,p=0.16), when compared with 3D CT measurement method. Theres ult of pears on correlation analysis when compared with Graftweight, 0.944 (p<0.001) in 2D CT, but 0.977 (p<0.001) in 3D CT that more correlate with Graf tweight. Conclusion : Result of liver volumetry measurements method based on CT images is can vary depending on the skill of understanding who conducting anatomical measurements and using 3D Software ski ll. However in case of using a 3D CT measuring methods, present the more accuracy liver weight with GRWR whether determine living liver transplantation than using conventional 2D CT measurement method. 목적 : 만성 간 질환환자의 치료로 생체 간이식 수술은 필수적인 것으로 수술 전 공여자의 우측엽 간 크기 측정에 따라 수술 여부가 판가름 된다. 따라서 수술 전 정확한 우측엽 간 크기 측정을 방법을 알아보고자 기존에 알려진 two-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2D CT) 방식과 새로 도입 적용하는 3D CT 방식의 유용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 대상자는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Hepato Biliary/CTA를 시행한 생체간이식 수술 공여자로 총 30명 (남자 19명, 여자 11명)에 평균 나이 36세(17세 - 61세)이다. 2D와 3D CT 방식을 이용한 우측 간의 유용성 비교 기준은 수술 시 공여자의 우측 간을 적출한 무게 (Graft weight)로 하였다. 사용한 CT 장비는 General Electric health care system (GE)사의 64 Channel (Discovery CT 750HD) 이고 CT 검사 시 4.5cc/sec 속도로 조영제를 주입하여 earl artery, late artery 그리고 portal phase를 시행하였다. 간 용적 측정은 3.75 mm 단면 두께로 scan한 portal phase 영상을 GE사의 Advantage Workstation (Ver 4.6.05) 에서 2D 방식과 3D 방식을 이용하여 우측엽 간을 volumetry 하였다. 기존에 사용해오던 2D CT volumetry 방법은 각각의 Axial 단면 영상에서 간 실질 형태를 따라 측정하여 Volumetry를 하는 것이고 3D CT Volumetry 방식은 Volume Rendering으로 CT 영상을 loading하고 간의 실질 Threshold 값 설정으로 Liver vessel 과 blood를 최대한 제거한 전체 간의 volumetry를 한 후 mid hepatic vein을 기준으로 우측 간엽을 volumetry 하였다. 결과 : 공여자의 실질 간 적출 무게는 평균 648.56±146.58 cm3이고 2D CT 방식을 이용한 우측 간 측정 무게는 평균 775.76±162.04mm3이었지만 3D CT 방식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는704.03±156.64 cm3의 결과를 나타냈다. 평균 실질 간 적출무게와의 비교에서 2D CT 방식 적용에서 127.2cm3(t-test,p=0.002)차이를 보인 것과 달리 3D CT 방식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55.46 cm3 (t-test,p=0.16)차이로 더 유사한 결과 값을 나타냈다. 실질 간 적출 무게와의 상관성 분석에서도 2D CT 방식에서는 0.944(p < 0.001) 값이었지만 3D CT 방식에서는 0.977 (p < 0.001)값을 나타나 상관성이 더 큼을 나타냈다. 결론 : CT 영상을 이용한 volumetry 측정 값은 측정하는 사람의 간 해부학적 이해도 및 3D Software의 숙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지만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3D CT 측정 방법을 이용하였을 경우 기존에 알려진 2D CT 측정 방법보다 실질 간 무게와 가까운 값을 보여 생체간이식 여부를 결정하는 GRWR의 정확도가 높아짐에 따라 임상에서 3D CT 측정 방법 사용을 적극 권장한다.

      • DC 유형의 에너지 자원을 활용한 저전력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이형선(Hyeong-Sun Lee),고태경(Tae-Kyung Ko),임현(Hyun Im),유종근(Chong-Gun Yu)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3 No.2

