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R (augmented reality) Art and Imaginary Space

        Lee, Chanju(이찬주),Lee, Minsoo(이민수)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AR Art and Imaginary Spaces is an art exhibition for galleries and museums which includes a painting and an installation. The exhibition also includes hand drawing animations in Unity 3D using the Qualcom AR SDK, which are viewable on Android smart phones. I think that the adaptation of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can be a solution for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of colorless cubical spaces in galleries and museums. In AR Art and Imaginary Spaces, I explore the space of mixed reality with an artist’s imagination. In order to improve unique and immersive user experiences and active interactions, I want to present imaginary spaces and enable viewers to imagine their own spaces. I believe that by using AR technology, I will be able to lead the viewers into their own imagined worlds by sharing the messages and memories contained in my artwork.

      • KCI등재

        고교-대학 간 전공계열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찬주(Moon, Chanju),심정연(Shim, Jeongyeon),이선아(Lee, SeonA),이지영(Lee, Jiyoung),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대학 문·이과 계열 간 교차 진학이 대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07년에서 2013년도까지의 한국교육고용패널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 코호트 자료 를 활용하였다. 처치변수인 교차 진학자는 고교 재학시 계열과 대학 재학시 문·이과 계열을 다르게 응답한 경우로 한정하였다. 종속변수인 대학 학업성취도(GPA)는 대학 재학기간에 따 른 학업성취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대학교 학년별 및 전체 평균학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 았다. 또한 표본선택편의 제거를 통한 엄밀한 효과 추정을 위해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 3·4학년 학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전체 평균 학업성취도에 유의수준 .1에서 4.443만큼 정적 효과를 보였다. 둘 째, 교차 진학의 양상을 문과-이과, 이과-문과로 각각 나누어 분석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교차 진학이 대학교 1, 2학년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3·4학년 학점, 전체 학점의 경우, 이과-문과 교차 진학의 경우 3·4학년 학점, 전체 평균 학점에서 유의수준 .01에 서 각각 13.922점, 8.571만큼 정적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차 진학자의 학업 적응 및 지원 방안 수립에 있 어, 대학에서 요구하는 중등교육에서의 학습 내용 및 수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 정립과 교 차 진학자의 간학문적 학습 경험의 장점이 대학 내 융합 전공의 차원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고등교육의 교육과정 개편 제고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mpiric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high 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to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tilized 9th and 12th graders cohort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2007-2013. The treatment variable is the students who are in the different track at the university level from the one at the highschool level.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Grade Point Average (GPA) of each year and the four-year average.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by utiliz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s for a rigid estimation.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hight school-university cross tracking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GPA of each year, but have 4.443 positive effect on overall GPA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In addition, when the tracking is examined in two ways-from liberal arts to natural science and from natural science to liberal arts-the tracking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GPA of first and second year. However, the GPA of third and fourth year and the overall GPA reported 13.922 and 8.571 positive effect each, at the significance level 0.1. This results could be helpful in developing practical models of highschool curriculum and plans to link high school and university curriculums.

      • KCI등재후보

        디자인 재능기부 유형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찬주(Park, Chanju),박인혜(Park, Inhye),이향은(Lee, Hyange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2

