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골주사술의 의의에 관한 연구

        이필량(PY Lee),조경훈(KH Cho),강순범(SB Kang),이효표(HP Lee),신면우(MW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5

        1981년 1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서울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골 주사술을 시행받은 39예의 환자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대상환자의 평균연령은 54세 이었으며, 임상 I, II기가 32명, III기 이상이 7명이었다 . 2. 골주사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는 총 11예(28.2%)로서 좌우신비대칭소견이 5예(12.8%) ,의 양성인 경우가 3예(7.7%) 골전이가 3예(7.7%)이었다. 3. 임상II기에서는 1예에서 골주사상 골전이의 소견을 보였고, III기에서는 1예어서 골전이의 소견을 나타냈으며, 3예에서 좌우신 비대칭 소견을 보였으며, IV기의 1예에서 좌우신 비대칭 소견을 보였따. 2예의 재발성 환자에서는 1예에서 골전이의 소견을 보였고, 또 다른 1예는 좌우신 비대칭소견을 보였다. 4. 골주사 결과와 BUN, 혈청 creatinine, 혈청 alkaline phosphatase 등의 혈액소견과의 연관 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냈다. 5. 39예의 대상환자중 36예에서 6개월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 평균관찰기간은 15.3개 월이었으며, 골주수 및 골단순촬영을 동통이 있던 2예에서 시행하였으나, 이상소견은 발견되 지 않았다. The bone scan, a sensitive detector of skeletal abnormalities has been advocated for early detection of metastase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981 to December 1987. bone sacns were obtained in 39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in order to search for occult skeletal metastases at the Department of Obsterics and Gyunecology , Seoul National Unvi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study patients was 54 years. Thirty-two patients were in stage I and II, 7 were above stage II. Thirty-seven patient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two were adenocarcinoma. 2. Positive findings on bone scan were found in 11 cases (28.2%) Renal asymmetry in 5 cases (12.8%) false positive results in 3 cases (7.7%) bone metastasis in 3 cases (7.7%). 3. In three metastasis cases , one belonged to stage II, one to stage III, and one to recurrent case. 4. The levels of BUN, serum creatinine and serum alkaline phosphatase were not predictive value on abnormal bone scan findings in this study. 5. It is known that bone scan is not warranted as a screening test in asymptomatic patients with stage I or II carcinoma however we found effectively one metastatic case in stage II cerivcal carcinoma.

      • KCI등재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 환자에 있어서 수술후 OK-432투여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효표(HP Lee),조경훈(KH Cho),김석현(SH Kim),이필량(PY Lee),강순범(SB Kang),신면우(MW Shin) 대한산부인과학회 198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2 No.1

        1988년 3월부터 1988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으로 입원 하여 수술 시행받은 환자 43명에서 OK-432 투여군 26명과 대조군 17명의 면역반응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OK-432 투여군의 평균연령은 49.5세이엇고, 총 26명중 자궁경부암의 23명, 난소암의 3명 이었다. 2. 대조군의 평균연령은 47.8세이며, 총 17명중 자궁경부암이 13명, 난소암이 4명이었다. 3. 말초혈액임파구수는 OK-432 투여군에서 투여전 1420+-440/mm^3에서 투여후 2220+-740/mm^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조군은 각각1530+-560/mm^3과 1610+-630/mm^3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자연살해세포능은 OK-432 투여군에서 투여전에 41.2+-11.3%에서 투여후에 57.2+-16.5%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은 각각 40.5+-13.6% 45.2+-15.7%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OK-432 투여시 미열과 주사부위의 동통외에 특별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OK-432 a streptococcal preparation, is a bacterial immunostimulant whose antitumor effect has been demonstrated both experimentally and clinically. To ivestigate OK-432 immunotherapy on immunological response, we compare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nad number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in patients with uterine cervical and ovarian carcinoma after surgical operations (n=27) to those in control patients (n=1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OK-432 treated group was 49.5 year. 23 were cervical carcinoma and 3were ovarian carcinoma 2. The mean age of control patients was 47.8years. 13 were cervical carcinoma and 4 were ovarian carcinoma 3. In OK-432 treated group , number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 before treatment was 1420+-440/mm^3 and it increased significantly to 2220+-740/mm^3 after treatment . In control group , it was 1530+-560/mm^3 and 1610+-630/mm^3 each. 4. In OK-432 treated group ,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before treatment was 41.2+-11.3% and it significantly increased to 57.2+-16.5% after treatment . In control group , it was 40.5+-13.6% and 45.2+-15.7% each. 5. No significantly side effects of OK-432 was noticed except for transient mild fever and pain at the site of injection.

