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근대 귀향소설 연구 : 시대별 양상을 중심으로

        이태자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20년대부터 해방기까지의 한국 근대 귀향소설의 내적 형식(inner from)분석을 통해 귀향소설의 사적 전개과정의 모습과 그 시기별 특성을 살펴봄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귀향소설의 중요성은 고향을 찾는 행위가 지니는 상징적 의미, 소설의 내적 형식과 귀향모티프와의 관련성, 한국 근 · 현대사와의 관련성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만세전』은 증기선과 철도로 표상 되는 근대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유학생의 여로를 통해 당대 현실 파악에 눈을 뜬다는 점에서 한국근대소설사에서 가장 처음 이룬 귀향소설 형식이자 구조적으로 안정된 모습을 보이는 작품이다. 또한 『만세전』은 현재 시간과 공간을 현실과 밀착된 시선과 문체로 담아내는 근대 리얼리즘의 미학에도 충실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소설로서의 표상이 되고 있다. 그것은 근대소설이 여로 구조, 또는 귀향형식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증명하기도 한다. 또한 20년대 중반에 이르면 3 · 1운동 실패의 충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노력을 소설사에서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인물의 귀향을 통해 현실 전망을 모색하고자 하는 모습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런 한편 과학적 세계인식의 방법론이 결여되었을 때 작가들이 역사적 행로 포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20년대 소설은 보여주는데 현진건의 『고향』, 최서해의 『고국』, 한설야의 『과도기』가 그 예가 된다. 현진건의 『고향』에서의 '그'는 고향을 잃은 조선인의 모습으로 대표되며, 값싼 노동력을 팔면서 표류하는 7년 간의 행로는 발을 딛고 설 데가 고향밖에 없음을 알게 하지만, 그의 귀향은 안정된 것일 수 없음을 현재시간의 서울행이 보여준다. 3.1운동 실패로 야기된 이향과 그 뒤의 귀향을 그리고 있는 『고국』은 자연발생적 경향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이기도 하다. 과거의 고향모습과 공업화로 변화된 현실의 극명한 대비로 이루어진 『과도기』는 당대 삶의 방향모색을 귀향형식을 통해 보여주는 작품이다. 더 이상 과거의 질서 속에서 살아 갈 수 없음을 알게되고, 공포와 설움을 안은 채 '과도기'의 질서에 순응하거나 뛰어 들 수밖에 없었을 『과도기』는 보여준다. 결국 20년대 소설은 귀향형식의 소설을 통해 근대소설로 정착되면서 동시에 민족의 수난과 역사적 진로를 귀향형식이 가장 잘 담보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삶의 총체성을 그려내고자 하는 장편소설의 본질과 귀향모티프와의 연관성은 물론 작가의 현실인식의 측면에서 이광수의 『흙』과 심훈의 『상록수』, 이기영의 『고향』의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30년대 귀향소설은 농촌계몽운동과 맞물린 지식인 학생들의 귀향을 통해 외적형식을 이루는데, 20년대의 뿌리뽑힌 이농과 그 결과로서의 귀향과는 모습을 달리하면서 집단의식을 매개하는 인물로 형상화된다는 점에서 더욱 뚜렷한 차이점을 보여준다. 그것은 주인공들이 20년대 초기나 중기의 인물들에 비해 이데올로기가 분명하게 드러난다는 말이기도 하다. 부르조아 민족주의자 허숭, 진보적 민족주의자 박동혁 · 채영신, 계급주의자 김희준의 귀향은 민족 현실의 타개와 변혁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 혹은 시대정신과 결부되면서, 시혜적 계몽주의자로서의 귀향(『흙』)과 검거와 죽음이라는 희생적 사건이 매개가 된 낙관적 전망으로 유도(『상록수』), 그리고 초라하면서도 당당한 귀향이 당대 농민의 눈 높이로 내려와 현실을 개조하려는 힘으로 작용하는 (『고향』)인물로 각각 형상화되고 있다. 해방공간에 발표된 귀향소설은 해방이 갖는 복잡한 민족사적 의미가 공간적 이동으로 현실화되기에 본래적 소설형식으로서의 여로와 맞물려 해방기 소설의 뚜렷한 문법이 될 수 있었다. 『잔등』과 『역로』는 해방공간의 역사 · 철학적 과제를 보여주며 그것에서 일탈 해 가는 현실에 대한 구체적 서술을 보인다. 반면 『압록강』은 해방의 감격과 귀향에 따르는 애환과 고통을 체험자의 외면적 시선으로 그리고 있다. 또한 일제시대의 작가적 전력이 소설의 후경에 자리잡을 수밖에 없다는 점과 해방 이후의 역사진로에 대한 여러 시선들이 근원적으로 자리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불안정하지만 긴장된 탄력성을 갖추고 있다. This is to look in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of home coming novel by time phase, by analysing infrastructure of home coming novel of modern Korea from 1920s up to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And the reason to have chosen the period of 1920s to Korean liberation for this investigation is that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novel saw its periodical conclusion by the time of Korean liberation because the surfacing of home coming nobel as Korean modern nobel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political, social situation under the Japanese occupation. A novel as epic genre tends to have an attribute to show structured side of humane life, while literature is a story of hume life that reveals the essence of hume beings and their life. A novelist gives shape to the world in which humane being are situated and to humane life in the world. Writer's creative activity has adventurous characteristic to create suitable form to its contents and readers are interested in how the character in a novel respond to unfolding huge incident around his/her life, and in how the character expands and deepens his/her life. Novels that have home coming style deserve recognition for their importance in investigation into Modern time Koran novel from the perspective that a novel shows both inside and outside of individual and group in the background of history. And this logic is based on tha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social change, and the infrastructure of home coming novels have meaningful relationship. A lot of works under meaningful discussion in Korean novel history have home coming motive and it means a necessity to discuss home coming novels in context of Korean novel history. Even though the therm 'home coming novel' has not been established, novels that used home coming style since 1960s are called 'home coming style novels' This style of novels has writer's intention to resolve the animosity of 1950s' Inter Koreas War, and to find a way to reconciliation, recognizing the social change of industrialization into literature. In an age where writers were unable to see the horizon of their life, writing was an effort to find historical future beyond the limitation of the time. Home style became to be common in modern novels because it is one of the easiest method and gives sense of security. In this kind of home coming style novel, hume life itself can deliver philosophical freedom that has the attribute of journey and it implies a possibility that the change of time and space can refine Chronotope of works. The importance of home coming novel can be find in term of symbolical meaning of home visiting, infrastructure of novels and connection with home coming motive, and Korean modern history.