        최근 디자인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디자이너 및 기업들은 디자인 재능기부를 통해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관심과 활동에 비해 디자인 나눔의 그 역할과 기부방식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아 디자인 재능기부방식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디자인분야는 매우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 기부형태들이 일정한 기준 없이 산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재능기부 사례를 통해 디자인의 사회적 기능을 알아보고 디자인 재능기부방식을 유형화한 후, 유형별 특징을 살펴본다. 디자인 재능기부는 디자이너들이 참여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 재능기부 요소 중 디자인 자원을 주는 주체와 그 자원을 지원받는 수혜대상을 기준으로 유형을 8가지로 분류하였다. 기부방식은 크게 직접기부, 간접기부로 분류할 수 있고, 디자인 자원을 지원해 주는 주체와 자원을 지원받는 대상에 따라 각각 D to P [디자이너들이 개인을 위해], D to S [디자이너들이 사회 또는 단체를 위해], O toP [다양한 단체가 개인을 위해], O to S [다양한 단체가 사회적 단체를 위해] 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 디자인 재능기부는 간접기부 보다 직접기부의 형태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직접 기부는 간접기부보다 지속가능하게 활용 할 수 있는 요소가 많고, 간접 기부는 제3자를 참여시켜 수혜대상에 대한 관심이 디자이너와 단체를 넘어 제3자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간에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간접 기부의 형태도 직접기부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활성화되어야 한다. 기부유형별 특징을 정확히 인지함으로써 보다 진정성 있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디자인을 통한 나눔 실천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디자인 재능기부가 발전할 것이다. With the level of curiosity rising about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 designers and companies practice ‘sharing’ through their talent donation. Way of donating by design has to be considered because it has not defined although interests and activities are very active. On this study, we defined social function of design and stereotyped design talent donation through case studies related to ‘design donating’. Volunteering in the design has been divided 8 types based on how to participate into donation. Way of design donating can be classified into direct donation and indirect donation. According to subject who support design resources to the needy and recipient, It can be categorized D to P(from designers to individual), D to S (from designer to society or organization), O to P(from various groups to individual) and O to P(from various organization to social groups). Direct donation is more active than indirect donation for now. Direct donation can be sustained rather than indirect donation and indirect donation has more capability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for the projects. More activities on volunteering in the design would be activated and developed with new classification of design skilled volunteer.

      • KCI등재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 효과성 분석 :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찬주(Moon, Chanju),문희원(Moon, Heewon),이영선(Lee, Youngsun),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일반고 교육여건을 개선하고자 도입된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의 효과를 서울시 일반계 고등학생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2010, 2012, 2013, 2015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정책의 효과로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 학교 만족도에 주목하여 이원고정효과(Two-way fixed effect)를 활용한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기술통계 분석 결과,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모두 고1 시점에 비해 고3 시점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 태도, 학교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최종 모형인 이원고정효과모형 분석 결과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정책을 경험한 처치집단의 고3 학생들의 국어, 수학 과목 학업성취도 향상 정도가 통제집단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학습 태도와 학교 만족도 역시 처치집단에서 정적인 상승 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교육역량 강화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으로 정책 수요자의 필요를 반영한 정책 환류 체계를 제언하였다. 또한, 일반고 교육역량을 강화 우수 사례를 발굴하여 공유할 것과 세부 정책과제에 대한 수용도를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licy to enhance educational capacity in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 policy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4 as high schools have been considered at risk of the growing percentage of low-performing and discouraged students. With the data of high school students from two different cohorts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ELS), the study used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treatment group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3 to 2015), and control group (high school students from 2010 to 2012). First, descriptiv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cademic grades of Korean and Mathematics, and the levels of learning attitudes and school satisfaction had improved in their senior years compared to their 10th years for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Next, the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es indicated that academic grades of students who were treated were increased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s they became senior. Also, the levels of learning attitude and school satisfaction increased than before for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This study validated the policy in high schools to be continued to develop school capacity and meet the learning needs of students. Also, recommendations for extending the policies are provided.

      • 태풍 위험반원 해역에서의 해양기상변화 조사

        찬주(Chanju KIM),서정원(Jungwon SEO),이창현(ChangHyen LEE),신형호(HyeongHo SHIN),김대진(Daejin KIM) 전남대학교 어업기술연구소 2016 어업기술연구소보고지 Vol.9 No.1