      • KCI등재

        태아 음향자극검사와 비수축성검사의 비교에 관한 연구

        김승욱,이경희,신희철,윤보현,조경훈,이필량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6

        1988년 6월부터 1989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산부인과의 외래 및 입원 산모중 임신 30주에서 44주사이의 고위험 산모 159명과 대조군 294명을 대상으로 총 523회의 비수축성 검사(NST) 및 태아음향자극검사(FAST)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조군과 고위험 임신군에서 각각 309예 및 214예의 NST 및 FAST를 시행하였으며 NST와 FAST에 반응을 보인예가 대조군에서의 각각 25예 및 20예이었으며 고위험 임신군에서는 NST와 FAST에 반응을 보인예가 각각 180예 및 182예, 무반응을 보인예가 각각 34예 및 32예이었는데 두 검사에 대한 대조군과 고위험 임신군간의 반응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gt;0.05). 2. 전 예에서의 NST와 FAST의 비교에서는 NST에 반응을 보였으나 FAST에 무반응을 보인예가 17예, NST에 무반응을 보였으나 FAST에 반응을 보인예는 24예이었다. 3. 고위험 임신군과 대조군 각각에 대하여 1분 및 5분 Apgar점수에 의한 주산기이환율에 대한 NST와 FAST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비교하였는데 NST와 FAST의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gt;0.1). 4. 1분 및 5분 Apgar점수에 의한 주산기이환율을 대조군과 고위험임신간에 NST 및 FAST 각각에 대하여 비교하였는데 각 검사의 반응율에 대한 두 군간의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gt;0.1). 5. 1분 및 5분 Apgar점수에 의한 주산기이환율의 진단 정확도에서는 NST 및 FAST 모두에서 높은 특이도 및 음성예측율을 보였으며, 각 검사에 대한 대조군과 고위험임신군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및, 음성예측율의 비교에서 차이는 없었다(P$gt;0.1).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산전에 태아의 안녕상태를 평가하는데 있어, FAST는 NST에 비해 진단적 정확도에 차이가 없으며, FAST를 보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NST의 무반응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xternal vibratory fetal acoustic stimulation with an electronic artificial larynx has been suggested as a clinical test to increase the responsiveness to nonstress test and to assess fetal well-being. Fetal heart rate reactions to the fetal acoustic stimulation test (FAST)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nonstress test (NST) in 453 pregnant women (159 high risk and 294 control women) who underwent 523 antepartum fetal heart rate test between 30 and 44 weeks gestation. Rate of reactive NST was 91.3 % in control group and 84.1 % in high-risk group. And that of the FAST was 93.5 % in control group and 85.0 % in high-risk group. The adjunctive use of the FAST demonstrated a 40 % reduction in the number of nonreactive tests. With the use of Apgar score as measure of perinatal morbidity,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etween the NST and FAST in each group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tests (P $gt; 0.1). A comparison of the rates of reactive NST and FAST in each group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both tests (P $gt; 0.1). With regard to the diagnostic accuracy, the NST and FAST showed high specific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between both groups (P $gt; 0.1). In conclusion, we found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diagnostic accuracy of the NST and FAST. The NST and FAST showed similar results in both control and high risk pregnancies. The adjunctive use of the FAST offers advantage over the traditional NST by lowering the incidence of nonreactive tests.

      • KCI등재

        정자의 염색질 성상과 난자침투율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장윤석,문신용,이필량,방명걸 대한산부인과학회 199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6 No.6