      • 청소년단체활동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사회자본의 매개효과에 관한 구조분석

        이태자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causal effect of youth group (organization) activity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social capital,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between youth group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indication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on the qualify of life of youth.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 youth group activity is identifi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quality of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capital as a parameter in this study. The survey conducted here includes five demographic questions on gender, age, grade and academic background of parent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five questions on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group activity such as parental support, type of group, participation period, number of group activity and experience of leadership. The measurement variables for experience of youth group activity are set to b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effect of program participation. Also, self-related life quality, person-related life quality and general quality of life are set as measurement variables for the quality of life, and trust, network and reciprocality are for social capital.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70 youths who are in 10th and 11th grade in high schools located in Daegu, South Korea and who had participated in group activities. 252 sets of response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nd abnormal outliers. SPSS 20.0 was used for T-test and ANOVA which enable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difference in average values of key variables between groups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access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Using AMOS 20.0 program, evaluation of model fitness and structural models were investigated and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for verifying mediating effect of structural model.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was selected as a method of estimating the parameters, and GFI, AGFI, CFI, NFI, RMSEA were utilized as a suitability indicator for verifying the causality model. After analyzing the effect of youth group activity and social capital on quality of lif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quality of life, it was found that all three paths, (i) one from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to quality of life, (ii) one from social capital to quality of life and (iii) one from social capital to quality of lif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rst, the effect from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to social capital i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which indicates the higher level of social capital is expected as motivation,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effect of program participation are higher. Second, the effect from experience of group activity to quality of life is found to be positively significant, which indicates the higher quality of life is expected as motivation, satisfaction and awareness of effect of program participation are higher. Third, social capital appeared to show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displaying that quality of life improves as social capital accumulates. It is also found in this research that the social capital plays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group activity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This finding indicates that elements of trust, network and reciprocality accumulated by group activities are important factors leading to happier life of youth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revealed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nd also discussed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ing problems in generalization of study results and issues in the criteria when measuring variables.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research has enhanced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understanding on the following points: (i) the relation among quality of life, group activity experience and social capital are empirically verified in a single structural model, (ii) the importance of group activity is verified as one form of youth welfare, (iii)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apital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s also understood in this study. 영어

