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마을 오케스트라의 문화예술교육: 그 체험 과정의 기록

        이현수 ( Hyunsu Lee ),노경원 ( Roh Kyeong-Won ) 세계음악학회 2023 음악과 문화 Vol.-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cultural arts education and transform the individual's awareness of the value of art. Therefore, the Happy Village Orchestra located in Changwon, Gyeongnam was selected and observed, and interviewed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artistic activities of local amateur orchestras have the possibility of ‘connection’ to communicate by connecting families, the smallest unit of society, into one space as a hobby of musical activities. Orchestra activities play a communal role, allowing local people to expand from individual music learning to holistic musical collaboration. The ‘joy’ arises from these activities a role in sustaining the community. In addition, local residents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a performer, which has the effect of sharing patience, consideration, emotion, and empathy. Culture arts education using the form of an orchestra guides the local residents' music learning experience and contributes to creating artistic citizenship that understands art in their own way and expresses their an artistic way.

      • KCI등재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교육 정책의 변화

        이현수(HyunSu Lee)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7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부가 발행한 문서인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계획’에서 음악과의 정책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점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2015년까지는 주로 지원 학교의 수와 금액을 늘리는 양적 성장에 중점을 맞추다가 2016년 이후 음악 프로그램과 학생 만족, 그리고 교사교육과 같은 질적 성장을 도모하였다. 정책 초기의 배경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인성의 함양에서 학생의 예술적 가치인식을 중점으로 이동하였다. 오케스트라 중심에서 연극, 뮤지컬, 예술동아리, 예술중점학교로 확대되었다. 정책 중기에는 누적된 음악예술인프라를 사용하여 음악적 발달을 기록하고 사업 컨설팅을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었다. 교육부의 정책을 살펴본 바, 신규 학교와 자생적 학교에 대한 지원 혼재, 수요자 중심적 음악교육, 악기 편향적 지원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보완 사항으로 장기적인 계획과 예산 편성, 다양한 음악 영역에 대한 지원, 음악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부와 교사집단 상호 간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of policy changing in the Department of Music in the School Arts Education Promotion Plan, a document issued by th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11 to 2020, and to find problems and improvements. As a Result, until 2015, the focus was mainly on quantitative growth by increasing th number and amount of schools supported, but after 2016, qualitative growth such as music programs, student satisfaction, and teacher education was pursued. Background of the initial policy began with the cultivation of personality for social requirement, then shifted to the student’s artistic value recognition. It expanded from the center of the orchestra to the musical, theater, art club, and art school. On the mid-term, the accumulated music and arts infrastructure was used to record musical development and established a system for business consulting. After the policy review, problems of mixed support for new and self-sustaining schools, consumer-focused music education, and musical instrument-biased support appeared. In order to improve these,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planning and budgeting, support for various music areas, and mutual effor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teacher group for music programs were necessary.

      • KCI등재

        지역 오케스트라의 음악활동으로 본 예술적 시민성

        이현수(HyunS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세계 교육의 초점이 되는 세계시민성의 구성 요소인 예술적 시민성이 지역에서 실천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음악교육의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방법 질적 연구의 방식을 선택하여 현장에서 참여자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참여관찰, 구조·비구조적 질문을 사용하여 주제를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심층면담, 현지에 있는 물건, 그림, 메모, 역사적 자료들을 모아 분석하는 현지자료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지역에서 음악활동을 하는 아마추어 오케스트라를 선정하였다. 결과 예술적 시민성은 ‘일상의 변화’에서 ‘협동 학습’을 하며 ‘가치를 공유’하는 형식으로 생산되었다. 개인이 악기를 배울 때 언어 아닌 소리를 표현하고 발전시킨다. 하나의 음악을 만들기 위해 타인과 음량과 박자, 빠르기를 조절하는 음악적 협동의 과정에서 소통으로 확장한다. 음악적 협동은 내부적으로 공감을 유발시키는 동시에 무대에서 타인이 느낌과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공감을 주어 자기중심에서 친사회적으로 만든다. 결론 지역 오케스트라의 음악활동은 지역 시민 간의 협동을 통해 삶을 이타적으로 변화시키고 유사한 감정을 공유하면서 함께 공감하고 확장하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 형식으로 예술적 시민성을 만들어간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by examining how artistic citizenship, a component of global citizenship, which is the focus of world education, is practiced in the region. Method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 amateur orchestra performing music activities in the region was observ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0 months. Results Artistic citizenship begins with the expression and development of sound, not language, when an individual learns a musical instrument. In order for everyone to make music, in the process of musical cooperation, communication by controlling the volume and tempo takes place. Musical collaboration induces empathy internally and at the same time gives empathy that understands and respects the emotions and feelings of others on stage, changing from self-centered to pro-social. Conclusions The musical activity of the local orchestra creates artistic citizenship in the form of altruistically changing lives and creating a healthy society that empathizes with and expands the same feelings through cooperation among local citizens.