        최근 2년내에 생식력이 증명되었던 남성 5명, 원인불명의 불임이었던 12명, 정자무력증 26 명, 그리고 희소 정자증 및 정자무력증이 같이 있었던 7명을 대상으로 SPA와 flow cytometry 를 이용한 정자두부의 염색질 형태를 관측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염색질 변성율 αt는 정자의 난자침투지수, 세척처리 전후의 정자의 운동성에 대하여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lt;0.001). 2. 정자의 난자침투지수는 정자의 농도, 세척후의 정자의 운동성에 대하여 각각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lt;0.05). 3. 전체 대상군을 정자의 농도와 운동성에 따라 4개의 군으로 세분하여 αt와 정자의 난자침투지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는데, 정자의 농도는 정상이고 세척처리전의 정자 의 운동성이 낮았던 군에서만 두 지표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lt;0.05). 4. αt와 정자의 난자침투지수가 3미만인 경우의 수는 정자의 운동성 또는 농도 가 낮은 군일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lt;0.05). 5. αt의 난자침투지수에 대한 예측도는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그리고 음성 예측율이 각각 96.0%, 56.0%, 68.6%, 그리고 93.3%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정자두부의 염색질 형태의 계측은 정자의 난자 침 투지수를 충실히 반영해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남성불임의 평가에 비교적 객관적이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sperm penetration assay (SPA) has some limitations in its interpretation and technique despite its frequent use in the investigation of male infertility. The flow cytometry can be used easily in the evaluation of sperm quality with high sensitivity and reproductibility in a short tim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flow cytometric measurement of sperm chromatin structure in predicting the result of the SPA. The population consisted of 5 fertile men and 12 normo-, 7 oligo-, and 26 asthenozoospermic males of infertile coupl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of αt[red fluorescence/(green+red) fluorescence] with ova penetration index, fresh-sperm motility, and washed-sperm motility (r=0.479, r=0.530, r=0.524, respectively) (p$lt;0.001). Ova penetration index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perm concentration (r=0.305) (p$lt;0.05) and washed-sperm motility (r=0.453) (p$lt;0.01). In comparison of the groups classified with regard to the parameters of sperm count and sperm motility, it revealed that significantly higher αt value and more cases of low ova penetration index (3 or less) were recorded in groups with low sperm count and/or low sperm motility (p$lt;0.05). In a group showing asthenozoospermia after sperm washing,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of αt with ova penetration index (r=0.396) (p$lt;0.05). Sensitiv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the αt in predicting the ova penetration index are 96.0% and 93.3%, respectivel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measurement of sperm head chromatin pattern may represent SPA with relatively high accuracy and can be used in the evaluation of infertile males.

      • KCI등재

        자연유산된 초기 임신에서 태반 영양막 Apoptosis의 변화

        원혜성,이주학,남주현,김암,이인식,박은주,이필량,유혜경,허주령,김봉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6

        목적 : 임신 초기에 자연유산된 환자에서 태반 영양막 apoptosis[programmed cell death]의 변화 정도를 알아봄으로써 apoptosis가 초기 자연유산의 병태생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추론해보고자 한다. 방법 : 임신 제 1기에 건강한 임신이었으나 환자의 개인적인 이유로 선택적 자궁 소파술을 시행받았던 22명과 계류 유산 또는 blighted ovum의 진단하에 자궁 소파술을 시행받았던 27명으로 부터 태반을 얻었다. Hematoxylin & eosin 염색과 terminal deoxyuridine triphosphate nick end labeling[TUNEL]을 한 후, 5000개 이상의 세포를 400배 배율의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apoptosis된 세포의 빈도를 구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위해서 Mann-Whitney U test와 Spearman rank correlation을 적절하게 사용하였다. 결과 : 선택적 자궁 소파술을 받았던 군과 자연유산된 군 각각에서 apoptosis의빈도와 임신 주수와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자연유산된 군에서의 apoptosis의 빈도[중앙값;0.23%, 벙위;0-0.46%]는 선택적 자궁 소파술을 시행받았던 군의 빈도[중앙값;0.09%, 범위;0-0.28%]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lt;0.05]. 영약막 전체에서 보인 apoptosis중 융합세포영양막에서 일어난 apoptosis의 빈도는 자연유산된 군에서 선택적 자궁 소파술을 받았던 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23.5 -1.0% 대 12.0 -1.3%;mean -standard error of mean][p$lt;0.05]. 결론 : 영양막[특히 융합세포영양막]의 apoptosis는 자연유산의 병태생리 기전에 특정의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Our purpose was to investigate whether trophoblastic apoptosis is related with early pregnancy losses. Methods : Placentas were collected from 22 uncomplicated first-trimester pregnancies undergoing elective surgical abortion for social reason and from 27 women of first-trimester pregnancy loss. Hematoxylin & eosin staining and terminal deoxyuridine triphosphate nick end labeling[TUNEL] were used to identify apoptosis. Over 5,000 cells were exmined at a magnification of x400. Mann-Whitney U test and Spearman rank correlation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re were no cerrelations between the incidence of apoptotic trophoblasts and gestational age in each of the control and failing pregnancies. The incidence of apopto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ailing pregnancies[median 0.23%, range 0.0% to 0.46%]than in uncomplicated pregnancies[median 0.09%, range 0% to 0.28%][p$lt;0.05]. Apoptotic cells were detected in both syncytiotrophoblast and cytotrophoblasts. However, the relative incidence of apoptosis in syncytiotrophoblast comparing to that in cytotrophoblas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failing pregnancies than in control pregnancies[23.5 -1.0% vs 12.0 -1.3%:mean -standard error of mean][p$lt;0.05]. Conclustion : Trophoblastic apoptosis, especially that of syncytiotrophoblast, may play a certain role in the phthophysiology of early pregnancy losses.

