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earning 콘텐츠 제작의 색채 기준표에 관한 연구 - 제작자를 중심으로 -

        이향아,윤지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3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4 No.35

        인터넷의 발전과 첨단 매체의 등장으로, 인간 상호 간 커뮤니케이션은 빠르게 변화하였고, 교육 또한 인 터넷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배경 으로 등장한 e-learning은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활 용과 개인별 맞춤 학습, 상시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 점으로 여러 곳에서 사용되면서 우리에게 익숙하고 일반화된 교육법이 되었지만, 그에 비해 효율적인 e-learning 콘텐츠 제작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수준 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learning 콘텐츠 제작에 있어 효율적 학습 공간 구현을 위한 시각적 요소 중, 정보와 지식을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전달하는 원초적 요소이면서, 인지와 기억에 중요한 부분에 영향을 주 어 확실한 Identity를 표현할 수 있는 색채를 중심으 로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e-learning 콘텐츠의 색채연구를 위해 s사이버대학 교의 콘텐츠를 선정하여 콘텐츠 제작에 있어 색채적 용 방법과 기준 적용 시 효과 등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2013년도 1학기 신규 제작 콘텐츠에서 적용되 기 시작한 색채 기준표에 대한 분석과 함께, 이것은 적용하기 전후 콘텐츠 제작의 편리성, 효율성, 만족 도, 보완점 등에 대해 일반적 이론과 설문을 통해 분 석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색채 기준표 도입의 필 요성과 보완점, 제안점을 제시함으로써 e-learning 콘텐츠 뿐 아니라, 이후 각종 웹과 모바일 콘텐츠 제 작에 올바른 색채 계획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the emergence of high tech media,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has changed rapidly and education paradigm has changed to one centered around Internet. Having emerged against this background, e-learning became a familiar and widely used educational method due to its advantages including the utilization of diverse multimedia, customized learning and learning at the user's convenience. However,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effective e-learning content has not been active. Of the visual elements for the realization of effective learning space for e-learning cont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or, which is a basic element that not only organizes and delivers information and knowledge effectively but also expresses identity clearly by influencing cognition and memory. To research the colors used in rapidly developing e-learning content,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 of color application and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color standards to the content using the content provided by S cyber university. With an analysis of color standards that began to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new content for the 1st semester of 2013, the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of the content,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the content and improvements needed for the content are analyzed based on general theories and questionnaire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y of color standards and improvements needed, and makes suggestions so that effective color planning can be made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web and mobile content as well as for the production of e-learning content.

      • KCI등재
      • KCI등재

        담화 능력 평가를 위한 채점기준표 개발 - 수행결정나무(PDT) 방식을 사용하여 -

        이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담화 능력은 수험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구인으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담화 능력은 언어 능력의 다른 부분인 문법이나 어휘 혹은 발음 등과 같이 모국어 화자의 발화 직관만으로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기술하기 힘들다. 그래서 지금까지 많은 평가들에서는 담화 능력을 모호하고 주관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채점 기준을 기술하고, 그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담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Fulture(2011)가 제안한 수행기반채점표(performance Decision Tree: PDT) 방식의 채점기준표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해용․이향(2015)과 이용․이해용(2018)의 후속 연구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던 ‘부탁하기’ 과제에서의 모국어 화자의 담화 구조와 담화 능력별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 특징을 기반으로, 먼저 채점자들의 채점 경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범주화, 단계화하여 PDT 방식의 채점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담화 능력 평가를 위한 PDT 방식의 채점기준표는 담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모호함이나 주관성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채점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타당한 채점기준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거라 본다. Many researches have argued that discourse competence is a significant par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s required for foreign learners. Accordingly, foreign language assessments treat discourse competence as an important construct for determining test takers' communicative competences. However, unlike for other linguistic competences, such as grammar, vocabulary, or pronunciation, it is difficult to present a clear grading scale for discourse competence that is based on the accuracy of native speakers on an absolute standard. As a result, many former assessments have used scoring rubrics with vague and subjective terms. To supplement these previous problems, this research presents a scoring rubric, based on the Performance Decision Tree method, and assesses native speakers’ discourse structures and foreign learners’ discourse characteristics per various levels of discourse competences in a REQUEST task. After conducting an additional analysis on graders’ grading tendencies, this study developed a performance-based scoring rubric by categorizing and sequencing the results. The Performance Decision Tree scoring rubric for discourse competence can contribute towards developing a more valid scoring rubric and solve the problem of scoring reliability, resulting from previous scoring rubrics’ vagueness and subje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