      • 노인요양시설 종사자의 물리적환경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태자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Nursing Facility Workers on the Servic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physical environment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elderly nursing facility workers. For this purpose,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253 data collected from July 24 to August 25, 2019 for workers working in elderly nursing facilities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level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was set as 5 out of 5, the average physical environment was 3.36,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and the service quality was very high at 4.26, and the service quality showed a higher result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hysical environment showed differences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 health condition, and kinds of occupation, and service quality showed differences between gender, monthly income, and career. Lastly, as for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on the service quality, facility management (β=.326, t=3.121, p=.002) of physical enviro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quality, and these variables showed 3.6% of explanation toward service quality. The specific analysis using each of the service quality sub-variables as dependent variables also showed that facility management has an effect on all dependent variables. It shows that a good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 e elderly if the indoor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elderly nursing facility workers is comfortable and the structure is convenient, and facility management such as tea making room, waste disposal, disaster preparedness, and regular inspection of the facility are well maintained and managed. Therefor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elderly nursing facility is an important environment for both the indwelling elderly and workers. Therefore, the operator will need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he facility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이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해 물리적 환경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지역의 노인요양시설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 7월 24일부터 8월 25일까지 편의 표집된 253부의 자료에 대하여 기술통계, one-way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과 서비스 품질의 수준을 5점 만점으로 하였을 때 평균이 물리적 환경은 3.36점으로 중위점수보다 높았고, 서비스 품질은 4.26점으로 매우 높았으며, 물리적 환경보다는 서비스 품질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물리적 환경과 서비스 품질의 차이에서, 물리적 환경은 학력, 건강상태, 직종 간의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서비스 품질에서는 성별, 월 소득, 경력 간에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물리적 환경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물리적 환경의 시설관리(β=.326, t=3.121, p=.002)가 서비스 품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이들 변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하여 3.6%의 설명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서비스 품질 하위변인 각각을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시설관리가 전체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요양시설 종사자가 인식하는 실내 환경이 쾌적하고 구조가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고, 탕비시설, 폐기물 처리, 재해대비책, 시설의 정기점검과 같은 시설관리가 잘 유지·관리가 된다면 입소 어르신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의 물리적 환경은 입소 노인과 종사자 모두에게 중요한 환경이므로 운영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시설환경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大學』 三綱領에 대한 南塘 韓元震의 解釋 硏究 : 『經義記聞錄』을 中心으로

        이태자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儒學者들은 『大學』을 治者의 學으로서의 經世之學과, 小人에 대한 군자의 학으로서의 大人之學으로 나누어서 파악하였다. 이 두 가지 관점 중 『大學』의 성격에 대한 최초의 견해는 帝王學으로서의 經世學이었다. 經世學으로서의 『大學』에 大人之學의 의미가 결합된 것은 朱子에 이르러서이다. 여기서 말하는 大人之學은 실천중심의 小人之學에 對가 되는 의미로 특히 朱子學의 心性修養論을 의미한다. 朱子가 이처럼 『大學章句』를 통해 經世學과 心性修養 위주의 大人之學을 결합한 것은 당시 朱子學 진영 안팎의 비판을 넘어서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南塘 『大學』 解釋의 특징은 무엇보다 明明德에 대한 주석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南塘은 朱子의 주석을 ‘所得乎天’, ‘虛靈不昧以具衆理’, ‘應萬事’로 나누어 이해하고, 또한 이를 心性統性과 理氣論으로 재해석하였다. 이 점에서 그는 朱子의 明德 해석을 보다 분석적이면서도 체계적으로 설명했다고 볼 수 있다. 新民에 관한 해석에서 南塘은 朱子와 尤庵의 학설을 계승하며, 이를 기반으로 王陽明의 親民說을 비판하였다. 그는 新을 敎의 의미로 이해하고, 敎에는 養의 의미가 내포한다고 해석하여, 王陽明이 親을 敎와 養의 의미를 겸한다는 입장을 비판하였다. 그리고 그는 『大學』 전체를 新民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王陽明이 親民으로 해석한 점을 부당하다고 보았다. 南塘은 至於至善의 止를 至와 不遷의 의미로 해석하고, 敬을 『大學』의 요지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는 至於至善과 知止·能得을 겸하여 해석하여 朱子의 학설을 더욱 공고히 하려고 노력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南塘의 『大學』 해석은 朱子의 학설을 충실히 계승하면서도 한층 심화․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朝鮮 초기부터 한국 儒學者들은 『大學』에 관해 많은 연구를 진행시켜왔다. 