      • KCI등재

        분만진통 제 2 기에서의 모체의 산소흡입이 제대혈액가스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목정은,한지수,김암,이인식,이필량,강은희,박진우,정낙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9 No.6

        1995년 7월 1일부터 1995년 12월 31일까지 서울중앙병원 산부인과에 분만을 위해 입원한 합병증이 없었던 만삭의 단태 미산부를 입원 순서대로 산소흡입을 하지않은 대조군(I군), 분만 제2기에 `pushing`을 시작하는 순간부터 산소를 분당 5리터의 속도로 마스크를 통해 흡입하게 한 군 (II군), 10리터의 속도로 흡입하게 한 군(III군)으로 분류한 후, 질식분만이 이루어진 예에서 제대 동정맥에서 각각 형액을 채취하여 가스분석(pH, pCO2, pO2, base excess, HCO3, CO2 content, O2 saturation) 및 co-oxymetry(total hemoglobin, hemoglobin O2 saturation(%), hemoglobin CO2 saturation(%), volume %O2, methemoglobin)를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총 74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I군이 23예, II군이 27예, III군이 24예 였다. 2. 각 군의 환자의 연령과 분만시 임신주수는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7.4±2.5, 27.1±3.1, 26.8±3.4; 39.7±1.2, 39.9±1.3, 39.5±1.3). 3. 분만 진통 제1기 및 2기의 기간은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482.6±92.7분, 509.8±106.3분, 487.6±83.7분; 39.3±16.2분, 46.3±18.1분, 34.5±11.3분). 4. I군과 II군의 제대동맥혈 가스 분석 및 co-oxymetry 결과는 모든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제대 동정맥 모두에서 pH는 I군에 비해 III군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동맥; 7.27±0.08, 7.30±0.04, 정맥; 7.30±0.07, 7.33±0.05). 6. III군은 I군에 비해 제대동맥의 경우 pO2(18.5±4.7, 21.5±4.9)가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hemoglobin O2 saturation(64.4±17.3, 42.6±14.0)과 volume %O2(19.2±14.1, 6.2±2.0)는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그 이외의 지표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I군과 II군의 제대정맥혈 가스 분석 및 co-oxymetry 결과에서는 pCO2의 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42.4±5.6, 39.1±5.2), 그 이외의 모든 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 III군은 I군에 비해 제대 정맥의 경우 pO2(22.8±6.3, 26.4±5.3)과 O2 saturation(35.4±13.8, 43.7±12.4)는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hemoglobin O2 saturation(70.1±13.9, 54.1±12.6)과 volume % O2(14.7±8.7, 9.8±6.2)는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고, 그 이외의 지표들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 분만방법, 성비, 출생 체중, 아프가 수치 및 태변 착색으로 본 분만 결과는 세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분만 진통중인 정상적인 임신경과를 보인 임신부에게 마스크를 통해 산소를 흡입하게 하는 방법은 투여속도를 높일 경우에는 (10리터/분) 태아의 산염기 평형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추후 더 많은 대상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maternal oxygen inhalation during the second stage of labor on umbilical cord blood gas and co-oxymetry values. Seventy four normal term singleton nulliparous gravidas were randomized into the study and divided into 3 groups. In therapy groups, patients received oxygen by a tight fitting face mask during the second stage of labor until fetal delivery at flow rates of 5 L/min(group II) and 10 L/min(group III).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oxygen were classified as control group(group I). After delivery, umbilical arterial and arterial and venous blood gas analyses and co-oxymetry were done. The results of group I and II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venous pCO2(42.4±5.6 vs 39.1±5.2, p$lt;0.04). Group III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rterial pO2 value(21.5±4.9 vs 18.5±4.7, p$lt;0.05) and venous pO2 and O2 saturation values(26.4±5.3 vs 22.8±6.3, 43.7±12.4 vs 35.4±13.8, respectively; p$lt;0.05) than those of Group I. Cord blood hemoglobin O2 saturation and volume %O2 were recorded significantly lower value in group III than in group I. However, cord pH in group II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high-flow oxygen therapy(10L/min) to normal term laboring women, may guarantee fetal or neonatal acid-base balance.