      • KCI등재

        상황학습론의 고찰을 통한 초등학교 음악수업 방향 탐색

        이현수(HyunS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상황학습을 고찰하여 나타난 상황 관련 요소들이 음악교육과정 문서와 음악교과서에 분포된 양상과 비율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수업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먼저 상황학습론을 고찰하여 여기서 나온 핵심요소들이 음악과 교육과정 문서와 음악교과서에 분포된 양상 및 비율을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은 성격과 목표,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교과서는 초등학교 6학년 음악교과서를 선택적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상황학습은 교실을 비롯한 생활세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부단한 상호구성적인 성격을 띤다. 핵심 요소는 시⋅공간의 흐름을 전제로 하는 맥락성이 중심이 되며 즉시성, 즉흥성, 실제성, 구체성이 관계한다. 이들은 하나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 지향성을 가지며, 정체성과 연결된다. 음악수업에서 첫째, 지속적인 음악적 상황을 위하여 장기적 학습 계획의 숙고가 필요하며 둘째, 음악적 정체성을 형성시킬 수 있는 맥락적 활동을 구성해야 하며 셋째, 음악이 연결된 상황을 통한 음악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결론 상황을 통한 실천적 음악 학습을 하는 일은 교과 간, 교사 간 그리고 학과 구성에서, 물리적 여건들을 함께 동반하여 학습여건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sic class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situation-related elements in music curriculum documents and music textbooks by considering situational learning. Methods To this end, the situational learning theory was examined, and then the patterns and ratios of the discovered key elements were analyzed in the music curriculum documents and music textbooks. Music curriculum document,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relevant elements were analyzed with a focus on personality, objective, and achievement standards. Textbooks were analyzed by selective sampling 6th grade music textbooks. The curriculum focused on personality,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s were selectively sampled and analyzed from music textbooks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As a result,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long-term learning plan for a continuous musical situation, second, constructing a contextual activity that can form a musical identity, and third, musical interaction through a situation in which music is connected was discussed.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praxis music learning through situations requires efforts to improve the learning conditions by accompanying outside classroom conditions between subjects, teachers, and departments.

      • KCI등재

        Martin Seligman의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음악교육 방안

        이현수(HyunSu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음악교육의 가치를 회복하고 예술을 사회로 표현할 수 있는 시민을 형성하려는 목적을 위해서 Martin Seligman의 긍정심리학을 고찰하고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법 긍정심리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긍정심리학을 구성하고 있는 낙관성 학습, 대표 강점, 웰빙 이론, 플로리시의 개념과 내용을 탐구하고 유형화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음악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 활용방안으로 첫째로, 음악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낙관 정도를 기초 조사 형태로 파악하고, 둘째로, 학습자의 음악적 강점조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셋째로, 강점을 반영하여 음악수업을 재구성하는 방법, 넷째로, 웰빙이론을 사용하여 수업 후에 학습자의 행복감을 살펴보는 방법을 체크와 서술 형식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현재 주어진 교육 여건에서 음악교육으로 학습자가 음악 정서를 발견하고 강점으로 삼기 위한 교육 실천을 위해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음악교육 방안 제안은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준다. Objectives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and forming citizens who can express the arts as a society Positive psychology was reviewed and a plan to apply it to music education was presented. Methods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positive psychology and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Optimism Learning, Strengths Development, Well-being Theory, and Flourish, which constitute positive psychology, were explored, typified, and considered. Based on this, a plan that can be used for music education was presented. Results As a result first, the degree of optimism of learners for music classes is identified in the form of a basic survey, second, it can be used as a survey of learners' musical strengths, third, a method of reconstructing music classes by reflecting on strengths, and fourth, a way to examine learners' happiness after class using the well-being theory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checks and descriptions. Conclusions In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roposal of a music education plan using positive psychology for educational practice for learners to discover music emotion and make it strength through music education shows another possibility.

      • KCI우수등재

        생애사적 접근으로 본 음악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변화

        이현수(Hyunsu Lee)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음악교사의 음악체험을 통해 음악교사의 정체성 형성과 변화과정을 살펴보는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애사적 연구 방식을 선택하여 연구 참여자 두 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음악 정체성은 음악 체험이 가능한 시간과 공간에서 변화하며 탈영토화하였다. 음악 정체성이 형성되고 성장하는 데에는 자기를 변화시키는 타자, 그리고 음악적 관계맺기가 존재하였다. 음악교사 개인은 삶 속에서 타자, 그리고 음악적 관계맺기를 통해 음악 정체성-음악가정체성-음악교육자 정체성을 만들어간다. 음악교사는 자신의 과거, 현재에 겪은 음악체험을 학생에게 다시 투영하면서 자신의 존재 이유인 음악교육자 정체성을 완성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musical identity formation and change through music teacher’s musical experience. To this end, a life-history approach was chose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study participants. As a result, music identity was deterritorialized by changing in time and space where music experience is possible. In the growth of a musical identity, there were others who change the self, and musical relationships. Music teachers create music identity-musician identity-music educator identity through making musical relationships and the others in life. Also completes the identity of a music educator, the reason for his existence, by reprojecting past and present music experience to the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