다수의 學者들이 朱子 해석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표명함으로써 자신들의 哲學觀과 政治觀을 우회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을 상기해 보면, 이에 대한 연구는 단순히 경학사적 의미뿐만 아니라 당시 철학계의 입장을 드러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大學』대한 朝鮮 儒學者들의 많은 주석 중에 湖洛論爭의 主役으로 18세기 朝鮮性理學을 대표하는 學者인 南塘 韓元震의 『經意記聞錄』 중 『大學』가운데에서도 가장 핵심적 부분인 ‘三綱領’ 에 대한 南塘의 해석을 분석하여, 朱子의 주석에 대하여 南塘이 어떻게 재해석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의 독창적인 性理學說 이 『大學』주석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등 두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대인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태자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대인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노상우, 송재홍, 천성문, 이영순, 이연숙(1999)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중학생의 특성에 맞게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D중학교 2학년 22명이며,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한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집단은 실험집단(N=11)과 대기자 통제집단(N=11)으로 무선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으로 구성된 11명을 대상으로 매주 2회씩 1회기 당 시간은 60분으로, 총 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이 기간에 대기자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에 대인불안 검사 및 자아존중감 검사로 사전검사가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실시 후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검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활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공변량 분석(ANCOVA)을 통해 양적 변화를 살펴 보았다. 또한 양적 결과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마지막 회기에 작성한 경험 보고서의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평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실험집단이 대인불안 점수에서 대기자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이 대인불안의 각 하위변인의 모든 점수에서 대기자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이 자아존중감 점수에서 대기자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넷째, 실험집단이 자아존중감 각 하위변인 중 일반적 자아개념, 의식적인 삶, 자기수용, 자기주장, 개인적인 성실에서 대기자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경험보고서와 대인불안 및 자아존중감의 사전-사후 개인 점수에 나타난 집단원들의 개인별 변화 양상에 의하면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자신의 표현행동의 이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대인불안을 극복하려는 의지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표현에 대한 행동요령을 알고 비합리적인 사고를 해소하여 자아존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원 중 순수녀가 대인불안의 감소와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가장 효과가 컸으며, 고른 감소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 있어서 실험집단의 대부분 학생들에게 만족하고 유익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대인불안 감소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 초등학교 교사의 교내자율장학에 대한 인식

        이태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s and to promote measures for its improvement by analyzing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ts management, problems, and needs, as well as measures for revitaliz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school. A survey on autonomous supervision of 746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Data analysis on background variables of their perceptions was carried out through Chi-square test (χ²-test) using SPSS 12.0.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e following. First,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is mostly instructional supervision. However, peer supervision of the same grade was favored by teachers. In bigger schools, systematic plans are set up and peer supervision is well implemented. Second, when it comes to problems and needs for autonomous supervision, teachers have perceived that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basically is aimed a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st teachers needed help finding information on textbook analysis in instructional supervision. Concerning autonomous supervision in school, teachers have thought that reducing school chores and the number of teaching hours was needed more than the provision of professional and effective methods of supervision. And teachers' own initiatives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were required in order to manage autonomous supervision smoothly. Third, as for the measures for revitaliz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teachers have favored making pl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fter discussions with research-teachers or teachers of the same grade. They have strong perceptions regarding the need for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eaching demonstrations by teachers of superior ability and have favored autonomous supervision with a more open and democratic atmosphere for the activation of autonomous supervision. The operations of research committees for the same subject were found to be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y have perceived that formal result-oriented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avoided.