      • KCI등재

        중증의 승모판협착증을 가진 산모에 있어서 분만전 풍선판막성형술이 시행된 1 례

        목정은,김암,이인식,이필량,나준희,황성욱,박승정,김재중,이종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9

        풍선판막 성형술은 승모판 협착증의 치료에 수술요법을 대치할 수 잇는 치료법으로 최근 널 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승모판 협착증을 가진 임산부에서 임신말기에 풍선판막 성형술 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분만을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burden of pregnancy in patients with severe mitral stenosis continues to present a therapeutic challenge. A 23- year old woman at 36 weeks gestation wa discovered to have previously undiagnosed severe mitral stenosis. Not responding to medical therapy, she underwent percutaneous ballon mitral valvotomy(PMV) using inouer ballon catheter, which resolved her symptoms completely. She delivered a healthy infant at 38 weeks gestation. the unique of PMV may render it the technique of choice for selected pregnant patients with severe mitral stenosis.

      • KCI등재

        자간전증 및 만성 고혈압 임신부의 혈청 투여가 배양된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의 interleukin-6 분비에 미치는 영향

        목정은,김암,이인식,이필량,김준태,구자남,오원일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4

        저자 등은 자간전증, 만성 고혈압 임신부 및 정상 임신부 등의 혈청을 배양된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 첨가하여 배양함으로써 IL-6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상 임신부, 만성 고혈압 임신부 그리고 자간 전증 임신부의 혈청을 투여한 경우,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의 IL-6의 발현양상은 배양시간의 경과에 따라 IL-6의 농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 었다. 2. 임신부의 혈청을 투여하여 배양한 군에서 배양 48시간 후의 IL-6의 농도는, 자간전증군에서 가장 높 았으며, 만성 고혈압군, 정상 임신부군의 순이었다. 자 간전증군의 IL-6 농도는 정상 임신부군에 비하여 현저 히 높았으나(p<0.05), 만성 고혈압군과 정상 임신부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간전증군과 만성 고혈압군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 임신부의 혈청을 투여하여 배양한 군에서 배양 48시간 후의 IL-6의 농도는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만성 고혈압 임신부 혈 청은 인간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 IL-6의 분비 를 활성화 시키는 양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자간 전증 임신부 혈청은 제대정맥 혈관내피세포에서 IL-6의 분비를 활성화 시키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만성 고혈압의 병태생리가 자간전증과는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며, 자간전증 임신부의 혈청에는 혈관 내피세포에서의 IL-6 분비를 증가시키는 어떤 인자 (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Our purpos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sera of preeclamptic and chronic hypertensive women activate the interleukin-6 (IL-6) secret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culture. Materials and Methods: Maternal sera were collected from 10 normal pregnant women, 10 preeclamptic patients, and 7 chronic hypertensive patients. Endothelial cells were isolated from human umbilical vein and cultured until cells were confluent. After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the above sera for defined periods (0 hour, 6 hours, 12 hours, 24 hours, 48 hours), supernatants were collected for IL-6 assay. Concentration of IL-6 was measured by sensitive ELISA method.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Kruskal-Wallis ANOVA, Dunn test, Chi-square analysis of contingency tables, and Mann-Whitney U test. Results: IL-6 was not detectable (less than 1 pg/ml) until 12 hour-incubation in all three groups. IL-6 was detected in small proportion of each of three groups only after 24 hour-incuba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ncentration of IL-6 among the groups (normal; median 0 pg/ml with range 0 to 4.3 pg/ml, preeclamptic; median 0 pg/ml with range 0 to 10.2 pg/ml, chronic hypertensive; median 0 pg with range 0 to 13 pg/ml). After 48 hour-incubation, preeclampt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ncentrations of IL-6 than those of normal group (median 29.2 pg/ml with range 19.8 to 46.8 pg/ml vs. median 17.7 pg/ml with range 9.28 to 28.9 pg/ml, p<0.05).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s of IL-6 between chronic hypertensive and normal group (median 19.4 pg/ml with range 0 to 43.6 pg/ml vs. median 17.7 pg/ml with range 9.28 to 28.9 pg/ml).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sera of preeclamptic patients, not those of chronic hypertensive women,can activate the IL-6 secretion in HUVEC culture. This implys that preeclamptic sera may have a certain factor (s) which stimulate (s) cytokine secretion in HUVEC culture.