        본 논문에서는 DC 유형의 에너지 자원을 활용한 저전력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회로에 대해 기술한다. 설계된 회로는 열전소자나 광전소자로부터 수확된 에너지를 변환하여 저장 커패시터에 저장한다. 제안된 회로는 크게 MPPT 인터페이스 회로와 DC-DC 변환기로 구성된다. MPPT 인터페이스 회로는 에너지 유형(빛, 열)에 따라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동작을 통해 최대 전력을 수확한다. DC-DC 변환기는 MPPT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확되는 에너지를 Buck-Boost 하여 커패시터에 저장한다. 제안된 회로는 0.35㎛ CMOS 공정으로 설계하였고, 설계된 칩 면적은 1531㎛ x 1212㎛ 이다. This paper describes a low-power energy harvesting system for DC-type energy sources. The designed circuit converts the energy harvested from thermoelectric or photovoltaic devices, and then, store it into a storage capacitor. The proposed circuit consists of an MPPT interface circuit and a DC-DC buck-boost converter. The MPPT interface circuit harvests maximum available power from input sources through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energy type (thermoelectric, photovoltaic). The DC-DC converter performs boost or buck conversion with the energy harvested through the MPPT interface, and store the converted energy into a storage capacitor. The proposed circuit is designed with 0.35㎛ CMOS process, and the designed chip area is 1531㎛ x 1212㎛.

      • KCI등재

        굴피나무 잎 추출물의 위암세포에 대한 세포사멸 유도 효과

        이형선 ( Hyeong-seon Lee )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202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9 No.3

        본 연구에서는 굴피나무 잎 추출물로부터 사람 위암세포 주인 AGS 세포에 대한 apoptosis 가 유도되어 항암 활성을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AGS 세포에 굴피나무 잎 추출물을 농도별 (0, 50, 150, 200 pg/ml)로 처리하여 세포에서 나타나는 양상들을 확인하였다. MTS 측정으로 암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굴피나무 잎 추출물에 따라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에 독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세포 죽음이 apoptosis 유도에 의한 것인지를 annexin V/FITC-PI 염색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early apoptosis를 보이는 세포의 양상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굴피나무 잎 추출물의 처리는 세포 주기에서 sub-Gl 기의 증가로 암세포가 더 이상 분열하지 못하고 증식이 억제됨을 보여준다. 내인성 경로에 관여하는 Bax, Bak, Bcl-2, Bcl-xL의 증감을 mRNA 수준에서 RT- PCR로 확인한 결과, Bax, Bak가 증가하고, Bcl-2, Bcl-xL이 감소를 동반하며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세포사멸의 신호전달 경로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굴피나무 잎 추출물은 사람 위암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가지는 효능적 가치가 있음에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추가적인 동물실험을 통한 인체적용시험의 효능 검증을 통해 의약품 개발 가능성을 확인해야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Platycarya strobilacea leaf in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We determined the cell viability effect of P. strobilacea using MTS assay. Apoptosis induction and cell cycle arrest were confirmed by fluorescein isothiocyanate and propidium iodide staining using cellometer K2.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the Bcl-2 family were confirm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 strobilacea. Total, early, and late apoptotic cells were dramatically increased, and the cell cycle was arrested at the sub-G1 phase. The mRNA expressions of Bcl-2 and Bcl-xL were reduced, whereas pro-apoptotic factors, Bax and Bak, wer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 strobilacea leaf extract induced significant apoptotic activity through an intrinsic mitochondria pathway.

      • KCI등재

        와송추출물의 비만유발 ICR 마우스에서의 항비만 효과

        이경선 ( Kyungsun Lee ),이형선 ( Hyeong-seon L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7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5 No.4

        본 연구에서는 와송로부터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4주령의 수컷 쥐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8주간 정상식이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 고지방식이를 제공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그 후 정상식이군, 고지방식이군, 2.5% 와송추출물 식이군, 5% 와송추출물 식이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식이 투여를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 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와송추출물 첨가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이섭취량에서 군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량과 식이효율비가 와송추출물 첨가 식이군에서 탁월한 감소 효과를 보였다. 고지방 식이에 의한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의 증가는 와송추출물의 섭취로 인해 낮아졌으며, HDL-콜레스테롤의 현저한 증가를 가져왔다. 부고환 지방조직에서 관찰한 지방세포의 크기 또한 와송추출물 섭취군에서 정상군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여준다.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할 때, 고지방 식이와 함께 공급한 와송추출물은 체중감소 및 체지방 축척의 억제와 더불어 혈중 지방 수준의 개선으로 다양한 비만 유래 질병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the water extract from Orostachys japonicus in high-fat-fed mice. For the analysis, 24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N) group, high-fat diet (HFD) group,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2.5% O. japonicus (HFD-OJL) group, and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5% O. japonicus (HFD-OJH) group. The body weight gain and food efficiency ratio increased with a high-fat diet,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FD-OJ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D group.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lower, but the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D-OJH group. The adipocytes within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 were found to have expanded in the HFD group. However, the adipocytes in the HFD-OJ group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the 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O. japonicus has potential as an anti-obesity agent by decreasing body weight and lowering the serum lipid levels in obese m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