        The typhoon is one of the disaster which the man will overcomes. Till now many scientist have studied on the typhoon for a long time but it remains for a man that it will study in future. So we have interested in the typhoon and have studied on climate change by approaching of the typhoon at the shelter area of ship. The surveys are carried out during 2 days from 9th. July. to 10th. July. in 2014 by the training ship “Dong Beak”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he model of the survey was the Typhoon “NEOGURI” born at the 4th. July in 2014. The results obtaine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journey period of Typhoon Neoguri from the birth point of the typhoon to the sea area of Korea was about 6 days, and the approach velocity of the typhoon was rapidly increasing after passing through 25 degrees of the latitude. Meanwhile, considering most typhoons formed from the ocean at lower latitude take more than 7 days to reach Korea, the period of the Typhoon Neoguri was shorter than the average approaching period. Thus, it is considered that making preparation of vessels and ships for typhoon is needed from the point of over 25 degrees of the latitude. When it comes to the change of barometric pressure by a barometer had been taking place gradually till the day before the typhoon approached. The change of barometric pressure, however, was varied very sharply from the time of 12 hours before the typhoon approached to the time of 3 hours after the typhoon. The change of wind velocity by an anemometer was varied very widely for 3 hours after passing through the closest point where the typhoon was headed, but was rapidly in a state of tranquility after the 3-hour. The maximum instantaneous wind velocity was 33 knots, being the closest to the typhoon’s path, 1010hours 9th,Jul. The change of wind direction by a wind direction indicator had been shown before 9 hours when the radical change accelerated, and the trend of wind direction was general clockwise that the beginning was the east wind and it was changed as the south wind. Also, when approaching typhoon nearly, and reaching the highest point of wind velocity, the prevailing wind was the north wind. In a nut shell, regarding the change of barometer pressure, the wind velocity and the wind direction was widely varied on the basis of the approaching point of the typhoon. Therefore, the vessels or ships which are heading for sea need to figure out how to handle the situation related with typhoon by using the result of this paper. In other words, as it has been shown from the Typhoon Neoguri, we should find the sea area reducing the south wind while the dangerous semicircle and the south wind of typhoon can deal a fatal outcome to vessels and ships, and should decide the best area as a shelter of ship at typhoon area, which can protect the wind and wave by obtaining confidential information.

      • 임베디드 가상 머신 모니터 기반 경량 드라이버 도메인 구현

        찬주(Chanju Park),이인환(Inhwa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B

        다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가상 머신 모니터가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운영체제간 공유된 하드웨어 자원에 대해 I/O 수행 시 발생하는 성능 저하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기법이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기반 가상화 환경의 분리 디바이스 드라이버 모델상에서 작은 메모리와 향상된 I/O 응답성을 가지며 다른 운영체제의 I/O 요청을 직접 처리하는 경량 드라이버 도메인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구현된 경량 드라이버 도메인은 기존의 가상화된 운영체제의 코드를 대부분 재사용하면서도 작은 물리 메모리를 가지며 고정된 가상 주소 상에서 I/O 중심의 작업을 수행한다. 벤치마크를 이용한 측정 결과 경량 드라이버 도메인은 구현 전 대비 2%정도의 I/O 처리 향상을 보였다.

      • KCI등재

        학교 자율화 정책에 따른 학교 자율성 변화 및 성취도 제고 효과 분석: PISA 2006~2015 분석을 중심으로

        이호준(Lee, Hojun),찬주(Moon, Chanju),정동욱(Jeong, Dongwook)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3

        본 연구는 2008년 시행된 ‘학교 자율화 정책’으로 인해 나타난 학교 자율성의 변화와 그로인한 교육적 성과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ISA 2006부터 PISA 2015까지 총 4회에 걸쳐 조사된 한국 데이터를 바탕으로 간여시계열모형(interrupted time series)과 확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교 자율화 정책이 시행된 이후 학교 자율성은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주로 예산, 학생 관리, 교육과정 등 세 개 영역에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자율성의 변화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생 관리 영역에서의 학교 자율성의 확대는 학업성취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 주체별로 의사결정 권한의 확대로 인한 학업성취도 제고 효과는 의사결정의 하위 영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학교는 학생 관리영역에서, 교육청은 인사 영역에서, 교육부는 예산 영역에서 의사결정 권한이 커질수록 학업 성취도 역시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교 자율화 정책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학교 자율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 교육청, 교육부 사이의 적절한 의사결정 권한 배분이 이루어지도록 교육 주체 간 의사결정 권한의 조정을 통해 교육적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pirically the change of school autonomy and the change of educational performance caused by the school autonomy policy implemented in 2008. To do this, we used an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and a random effect model based on Korean data from PISA 2006 to PISA 201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autonomy of schools has decreas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school autonomy policy in 2008. School autonomy declined mainly in three areas: budget, student management, and curriculu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school autonomy policy chang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he expansion of school autonomy in the field of student management increase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ird, the effects of increasing the decision-making power by educational authorities differ according to the sub-areas of decision making.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strategical approaches to improve authentic school autonomy. In addition to efforts to raise school autonomy, We suggest that a policy approach is required to distribute the decision making authority among educational agents in appropriate way of enhancing school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