      • KCI등재

        임신성 고혈압과 정상 혈압을 보인 임신의 태반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본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의 분포양상

        목정은,김암,이인식,이필량,허주령,신명신,김봉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5

        목적: 혈관이완물질인 산화질소[nitric oxide]를 합성하는 혈관내피 산화질소 합성효소[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이하 eNOS라 함]는 혈관의 긴장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혈압을 보인 임신부와 임신성 고혈압 임신부의 태반에서 eNOS의 발현양상을 관찰 비교하였다. 방법: 5명의 정상 혈압을 보인 임신부와 5명의 임신성 고혈압에 이환된 임신부에서 분만 직후에 태반을 채취하여 eNOS monoclonal antibody H32를 이용하여 간접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하였다. 제대혈관, 융모판막, 융모성 모세혈관 및 영양막세포에서의 염색유무 및 그 정도를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통계분석은 Mann-Whitney U test 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정상 혈압의 임신군과 임신성 고혈압군을 비교하였을 때 제대혈관과 융모판막[chorionic plate vessel]의 혈관에서 eNOS에 대한 염색 강도와 분포 양상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융모성 모세혈관내막에서 eNOS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반응은 정상 혈압의 임신군 태반에서는 5예 모두에서 음성이었으나 임신성 고혈압군에서는 5예 중 4예에서 염색 반응이 양성으로 관찰되어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lt;0.05]. 융합세포영양막에서는 양군 모두에서 eNOS에 대한 염색반응이 양성이었으며 세포질 전체에 고르게 염색되었다. 결론: 임신성 고혈압의 태반내 말초유모 모세혈관에서 eNOS의 발현도가 증가하는 이유는 혈관의 손상이나 변화에 의해 태아-태반 순환계의 저항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혈관구조가 변화한데 대한 보상반응인 때문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Endothelial isoform of nitric oxide synthase[eNOS] regulates the vascular resistance by producing nitric oxide[NO], endothelium-derived relaxing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xpression of eNOS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in the placentas and umbilical vessels of preeclamptic pregnancies with that of normotensive pregnancies. Method; Placentas and umbilical vessels were examined from 5 preeclamptic pregnancies and 5 normotensive pregnancies. Frozen sections of umbilical cords, chorionic plate vessels, and terminal villi were immuno-stained with a monoclonal eNOS antibody[H32]. Mann-Whitney U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where appropriate, and p value $lt; 0.05 was taken to be significant. Results; No differences in eNOS immuno-staining in the endothelium of chorionic plate vessels and stem villous vessels were found between preeclamptic and normotensive pregnancies. In the syncytiotrophoblast, eNOS immunostaining appeared diffusely in distribution in both the preeclamptic and normotensive placentas. In contrast, eNOS expression was only observed in the small terminal villous vessels with underlying smooth muscle layer in the preeclamptic placentas[p$lt;0.05]. Conclusion; Increased eNOS expression in terminal villous vessels in preeclampsia may be the result of vascular alterations or damage that take place in the placenta, and may be an adaptive response to the increased resistance and poor perfusion in this pathological pregnancies.

      • KCI등재

        제대권락지수와 제대동맥 도플러파형의 상관관계

        목정은,원혜성,김암,이인식,이필량,강은희,김연표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mbilical coiling index and Doppler velocimetry in umbilical artery. The umbilical coiling index was calculated by dividing the total number of helices by the entire cord length(in centimeter) postnatally between December 1995 and March 1996. Doppler flow velocities were obtained from the umbilical artery bifore delivery(within 3 days). The mean umbilical coiling index was 0.17 +or- 0.09 )n=186). The subjects with umbilical coiling indices below the tenth percentile(0.08), above the 90th percentile(0.3), and between the tenth and 90th percentile were defined as hypocoiled, hypercoiled, and normocoiled. The subjects with hypocoiled and hypercoiled cords did not differ from those with normocoiled cords in perinatal outcomes. The correlations between umbilical coiling index and umnilical artery systolic-diastolic ratio were not significang(r=0.015, p$lt;0.05). The subjects with umbilical artery systolic-diastolic ratio above 90th percentile(3.0) differed from those with below 90th percentile in several ways : fetal heart rate disturbances, birth weigh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admission to intensive care unit were higher in high S-D ratio group. This study suggest that the umbilical coiling level dose not interfere umbilical aretery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