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부조직의 인적 네트워크와 지식공유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향수(李享修)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2

        본 연구는 정부조직 구성원들이 맺고 있는 조직 내 외부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지식공유 과정을 사회자본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우선 인적 네트워크를 조직내부 네트워크(internal network)와 조직외부 네트워크(external network)로 구분하고 이들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에 창출되는 사회 자본을 구조적 측면, 인지적 측면, 관계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지식공유를 활발하게 해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환경적 요건들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조직 인적 네트워크 환경이 지식공유에 긍정적이지만은 않았다. 특히 네트워크 연계나 연계성, 목표나 비전공유, 신뢰문제 등이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출될 수 있는 사회자본 형성에 유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여 사회자본의 형성을 독려하고 지식공유 환경 조성에 유리한 정부조직이 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human networks on knowledge sharing for public sector organization with respect to social capital. This paper analyzes social networks into two types based on the existence of organizational boundary among members: internal network and external network. After dividing internal network and external network, it is examined conditions for knowledge sharing of the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compared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onditions for building on social capital. The findings also suggested several strategies for consideration by government agencies interested in enhancing public sector employee's capabilities of knowledge sharing.

      • KCI등재

        담화 능력 평가를 위한 채점기준표 개발 - 수행결정나무(PDT) 방식을 사용하여 -

        이향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에서 담화 능력은 수험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중요한 구인으로 다루어져 왔다. 하지만 담화 능력은 언어 능력의 다른 부분인 문법이나 어휘 혹은 발음 등과 같이 모국어 화자의 발화 직관만으로 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기술하기 힘들다. 그래서 지금까지 많은 평가들에서는 담화 능력을 모호하고 주관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채점 기준을 기술하고, 그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담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Fulture(2011)가 제안한 수행기반채점표(performance Decision Tree: PDT) 방식의 채점기준표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해용․이향(2015)과 이용․이해용(2018)의 후속 연구로 선행연구들에서 다루었던 ‘부탁하기’ 과제에서의 모국어 화자의 담화 구조와 담화 능력별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 특징을 기반으로, 먼저 채점자들의 채점 경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범주화, 단계화하여 PDT 방식의 채점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담화 능력 평가를 위한 PDT 방식의 채점기준표는 담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 모호함이나 주관성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채점 신뢰도 문제를 해결하여 보다 타당한 채점기준표를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거라 본다. Many researches have argued that discourse competence is a significant part of the communicative competences required for foreign learners. Accordingly, foreign language assessments treat discourse competence as an important construct for determining test takers' communicative competences. However, unlike for other linguistic competences, such as grammar, vocabulary, or pronunciation, it is difficult to present a clear grading scale for discourse competence that is based on the accuracy of native speakers on an absolute standard. As a result, many former assessments have used scoring rubrics with vague and subjective terms. To supplement these previous problems, this research presents a scoring rubric, based on the Performance Decision Tree method, and assesses native speakers’ discourse structures and foreign learners’ discourse characteristics per various levels of discourse competences in a REQUEST task. After conducting an additional analysis on graders’ grading tendencies, this study developed a performance-based scoring rubric by categorizing and sequencing the results. The Performance Decision Tree scoring rubric for discourse competence can contribute towards developing a more valid scoring rubric and solve the problem of scoring reliability, resulting from previous scoring rubrics’ vagueness and subjectivity.

      • KCI등재

        지방정부의 지식획득과 지식축적에 대한 연구

        이향수(李享修)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1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14 No.1

        그동안 지식관리의 주된 화두는 지식공유나 활용에 치중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지식획득이나 축적에 대한 관심은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식의 획득과 축적을 기반으로 공유나 활용 등의 기타 지식활동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지식획득과 축적활동이 가지는 의미는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지식획득 및 지식축적 활동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접근방법과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접근을 병행하여 표준화된 설문조사만을 통해서는 밝혀내기 어려운 공무원들 지식활동의 현실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지방정부 공무원들의 지식획득 및 축적활동은 보통수준이며, 형식적이며 소극적인 지식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조직의 지식활동에 있어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nowledge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have received very little attention in the study of knowledge management, unlike knowledge sharing and utilization. For an organization to generate and preserve a competitive advantage, it is vital that its knowledge be acquired and stored. This study analyzes, by quantitative approach of surveys and qualitative approach of in-depth interviews, the degree of activities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for the employees of a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employees of a local government are not aggressively involved in knowledge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activities.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management leadership are presented.

      • KCI등재

        샤론 최, 아바타가 아닌 파트너

        이향 국제언어인문학회 2021 인문언어 Vol.23 No.1

        This paper reflects on Sharon Choi’s outstanding interpreting for director Bong Joon-ho, the extraordinary public and media spotlight she attracted, and the implications of both her performance and reception for professional interpreters. First, the phenomenon of Sharon Choi is analyzed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interpreting and translation’s deprofessionalization and amateurization, which are accelerated by advances in web-based translation technologies. The paper then examines the key factors behind Choi’s success, including her subject-matter expertise and exceptional communication skills. Finally, the paper discusses how Choi’s performance challenges existing theories about translation and the questions it poses to Translation Studies as well as translator training.

      • KCI등재

        국내 번역학 연구 경향에 관한 일 고찰 -「통번역학 연구」게재 논문의 분류를 중심으로

        이향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11 통번역학연구 Vol.15 No.1

        What are some of the popular subjects among Korean researchers with respect to translation? What are unique characteristics involving Korea's Translation Studies?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to answer those questions and aims to explore the ways on how to classify researches of Translation Studies. This paper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parts: In the first part, three scholars who suggested frameworks for classifying Translation Studies are selected, and their classification methods are reviewed. To be specific,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Holmes/Toury map, which was first developed by Holmes and improved by Toury, are examined. Then, this paper examines four types of translation discourses, i.e., prescriptive/normative Translation Studies(TS), descriptive TS, inductive/scientific TS, and productive TS, proposed by Ladmiral, a French philosopher of translation. Lastly, twelve research areas of TS proposed by Williams and Chesterman are reviewed. The second part classifies a total of 193 papers published in the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Studies, an academic magazine dedicated to Translation Studies, from the first issue through 2010 issues, according to the above twelve research areas of Williams & Chesterma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analyzes the classification results, and presents ways to complement the above-mentioned classification frameworks, along with their implications.

      • KCI등재

        제2외국어권 학부에서의 번역교육: 쟁점과 제언 - <한불번역연습> 강의를 중심으로

        이향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4 프랑스어문교육 Vol.47 No.-

        Notre étude a pour but de réfléchir sur l'enseignement de la traduction au niveau universitaire, dans les départements de « deuxièmes langues étrangères », ce terme désignant ici toute langue étrangère pouvant être choisie par les étudiants après la première langue qui est l'anglais. Dans ces départements, la plupart des étudiants inscrits au cours de traduction n'ayant que 2 à 3 années d'apprentissage en moyennne, enseigner la traduction pose des problèmes majeurs. Cette étude est composée de deux parties. La première est consacrée à l'examen des principaux défis que doivent relever les enseignants de la traduction dans ces départements, notamment les conditions réelles de l'enseignement, les objectifs affichés des cours de traduction et les attentes des étudiants. Dans la seconde partie, nous avançons quelques principes, déduits de l'expérience de cours de traduction coréen-français assuré par l'auteur, et plusieurs recommandations applicables aux cours de traduction de niveau universitai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