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활동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내 자율장학 운영실태, 문제점과 요구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배경변인별로 분석하여 교내자율장학의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7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설문지이며, 자료 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배경변인별 인식 차이를 χ²검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의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은 학교에서 실시하는 교내 자율장학은 수업장학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학년 단위의 동료장학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학교규모가 클수록 체계적으로 수립된 계획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장학의 문제점과 요구에 대한 인식을 보면, 교내 자율장학의 기본 방향은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내 자율장학에서 수업장학 시 가장 도움을 받고 싶은 점은 교재연구를 위한 정보로 나타났다. 교내 자율장학에서 고려할 사항으로 장학의 전문적이며 효과적인 기법 및 방법에 대한 보급이나 개발보다 수업부담 및 잡무감소이라고 인식하며, 교내 자율장학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요구되거나 필요한 것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내적 자발심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율장학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은 바람직한 교수․학습안의 작성 방법은 동학년 또는 연구교사와 협의 후 작성하는 것을 선호하고, 수업장학이 이루어지는 형태는 수업우수자의 시범수업을 많이 볼 수 있는 기회 제공에 높은 인식을 나타났다. 자율장학 활성화를 위해 자율적이고 민주적 분위기에서 자율 장학이 이루어지는 것을 선호했으며, 교내 자율장학에서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는 동교과 연구회 운영이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내 자율장학의 평가 방안은 형식적 성과 위주의 평가를 지양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태자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각되면서 노년기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려는 것이다. 연구는 S 시 S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노인 30명을 대상으로 동질성 검사를 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2020년 11월 5일부터 2021년 2월 18일까지 주 1회, 회기당 60분씩, 총 15회기 동안 미술, 음악, 푸드를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를 진행하였다. 결과 검증은 SPSS WIN 26.0으로 사전-사후 t-test와 Marin-Whitney의 U,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진행하였으며, 상담전공 석사 1명과 사회복지사 2명이 보조치료사로 프로그램 진행을 도왔다. 연구결과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우울 척도 및 하위요인인 비활력요인과 우울요인에서 유의한 상승이 나타나 우울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자아존중감 척도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상승이 나타나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나 부정적 자아존중감에서는 유의한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생활만족도 척도 및 하위요인인 과거, 현재, 미래 생활만족도에서 유의한 상승이 나타나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노인에게 활력을 주어 우울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통합예술치료에서 미술, 음악, 푸드 등의 예술매체는 저소득층 노인의 심리에 적절한 자극을 주어 자발적으로 자신의 경험을 외현화 하도록 도왔으며 이를 통한 정서적 교류는 집단원간 공감과 이해를 확장시켰다. 이는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저소득층 노인의 소외된 사회적, 심리적 관계를 회복하여 심신의 치유를 도움으로써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 향상을 도왔다는 것에서 치료적 함의가 있다. The quality of later life is garnering attention as population aging emerged as a social issu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tegrated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low incom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30 elderly persons who use social welfare centers in the city. After the homogeneity of the sample was tested, 15 person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integrated group art therapy was based on painting, music, and food conducted 15 sessions (once per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nd spanned from November 5, 2020, to February 18, 2021. T-test,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WIN 26.0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results. One assistant with a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and two social workers helped organize the program. The study result found that the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 three variables: decreased depression, increased self-esteem, and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re and post-depression scale, the subfactors—anti-vitality factor and depression factor, suggesting that the program positively affected lower depression. Second, althoug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ositive self-esteem of the pre and post-self-esteem scale,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egative self-esteem. Third,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re and post-life satisfaction scale and the subfactors—the past, present, and future life satisfaction, proving the program’s positive effect. This study found that integrated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reduced depression, more positive self-esteem, and higher life satisfaction by raising their vitality. In the integrated group art therapy, art medium such as painting, music, and food provided the elderly with appropriate psychological stimuli to help them to voluntarily externalize their experience. The emotional exchange fostered empathy and understanding among the group member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restored the isolated social and psychological relationships of the elderly and improved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leading to reduced depression, higher self-esteem, and better life satisfaction which is a therapeutic i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